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266A -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266A
KR20090004266A KR1020070068345A KR20070068345A KR20090004266A KR 20090004266 A KR20090004266 A KR 20090004266A KR 1020070068345 A KR1020070068345 A KR 1020070068345A KR 20070068345 A KR20070068345 A KR 20070068345A KR 20090004266 A KR20090004266 A KR 2009000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ate information
function
input
inpu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종
김승철
조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266A/ko
Priority to US12/111,522 priority patent/US20090013093A1/en
Publication of KR2009000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67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using instruction pipe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이 탑재된 시스템에서 각 기능 모듈들이 자체적으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각 기능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프로세서의 역할을 최소화하거나 메인 프로세서 없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시스템, 온칩, 프로세서, 제어, 기능, 복수, 모듈, 상태, 동작

Description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Self-controlled Function Module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이 탑재된 시스템에서 각 기능 모듈들이 자체적으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각 기능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의 역할을 최소화하거나 제어 프로세서 없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78-02, 과제명: 저전력 그래픽처리 SoC Platform].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시스템은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 능 모듈의 유기적인 조합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 프로세서와 유사한 제어 장치를 이용한다. 이하, 제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 프로세서와 유사한 제어 장치를 통칭하여 제어 프로세서라 한다.
제어 프로세서는 각 기능 모듈들의 상태를 파악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 프로세서는 병렬적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능 모듈들의 동작 상태를 동시에 파악하여 처리할 수 없으므로, 제어 프로세서는 각 기능 모듈들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파악하여 각 기능 모듈들의 동작 상태에 맞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기 이전에 기능 처리를 완료한 기능 모듈은 제어 프로세서가 다음 처리를 지시할 때까지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가 많으면 결국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은 떨어지게 되며, 각 기능 모듈의 동작이 최소한의 대기 상태를 갖도록 할 때 시스템의 효율은 최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각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이 탑재된 시스템에서 각 기능 모듈들이 입력 데이터와 입력 파라메터 및 출력 데이터의 처리 상태를 확인하여 자신의 동작을 스스로 제어함으로써, 각 기능 모듈의 처리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은, 서로 독립적 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처리수단;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서로 연동하는 타 기능 모듈에 구비된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제2 기능 처리수단의 정보를 상기 타 기능 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와, 처리된 데이터의 저장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제1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 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기능 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능 모듈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버퍼링하기 위한 선입선출 버퍼링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과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이 서로 제어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데이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각 기능 모듈이 제어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지 않고 스스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프로세서가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비하여 신속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여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파라메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모듈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 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처리수단;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서로 연동하는 타 기능 모듈에 구비된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제2 기능 처리수단의 정보를 상기 타 기능 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와, 처리된 데이터의 저장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제1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기능 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능 모듈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버퍼링하기 위한 선입선출 버퍼링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과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이 서로 제어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데이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모듈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100)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100)에 입력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필요한 기능을 처리하는 기능 처리부(120)와, 상기 기능 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130) 및 데이터 입력부(100)와 데이터 출력 부(130)의 상태를 파악하여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100)는 일반적인 메모리와 메모리 제어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00)는 메모리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메모리의 상태 정보를 동작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데이터 출력부(130)는 일반적인 메모리와 메모리 제어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130)는 서로 연관되는 타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아 저장된 데이터를 타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출력부(130)는 메모리의 상태 정보를 동작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기능 처리부(120)는 동작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필요한 기능을 처리한다. 기능 처리부(120)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10)는 데이터 입력부(100)의 상태 정보와 데이터 출력부(130)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동작 제어부(110)는 데이터 입력부(100)에 처리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출력부(130)의 상태가 메모리 풀 상태가 아니면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능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하지만, 동작 제어부(110)는 데이터 입력부(100)에 처리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데이터 출력부(130)의 상태가 메모리 풀 상태인 경우에는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을 개시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 출력부가 일반적인 메모리로 구성되지 않고, 기능 처리부(120)의 처리 결과가 서로 연관된 타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동작 제어부(110)는 타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 및 기능 처리부의 상태 정보를 타 기능 모듈의 동작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동작 제어부는 마찬가지로 기능 처리부의 처리 결과가 타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에 저장될 수 있는 경우에 기능 처리부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능 처리부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기능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기능 모듈에 비해 파라메터 입력부(1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파라메터 입력부(140)는 기능 처리부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파라메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파라메터 입력부(140)는 일반적인 메모리와 메모리 제어 로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 처리부(120)는 입력된 파라메터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10)는 파라메터의 입력 상태를 확인하여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동작 제어부(110)는 데이터 입력부(100)와 파라메터 입력부(140)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출력부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거나, 데이터 출력이 완료된 상태인 경우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기능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한편, 동작 제어부(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 제어부(110)의 동작은 데이터 입력부(100)나 데이터 출력부(130)의 구성 형태에 따라 그 동작이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예는 전형적인 경우를 예로 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동작 제어부(110)는 초기에 리셋 상태에서 휴지(Idle) 상태로 천이된 후에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입력 상태 신호와 데이터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출력 상태 신호를 확인한다. 동작 제어부(110)는 데이터 입력상태 신호가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1'이고, 데이터 출력 상태 신호가 데이터 출력이 완료되어 데이터 저장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1'인 경우 기능 처리부(120)의 동작을 개시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동작 제어부(110)에 의해 데이터 출력부(130)가 제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작 제어부(110)는 기능 처리부(120)로부터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타 기능 모듈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출력부(130)를 구동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기능 모듈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두 기능 모듈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선입선출(FIFO) 버퍼(30)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의 기능 모듈 연결 구조의 예를 든 것이다.
임의의 자연수 i번째 기능 모듈(10)의 데이터 출력부(130)는 저장된 데이터를 FIFO 버퍼(30)로 전달하며, 상기 i번째 기능 모듈(10)과 연동하는 임의의 자연수 i+1번째 기능 모듈(20)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FIFO 버퍼(3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다시 말해,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130)는 FIFO 버퍼(30)가 가득 찬 상태가 아니면, 즉, FIFO_Full 신호가 '0'이면, 저장된 데이터를 FIFO 버퍼(30)로 출력한다. 그리고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FIFO 버퍼(30)에 데이터가 있는 상태이면, 즉, FIFO_Empty 신호가 '0'이면 FIFO 버퍼(30)로부터 데이터를 읽는다.
파라메터의 전송도 그 양이 많을 경우에는 기능 모듈 사이에 FIFO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i번째 기능 모듈과 i+1번째 기능 모듈이 상호 연동하는 경우에는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가 데이터 출력부의 기능을 수행하며,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가 데이터 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기능 모듈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두 기능 모듈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별도의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기능 모듈들이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의 모듈 연결 구조의 예를 든 것이다.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200)는 내부 동작이 완료되고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받을 준비가 되었을 때, 데이터 입력 준비 신호(Din_Ready)를 발생시켜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130)로 전달한다.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130)는 데이터를 출력할 준비가 되었을 때, 데이터 출력 준비 신호(Dout_Ready)를 발생시켜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200)로 전달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130)에서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200)로 필요한 양의 데이터(Data)가 전송되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i+1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부(200)가 데이터 입력 완료 신호(Din_OK)를 발생시켜, i번째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부(130)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파라메터의 전송도 데이터 전송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모듈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모듈을 이용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 입력부 110: 동작 제어부
120: 기능 처리부 130: 데이터 출력부

Claims (20)

  1.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능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파라메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은,
    각각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제어 로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6.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1 기능 처리수단;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서로 연동하는 타 기능 모듈에 구비된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제2 기능 처리수단의 정보를 상기 타 기능 모듈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기능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파라메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제1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제2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제1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기능 모듈.
  10.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능 모듈에서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와, 처리된 데이터의 저장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를 전달받는 제1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 모듈의 동작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출력 데이터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모듈의 동작 제어 방법.
  12.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기능 모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기능 모듈들 간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임시 버퍼링하기 위한 선입선출 버퍼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 모듈은,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파라메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 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서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기능 모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 각각은,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을 통해 전달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처리수단;
    상기 기능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각각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서로 연동하는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과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이 서로 제어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데이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 모듈의 데이터 입력수단이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 데이터 입력 준비신호를 보내고, 응답으로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부터 데이터 출력 준비신호를 받은 후,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데이터 전달이 완료되면 상기 제1 기능 모듈의 데이터 출력수단으로 데이터 전송 완료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능 모듈은,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입력받는 파라메터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와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 및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데이터가 있음을 나타내고, 상기 데이터 출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저장 공간이 있음을 나타내며, 상기 파라메터 입력수단의 상태 정보가 입력된 파라메터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동작 개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70068345A 2007-07-06 2007-07-06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04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45A KR20090004266A (ko) 2007-07-06 2007-07-06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12/111,522 US20090013093A1 (en) 2007-07-06 2008-04-29 Self-controlled functional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345A KR20090004266A (ko) 2007-07-06 2007-07-06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66A true KR20090004266A (ko) 2009-01-12

Family

ID=4022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345A KR20090004266A (ko) 2007-07-06 2007-07-06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13093A1 (ko)
KR (1) KR20090004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4261B2 (en) 2010-07-28 2013-10-08 Intel Corporation Power loading in MU-MIM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895A1 (en) * 2015-04-29 2016-11-03 Shutterfly, Inc. Image product creation based on face images grouped using image product statistic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422A (en) * 1987-04-02 1989-05-09 Stellar Computer, Inc. Control of multiple processors executing in parallel regions
US5937202A (en) * 1993-02-11 1999-08-10 3-D Computing, Inc. High-speed, parallel, processor architecture for front-end electronics, based on a single type of ASIC, and method use thereof
US5566349A (en) * 1994-05-16 1996-10-15 Trout; Ray C. Complementary concurrent cooperative multi-processing multi-tasking processing system using shared memories with a minimum of four complementary processors
US5664162A (en) * 1994-05-23 1997-09-02 Cirrus Logic, Inc. Graphics accelerator with dual memory controllers
US5768632A (en) * 1996-03-22 1998-06-16 Allen-Bradley Company, Inc. Method for operating inductrial control with control program and I/O map by transmitting function key to particular module for comparison with function code before operating
TW329487B (en) * 1996-10-29 1998-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processing data and method therefor
KR100205035B1 (ko) * 1996-11-26 1999-06-15 이계철 자기제어형 버스 조정 회로 및 그 방법
US5978871A (en) * 1997-04-14 1999-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layering cache and architectural specific functions for operation splitting
US6038651A (en) * 1998-03-23 2000-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P clusters with remote resource managers for distributing work to other clusters while reducing bus traffic to a minimum
US6023737A (en) * 1998-04-24 2000-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stage pipelined data coalescing for improved frequency operation
US6708239B1 (en) * 2000-12-08 2004-03-16 The Boeing Company Network device interface for digitally interfacing data channels to a controller via a network
US6738870B2 (en) * 2000-12-22 2004-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speed remote storage controller
EP1647894A3 (en) * 2004-10-12 2007-11-21 NEC Electronics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parallel DMA processes
FR2898706B1 (fr) * 2006-03-17 2008-06-13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de commande securise a diversification d'un systeme ferrovia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4261B2 (en) 2010-07-28 2013-10-08 Intel Corporation Power loading in MU-MIMO
US8918137B2 (en) 2010-07-28 2014-12-23 Intel Corporation Power loading in MU-MIM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3093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420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controllers
KR20120106742A (ko) 자동 및 제어가능한 시스템 동작
CN100407185C (zh) 主机设备、设备单元、通信系统和数据发送/接收方法
WO1999022307A1 (fr) Interface de donnees et systeme de communication haute vitesse utilisant cette interface
CN103597416A (zh) 可编程控制器系统
TW201631943A (zh) 通訊裝置、通訊方法以及程式產品
CN102594640B (zh) 使用发送和接收缓冲器实现的消息防丢失
CN101656658B (zh) 一种提高队列管理中出队效率的方法和装置
KR20090004266A (ko) 자체 제어 기능을 갖는 기능 모듈 및 이의 동작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03197954B (zh) 信息处理装置和控制信息处理装置的方法
KR20150039142A (ko)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제어 로직을 구비한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및 그 구동 방법
CN101661447B (zh) 一种直接存储器存取的传输装置与方法
CN105373498B (zh) 一种数据处理系统及方法
CN105637475B (zh) 并行访问方法及系统
US20140355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both bulk storage and ethernet communications
CN105393211B (zh) 具有流水线式算术逻辑单元的异步处理器的系统和方法
US96479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end-to-end hardware message passing
CN109800202A (zh) 一种基于pcie的数据传输系统、方法及装置
US907578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807888A (zh) 一种用于soc架构的数据预取系统及其方法
CN102637153B (zh) 耦合设备、处理器装置、数据处理装置、传输数据的方法
JP5230545B2 (ja) 制御装置
JP2000244987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460994B1 (ko) 직접 메모리 액세스 기능을 구비한 광대역 입출력 장치 및그 방법
JP2003228404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