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061U - 조립식 수로관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061U
KR20090004061U KR2020070017410U KR20070017410U KR20090004061U KR 20090004061 U KR20090004061 U KR 20090004061U KR 2020070017410 U KR2020070017410 U KR 2020070017410U KR 20070017410 U KR20070017410 U KR 20070017410U KR 20090004061 U KR20090004061 U KR 200900040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pipe
longitudinal direction
wall surface
prefabric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577Y1 (ko
Inventor
한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은산업
Priority to KR2020070017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7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벽면체 및 이를 수용하는 바닥면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수로관이 제공된다. 벽면체는 벽면체의 외측면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삽입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바닥면체는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에 삽입돌출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돌출부는 벽면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체로부터 뻗어있는 길이방향 벽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벽은, 삽입돌출부가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어 있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수로관, 식재부, 조립식

Description

조립식 수로관 {A PREFABRICATED CHANNEL}
본 고안은 조립식 수로관, 특히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조립식으로 축조할 수 있는 조립식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공 수로관의 경우에는 U자 형상 단명을 가지는 단위체를 복수 배열하여 수로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각 단위체의 부피는 매우 크기 때문에, 수로관의 운반이 어렵고 시공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인공 수로관은 시공 후 각각의 단위체가 토사의 침하 등에 견디지 못하고 비틀거리거나 침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이음부재가 필요하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 및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에 발맞춤과 동시에 종래 수로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여, 수로관을 바닥면체 및 한 쌍의 벽면체로 구성하여 벽면체와 바닥면체를 보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방식의 조립식 수로관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수로관은 수로관 그 자체 이외에 바닥면체 및 벽면체 사이를 결합하기 위한 보 등의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어 있는 조립식 수로관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비용적인 면에서도 불리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이 없이 벽면체와 바닥면체를 단순히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규격대로 수로관을 축조할 수 있으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좌우 한 쌍의 벽면체 및 이를 수용하는 바닥면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수로관이 제공된다. 벽면체는 벽면체의 외측면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삽입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바닥면체는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에 삽입돌출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돌출부는 벽면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삽입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는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체로부터 뻗어있는 길이방향 벽을 포함하고, 길이방향 벽은, 삽입돌출부가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어 있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체는 벽면체의 내측면에 식재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바닥면체는 바닥면체의 바닥부에 바닥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단순히 벽면체 및 바닥면체를 조립하는 것만으로 견고한 수로관을 축조할 수 있으며, 단순히 끼움식으로 조립하는 것이므로 수리 및 보수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수로관의 구성에 따르면,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벽면체 및 바닥면체가 서로 조립될 때 콘크리트 표면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수로관은 식재부 및 식생용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미생물, 이끼 등을 포함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조립식 수로관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수로관에 의하면, 종래 규격 이외에도 1200×1000mm 내지 4000×3000mm 등의 규격까지 원하는 대로 용이하게 대형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1)을 나타낸다. 조립식 수로관(1)은 수로관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체(20) 및 수로관의 벽을 형성하는 한 쌍의 벽면체(10)를 포함한다.
도 2은, 조립식 수로관(1)의 외측에서 바라보는 방향으로, 벽면체(10)를 도시하고 있다. 벽면체(10)는 외측면, 즉 도 1에서 보이는 면의 하부에 돌출되어 있는 삽입돌출부(11)를 포함한다. 삽입돌출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면체(2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삽입돌 출부(11)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출부(1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삽입돌출부(11)는 삽입돌출부(11)의 일 측면으로부터 벽면체(10)의 길이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돌출하여 있는 삽입고정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고정부(12)는 벽면체(1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고정부(12)의 구성에 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돌출부(11)가 삽입부(21)의 길이방향 벽(22)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24)에 삽입되었을 때, 길이방향 벽(22)이 벽면체(10)의 외측면과 삽입고정부(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벽면체(10)가 바닥면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다수의 조립식 수로관(1)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때 벽면체(1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벽면체(1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벽면체 맞물림부(13 및 1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벽면체 맞물림부(13 및 13')는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단차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벽면체(10)는 내측면, 즉 도 1에서 보이는 면의 반대편 면에 식재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식재부(15)는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 등으로 이루어지며, 각종 미생물 및 이끼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식재부(1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틸파이프(511)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스틸파이프(511)는 일단부에 수나사부(511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는 스틸파이프(511)를 체결하는 경우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식재부(15)를 효과적으로 체결하게 하는 날개(511b)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511b)는 파이프의 끝단을 길이방향을 일정 깊이까지 절개한 다음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외력을 가해서 상기 절개된 부분이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접히게 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스틸파이프(511)의 수나사부(511a)를 수용할 수 있는 암나사부를 가진 스틸파이프소켓(512)이 벽면체(10)의 배면에 구비된 관통공에 장착된다. 벽면체(10)의 내측면에 식재부(15)를 부착한 후, 상기 스틸파이프의 수나사부(511a)를 상기 스틸파이프소켓의 암나사부(512)에 체결함으로써 식재부(15)와 벽면체(10)가 결합된다. 스틸파이프(511)의 특징은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어서 식재부(15)에 생물 등이 서식하는데 필요한 수분이 조립식 수로관(1)이 매립되어 있는 수로관(1) 외부의 토양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스틸파이프(511)의 내부는 식재부(15) 및 벽면체(10)를 지나서 토양까지 관통하고 있으므로, 빗물 등이 토양 내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식재부(15)까지 물이 흘러갈 수 있고 따라서 식재부(15)의 생물 등에 수분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분공급수단이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틸파이프(511)라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는 바닥면체(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바닥면체(20)는 벽면체(10)의 삽입돌출부(11) 및 삽입고정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바닥면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1)는 바닥면체(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는 길이방향 리브(27), 길이방향 벽(22), 및 길이방향 리브(27)와 길이방향 벽(22)에 의해 구획되는 길이방향 바닥부(26)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벽(22)은 상부에 삽입되는 벽면 체(10)의 삽입돌출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용부(23, 25) 및/또는 안착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안착부(24)는 수용부(23)의 하부에서 측방향(바닥면체(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벽면체(10)가 바닥면체(20)의 양 측부에 삽입될 때, 벽면체(10)의 하단부는 길이방향 바닥부(26)에 삽입되면서 벽면체(10)의 삽입돌출부(11)가 수용부(23, 25)로 삽입되고, 수용부(23)에 삽입한 후에는 벽면체(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삽입돌출부(11)가 안착부(24)로 밀려 들어가게 하여 벽면체(10)를 바닥면체(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삽입돌출부(11)가 안착부(24)에 삽입되었을 때, 길이방향 벽(22)이 벽면체(10)의 외측면과 삽입고정부(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벽면체(10)가 바닥면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삽입돌출부(11), 삽입고정부(12), 수용부(23) 및 안착부(24) 등의 구성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수로관의 결합시에 콘크리트 표면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수로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닥면체(20)는, 다수의 조립식 수로관(1)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때 바닥면체(2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바닥면체(2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바닥면체 맞물림부(29 및 2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체 맞물림부(29 및 29')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홈(29) 및 돌출부(29')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체(20)는 바닥부에 낮게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오목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식생용 오목부(28)는 수로관을 흐르는 물이 고여 있도록 하여 각종 생물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식생용 모 목부(28) 및 식재부(15)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생물 등이 서식하는 데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을 구성하는 벽면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을 구성하는 바닥면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수로관에 식생부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식생부를 부착된 벽면체의 전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7)

  1. 좌우 한 쌍의 벽면체 및 이를 수용하는 바닥면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벽면체는 상기 벽면체의 외측면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삽입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닥면체는 상기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에 상기 삽입돌출부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출부는, 상기 벽면체의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삽입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뻗어있는 삽입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바닥면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면체로부터 뻗어있는 길이방향 벽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벽은, 상기 삽입돌출부가 위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상향 개방되어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 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체는 상기 벽면체의 내측면에 식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체는, 상기 바닥면체의 바닥부에 상기 바닥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식생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체는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벽면체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체는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바닥면체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로관.
KR2020070017410U 2007-10-26 2007-10-26 조립식 수로관 KR200446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10U KR200446577Y1 (ko) 2007-10-26 2007-10-26 조립식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410U KR200446577Y1 (ko) 2007-10-26 2007-10-26 조립식 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061U true KR20090004061U (ko) 2009-04-30
KR200446577Y1 KR200446577Y1 (ko) 2009-11-11

Family

ID=4128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410U KR200446577Y1 (ko) 2007-10-26 2007-10-26 조립식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09B1 (ko) * 2012-06-19 2014-07-31 이성재 생태 이동로
CN109826162A (zh) * 2019-04-10 2019-05-31 吉林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田间预制渠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824B1 (ko) 2011-02-07 2013-03-18 이월자 회전기능과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힌지수로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751B1 (ko) * 2005-08-17 2006-11-27 주식회사 하은산업 조립식 수로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09B1 (ko) * 2012-06-19 2014-07-31 이성재 생태 이동로
CN109826162A (zh) * 2019-04-10 2019-05-31 吉林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田间预制渠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577Y1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577Y1 (ko) 조립식 수로관
US8702346B2 (en) Landscaping channel liner
KR100645294B1 (ko) 사면용 축조블록
KR20090118477A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클램프
AU2013211506B2 (en) Weep hole insert and handle
KR200408872Y1 (ko) 조립식 개거 수로관
CN210342180U (zh) 一种排水沟及其排水沟组件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JP2006214225A (ja) 圃場用簡易水門
KR20060023944A (ko) 콘크리트 수로관
KR20110002577A (ko) 대나무 식생 블록 구조물
KR200444810Y1 (ko) 식재부를 구비한 콘크리트 수로관
KR200361706Y1 (ko) 식생용 호안 블록
KR19980032125U (ko) 조립식 암거
KR102268580B1 (ko) 플레이트 체결형 조립식 pc암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KR102473812B1 (ko) 조립식 pc암거
KR100514501B1 (ko) 친환경 하천 조립식 식생블록 설치구조
KR101736029B1 (ko)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KR200381931Y1 (ko) 배수로 구조물
KR200401271Y1 (ko) 인공 수초를 부착한 콘크리트 수로관
KR200172987Y1 (ko) 농업용 분무호스의 밀봉고정구
KR20070047137A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390455Y1 (ko) 친환경 콘크리트 폴륨관
JP2005073587A (ja) 緑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