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855U -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 Google Patents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855U
KR20090004855U KR2020090005091U KR20090005091U KR20090004855U KR 20090004855 U KR20090004855 U KR 20090004855U KR 2020090005091 U KR2020090005091 U KR 2020090005091U KR 20090005091 U KR20090005091 U KR 20090005091U KR 20090004855 U KR20090004855 U KR 20090004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amboo
golf
nod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철
Original Assignee
김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철 filed Critical 김문철
Priority to KR2020090005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855U/ko
Publication of KR20090004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08Hand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8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corrugate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골퍼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정확한 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파지 시 마찰력(종 마찰력, 횡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우천 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기능, 뒤틀림 방지기능을 갖춘 그립감이 뛰어난 소재(열가소성 탄성체, 우레탄, 실리콘)를 사용하여 골프용 장갑이 필요 없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TPE)열가소성 탄성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골프용 그립을 사출 성형 제조함에 있어 원통형 그립의 외주 면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 사이 부(15-27)와 각 마디 사이 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 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는 도8의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하게 되며,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 사이 부(15-27)의 외주면에는 도9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깊이:0.5mm)으로 형성되며, 도2의 14개의 단차 부(30-42)는 각 마디부의 좌측부와 마디 사이 부의 우측부 간의 단차가 0.3mm로 형성되며,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마디부와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에 특징이 있다.
Figure P2020090005091
골프용 그립, 대나무형 골프용 그립, 기능성 골프용 그립

Description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The bamboo-shaped functional grip. }
본 고안은 기능성을 부여한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골퍼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정확한 샷을 구사하여 골퍼의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골프용 그립의 외주 면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 각 마디사이 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는 도8의 홈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다.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외주 면에는 도9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되며, 도2의 14개의 단차 부(30-42)는 각 마디부의 좌측부와 각 마디 사이 부의 우측부 간의 단차가 0.3mm로 형성되며, 각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각 마디부와 각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에 특징이 있다.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는 파지 시 종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스윙 시 골프클럽의 이탈을 방지하며,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는 파지 시 횡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타격 시 골프클럽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특히, 우천 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춘 그립감이 뛰어나 골프용 장갑을 착용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한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골프채 그립은 고무로 된 그립이 대중을 이루고 있으며, 고무의 특성상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경화현상의 발생과 마모현상, 우천 시나 땀 등으로 인한 미끄럼 현상, 잘못된 임펙트 시 클럽이 손에서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립을 파지 시 손에 강한 힘을 작용하게 되어 원할한 스윙을 저해함은 물론, 손바닥에 굳은살이 형성되어 손에 상처를 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우천 시에 빗물이나 땀 등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그립에 실을 삽입한 실그립이 등장하였지만, 상기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실그립 또한 부분적인 장점이있는 반면, 손바닥 피부보다 비교적 강한 고무에 삽입된 실과의 마찰에 의하여 손에 손상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무의 특성상 고무로 된 골프용 그립은 골프용장갑을 쉽게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어 골프용장갑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현실을 비추어 볼 때 보다나은 기능을 갖춘 골프용 그립이 개발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출원번호20-2005-0024046, 대한민국 출원번호10-2006-0020708, 대한민국 출원번호10- 2005-007060등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 골프용 그립이 개발되고 있으나 위에서 나열한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나열한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고기능성 골프용 그립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이 고안된 것으로 골퍼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정확한 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파지 시 마찰력(종 마찰력, 횡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우천 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기능,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춘 그립감이 뛰어난 소재(열가소성 탄성체, 우레탄, 실리콘)를 사용하여 골프용 장갑이 필요 없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으로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 각 마디사이 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는 도8의 홈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다.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외주 면에는 도9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되며, 도2의 14개의 단차 부(30-42)는 각 마디부의 좌측부와 각 마디 사이 부의 우측부 간의 단 차가 0.3mm로 형성되며, 각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각 마디부와 각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에 특징이 있다.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는 파지 시 종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스윙 시 불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스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골프클럽의 이탈을 방지해 준다.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는 파지 시 횡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타격 시 골프 클럽의 뒤틀림을 방지해줌으로서 정확한 임펙트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부(1-14)에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직육면체 모양의 홈(도8)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홈(도8)과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부(15-17)에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홈(도9)은빗물이나 땀의피난처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마디부(1-14),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부(15-17),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도7의 일자형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여 마찰력을 한층 더 극대화시켜준다.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부(15-17)는 라운드 형태로 해줌으로서 표면적을 보다 넓게 하여 마찰력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한 궁극적인 목적은 골퍼가 보다 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스윙을 통해 골퍼의 기량을 향상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골퍼 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정확한 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파지시 마찰력(종마찰력,횡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우천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기능, 뒤틀림 방지기능을 갖춘 그립감이 뛰어난 소재(열가소성 탄성체,우레탄,실리콘)를 사용하여 골프용 장갑이 필요 없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용 그립의 외주 면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 각 마디사이 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는 도8의 홈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것이 특징이 있다.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외주 면에는 도9의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있으며, 도2의14개의 단차 부(30-42)는 각 마디부의 좌측부와 각 마디 사이 부의 우측부간의 단차가 0.3mm로 형성되며, 각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각 마디부와 각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에 특징이 있다.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는 파지 시 종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스윙 시 골프클럽의 이탈을 방지하며,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는 파지 시 횡 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타격 시 골프클럽의 뒤틀림을 방지한다. 특히, 우천 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춘 골프용 그립 으로 그립감이 뛰어나 골프용 장갑을 착용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한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그립의 입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그립의 사시도이다. 도3은 제2도의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4는 제2도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제1도의 선E-E를 중심축을 포함한 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며, 도6은 제1도의 선D-D를 중심축을 포함한 선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일자형 돌출부를 표현하기위한 것이다. 도7은 제6도의 일자형 돌출부 대표 확대도(제6도의56)이며, 도8은 제2도의 각 마디부의 외주면의 음각홈 대표확대도이다. 도9는 제2도의 각 마디사이부의 외주면의 음각홈 대표확대도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용 그립은 샤프트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그립에 끼워서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형 골프용 그립 또한 마찬가지다. 골프용 립의 역할은 타격시 손바닥에 전해오는 충격완화와 파지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스윙을 가능하게 하는 마찰력의 극대화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나무형 골프그립은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부(1-14)와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는 스윙시 빗물이나 땀으로 미끄러짐으로 인한 클럽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종마찰력을 극대화시켜줌으로서, 스윙 시 불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스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각 마디 사이부마다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구비된 도7의 일자형 돌출부는 스윙시 클럽의 뒤틀림을 방 지할 수 있는 횡 마찰력을 극대화 시켜 스윙시 불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스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정확한 임펙트가 가능하게 해준다.
도2의 13개의 대나무 마디사이부(15-17)는 라운드 형태로 해줌으로서 표면적을 극대화 하여 마찰력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
또한,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부(1-14)에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모양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홈(도8 )과 도2의 13개의 대나무 마디사이부(15-17)에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홈 (도9)은 빗물이나 땀의 피난처 역할을 해줌과 동시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부(1-14), 도2의 13개의 대나무 마디사이부(15-27),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도7의 일자형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여 고정력과 마찰력을 한층 더 강화 하여 미끄럼 방지와 뒤틀림 방지 역할을 하게 되며, 골퍼가 어드레스시 심리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가지고 안정된 정확한 샷을 통해 기량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그립의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그립의 사시도.
도 3은 제2도의 선B-B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2도의 선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제1도의 선E-E를 중심축을 포함한 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6는 제1도의 선D-D를 중심축을 포함한 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7은 제6도의 일자형 돌출부 대표 확대도.(제6도의56)
도 8은 제2도의 각 마디부의 외주면의 음각홈 대표확대도.
도 9는 제2도의 각 마디사이부의 외주면의 음각홈 대표확대도.
도 10은 제2도의 각 마디사이부와 마디부간의 외주면의 단차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샤프트.
b :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그립.
C-C: 중심축
28 : 공기 배출구
29 : 샤프트 삽입구.
1 ∼ 14 : 대나무형 골프그립의 외주면의 마디부.
15 ∼ 27 : 대나무형 골프그립의 외주면의 마디사이부.
30 ∼ 43 : 각 마디사이부와 마디부간의 외주면의 단차부.
45 ∼ 56 : 각 마디사이부의 외주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일자형 돌출부.

Claims (6)

  1. 본 고안은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으로, 골퍼로 하여금 안정적이고 정확한 샷을 구사할 수 있도록, 파지시 마찰력(종마찰력,횡마찰력)을 극대화 하여 우천시나 땀으로 인한 미끄럼 방지기능, 뒤틀림 방지기능을 갖춘 그립감이 뛰어난 소재(열가소성 탄성체,우레탄,실리콘)를 사용하여 골프용 장갑이 필요 없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골프용 그립을 사출 성형 제조함에 있어 원통형 그립의 외주 면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 각 마디사이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는 도8의 홈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 있다.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외주 면에는 도9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있으며, 도2의14개의 단차 부(30-42)는 각 마디부의 좌측부와 각 마디 사이부의 우측 부간의 단차가 0.3mm로 형성되며, 각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각 마디부와 각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을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2. 청구항 1에서 원통형 그립의 외주 면에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와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 각 마디사이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 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단차부(30-42), 각 마디사이 부 외주 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너비:2mm)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3. 청구항 1에서 도2의 각 마디사이부 우측부분과 각 마디부 좌측부분이 만나는 도2의 14개의 0.3mm의 단차부(30-42)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각 마디사이 부는 라운드형으로 각 마디부와 각 마디사이부의 안장점 간의 0.6mm의 높이 차이를 둔 것에 특징이 있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4. 청구항 1에서 도2의 14개의 대나무 마디 부(1-14) 외주 면에 도8의 홈 가로1mm 세로1mm 깊이0.5mm의 직육면체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것과 도2의 13개의 라운드형 대나무 마디사이 부(15-27)외주 면에는 도9의 홈이 일정한 간격(중심축을 기준으로 18도)으로 음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5. 청구항 1에서 각 마디사이부 외주면에 도7의 일자형 돌출부가 중심축을 기준 으로 90도 간격으로 4개씩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6. 청구항 1에서 도2의 13개의 대나무 마디 사이부가 라운드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 형상의 골프용 그립.
KR2020090005091U 2009-04-23 2009-04-23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KR200900048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91U KR20090004855U (ko) 2009-04-23 2009-04-23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091U KR20090004855U (ko) 2009-04-23 2009-04-23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55U true KR20090004855U (ko) 2009-05-20

Family

ID=4129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091U KR20090004855U (ko) 2009-04-23 2009-04-23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85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1458B (zh) 用於高爾夫球桿的矽樹脂握把及其製造方法
TWI405600B (zh) 手把及製做此手把的方法
TWI411459B (zh) 用於高爾夫球桿的矽樹脂握把及其製造方法
KR102489788B1 (ko) 리마인더 리브를 가지는 골프 그립
US20030207717A1 (en) Golf grip with hand placement guide
TWI755573B (zh) 具有感測器殼體的高爾夫球桿握把
JP2014046203A (ja) ねじり剛性を有する改良されたグリップ
JP2003230644A (ja) 巻付け式グリップ
US11260278B2 (en) Golf club grip with pressure aid
EP2460627A2 (en)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288036B2 (en) Grip for a hockey stick with a hollow-ended shaft
KR100885536B1 (ko) 미끄럼 방지 보조그립
US9486678B2 (en) Multi-helix grip
RU2017104409A (ru) Эргономичная ручка-вставка для полого стержня
CA3002185A1 (en) Ergonomic knob insert for hollow stick
US8968119B2 (en) Weighted swing training apparatus
CN105451831A (zh) 用于高尔夫球杆的握持协助件
US20180043225A1 (en) Handle shell for ball game racket
US20190118367A1 (en) Lightweight grip
WO2003047703A3 (en) Elongated golf club grip
KR20090004855U (ko)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KR20100112505A (ko) 기능성을 부여한 대나무형상의 골프용 그립.
KR101301603B1 (ko) 골프채용 투명그립
US8814731B2 (en) Flexible racquet handle
JP2009113492A (ja) 軟質グ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