KR20090005718A - 원형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원형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18A
KR20090005718A KR1020070068981A KR20070068981A KR20090005718A KR 20090005718 A KR20090005718 A KR 20090005718A KR 1020070068981 A KR1020070068981 A KR 1020070068981A KR 20070068981 A KR20070068981 A KR 20070068981A KR 20090005718 A KR20090005718 A KR 200900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ircular
concrete
revetment
outer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Original Assignee
박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우 filed Critical 박현우
Priority to KR102007006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718A/ko
Publication of KR200900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와, 상기 외부원형체(1)의 외측 일부에 외부로 돌출된 측면돌기(3)와, 상기 측면돌기(3)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측면돌기(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 측면홈(2)과,상기 외부원형체(1)의 정면 중앙부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 형성되며, 외부원형체(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30)과, 상기 외부원형체(1)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3개의 하부돌기(10)로 구성된 원형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원형호안블럭. 호안블럭. 돌기

Description

원형 호안블럭 {Embankment block}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원형 호안블럭을 연결시켜 시공하므로서,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수로벽의 기초 등에 사용되는 원형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해안의 침식방지 및 친수공간 조성에 사용하며, 하천의 호안 경사면이나 수중바닥에 시공하여 하상을 보호하며, 어패류들의 안식처로 이용되거나 통로로 이용하여 자립해서 공적을 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원형 호안블럭을 연결시켜 시공하므로서, 친환경적이고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수로벽의 기초 등에 사용되는 원형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해 예방을 위해 쌓는 제방은 토사의 안식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둑을 형성하는데, 빗물에 의해 사면의 토사가 씻겨 내려가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호안 블럭을 부착 설치하여 왔다.
최근 들어서,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 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 목적으로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 정비및 하천 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 환경이 변화되었다. 더욱이, 저수로는 직강화되면서 자연 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변경되었고, 저수로의 경사면은 콘트리트화되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만을 이용한 하천과 도로의 경사면 정비는 식물 생장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현재 대부분의 하천 유역이나 도로의 생태계가 파괴되었고, 또한 식물이 거의 없이 콘크리트 구조물만이 보이는 삭막한 환경이 되었기 때문에,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 환경기능이 거의 파괴되었다. 이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이 오염되는 것은 물론이고 하천 식물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수 및 종류도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하천의 경사면은 생태적 생산성과 생물종 다양성이 매우 높은 곳으로 자연하천 생태계에 있어서는 수중과 육상의 경계를 이루는 추이대에 해당한다. 추이대를 콘크리트화하게 되면, 수중과 육상 생태계의 연결 고리가 끊어지게 되므로, 일차적으로 추이대에 서식하는 어류 및 식물류가 거의 멸종되고, 이차적으로는 하천 생태계 전반에 지대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77035호에는 자갈등 굵은 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수지를 혼재하여 블럭화한 것으로 상부에 구멍과 하부에 보다 협소해진 구멍을 갖는 투수성 관체로 형성하되 하부 단의 내면에 테이퍼부를 형성한 식생가능한 투수성 호안블럭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519108호에는 하천 제방(1)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식재부(11)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보스(15)가 구비된 다수의 원형 식생블록(10)과; 상기 근접하는 원형 식생블록들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구(20)과; 그리고, 상기 원형 식생블록의 보스를 통해 상기 하천 제방에 박히는 앵커(30)를 포함하는 원형 식생블록을 갖는 하천 제방 보호용 호안블록에 있어서,상기 원형 식생블록은, 보강 철근(12), 상기 보강 철근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체결구가 관통되는 볼트관(13), 상기 원형철근과 볼트관이 삽입된 상태로 양생되는 콘크리트(14)로 이루어지고,상기 근접하는 원형 식생블록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측면이 상기 근접하는 원형 식생블록의 외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체결구로 체결되는 결속안내구(2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식생블록을 갖는 하천 제방 보호용 호안블록이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402162호에는 호안블럭에 있어서, 원형형상의 블럭체(1)와, 상기 블럭체(1)의 상부와 하부표면 세부분에 돌출되어 있으며, 타 블럭체(1)를 결속시켜주는 돌기(2)와, 상기 블럭체(1)의 중앙에는 밀림 방지 및 결속 돌기(2)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3)과, 상기 블럭체(1)의 측면에는 타 블럭체들과 적층시 어로로 사용되는 홈(4)과, 상기 블럭체(1)의 측면 상부 일단의 세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타 블럭체(1)와 결착시키는 연결고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이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4502호 에는 하천 또는 해저면에 설치되는 다목적 블록으로서, 중앙부가 관통된 원통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둘레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 둘레에 형성되어 시공시 다른 다목적 블록의 돌기가 삽입가능한 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부와, 상기 본체부의 체결홈부에는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본체 부를 관통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블록 조립체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361655호에는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과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된 소정개수의 돌기들;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과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 깊이 인입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중공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적층되어 설치된 경우에 상,하부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돌기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소정 개수의 인입홈들;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매입되어 설치된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는 상기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공간을 형성하도록 꼭지점 부근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절단부에 매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적층구조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174866호에는 호안블록의 표면에 일정깊이를 갖는 구멍을 뚫어주고 상기 구멍 내측에 저면과 관통되는 배수구멍을 뚤어주는 호안블록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163470호에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생토로 채워지는 식재부가 상부면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배수공과 뿌리 내림공이 형성되며, 최소 한 한 측면에는 상기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성장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 자연형 호안블럭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361652호에는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의 상면과 하면의 서로 대응되는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소정 개수의 돌기들;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를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설치 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에 매입되어 설치된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 본체는 상기 이웃하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공간을 일측면에 형성하도록 꼭지점 부근에 절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절단부에 매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적층구조가 기술되어 있고,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공고번호 실1990-0002484호에는 전체적으로 반원현상의 외관을 지니는 상면부(1)의 하방으로 한쌍의 삽입공(2)을 형성하고 삽입공(2)의 단턱부(4)의 하방 연장선상에 삽입공(2)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의 삽지돌부(3)를 가각 돌설시키며, 상면부(1)의 외측단에 연하여 측면구성부(5)를 합체 형상으로 형성한 개체를 삽입공(2)과 삽지돌부(3)에 의해 종횡으로 무한 연장 조합하여 블럭조합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합블럭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25849호에는 블록의 일측면에 길이가 긴 다수의 돌출부재를 임의 간격으로 돌출하여 유속을 저감시켜 어류서식공간과 수초 서식공간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적층 또는 하천의 바닥에 무작위로 깔아주거나, 기 설치된 옹벽에 앙카볼트를 매개로 돌출부재로 고정 설치하는 하천변의 생태보호 환경 조성체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243778호에는 4각형 블럭체 외면보다 측면과 상하로 돌출된 결속돌기가 형성된 호안용 블럭이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빗물로 인해 제방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블럭과, 시공된 상부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양측면에 돌기 및 홈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을 결속하는 연결선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설치하여 시공시 보다 견고하게 시공하고, 시공후에는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해안도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한 원형 호안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견고히 시공함으로서, 지반약화로 인한 축조물의 붕괴를 예방하고, 관통공에 연결선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의 관통공에 관통하여 원형 호안블럭간의 일체화하여 보다 견고히 고정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또한, 시공후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몰탈을 포설하여 해안도로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생태계 전체를 배려한 동시에 완만한 계단식 적층 시공으로 해안 및 하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친수 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산책시 휴식 공간 제공등)지역주민과 보는 사람에게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와, 상기 외부원형체(1)의 외측 일부에 외부로 돌출된 측면돌기(3)와, 상기 측면돌기(3)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측면돌기(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 측면홈(2)과,상기 외부원형체(1)의 정면 중앙부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 형성되며, 외부원형체(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30)과, 상기 외부원형체(1)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3개의 하부돌기(10)로 구성된 원형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내부 공간부에는 모래, 자갈 등을 충진하거나, 식물을 식재하여 해안의 침식방지 및 홍수 등의 급류에 블럭이 쓸려나가지 않게 하거나, 친환경블럭을 이루게하도록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를 수중지면에 평면으로 배치하되 측면돌기(3)를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의 측면홈(2)에 삽입시켜 견고히 시공하고,
그 위에 다른 형상의 원형 호안블럭을 시공하되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함과 동시에 상부 원형 호안블럭의 하부돌기(7)를 하부 원형 호안블럭 내부공간부에 삽입시켜 밀림방지되도록 적층하고,
또한, 외부원형체(1) 정면에 형성된 관통공(30)을 설치하여, 연결선(50)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의 관통공(30)에 관통하여 원형 호안블럭간의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때, 연결선(50)은 철선이나 체인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공시 원형 호안블럭을 수중지면에 평면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다른 원형 호안블럭을 시공하되 하부면의 밀림방지 및 결속용 하부돌기(10)를 적층하고,
본 발명의 하부돌기(10)는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기울어져 설치된 형성된 원통형이다.
상기 원형 호안블럭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돌기 및 홈의 결속으로 원형호안 블럭들을 상호 단단히 결속시켰으며,
또한, 시공된 최상부 원형 호안블럭의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몰탈을 포설하여 해안도로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을 이용하여 해안 침식방지, 하천바닥, 교량의 하상보호 및 사방댐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평면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저면 상세도, 도4및 도5는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시공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외부원형체(1), 측면홈(2), 측면돌기(3), 하부돌기(10), 관통공(30), 연결선(5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와, 상기 외부원형체(1)의 외측 일부에 외부로 돌출된 측면돌기(3)와, 상기 측면돌기(3)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측면돌기(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 측면홈(2)과,
상기 외부원형체(1)의 정면 중앙부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 형성되며, 외부원형체(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30)과,
상기 외부원형체(1)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3개의 하부돌기(10)로 구성된 원형 호안블럭인 것이다.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를 수중지면에 평면으로 배치하되 측면돌기(3)를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의 측면홈(2)에 삽입시켜 시공하고,
그 위에 다른 형상의 원형 호안블럭을 시공하되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함과 동시에 상부 원형 호안블럭의 하부돌기(10)를 하부 원형 호안블럭 내부공간부에 삽입시켜 밀림 방지되도록 적층하고,
이때, 외부원형체(1) 정면에 형성된 관통공(30)을 설치하여, 연결선(50)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원형 호안블럭의 관통공(30)에 관통하여 원형 호안블럭간의 일체화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된 최상부 원형 호안블럭의 내부 공간부에 콘크리트몰탈을 포설하여 해안도로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전체도
도2는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평면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저면 상세도
도4및 도5는 본 발명의 원형 호안블럭 시공상태도
<도면부호의 설명>
외부원형체(1), 측면홈(2), 측면돌기(3), 하부돌기(10), 관통공(30), 연결선(50).

Claims (1)

  1. 원형 호안블럭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링 형상의 외부원형체(1)와, 상기 외부원형체(1)의 외측 일부에 외부로 돌출된 측면돌기(3)와, 상기 측면돌기(3)와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측면돌기(3)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 측면홈(2)과,
    상기 외부원형체(1)의 정면 중앙부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2개 형성되며, 외부원형체(1)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30)과,
    상기 외부원형체(1)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부로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3개의 하부돌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호안블럭.
KR1020070068981A 2007-07-10 2007-07-10 원형 호안블럭 KR20090005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81A KR20090005718A (ko) 2007-07-10 2007-07-10 원형 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81A KR20090005718A (ko) 2007-07-10 2007-07-10 원형 호안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18A true KR20090005718A (ko) 2009-01-14

Family

ID=4048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981A KR20090005718A (ko) 2007-07-10 2007-07-10 원형 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7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04721A1 (en) Method for recovering underwater ecosystem of a river
CN101387107A (zh) 带桩式防浪结构的生态护岸
KR100664993B1 (ko) 호안블럭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120000137A (ko)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KR20040046148A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20090000362U (ko) 원형호안블럭
KR20090005718A (ko) 원형 호안블럭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297215Y1 (ko) 블록세트
KR20090000363U (ko) 어소 블럭
KR200358532Y1 (ko) 호안블록
CN100535252C (zh) 海上高效养殖区建设方法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478158B1 (ko) 에코투인박스
CN105804005B (zh) 一种挂壁式生态混凝土堤防及其构建方法
KR200410822Y1 (ko)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CN213952114U (zh) 组合式生态护岸结构
CN217203841U (zh) 插板型预制错位过水井生态护岸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20130034340A (ko) 투수성 호안블록
KR101185998B1 (ko) 해수유통구가 형성된 호안블럭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