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935U - 닥터피쉬용 어항 - Google Patents

닥터피쉬용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935U
KR20090004935U KR2020070018631U KR20070018631U KR20090004935U KR 20090004935 U KR20090004935 U KR 20090004935U KR 2020070018631 U KR2020070018631 U KR 2020070018631U KR 20070018631 U KR20070018631 U KR 20070018631U KR 20090004935 U KR20090004935 U KR 20090004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ater
doctor
tank
tank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흥선
Original Assignee
안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흥선 filed Critical 안흥선
Priority to KR2020070018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935U/ko
Publication of KR20090004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35U/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소파 혹은 의자에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를 할 수 있게 적은 힘으로 어항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어항 내부의 물이 자연 여과방식으로 정화될 수 있는 여과수단을 갖는 닥터피쉬용 어항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된 틀체; 상기 틀체에 안착되며, 물과 닥터피쉬(doctor fish)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된 수용실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및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연락공들이 형성된 격벽들을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과 연락되는 공간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들에는 여과용 스펀지와 여과용 돌 및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의 물이 각 공간부들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함에 의해 물을 여과할 수 있게 한 여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상어, 닥터피쉬, 친친어, 이동바퀴, 여과실

Description

닥터피쉬용 어항{a fish basin}
본 고안은 닥터피쉬용 어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소파 혹은 의자에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닥터피쉬 치료를 할 수 있게 적은 힘으로 어항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어항 내부의 물이 자연 여과방식으로 정화될 수 있는 여과수단을 갖는 닥터피쉬용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닥터피쉬(Doctor fish)란, 유럽에서 캉갈피쉬(가라루파)의 생태습성을 이용해 피부질환치료에 사용하면서 물고기가 피부질환을 치료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즉, 닥터피쉬란 말은 특정 물고기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피부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고기를 지칭하는 단어로 생각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국내에는 중국산 '친친어'와 터키산 '가라루파(캉갈피쉬)'가 소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닥터피쉬는 섭씨37도의 뜨거운 물에서도 끄떡없이 살 수 있는 특이체질이다.(일반열대어는 27~28도 정도에서 생존) 이렇게 수온이 높다보니, 닥터피쉬가 주로 먹고 사는 플랑크톤의 번식이 힘들게 돼 먹이가 턱없이 부족하게 되었는데, 다행히도 닥터피쉬는 사람들의 피부에서 각질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이 각질을 주식으로 먹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피부질환 치료를 돕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무좀, 건선, 아토피 같은 피부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일반인들보다 각질이 많기 때문에 닥터피쉬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해준 셈이고, 이 덕분에 피부병 환자들은 골치아픈 각질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 것이다. 더욱이 닥터피쉬가 각질을 쪼아 먹으면서 피부에 미세한 자극을 주는데, 이것이 마사지 효과까지 얻을 수 있으며, 여기에 셀레늄효과가 더해지면 피부병을 치료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닥터피쉬는 또 한가지의 놀라운 비밀을 가지고 있다. 이는 피부 각질을 쪼아 먹고 있는 순간 입에서 특별한 성분이 분비된다고 하며, 그 성분에 대해서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에서 현재 연구 중에 있다. 닥터피쉬의 고향인 터키의 Sivas 대학, 이스탄불대학 등에서 캉갈피쉬 치료에 관한 논문이 발표 되었으며, 오스트리아의 빈 대학에서도 캉갈피쉬 치료와 UVA-A자외선 겸용 치료 효과에 관한 논문이 발표 되었고, 지금까지 알려진 부작용이 없다는 것도 큰 의미가 있다.
현재는 동유럽과 가까운 일본에서도 이 캉갈피쉬 치료가 오랜 피부병에 시달려온 환자들이나 피부미용에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터키를 비롯한 그리스, 이스라엘을 포함한 유럽의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네덜란드 등 많은 나라들이 피부질환의 치료와 피부미용을 위해 캉갈피쉬 테라피(치료)를 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마틴그라스베르거 박사는 이 물고기(가라루파)를 이용하여 피부건선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을 하여 그 논문결과를 학계에 발표하였다. 그의 연구는 피부건선질환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를 보았으며 아토피성 피부질환의 치료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자연 친화치료(바이오 테라피)로서, 이 캉갈피쉬 테라피를 시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온천 등에서만 한정적으로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닥터피쉬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일반가정에서는 만들어주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즉, 일반가정에서 어항에 닥터피쉬를 기르면서 치료를 할 경우, 어항 내부에 채워진 물은 피부 각질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데, 통상의 어항은 이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없다. 따라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어항 내부의 물을 갈아주어야 하는데, 이때 닥터피쉬가 쉽게 죽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가정에서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는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물과 닥터피쉬가 수용된 어항을 적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소파 혹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닥터피쉬 치료를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닥터피쉬 치료시 피부 각질에 의해 어항에 채워진 물이 오염되는 것을 자연 여과에 의해 정화시킬 수 있게 하여 닥터피쉬가 오래도록 살수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일반가정에서 손쉽게 닥터피쉬 치료를 할 수 있게 한 닥터피쉬용 어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된 틀체와 상기 틀체에 안착되며, 물과 닥터피쉬(doctor fish)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된 수 용실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및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연락공들이 형성된 격벽들을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과 연락되는 공간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들에는 여과용 스펀지와 여과용 돌 및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의 물이 각 공간부들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함에 의해 물을 여과할 수 있게 한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틀체는 수조 본체를 안착할 수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둘레에 세워지게 설치됨과 아울러 수조 본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전후좌우측판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좌우측판들의 상단부에는 안착턱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턱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실의 물은 공간부의 상측부로 유입되어 하측부를 통해 인접한 일측의 공간부로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일측의 공간부로 이동된 물은 다시 상측부를 통해 다른 일측의 공간부로 이동되게 하며 다른 일측의 공간부로 이동된 물은 하측부를 통해 수용실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게 상기 연락공들을 각 공간부들의 상하측부로 배치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소파 혹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물과 닥터피쉬가 수용된 어항을 이용하여 닥터피쉬 치료를 할 수 있게 적은 힘으로 어항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닥터피쉬 치료시 피부 각질에 의해 어항에 채워진 물이 오염되는 것을 자연 여과에 의해 정화시킴에 의해 닥터피쉬가 오래도록 살수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일반가정에서 손쉽게 닥터피쉬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은 물과 닥터피쉬(doctor fish)를 수용할 수 있게 한 수조본체(110)와 상기 수조본체(110)를 안착시켜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에 바퀴(132)가 설치된 틀체(130) 및 상기 틀체(130)의 상부에서 수조본체(110)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1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에는 물을 여과하기 위해 여과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개의 공간부들(122a~122c)이 구비된다. 도면 부호 (134)는 틀체(130)에 구비되어 수조본체(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투시공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136)은 틀체(130)의 상부에 덮개(114)를 안착하기 위한 안착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에 구비되는 상기 수조본체(110)는 물과 닥터피쉬(doctor fish)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된 수용실(112)을 갖는다. 이러한 수조본체(110)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혹은 아크릴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본체(110)의 수용실(112)에 닥터피쉬를 수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손 혹은 발 등을 수조본체(110)의 담그어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를 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에 구비되는 수조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각 공간부에 여과용 스펀지와 여과용 돌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에 구비되는 여과수단(120)은 상기 수조본체(110)의 내부를 구획하여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들에 여과용 스펀지(128a)와 여과용 돌(128b) 및 펌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112)의 물이 각각의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함에 의해 물을 여과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은 수조본체(110)의 내부에 제1~제3격벽들(124a~124c)을 설치하여 형성하며, 상기 제1~제3격벽들(124a~124c)들에는 제1~제4연락공들(126a~126d)을 형성하여 수용실의 물이 상기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한다. 즉, 상기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을 경유하여 순환되는 물은 상기 수용실(112)로부터 제1구획공간부(122a)로 유입될 때 상측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수용실(112)과 제1구획공간부(122a)를 구획하는 제1격벽(124a)의 상측부에 제1연락공(126a)을 형성한다.
또한, 제1구획공간부(122a)로 유입된 물은 하측부를 통해 제2구획공간부(122b)로 이동되게 제1구획공간부(122a)와 제2구획공간부(122b)를 구획하는 제2격벽(124b)의 하측부에 제2연락공(126b)을 형성한다. 이 제2연락공(126b)은 상기 제2격벽(124b)을 설치시 수조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면 쉽 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락공(126b)은 제2격벽(124b)에 구멍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구획공간부(122b)로 이동된 물은 상측부를 통해 제3구획공간부(122c)로 이동되게 제2구획공간부(122b)와 제3구획공간부(122c)를 구획하는 제3격벽(124c)의 상측부에 제3연락공(126c)을 형성한다. 이 제3연락공(126c)은 상기 제3격벽(124c)을 설치시 수조본체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하면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연락공(126c)은 제3격벽(124c)에 구멍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구획공간부(122c)로 이동된 물은 하측부를 통해 다시 수용실(112)로 이동되게 제3구획공간부(122c)와 수용실(112)을 구획하는 제1격벽(124a)의 하측부에 제4연락공(126d)을 형성한다. 이 제4연락공(126d)을 통해 펌프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용실(112)의 물에 제1~제3구획공간부들(122a~122c)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하면서, 제1구획공간부(122a)에 설치되는 여과용 스펀지(128a)와 제2구획공간부(122b)에 설치되는 여과용 돌(128b)에 의해 여과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에 구비되는 상기 틀체(130)는 상기 수조본체(110)가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1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에 바퀴(1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틀체(130)에 수조본체(110)가 안착되게 설치함에 의해 상기 수조본체(110)의 수용실에 물이 채워져 있어도 상기 바퀴(132)에 의해 수조본체(11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며, 이와 같이 수조본체(110)를 쉽게 이동시킴에 의해 수용실(112)에 수용된 닥터피쉬를 이 용하여 치료를 할 경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소파 혹은 의자 등에 앉아서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를 할 경우 그 위치까지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틀체(130)에 의해 장식효과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수조본체(110)가 틀체(130)에 삽입되는 형태로 하여 안착 설치될 수 있게 함에 의해 수조본체(110)의 외부를 장식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틀체(130)는 수조본체(110)가 안착되게 받혀주는 받침판(132)과 상기 받침판(132)의 둘레에 세워지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수조본체(110)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창(136)이 형성된 전후좌우측판들(134a~134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6)을 통해 수조본체(110)의 수용실(112)에 수용된 닥터피쉬를 눈으로 확인하여 통상의 관상용 어항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 수조본체(110)의 테두리부를 따라 틀체로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에 의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에 구비되는 덮개(114)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수조본체(1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된다. 또한, 덮개(114)에는 먹이공급구멍(116)이 설치되어 먹이공급구멍(116)을 통하여 먹이를 공급하도록 하고있다. 이러한 덮개(114)는 상기 틀체(130)에 안착되게 함이 좋다. 즉, 상기 전후좌우측판들(134a~134d)의 상단부에 안착턱(138)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턱(138)에 덮개(114)를 덮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114)에 의해 본 고안의 닥터피쉬용 어항(100)을 평상시에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덮개(114)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 다. 즉, 상기 덮개(114)는 틀체(130)의 안착턱(138)에 안착되는 상태로 설치됨에 의해 수조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덮개(114)를 쉽게 분리하거나 혹은 덮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100)은 평상시에는 수조본체(110)의 내부의 수용실(112)에 닥터피쉬가 있음에 의해 관상용으로 사용하다, 치료를 필요로 할 경우 틀체(130)의 바퀴(132)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소파 혹은 의자 등)로 쉽게 이동시킨 후, 덮개(114)를 열어 수조본체(110)의 수용실에 인체의 손 혹은 발을 담그어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닥터피쉬를 이용한 치료시 인체의 각질 등에 의해 어항 내부의 물이 오염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고안은 상기 수용실(112)의 물이 제1~제3구획공간부(122a~122c)를 경유하여 순환되면서 상기 제1~제2구획공간부(122a~122b)에 설치되는 여과용 스펀지(128a)와 여과용 돌(128b)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됨으로서 수조본체(110)의 수용실(112)에 채워지는 물은 닥터피쉬가 살아갈 수 있는 최적의 물로 정화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여과용 스펀지(128a)와 여과용 돌(128b)에 의해 물을 여과하여 정화시킬 경우 자연 정화가 가능하게 됨에 의해 여과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제1~제3구획공간부(122a~122c)를 경유하여 물이 순환될 때, 그 순환되는 물은 상측부로 유입되어 하측부로 배출되고, 또 하측부로 유입된 물은 상측부를 통해 배출되면서 순환됨에 의해 여과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닥터피쉬용 어항에 구비되는 수조본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에서 각 공간부에 여과용 스펀지와 여과용 돌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닥터피쉬용 어항 110 - 수조본체
120 - 여과수단 130 - 틀체

Claims (3)

  1. 저면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먹이공급구멍을 갖는 덮개가 탈착되게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틀체;
    물과 닥터피쉬(doctor fish)를 수용할 수 있게 상부만이 개구된 수용실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틀체의 수용공간에 안착되는 수조본체; 및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연락공들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벽들을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과 연락되는 제1~제3 구획공간부들을 형성하며, 상기 구획 공간부들에는 여과용 스펀지와 여과용 돌 및 펌프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수용실의 물이 상기 구획 공간부들을 경유하여 순환되게 함에 의해 물을 여과할 수 있게 하는 여과수단을 포함하는 닥터피쉬용 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수조 본체를 안착할 수 있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둘레에 세워져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조 본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덮개를 안착 할 수 있게 한 안착턱이 형성된 전후좌우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터피쉬용 어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실의 물은 상기 제1구획공간부의 상측부로 유입되어 하측부를 통해 인접한 상기 제2구획 공간부로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2구획 공간부로 이동된 물은 다시 상측부를 통해 일측의 상기 제3구획공간부로 이동되 게 하며 제3구획공간부로 이동된 물은 하측부를 통해 수용실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게 상기 연락공들을 상기 각 구획공간부들의 상하측부로 배치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터피쉬용 어항.
KR2020070018631U 2007-11-20 2007-11-20 닥터피쉬용 어항 Abandoned KR20090004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31U KR20090004935U (ko) 2007-11-20 2007-11-20 닥터피쉬용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631U KR20090004935U (ko) 2007-11-20 2007-11-20 닥터피쉬용 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35U true KR20090004935U (ko) 2009-05-25

Family

ID=4130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631U Abandoned KR20090004935U (ko) 2007-11-20 2007-11-20 닥터피쉬용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93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78B1 (ko) * 2009-06-30 2012-03-14 김상국 번식용 수족관
KR102155470B1 (ko) * 2020-03-16 2020-09-11 (주)자연과조경 수질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수경 생태 시스템
TWI865384B (zh) * 2024-04-12 2024-12-01 張譽耀 過濾模組及循環水養殖系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78B1 (ko) * 2009-06-30 2012-03-14 김상국 번식용 수족관
KR102155470B1 (ko) * 2020-03-16 2020-09-11 (주)자연과조경 수질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수경 생태 시스템
TWI865384B (zh) * 2024-04-12 2024-12-01 張譽耀 過濾模組及循環水養殖系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35413A1 (de) Wellness - Danarium kombinierte Badewanne Kabine
KR20090004935U (ko) 닥터피쉬용 어항
US20100139680A1 (en) Fish pedicures, massages and treatments
KR101190652B1 (ko) 황토와 머드를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반신욕장치
KR200457647Y1 (ko) 건식 반신욕기
US11267741B2 (en) Pedicure, manicure, and massage spa water treatment system
KR20170001512U (ko) 다목적 좌욕기
KR10125902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테이블
EP2404586A1 (en) Apparatus for the aesthetic treatment of the extremities of the limbs of the human body with garra rufa or similar fish
KR20150082002A (ko) 찜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구 겸용 찜질장치
Reid The Tao of Detox: The Natural Way to Purify Your Body for Health and Longevity
KR200411597Y1 (ko)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구비한 반신욕기기
KR20030040979A (ko) 다기능 목욕및 수치료 시스템
JP2000070956A (ja) 生薬熱水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水中遊離残留塩素除去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入浴剤
KR102710631B1 (ko) 피톤치드 아로마 테라피를 이용한 산소 사우나 시스템
CN211883537U (zh) 一种杀菌足浴盆
KR20140002379U (ko) 향기 발산용 수납체가 구비된 반신욕 찜질기
KR101416487B1 (ko) 기능성 사우나 부스
KR100494715B1 (ko) 족탕기
JP5112912B2 (ja) 浴室用椅子
Walsh 6 Chemistry, Biology, and the Heterogeneity of Modern Waters
KR20080084345A (ko) 웰빙 부스
KR101256885B1 (ko) 원적외선 조사기
KR100838528B1 (ko) 숯케이스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등받이
KR200358033Y1 (ko) 발 맛사지용 수로를 갖는 요식업 객장의 물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1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4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