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92A -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92A
KR20090004092A KR1020070068017A KR20070068017A KR20090004092A KR 20090004092 A KR20090004092 A KR 20090004092A KR 1020070068017 A KR1020070068017 A KR 1020070068017A KR 20070068017 A KR20070068017 A KR 20070068017A KR 20090004092 A KR20090004092 A KR 2009000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belt
waist bel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423B1 (ko
Inventor
김근환
Original Assignee
김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환 filed Critical 김근환
Priority to KR102007006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4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는 인체에 착용되는 허리띠 및 버클로 이루어진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의 착용 이면에 결합되는 음료 저장부; 및 상기 음료 저장부의 음료를 활동중인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부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한 본 발명은 음료공급을 위한 음료 공급부를 허리벨트에 일체화함으로써, 별도의 수납 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가 간편하며, 벨트를 이용해 허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신체착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무게중심이 허리둘레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음료, 공급, 벨트, 허리띠

Description

휴대용 음료공급벨트{Drink Supply Belt}
본 발명은 휴대용 음료공급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이나 마라톤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 손쉽게 음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허리벨트에 음료 저장부를 일체화 시킨 휴대용 음료공급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하이킹 등과 같은 야외 활동 중에 수분을 섭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휴대용 물병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병은 배낭이나 스포츠 백 등에 넣거나, 허리 벨트에 고리를 걸어 이동하게 되고, 또한 수분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활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물병을 꺼내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분을 섭취하는 종래의 경우에는 물병을 보관하기 위한 배낭이나 스포츠 백이 필요하고, 활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수분을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도중에는 수분 섭취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허리 벨트에 고리를 걸어 물통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물통이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활동 중에 들뜨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착용감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신체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활동 중에도 쉽게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공급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공급을 위한 음료 공급부를 허리벨트에 일체화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고, 신체착용감이 뛰어난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는 인체에 착용되는 허리띠 및 버클로 이루어진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의 착용 이면에 결합되는 음료 저장부; 및 상기 음료 저장부의 음료를 활동중인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료 저장부가 착탈수단을 이용해 허리띠와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클이 결합되는 허리띠의 양단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 저장부는,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 상부에 형성되는 음료 주입구; 및 상기 저장용기 하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 표면에 야광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공급부는, 음료저장부의 음료 주입구에 체결되는 캡; 및 상기 음료저장부의 음료 배출구에 공급단부가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 상부에 공급호스의 토출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캡의 내부 중앙에 음료 주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조절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조절돌기의 개방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캡 둘레에 다수의 흡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음료공급을 위한 음료 공급부를 허리벨트에 일체화함으로써, 별도의 수납 백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가 간편하며, 벨트를 이용해 허리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신체착용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무게중심이 허리둘레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공급부에 야광 표시부를 형성하고, 상기 야광 표시부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른 새벽이나 초저녁과 같이 전방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 등과 같은 위험요소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경각시켜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저장부 및 음료 공급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는 인체에 착용되는 허리띠(111) 및 버클(113)로 이루어진 허리벨트(110); 상기 허리띠(111)의 착용 이면에 결합되는 음료 저장부(120); 및 상기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를 활동중인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허리벨트(110)는 일반적으로 허리띠(111)의 재질과 버클(113)의 형상 및 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허리띠(111)는 피혁, 직물,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착용 이면에는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음료 저장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음료 저장부(120)는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용기(121); 상기 저장용기(121) 상부에 형성되는 음료 주입구(123); 및 상기 저장용기(121) 하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구(1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음료 저장부(120)는 허리띠(111)와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착탈수단(140)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140)의 실시 예로서, 도1에서는 벨크로즈 테잎을 이용한 결합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3에서는 밴드를 이용한 결합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착탈수단(140)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나사결합방식이나, 걸림돌기를 이용한 결합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음료 저장부(129)는 허리띠(111)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한 후, 각각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이때의 접합방법으로는 제봉에 의한 접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저장용기(121)는 음료를 충진한 상태에서의 방수가 이루어져야 하고, 벨트를 착용할 때 자유롭게 변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수성 및 변형성이 동시에 만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합성수지재 및 방수천 등을 이용해 저장용기(121)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재로는 PP(폴리프로필렌) 및 PC(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121) 표면에 야광 표시부(127)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야광 표시부(127)는 야광도료를 이용하거나 야광 시트 등을 이용해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야광 표시부(127)를 형성할 경우, 이른 새벽이나 초저녁과 같이 전방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과 같은 위험요소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21)의 좌우 측단에는 세척 솔이 삽입되도록 하는 세척 용 홀(129)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처럼 세척용 홀(129)를 이용해 저장용기(121)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게 되면, 저장용기(121)의 사용수명이 연장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위생관리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료 저장부(120)가 형성되는 허리띠(111)의 좌우측 양단부에 도1에서와 같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115)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수납주머니(115)는 자주 사용하는 신용카드나 현금 등을 보관하거나, MP3 또는 휴대 단말기 등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리띠(111)와 버클(113) 사이를 탄성밴드(117)로 형성함으로써, 벨트(110)를 신축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돕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음료 주입구(123)의 위치는 저장용기(121) 상부의 좌우 어느 일측단부 쪽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음료 배출구(125)는 저장용기(121) 하부의 중앙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상태에서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음료 주입구(123)와 음료 배출구(125)가 각각 사용자의 앞 뒤 중심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음료 주입구(123)와 음료 배출구(125)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게 될 공급호스(137)를 음료 주입구(123)와 음료 배출구(125)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동선을 짧게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앞 뒤 중심을 엇갈려 메는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음료 공급부(130)는,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 주입구(123)에 체결되는 캡(131); 및 상기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 배출구(125)에 공급단부가 연결되는 공급호스(13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캡(131) 상부에는 공급호스(137)의 토출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돌기(135)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135)에 결합되는 공급호스(137)의 토출단부를 확관부(137a)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131)의 내부 중앙에 도 2에서와 같이 음료 주입구(123)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조절돌기(13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조절돌기(134)의 개방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캡(131) 둘레에 다수의 흡기공(1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캡(131)을 이용하게 되면, 음료공급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하 첨부된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음료공급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공급호스(137)의 토출단부를 캡(131)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캡(131)은 내부 중앙에 형성된 공급조절돌기(134)를 이용해 음료 주입구(123)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공급호 스(137)의 토출단부를 통해 음료를 흡입하더라도, 자연스러운 흡입이 어렵게 된다.
이는, 저장용기(121) 내의 음료가 빠져나간 자리에 진공압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상기 진공압은 흡입력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캡(131)를 회전시켜 음료 주입구(123)의 공급조절돌기(134)를 개방시키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흡기공(132)을 통해 저장용기(121) 내로 공급되어 진공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조절돌기(134)의 개방 양을 조절하여 흡입공기 양을 조절시켜 토출되는 음료의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충분한 음료를 섭취한 후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캡(131)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급조절돌기(134)가 음료 주입구(123)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음료 주입구(123)가 폐쇄됨으로써, 음료의 토출이 차단되고, 사용자는 공급호스(137)의 토출단부를 캡(131)의 고정돌기(135)에 결합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저장용기(121)를 수축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흡입력만을 이용해 저장용기(121)의 체적을 수축시켜 음료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 저장용기(121)를 적정한 형상 유지가 가능한 정도의 변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사상을 유지한 채 다양한 변형 또는 인접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료공급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저장부 및 음료 공급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음료공급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벨트 111: 허리띠
113: 버클 115: 수납주머니
117: 탄성밴드 120: 음료 저장부
121: 저장용기 123: 음료 주입구
125: 음료 배출구 127: 야광 표시부
129: 세척홀부 130: 음료 공급부
131: 캡 132: 흡기공
134: 공급조절돌기 135: 고정돌기
137: 공급호스 137a: 확관부
140: 착탈수단

Claims (9)

  1. 인체에 착용되는 허리띠(111) 및 버클(113)로 이루어진 허리벨트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111)의 착용 이면에 결합되는 음료 저장부(120); 및
    상기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를 활동 중인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음료 공급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저장부(120)가 착탈수단(140)을 이용해 허리띠(111)와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113)이 결합되는 허리띠(111)의 양단부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주머니(1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저장부(120)는,
    음료를 저장하는 저장용기(121);
    상기 저장용기(121) 상부에 형성되는 음료 주입구(123); 및
    상기 저장용기(121) 하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구(12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21)에 세척 솔이 삽입되기 위한 세척용 홀(12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121) 표면에 야광 표시부(12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부(130)는,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 주입구(123)에 체결되는 캡(131); 및
    상기 음료 저장부(120)의 음료 배출구(125)에 공급단부가 연결되는 공급호스(13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131) 상부에 공급호스(137)의 토출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돌기(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131)의 내부 중앙에 음료 주입구(123)를 개폐시키기 위한 공급조절돌기(134)를 형성하고, 상기 공급조절돌기(134)의 개방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캡(131) 둘레에 다수의 흡기공(1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료공급 허리벨트.
KR1020070068017A 2007-07-06 2007-07-06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KR10088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17A KR100880423B1 (ko) 2007-07-06 2007-07-06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17A KR100880423B1 (ko) 2007-07-06 2007-07-06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92A true KR20090004092A (ko) 2009-01-12
KR100880423B1 KR100880423B1 (ko) 2009-01-29

Family

ID=4048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17A KR100880423B1 (ko) 2007-07-06 2007-07-06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90B1 (ko) * 2010-04-05 2012-01-05 정광배 차량용 휠 커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9130A (en) * 1978-03-06 1979-02-13 Glusker Peter D Canteen bel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90B1 (ko) * 2010-04-05 2012-01-05 정광배 차량용 휠 커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423B1 (ko)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672B2 (en) Portable hydration system with resupply system
US8002157B2 (en) Bottle and waist pack
US6971562B2 (en) Bottle/pack
US6325262B1 (en) Backpack with ram air channel
US20060097019A1 (en) Water belt
US8757463B2 (en) Running bag with a convex back panel
US20060207900A1 (en) Bag for carrying a sports ball and other items
US9392862B1 (en) Bottle and clip attachable to a waistband
US20120111876A1 (en) Personal hydration system
GB2443622A (en) Personal hydration system with internal partitions
EP1433393A1 (fr) Brassière pour sportive
KR100880423B1 (ko) 휴대용 음료공급벨트
AU2013230878B2 (en) Adaptable container on a belt and belt comprising such a container
US11278103B2 (en) Body-carried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system
US11388976B2 (en) Backpack with a horizontal hydration reservoir
KR101237048B1 (ko) 배낭
CN211298761U (zh) 一种野外生存用旅行背包
CN219593974U (zh) 一种可拆换内胆的背包
JP7330509B2 (ja) 冷却衣服用水収納装置と、それを用いた冷却衣服
CN107912857A (zh) 一种两面可背的背包
CN2741413Y (zh) 一种组合包
CN212488952U (zh) 一种可调节的背包
KR20070116300A (ko) 체온조절장치
CN214963245U (zh) 一种具备消毒功能的母婴背包
CN220898176U (zh) 一种背包肩带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