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598U - 회전 컵 - Google Patents

회전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598U
KR20090003598U KR2020070016624U KR20070016624U KR20090003598U KR 20090003598 U KR20090003598 U KR 20090003598U KR 2020070016624 U KR2020070016624 U KR 2020070016624U KR 20070016624 U KR20070016624 U KR 20070016624U KR 20090003598 U KR20090003598 U KR 20090003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up
container
inner contain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영
원동훈
박상용
Original Assignee
김사영
원동훈
박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영, 원동훈, 박상용 filed Critical 김사영
Priority to KR2020070016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598U/ko
Publication of KR20090003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5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33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81/3238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에 담긴 혼합 물질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침전물이 발생할 시에 고르게 혼합시켜 주는 장치가 내장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컵에 전기에 의한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조작 수단 및 구동 수단을 장착하여 컵의 내부를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컵에 담긴 물질들의 혼합시에 스푼과 같은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회전 컵에 관한 것이다.
컵, 회전 컵, 기어, 음료 혼합

Description

회전 컵{MIXING CUP}
본 고안은 컵에 담긴 혼합물질이 일정 시간 경과 후, 침전물이 발생할 시에 고르게 혼합시켜 주는 장치가 내장된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컵에 전기에 의한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조작 수단 및 구동 수단을 장착하여 컵의 내부를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컵에 담긴 물질들의 혼합시에 스푼과 같은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회전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라 함은 물이나 음료 따위를 마시기 위해 담는 그릇을 통틀어 일컬으며, 보통 액체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고 내부가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컵은 사용 중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컵 속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뚜껑을 포함하기도 하며, 컵의 사용시 들었다 놓는 행동이 반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위하여 손잡이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주로 뜨거운 음료를 담는 용도의 머그컵 등에는 손잡이를 필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컵은 상기한 것과 같이 뚜껑이나 손잡이를 포함하여 음료를 담아 마시기에 편리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컵에 담긴 음료에 대한 보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능을 갖추기도 한다.
그러나, 커피와 같이 물에 분말 재료를 혼합하여 마시는 음료의 경우, 컵에 담긴 상태에서 충분히 섞이도록 하기 위해서 스푼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므로, 등산을 하는 경우와 같이 야외에서 혼합 음료를 제조하여 마시는 경우, 별도의 스푼을 챙기는 일은 번거롭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컵에 담긴 음료가 과일즙과 같이 착즙한 음료 또는 혼합물인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맛있는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수시로 스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저어 줌으로서 충분히 섞일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메티로비즈에 의해 2004년 7월 12일에 출원되어 2004년 10월 15일에 등록된 바 있는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04- 0019763호(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65799호)를 살펴보면, 회전 혼합날개를 갖는 머그컵에 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스푼 없이도 용기 내부에 담긴 음료의 고른 혼합이 가능한 머그컵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하부에 배터리와 같이 연결된 구동 모터를 내장하고, 그 배터리의 전원을 단락시키는 스위치를 본체에 부설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 수밀 결합되는 용기의 안쪽 저면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된 회전날개를 위치시킨 후, 용기 내부에 충전된 각종 침전 음료의 음용시 그 손잡이에 형성된 스위치를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회전날개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음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머그컵에 설치되는 배터리 및 구동 모터 등의 전기적 장치에 의하여 가격의 상승은 물론, 머그컵의 무게가 무거워 지므로 사용 및 운반시 불편할 뿐더러, 회전 날개가 용기의 안쪽 저면부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컵의 물 세척시 번거로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동 모터의 작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건전지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건전지의 방전에 따른 빈번한 건전지 교체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오랜 사용 시에 용기 안쪽의 저면부와 구동 모터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유격으로 인하여 용기 내부에 충전된 용액의 누수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푼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컵 내부에 충전된 용액을 손쉽게 혼합가능한 회전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컵 내부에 충전된 용액의 혼합을 위해 사용되는 구동 수단인 전기모터 대신에, 전기를 필요로 하지않는 구동 수단으로 대체함으로써 건전지 사용의 불필요하여 경제적인 한편, 오랜 사용에도 망가짐이 없는 내구성을 지닌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회전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컵보다 무겁지 않아 운반 및 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며 번거롭지 않게 물 세척가능한 사용이 편리한 회전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컵 내부에 담긴 물질을 고르게 혼합시켜 주는 회전 컵으로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 일측으로 형성되며 조작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상기 용기부 상측으로 포개어 지듯이 결합되고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내부 용기, 상기 조작 수단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연결되어 내부 용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 동력을 전달하고 가속하는 구동 수단,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내부 용기 자체가 회 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을 제공한다.
상기 조작 수단으로, 상기 손잡이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외부의 힘을 받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 하측으로 설치되고, 푸시버튼을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 및, 푸시버튼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력을 상기 구동 수단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동 수단이 입력 회전수보다 출력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내부 용기의 안쪽 측면으로는 일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 및, 상기 외부 용기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을 제공한다.
하술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회전 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통 스푼 등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도서관, 회사 사무실 및 야외에서도 손쉽게 혼합 음료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적 장치의 사용 없이 기어 및 푸시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작동되는 구성으로 경제적으로 저렴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내부 용기의 안쪽에 설치된 돌기에 의하여 용기 내부에 충전된 음료의 침전물 발생시 손쉽게 재혼합 가능함으로써 잘 혼합된 음료를 상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 컵의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 틈으로 물이 들어 가게 되는 경우, 들어간 물이 쉽게 새어 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용이하게 물세척 가능하며, 회전 컵 내부로 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안전한 효과가 있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여러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1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은 외부 용기(110)와 내부 용 기(120)의 2중 구조로 구성되며, 내부 용기(120)는 외부 용기(110) 내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이때, 외부 용기(110)의 일측으로는, 푸시(push)버튼(130)이 설치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손잡이(11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110) 내에 결합되는 내부 용기(120)는 손잡이(114)에 설치된 푸시버튼(130)을 조작함에 따라 구동 수단을 작동시켜 외부 용기(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내부 용기(120), 구동 수단 및 외부 용기(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술하는 방법에 따른다.
도 1b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의 외부 용기(110)와, 조작 수단 및 구동 수단이 연결된 내부 용기(120)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외부 용기(110)는 내부 용기(120)와 결합되는 용기부(112) 및 용기부(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12)의 형태는 내부 용기(120)가 용기부(112)의 내부로 포개어지는 형태로 결합 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이 이루어진 후 용기부(112)의 안측면과 내부 용기(120)의 외측면 사이는 내부 용기(120)의 회전시 마찰의 발생 방지를 위한 정도의 틈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용기부(112)의 폭은 내부 용기(120)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14)의 상측으로는 내부 용기(120)의 회전을 조절하는 조작 수단인 푸시버튼(13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손잡이(114)의 내부는 푸시버튼(130) 하측으로 연결되는 연결대(136)가 손잡이(114)의 내측 중심부를 따라 관통 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회전 컵(100)의 손잡이(114)는 회전 컵(100)의 디자인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그 일실시예로써 'ㄷ'자 형태를 갖으며 용기부(112)의 상단과 하단에 걸쳐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하술 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c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부 용기(120)는 외부 용기(110)의 용기부(112)와 밀착 결합 되고 음료 등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제작되며, 내부 용기(12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 수단 및 조작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용기(1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구동 수단은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어조립체(140)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 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은, 푸시버튼(130), 외부의 힘에 의해 하강한 푸시버튼(130)을 상승시키기 위한 스프링(134) 및 푸시버튼(130)과 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대(136)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내부 단면도로서, 회전 컵(100)은 회전 컵(100) 내부에 담기는 혼합 용액을 간편하게 섞을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한다.
도 2a에 따르면, 외부 용기(110)에 내부 용기(120)가 설치되어 결합을 형성 한 회전 컵(100)은, 내부 용기(120)의 바닥면에 설치된 회전축 기어(122)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을 내장하게 되며,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된 연결대(136)는 외부 용기(112)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14)의 내측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관통로 및 제2 관통로를 관통하여 손잡이(114)의 상측에 설치된 푸시버튼(130)과 연결된다.
상기 구동 수단으로는 여러 종류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 조립체(140)가 포함 될수 있으며, 본 고안의 기어 조립체(140)를 구성하는 기어의 종류 및 작동에 대해서는 하술 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대(136)가 관통할 수 있도록 손잡이(114)의 내측 중심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갖으며, 손잡이(114)의 하측 부분은 연결대(136)가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지름을 갖는 제1 관통로(138a)가 형성되고, 손잡이의 상측 부분은 푸시버튼(130)과 연결된 연결대(136)의 겉면으로 스프링(134)이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대(136)가 관통하는 관통로 보다 지름이 조금 더 확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 관통로(138b)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34)이 설치되는 제2 관통로(138b)의 길이는 스프링(134)이 반발력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구속시킬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스프링(134)의 높이보다 짧고, 외력에 의해 최대한 축소한 스프링(134)의 높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프링(134)은 푸시버튼(130)이 외부의 힘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에 압축된 후,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다시 스스로 상승하여 푸시버튼(130)을 원위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푸시버튼(130)이 스프링(134)에 의하여 원위치 되는 경우, 푸시버튼(130)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푸시버튼(130) 상측으로 걸림 돌기(132)를 형성하고 손잡이(114)의 상측 연장부에 걸림 돌기(132)가 걸리도록 걸림부(212)를 설치하여 높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대(136)는 푸시버튼(130)과 평기어(142) 사이에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대(136)의 단부에 평기어(142)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연결대(136)는 제1 관통로(138a)의 하측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이동하면서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잘 구부러지지만 인장이나 압축에 강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회전 컵(100)을 작동시키기 위해 기어 조립체(140)가 사용된다. 회전 컵(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어 조립체(140)는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면 연결대(136)에 의하여 힘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힘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가속시킨 후, 가속된 회전력을 내부 용기(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또는 도3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 내부에 기어 조립체(140)가 장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3a는 푸시버튼(130)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의 기어 조립체(140) 상태를, 도 3b는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는 경우의 기어 조립체(140)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a 또는 도3b에 의하면, 기어 조립체(140)는 평기어(142), 가속 기어(144), 연결 기어(146) 및 회전축 기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평기어(142)는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정한 길이를 갖는 육면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 톱니(미도시됨)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가속 기어(144)는 제1 가속 기어(144a) 및, 제1 가속 기어(144a) 상부로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제2 가속 기어(144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가속 기어(144a,144b)는 둘레에 톱니(미도시됨)가 형성된 원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2 가속 기어(144b)는 제1 가속 기어(144a)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기어(146)는 제1 연결 기어(146a) 및, 제1 연결 기어(146a) 상부로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 기어(146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연결 기어(146a, 146b) 역시 둘레에 톱니(미도시됨)가 형성된 원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2 연결 기어(146b)는 제1 연결 기어(146a)보다 조금 더 큰 지름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축 기어(122) 역시 둘레에 톱니(미도시됨)가 형성된 원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기어 구조체(140)의 동작은 하술하는 방법에 따른다.
먼저, 연결대(136)와 직접 접촉 또는 일체로 결합되어 연결대(136)로 부터 힘을 받게 되는 기어는 평기어(142)로서 가속 기어(144)와의 접촉되는 면이 톱니의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평기어(142)는 가속 기어(144)의 제1 가속 기어(144a)부분과 접촉을 이루어 연결대(136)로 부터 받은 힘을 가속 기어(142)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평기어(142)와 가속 기어(144)의 기어비는 1:3 정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비의 차이에 의하여 평기어(142)는 가속 기어(144)에게 많은 회전력을 전달해줄 수 있게 된다.
가속 기어(144)의 제1 가속 기어(144a)와 제2 가속 기어(144b)는 평기어(142) 및, 연결 기어(146)의 제1 연결 기어(146a)와 각각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때, 가속 기어(144)의 중심축은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푸시버튼(130)의 조작에 따라 소정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푸시버튼(130)의 조작시 제 2 가속 기어(144b)와 제 1 연결 기어(146a)의 접촉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푸시버튼(130)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가속 기어(144a)가 평기어(142)의 일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 톱니와 접촉을 이루는 한편, 제2 가속 기어(144b)는 제 1 연결 기어(146a)와의 접촉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되지만(도 3a),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는 경우에는, 평기어(142)가 회전 컵(100) 안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평기어(142)에 접촉되어 있는 제 1 가속 기어(144a)는 평기어(142)를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 2 가속 기어(144b)와 제 1 연결 기어(146a)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도 3b).
그리고 눌려진 상태였던 푸시버튼(130)이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는 경우에는 제 1 가속 기어(144a)는 평기어(142)를 따라 함께 이동하여 원위치 됨으로써, 제 2 가속 기어(144b)와 제 1 연결 기어(146a)의 접촉이 분리되어(도 3a), 내부 용기(120)의 역회전을 방지하고 내부 용기(120)가 항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가속 기어(144)와 연결 기어(146)가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는 상태에서만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은, 내부 용기(120)가 항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푸시버튼(130)이 원위치 되는 동안 역회전을 하게 되는 가속 기어의 회전력과, 관성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는 중심축 기어에 회전력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게 되어 기어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가속 기어(144)와 연결 기어(146)의 기어비는 1:1.2 정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속 기어(144)는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는 경우에만 연결 기어(14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기어(146)의 제1 연결 기어(146a)는 푸시버튼(130)이 눌러지는 경우에 가속 기어(144)와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연결 기어(146)의 제2 연결 기어(146b)는 회전축 기어(122)와 항시 접촉을 이루고 있도록 설치된다. 연결 기어(146)는 제2 가속 기어(144b)와 접촉을 이루게 된 후에 전달받은 회전력을 다시 내부 용기(120)의 바닥면에 부착된 회전축 기어(12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용기(120)의 바닥면에 부착된 회전축 기어(122)는 내부 용기(120) 바닥면의 중앙에 설치되며, 중심으로 회전축(124)이 형성되는데, 여기서 회전축(124)은 본체(110)에 형성된 하부 고정체(210)와 연결되어 본체(110)와 내부 용기(120)의 연결 및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컵(100)의 크기가 크게 제작되는 경우에는 볼트로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가 형성된 회전 컵의 평면도로서, 도 4에 의하 면, 내부 용기(120)의 안쪽으로는 다수개의 돌기(214)가 설치되어 있다.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돌기(214)는 내부 용기(120)의 안쪽 측면 둘레로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 컵(100)을 상측에서 내려다보는 경우 별 모양과 흡사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올록볼록하게 하여 회전 시 내부의 용액이 잘 섞이게 해주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용기(112)의 저면은 중심부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중심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오목한 가장자리에 일개 이상의 구멍(216a, 216b)을 형성하여, 설거지로 인한 물의 유입 시 물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의 작동 및 사용하는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 용기(110) 내에 장착된 내부 용기(120)의 회전 동작 및 내부 용기(120) 안쪽 측면 둘레로 형성된 돌기(214)에 의하여 회전 컵(100) 내부에 담기는 용액 및 첨가물 등은 간편하게 혼합될 수 있다.
먼저, 회전 컵(100)의 내부 용기(120)에 일정시간 경과 후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는 음료 또는, 혼합 음료를 넣는다. 이때, 혼합음료는 물과 같은 용액에 분말 재료를 용해시킨 형태일 수도 있으며, 아직 용해되지 않는 분말 재료와 용액의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 손잡이(114)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상측으로 형성된 푸시버튼(130)을 수차례 눌러준다. 푸시버튼(130)이 눌러질 때마다 푸시버튼(130)의 하측으로 연결된 연결대(136)의 상부 역시 수직으로 이동을 하게 되며, 연결대(136)의 하부측은 제1 관통로(138a)의 굽어진 부분을 지나면서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바꾸게 된다. 이때, 평기어(142) 역시 연결대(136)의 하측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대 하부측의 수평운동을 전달받아 수평운동 하게 된다.
즉, 평기어(142)는 푸시버튼(130)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회전 컵(100)의 안측으로 이동하며, 푸시버튼(130)이 원위치 되는 경우에는 평기어(142) 역시 원위치 하기 위하여 회전 컵(100)의 바깥측으로 이동한다.
평기어(142)의 톱니 부분은 제1 가속 기어(144a) 둘레로 형성된 톱니 부분과 맞물려 있는 형태로 접촉되어 있고, 가속 기어(144)는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평기어(142)가 회전 컵(100)의 안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속 기어(144a) 역시 안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2 가속 기어(144b) 둘레에 형성된 톱니 부분과 제1 연결 기어(146a) 둘레로 형성된 톱니 부분이 맞물려 접촉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에 의한 제2 가속 기어(114b)와 제1 연결 기어(146a)의 접촉 후, 제2 가속 기어(144b)는 제1 연결 기어(146a)와 톱니 부분이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되므로, 가속 기어(144)는 평기어(14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평기어(142)의 운동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 기어(146a)는 제2 가속 기어(144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연결 기어(146a)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2 연결 기어(146)는 제2 연결 기어(146b)의 둘레에 형성된 톱니 부분과 맞물려 있는 상태로 접촉된 회전축 기어(122)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 기어(122)에 의하여 내부 용기(120)가 회전을 하게 되고, 내부 용기(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용액이 움직임으로써 혼합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내부 용기(120) 안쪽 측면둘레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214)에 의하여 내부 용액의 고른 혼합을 도와준다. 본 고안은 스푼이나 섞어주는 기구가 없더라도 커피나 여러 음료를 섞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정 시간 경과 후 컵 내부에 담겨 가라앉은 침전물을 스푼 없이 용액과 재혼합할 때 더욱 유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컵(100)의 사용 후, 설거지를 할 시에 내부 용기(120)와 외부 용기(110)의 틈사이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나, 외부 용기(110) 저면이 중심부가 볼록한 형태이므로 물이 가장자리로 모이게 되고 이때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16a, 216b)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새어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물을 사용한 회전 컵(100)의 세척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내부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에 기어 조립체가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내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가 형성된 회전 컵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 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회전 컵 110 : 외부 용기
112 : 용기부 114 : 손잡이
120 : 내부 용기 122 : 회전축 기어
124 : 회전축 130 : 푸시버튼
132 : 걸림 돌기 134 : 스프링
136 : 연결대 140 : 기어 조립체
142 : 평기어 144 : 가속 기어
146 : 연결 기어 210 : 하부 고정체
212 : 걸림부 214 : 돌기
216a, 216b : 구멍

Claims (5)

  1. 컵 내부에 담긴 물질을 고르게 혼합시켜 주는 회전 컵으로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 일측으로 형성되며 조작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외부 용기,
    상기 용기부 상측으로 포개어 지듯이 결합되고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내부 용기,
    상기 조작 수단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연결되어 내부 용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외부 동력을 전달하고 가속하는 구동 수단,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회전을 조작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조작 수단의 조작에 따라 내부 용기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일측으로 설치되고 외부의 힘을 받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푸시버튼,
    상기 푸시버튼 하측으로 설치되고, 푸시버튼을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 및,
    푸시버튼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력을 상기 구동 수단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입력 회전수보다 출력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의 안쪽 측면으로는 일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컵.
KR2020070016624U 2007-10-12 2007-10-12 회전 컵 KR200900035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24U KR20090003598U (ko) 2007-10-12 2007-10-12 회전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24U KR20090003598U (ko) 2007-10-12 2007-10-12 회전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598U true KR20090003598U (ko) 2009-04-16

Family

ID=4128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624U KR20090003598U (ko) 2007-10-12 2007-10-12 회전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5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6294A (zh) * 2012-04-21 2012-08-08 王兴波 一种速溶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6294A (zh) * 2012-04-21 2012-08-08 王兴波 一种速溶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6917U (ja) 撹拌機能と撹拌速度制御機能とを有するカップ
US8469586B2 (en) Device with swivel mounting feature for processing food
CN201175203Y (zh) 多功能搅拌杯
CN110448125B (zh) 一种自摇匀的混合杯
US20150238042A1 (en) Multi-functional jug and beverage producing machine using same
RU2568794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ий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иведения рабоч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 планетарное движение
KR101490099B1 (ko) 텀블러형 블렌더
TW201336583A (zh) 按壓式攪拌容器結構
CN204600259U (zh) 一种旋转搅拌杯
CN202355167U (zh) 一种便携式慢炖锅
CN110584419A (zh) 一种双盖式自动搅拌杯
KR101449698B1 (ko) 가정용 수동식 쌀 세척장치
TWM258697U (en) Drink bottle with integrated mixing blades
CN201143153Y (zh) 电动搅拌杯
CN201870495U (zh) 手动搅拌水杯
KR20090003598U (ko) 회전 컵
EP3553216A1 (en) Manual washing machine
CN108577595B (zh) 可拆卸式搅拌机及搅拌机的抬头机构
CN108042014B (zh) 一种便于清洗的搅拌杯
CN110123165B (zh) 一种能快速降温以及快速溶解冲剂的保温杯
KR101668853B1 (ko) 요동형 믹서기
EP1808111A2 (en) Equipment for mixing substances, particularly for preparing drinks in bars/cafes and at home
CN111329315A (zh) 一种摇摆式电动醒酒器
JP2018524142A (ja) 重力による下降動を回転力に転換する飲み物撹拌装置
CN208573373U (zh) 一种搅拌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