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05U -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 Google Patents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05U
KR20090004305U KR2020070017771U KR20070017771U KR20090004305U KR 20090004305 U KR20090004305 U KR 20090004305U KR 2020070017771 U KR2020070017771 U KR 2020070017771U KR 20070017771 U KR20070017771 U KR 20070017771U KR 20090004305 U KR20090004305 U KR 200900043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film heater
slat
temperature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헌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휀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휀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휀스타
Priority to KR202007001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305U/ko
Publication of KR20090004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루버의 슬랫에 필름히터와 단열재를 부착하여, 실내·외의 온도차를 극복함으로써 슬랫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하고 제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루버틀 내에 설치된 슬랫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루버로서, 상기 슬랫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판상의 발열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슬랫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2020070017771
루버, 필름히터, 슬랫, 단열재, 온도조절장치

Description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Film Heater and Louver with the same}
본 고안은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루버의 슬랫에 필름히터와 단열재를 부착하여, 실내·외의 온도차를 극복함으로써 슬랫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하고 제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의 화장실, 주방 등에는 채광과 통풍을 위하여 다수의 환기창이 설치되는데, 실내로 입사되는 채광량 및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루버(louver, 미늘살 창)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루버는 여러 개의 슬랫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슬랫의 각도가 조절되어 내·외부가 서로 통기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루버에서는, 내·외부 공기 온도차가 큰 경우에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슬랫면에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고, 환기창 주위의 목재가 부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버에서는 동절기에 슬랫이 열린 상태로 눈이 오게 되면, 슬랫 상면에 눈이 쌓이게 되어 슬랫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는데, 이와 같이 환 기가 중단되면, 실내에 위치한 고가의 장비 등이 고장날 수 있다. 또한, 슬랫 상면에 눈이 쌓인 채로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눈이 얼게 되면 슬랫의 개폐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루버 내·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슬랫 상면이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히터 및 이를 부착한 루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루버용 필름히터로부터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슬랫을 가열할 수 있는 필름히터 및 이를 부착한 루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강설(降雪)을 감지하여 슬랫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히터 및 이를 부착한 루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루버틀 내에 설치된 슬랫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루버로서, 상기 슬랫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판상의 발열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슬랫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는 필름히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필름히터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도부와, 상기 전도부에 연결되어 열선 역할을 하도록 증착·배치된 카본과, 상기 카본 위에 배치된 후 상기 카본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에 의하여 상기 전도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카본에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슬랫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루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의 노출된 상면은 단열재가 부착되거나 보온 코팅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루버에는 온도감지센서 또는 강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조절장치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발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온도 조절이 필요한 부재에 부착되는 판상의 필름히터로서, 상기 필름히터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도부와, 상기 전도부에 연결되어 열선 역할을 하도록 증착·배치된 카본과, 상기 카본 위에 배치된 후 상기 카본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도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카본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본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히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루버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슬랫 상면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거나, 강설(降雪)을 감지하여 슬랫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각각 본 고안의 필름히터(20)가 부착된 루버(1)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1a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는 도 1b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루버(1)는 복수 개의 슬랫(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랫(10)에는 필름히터(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필름히터(20)는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슬랫(10)의 상면에 부착되고, 온도조절장치(4)의 조작에 의해 발열함으로써, 상기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상기 필름히터(20)를 슬랫(10) 상면에 부착한 일례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필름히터(20)는 상기 슬랫(10)에 접하도록 부착되어,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루버(1)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슬랫(10)의 상면에만 부착될 필요는 없으며, 슬랫(10)의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모두 부착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루버(1)의 하단 루버틀(2) 상면에는 온도감지센서(3)가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온도감지센서(3)에 의해 루버(1) 내·외부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차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4)의 수동 또는 자동 작동에 의하여 상기 슬랫(10)에 부착된 필름히터(20)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버(1)에는 눈이 오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강설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상기 강설감지센서의 신호가 온도조절장치(4)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슬랫(10) 상면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필름히터(2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필름히터(20)가 부착된 루버(1)의 슬랫(10)과 필름히 터(20)의 부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히터(20)는 상기 슬랫(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로 현상 등은 슬랫(10)의 온도가 내부 또는 외부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저온일 때 발생하기 쉬우므로, 슬랫(10) 자체의 온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데, 슬랫(10) 외곽에 설치되는 상기 루버(1) 외곽의 루버틀(2)이나, 상기 루버틀(2)과 슬랫(10)을 연결하는 지지구 등이 열전도성이 좋은 재료일 경우에 결로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루버틀(2)이나 지지구 근처 즉, 슬랫(1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결로 현상 및 눈쌓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히터(20)는 상기 슬랫(10)의 중앙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슬랫(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랫(10)에 부착된 필름히터(20)의 상면에는 단열재(30)가 더 부착되거나 보온 코팅될 수 있는데, 상기 단열재(30)는 필름히터(20)에서 발생하는 열이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필름히터(20)의 노출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열재(30)는 일반 보온 단열재, 세라믹 코팅 단열재 등의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슬랫(10)의 길이방향 단부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필름히터(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랫(1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 있는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열재(30)는 상기 필름히터(20) 상면에 UV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필름히터(20)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름히터(20)는 상기 슬랫(10)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히터(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도부(21)와 상기 전도부(21) 사이에 열선(24)이 배치된 후 상기 카본(22)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선(24) 대신에 카본(22)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필름히터(20)는 상기 전도부(21)와, 상기 전도부(21) 사이에서 열선 역할을 하도록 배치된 카본(22) 및 상기 카본(22) 상면에 배치된 후 상기 카본(22)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히터(20)에 배치된 전도부(21)에는 온도조절장치(4)의 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전도부(21)에 공급된 전원은 도체인 카본(22)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상기 카본(22)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상기 슬랫(10)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의 (c) 및 도 3의 (d)는 상기 카본(22)이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카본(22)을 배치하여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도 3의 (c) 및 도 3의 (d)와 같이 카본(22)으로 이루어진 열전달선이 여러 가닥 배치되는 경우에는 카본(22)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부분에 의하여 슬랫(10)의 온도 조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d)와 같이 격자형으로 카본(22)을 배치하게 되면 슬랫(10) 전체에 고르게 열을 전달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다.
이상에서는 필름히터(20)와 이를 부착한 루버(1)의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필름히터(20)는 슬랫(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발열장치의 일례로서, 상기 슬랫(10)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필름히터(20) 이외에도 열선히터, 진공히터 등의 다양한 발열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필름히터가 부착된 루버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1a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필름히터가 부착된 루버의 슬랫과 필름히터의 부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필름히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루버 2 루버틀 3 온도감지센서
4 온도조절장치 10 슬랫
20 필름히터 21 전도부 22 카본
23 필름 30 단열재

Claims (6)

  1. 루버틀(2) 내에 설치된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루버(1)로서,
    상기 슬랫(1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판상의 발열장치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발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필름히터(20)로 구성되는데,
    상기 필름히터(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도부(21)과,
    상기 전도부(21)에 연결되어 열선 역할을 하도록 증착·배치된 카본(22)과,
    상기 카본(22) 위에 배치된 후 상기 카본(22)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4)에 의하여 상기 전도부(2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카본(22)에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슬랫(10)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의 노출된 상면은 단열재(30)가 부착되거나 보온 코팅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1)에는 온도감지센서(3) 또는 강설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온도조절장치(4)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발열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5. 온도 조절이 필요한 부재에 부착되는 판상의 필름히터(20)로서,
    상기 필름히터(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전도부(21)와,
    상기 전도부(21)에 연결되어 열선 역할을 하도록 증착·배치된 카본(22)과,
    상기 카본(22) 위에 배치된 후 상기 카본(22)과 함께 열압착되는 필름(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도부(21)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카본(22)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히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22)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히터.
KR2020070017771U 2007-11-02 2007-11-02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KR200900043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71U KR20090004305U (ko) 2007-11-02 2007-11-02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71U KR20090004305U (ko) 2007-11-02 2007-11-02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05U true KR20090004305U (ko) 2009-05-08

Family

ID=4129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71U KR20090004305U (ko) 2007-11-02 2007-11-02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30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6438A1 (en) * 2012-06-13 2013-12-19 Halton Marine Oy Arrangement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air intake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50012789A (ko) * 2013-07-26 2015-02-04 (주)삼선씨에스에이 무결로 기능성 도어
FR3016604A1 (fr) * 2014-01-21 2015-07-24 Dcns Ventelle d'aeration et engin naval associ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6438A1 (en) * 2012-06-13 2013-12-19 Halton Marine Oy Arrangement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air intake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50012789A (ko) * 2013-07-26 2015-02-04 (주)삼선씨에스에이 무결로 기능성 도어
FR3016604A1 (fr) * 2014-01-21 2015-07-24 Dcns Ventelle d'aeration et engin naval associe
WO2015110305A1 (fr) * 2014-01-21 2015-07-30 Dcns Ventelle d'aération et engin naval associé
AU2015208375B2 (en) * 2014-01-21 2018-09-27 Dcns Ventilation louvre and associated naval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7846A1 (en) De-iced gutter debris preclusion system
EP2574860B1 (en) Ventilation device with heating, as well as a building containing such a ventilation device.
WO2017110055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90004305U (ko) 필름히터와 이를 부착한 루버
JP201210782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30055817A (ko) 함체 내부 결로 방지장치 및 결로 방지방법
JP2008175047A (ja) 雨樋融雪装置
US6820439B1 (en) Structure cooling system
KR100819499B1 (ko) 냉난방기능을 갖는 랙
EP356865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auen eines gefrorenen getränks in einer glastrinkflasche
EP3810883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water vapor condensation on the indoor surface of composite roof windows
JP3155683U (ja) 農業用ハウスの断熱空間構造
KR200418541Y1 (ko) 건축물용 이중창의 가열장치
CN216206729U (zh) 一种室外防冻水表
CN211055143U (zh) 一种节能型电热除霜除湿防凝露的装置
RU10780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зования наледи и сосулек на карнизном свесе крыши
KR101292774B1 (ko) 결로방지용 열교환기
US20080017626A1 (en) Rotary door heater system
RU143280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отопления юрт
US20100239235A1 (en) Panel Heaters
CN204285585U (zh) 一种分离式模块化保温设备
WO20160937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on
KR100532357B1 (ko) 건축구조물 벽면결로방지용 히팅장치
KR100879161B1 (ko) 고드름 제거장치
KR101576432B1 (ko) 냉동창고 출입구의 바닥 결빙 방지기능을 갖는 슬라이딩형 방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