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59A -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59A
KR20090003459A KR1020070057182A KR20070057182A KR20090003459A KR 20090003459 A KR20090003459 A KR 20090003459A KR 1020070057182 A KR1020070057182 A KR 1020070057182A KR 20070057182 A KR20070057182 A KR 20070057182A KR 20090003459 A KR20090003459 A KR 20090003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medicine
terminal device
prescription
electronic medic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김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석 filed Critical 김형석
Publication of KR20090003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원격 진료 시스템에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간 화상 통화를 통한 원격 진료를 수행한다. 이때, 원격 진료 단말 장치는 원격 진료에 따른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고, 이를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변환한 후 암호화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는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MMS를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원격 진료 서버로 전송한다. 원격 진료 서버는 환자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MMS의 총 건수로부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한다.
원격 진료, MMS, 암호화, 전자 서명, 공개키, 화상 통화

Description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MEDIC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진료 단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의 진료 예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의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암호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는 처방전 MMS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 간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 건강 기록 DB에 저장된 원격 진료 관련 정보의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버에서 원격 진료비를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통화(MoIP, Multimedia over IP) 기반의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하면서 통신 시장은 서킷 망에서 효율성이 높은 패킷 망으로 전이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과 통신 기술이 통합되는 경향에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인터넷 통신망을 활용하여 보다 저렴하고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음성 통합 서비스 즉,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이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통신 사용률이 급증함에 따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한 다양한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이 발달하면서 의료 기관에 직접 가지 않고도 인터넷 통신망과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해졌다.
정보 기술을 이용한 원격 진료는 의사와 환자간 PC 대 PC 기반의 화상 통신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원격 진료 또한 도서 지역 및 산간 오지, 교도소 등 일부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원격 진료 장비의 구입 및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며, 원격지에 있는 의사가 인터넷 망을 통해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해도 원격 진료 행위에 대한 인증을 해 줄 수 있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없어 의사의 진료 행위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의사들의 참여도가 저조해 원격 진료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격 진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단말 장치는,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및 음성 신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할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및 음성 처리부, 상기 환자의 원격 진료에 따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 그리고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암호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의 원격 진료에 따른 화상 통화를 제어하는 화상 통화 모듈부, 상기 원격 진 료에 의해 상기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복호화하는 복호 모듈부, 그리고 상기 복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버는, 복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부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로부터 상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검색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총 건수로부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하는 원격 진료비 산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 상기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에 화상 통신을 통해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의 원격 진료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화상 통신을 통한 상기 환자의 원격 진료에 따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블록은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중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복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 중 하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 미디어 게이트웨이(300) 및 원격 진료 서버(40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를 환자라 하고,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를 의사라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 및 화상 통화(MoIP, Multimedia over Internet Protocol)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내장된 초고속 무선 인터넷 단말기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고속 하향 패킷 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고속 상향 패킷 접속(HSUPA: High Speed Data Uplink Access) 방식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다른 방식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환자로부터 입력된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를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 전달하고,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에 대응하는 접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 및 접수 확인 메시지로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가 사용되고,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메시지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면, 저렴한 이용료로 신속한 원격 진료 예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 진료 관련하여 의사로부터의 답변을 신속하게 수신할 수 있다. 즉, 환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면, 문자, 음성 및 화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며,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송수신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경우 처방전을 빨리 수신할 수가 있다.
아래에서는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를 원격 진료 예약 SMS로, 접수 확인 메시지를 접수 확인 SMS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메시지를 처방전 MMS로 설명한다.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원격 진료 예약 SMS의 수신에 따라 원격 진료 예약을 접수하고, 접수 확인 SMS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환자의 증세와 질환명에 따라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고,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MMS로 변환하고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처방전 MMS을 포함한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원격 진료 서버(4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데스크 탑 컴퓨터와 같은 고정된 단말기일 수 있다. 원격 진료 관련 정보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원격 진료비 등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 진료 날짜 및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식별자(user ID) 또는 IP 주소로 부여된 XXX-XXX-XXXX의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병·의원 이름, 의사 이름, 의사 면허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원격 진료비 등급은 진료 과목 및 질환에 따라 건강 보험 공단이나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에서 인정해 준 등급이며, 원격 진료비 등급이 원격 진료 원가일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 및 원격 진료 서버(40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한다.
원격 진료 서버(40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원격 진료 관련 정보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를 식별 코드로 하여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검색하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총 건수로부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한다. 이때,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 또는 진료 과목마다 원격 진료비 등급이 다를 경우, 원격 진료 서버(400)는 원격 진료비 등급을 추가로 고려하여 원격 진료비를 산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진료 단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앙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화 송수신부(110), 키입력부(120), 제어부(130), 음성 신호 처리부(140), 카메라부(150), 화상 신호 처리부(160), 표시부(170), 메모리부(180) 및 인증 모듈부(190)를 포함한다.
통화 송수신부(110)는 수신되는 화상 통화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화상 통화 신호 및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통화 송수신부(11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수신한다.
키 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화상 통화 모듈부(132), 메시지 생성부(134) 및 복호 모듈부(13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원격 진료 관련 화상 통화 모드 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화상 통화 모듈부(132)는 통화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화상 통화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음성 소스(Audio Source)와 화상 소스(Video Source)로 분리하고, 분리된 음성 소스와 화상 소스를 각각 음성 신호 처리부(140) 및 화상 신호 처리부(160)로 전달한다. 그리고 화상 통화 모듈부(134)는 음성 신호 처리부(140)에서 인코딩된 음성 소스와 화상 신호 처리부(160)에서 인코딩된 화상 소스를 함께 변조하여 통화 송수신부(110)로 전달한다. 이러한 화상 통화 모듈부(132)는 H.261, H.263, 및 H.264 등의 코덱을 사용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34)는 환자로부터의 원격 진료 요청에 따라서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생성하여 통화 송수신부(110)로 전달한다. 복호 모듈부(136)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처방전 MMS를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한 후 메모리부(180)에 저장한다. 여기서, 개인키는 처방전 MMS를 암호화할 때 사용된 공개키에 대응하는 키이다.
음성 신호 처리부(140)는 화상 통화 모듈부(13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소스를 음성 신호로 디코딩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140)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인코딩한 음성 소스를 화상 통화 모듈부(132)로 전달한다.
카메라부(150)는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의 광학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 신호 처리부(160)로 전달한다.
화상 신호 처리부(160)는 카메라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신호를 압축해서 화상 소스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화상 소스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표시부(17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17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표시부(170)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표시부(17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8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원격 진료 관련 화상 통화 모드 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과, 복호화된 처방전 MMS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연동되는 자가 혈당 및 혈압 측정 장치를 이용해 측정된 혈압 및 혈당 수치 정보 등의 생체 신호 측정 정보들을 저장한다.
인증 모듈부(190)는 개인키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러한 인증 모듈부(190)는 접촉 및 비접촉의 모바일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부, 예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약국에서는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도면 미도시)와 연결된 RFID 리더기를 통해 메모리부(180)에 저장되어진 복호화된 처방전 MMS를 읽어 들여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에 저장한 후, 환자에게 처방전을 조제해 줄 수 있다. 약국에서는 이를 표시하여 중복 조제를 방지할 수 있 도록 한다.
이어서, 도 3을 보면,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중앙 제어부(210), 카메라부(220), 화상 처리부(230), 음성 처리부(240), 메모리부(250), 데이터 입력부(260), 표시부(270), 직렬/병렬 통신부(280-1, 280-2) 및 외부 통신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부(21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부(210)는 화상 통화 제어부(211), 진료 예약 처리부(212),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213), 데이터 변환부(214), 암호화부(215) 및 의약품 목록 검색부(216)을 포함한다.
화상 통화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화상 통화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코덱 정보,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용량을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고, 화상 통화 신호가 도착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스피커(SPK) 및/또는 표시부(270)로 출력한다.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원격 진료 예약 SMS에 따라서 원격 진료 예약을 등록하고, 접수 확인 SMS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1인 및 다수의 원격 진료 대기 환자에게 간략한 예약 관련 정보를 포함한 인스턴스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213)는 데이터 입력부(260)를 통해 의사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원격 진료 데이터에 따라서 환자의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한 다. 이때,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환자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을 표시하는 환자의 이름 및 주민 등록 번호, 나이, 성별과, 검사 진료 내역, 환자의 증상, 질환명 및 질병 코드, 처방 약물 코드, 약물 명칭, 용량, 1일 투여 횟수, 투여 일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213)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토대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도 5와 같을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14)는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213)로부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MMS로 변환한다.
암호화부(215)는 데이터 변환부(214)로부터 변환된 처방전 MMS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공개키로 전자 서명하여 암호화한 후 메모리부(250)에 저장한다. 암호화부(215)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원격 진료비 등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 암호화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MMS, 날짜 및 시간 순서로 정렬한 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원격 진료 서버(400)로 전송한다.
의약품 목록 검색부(216)는 의사로부터 입력된 제품명 및 성분명에 따라서 의약품 목록을 검색한다.
카메라부(220)는 카메라 센서(222) 및 신호 처리부(224)를 포함한다. 카메라 센서(222)는 의사의 모습을 촬영하며 촬영된 화상 신호를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224)는 카메라 센서(222)로부터 촬영되는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직렬/병렬 통신부(280-2)로 전달한다. 이때, 신호 처리 부(224)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222)와 신호 처리부(224)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화상 처리부(230)는 직렬/병렬 통신부(280-2)를 통해 카메라부(2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화상 신호를 표시부(270)로 전달한다. 이때, 화상 처리부(230)는 카메라부(22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단위의 화상 신호를 표시부(270)의 특성에 맞게 출력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용량 및 전송 속도가 64Kbps 이상이거나 128Kbps일 경우, 그 용량 및 전송 속도에 맞게 데이터 용량을 변환한다. 이러한 화상 처리부(230)는 화상 코덱을 구비하며, 프레임 단위의 화상 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단위의 화상 신호를 원래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 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화상 코덱은 H.261, H.263, H.264, JPEC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240)는 코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코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240)는 직렬/병렬 통신부(280-1)에서 수신되는 의사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코덱을 통해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통신 제어부(290)로 전송하고, 외부 통신 제어부(290)를 통해 수신되는 환자의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직렬/병렬 통신부(280-1)로 전송한다. 여기서, 코덱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중앙 제어부(2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250)는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적재(Loading)하고,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된 순서에 따라 저장한다. 그리고 메부리부(250)는 공개키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250)는 버퍼(25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25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코덱 종류와 화상 신호의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용량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60)는 의사로부터 환자의 원격 진료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들은 중앙 제어부(210)로 전송되거나 중앙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어 표시부(270)로 출력될 수 있다.
표시부(27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270)는 원격 진료 대기 환자 명단 리스트,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 생체 신호 측정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생체 신호 측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직렬/병렬 통신부(280-1)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 등 원격 진료 시에 필요한 시스템과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직렬/병렬 통신부(280-2)는 카메라부(220)와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직렬/병렬 통신부(280-1)는 음성 처리부(240)에 의해 처리된 환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며, 마이크(MIC)를 통해 수신된 의사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처리부(240)로 전달한다. 직렬/병렬 통신부(280-2)는 카메라부(220)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화상 처리부(230)로 전달한다.
외부 통신 제어부(290)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MoIP 호 처리 프로토콜과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화상 및 음성과 텍스트 등의 데이터를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원격 진료 서 버(400)로 송신하고, 데이터의 수신 시 전송 단위의 데이터(Packet)로 변환 또는 복원하여 다른 구성부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의 진료 예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원격 진료 예약 SMS가 수신되면(S610), 메모리부(250)에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를 저장한다(S620).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저장된 휴대 전화 번호가 등록된 휴대 전화 번호인지 확인한다(S630). 이때,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가 등록된 휴대 전화 번호로 확인되면,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기 저장된 원격 진료 예약 SMS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원격 진료 대기 환자의 수를 파악한다(S640). 이어서,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예약 접수 번호를 부여하고(S650), 예약 접수 번호와 원격 진료 대기 환자의 정보를 포함한 접수 확인 SMS를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660). 그런 후에,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를 원격 진료 대기 환자 명단 리스트에 등록한다(S670).
한편, 단계(S630)에서,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가 등록된 휴대 전화 번호가 아닌 경우, 진료 예약 처리부(212)는 "직접 방문하여 초진을 받으세요"와 같은 내원 안내 SMS를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68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의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암호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처방전 MMS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213)에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이 작성되면(S710), 데이터 변환부(214)는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텍스트 타입의 장문 형태인 MMS로 변환한다(S720). 도 5에 도시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도 8a와 같이 처방전 MMS로 변환될 수 있다.
암호화부(215)는 처방전 MMS를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공개키로 전자 서명하여 암호문으로 변환한다(S730-S740). 즉, 암호화부(215)는 환자의 이름, 주민 등록 번호, 나이, 성별 중에 환자의 개인 정보인 이름과 주민 등록 번호에 대해 공개키로 전자 서명하여 암호화 인증을 수행하고(S730), 암호화 인증된 이름과 주민 등록 번호를 인코딩하여 암호문으로 변환한다(S740). 암호문으로 변환된 처방전 MMS는 도 8b와 같을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환자의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처방전 MMS 전체를 암호화할 수도 있다.
이어서, 암호화부(215)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전화 번호, 원격 진료비 등급,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 암호화된 처방전 MMS, 날짜 및 시간 순서로 데이터를 정렬한 후(S750) 외부 통신 제어부(290)를 통해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760).
이와 같이,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이 완료되면, 화상 통화 제어부(211)는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 세션 탈퇴를 요청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세션 탈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그러면, 성공적으로 해당 세션에서 탈퇴되면서 화상 통화 제어부(2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종료하게 된다(S770).
한편, 약국의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는 인증 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으로부터 개인키 및 비밀키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약국의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는 개인키 및 비밀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복호화하고, 처방전을 조제할 수도 있다. 이때,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에서는 환자가 처방전에 대한 중복 조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키는 처방전 조제 단말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키이며, 비밀키는 처방전 MMS를 암호화할 때 사용된 공개키에 대응하는 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레지스트라(registrar)(310), 리다이렉트 서버(redirect server)(320), 프락시 서버(proxy server)(330), 사용자 에이전트 서버(user agent server)(340), 스위치(350) 및 과금 처리부(360)를 포함한다.
레지스트라(31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이메일 주소와 유사한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소@호스트 주소"의 형태의 사용자 정보로 등록이 가능하다. 도메인 이름 또는 IP 주 소의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자(user ID) 또는 IP 주소로 부여된 XXX-XXX-XXXX의 전화 번호, 유선 전화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리다이렉트 서버(320)는 레지스트라(310)에 등록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찾아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한 정보를 제공한다.
프락시 서버(3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하는 화상 통화 및 SMS 메시지 호를 접촉 대상자에게 포워딩하고, 그 실행 결과를 다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달한다. 또한 프락시 서버(330)는 사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및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등의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대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프락시 서버(300)는 접촉 대상자에 대한 정보,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접근 제어 정보를 레지스트라(31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에이전트 서버(340)는 화상 통화 및 원격 진료 예약 SMS를 요청받고, 이를 요청한 사용자와 접촉한다.
과금 처리부(350)는 화상 통화 이용 시간 및 기타 데이터 서비스 이용 요금을 산정한다. 또한, 과금 처리부(350)는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횟수에 따라 이용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스위치(360)는 통신망의 게이트웨이와 연결되며,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와 화상 통화 세션이 이루어지면, RTP(Real-Time-Transport Protocol)/RTCP(RTP Control Protocol) 스트림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위치(360)는 원격 진료 예약 SMS 및 인스턴스 메시지의 전송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 간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화상 통화 호 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1010).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화상 통화 호 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INVITE MASSAGE)를 전송한다(S1020). 이때,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로 기술된 세션에 대한 사양(specification)을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에 제안한다.
호 설정 요청 메시지(INVITE MASSAGE)를 수신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호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임시 응답 메시지(RINGING MASSAGE)를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하고(S1030), 마지막 결과를 응답하는 최종 응답 메시지(OK MASSAGE)를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함으로써(S1040), 호 설정 요청을 수락한다. 또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최종 응답 메시지(OK)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300)에서 제안한 세션 사양에 대해 응답함으로써 세션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합의된 세션을 통해 상호 통신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최종 응답 메시지(OK)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ACK)를 전달한다(S1050).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는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커넥션 메시지(CONNECT MASSAGE)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S1060),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커넥션 메시지(CONNECT MASSAGE)에 대한 응답 메시지(CONNECT ACK)를 미디어 게이트웨이(300)로 전송한다(S1070).
이렇게 하여, 호 설정을 완료하고 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300)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세션 사양에서 지정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정보(IP 주소,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종류, 포트 번호 등 RTP/RTCP)를 사용하여 미디어 스트림 협상을 수행한다. 이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각각의 오디오 및 영상 코덱에 대한 정보를 주고 받는 협상이 이루어진다(S1080). 협상이 완료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300)와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는 영상 통화 베리어 채널을 통해 영상 통화 미디어(RTP/RTCP)가 송/수신으로 화상 통화를 통한 시진 및 문진을 통한 원격 진료가 이루어진다(S109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 건강 기록 DB에 저장된 원격 진료 관련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진료 서버(400)는 통신부(410),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 전자 의무 기록 센터(430) 및 메모리부(44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복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와 통신하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환자의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포함한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는 전자 건강 기록 DB(446)에 사용자 정보별로 분류되어 있는 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를 식별 코드로 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처방전 MMS가 총 몇 건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카운트하여 원격 진료비를 산정한다. 이때, 진료 과목별로 진료비 등급이 차등 적용될 수 있으며, 진료 과목별로 원격 진료비 등급이 차등 적용될 경우, 차등 적용된 원격 진료비 등급에 따른 원격 진료 수가를 추가로 고려하여 원격 진료비를 산정한다.
또한,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로 산정된 원격 진료비와 원격 진료를 수행한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병·의원 이름, 의사 이름, 원격 진료를 받은 날짜, 시간과 같은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이동 통신 회사의 청구 센터나 금융 회사 전자 결제 서버로 함께 전송한다.
전자 의무 기록 센터(430)는 전자 건강 기록 DB(446)에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전자 의무 기록 센터(430)의 인증키로 복호화하여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으로 제출할 수 있다. 인증키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에서 처방전 MMS를 암호화할 때 사용한 공개키에 대응하는 키이다. 이때,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은 보험 회사가 될 수 있다.
메모리부(440)는 처방 의약품 목록 DB(442), 건강 관리 정보 DB(444) 및 전자 건강 기록 DB(446)를 포함한다. 처방 의약품 목록 DB(442)는 의사가 처방하는 모든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건강 관리 정보 DB(444)는 각각의 질환에 대한 다양한 건강 정보를 저장한다. 전자 건강 기록 DB(446)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포함한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전자 건강 기록 DB(446)는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도 12와 같이 원격 진료 관련 정보는 진료 과목에 따라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즉, 원격 진료 단말 장치(200)의 IP 주소, 전화 번호, 의사 이름, 병·의원 이름 및 의사 면허 번호 별로각각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진료 서버에서 원격 진료비를 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는 전자 건강 기록 DB(436)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처방전 MMS를 포함한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순차 검색한다(S1310). 그리고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는 원격 진료 관련 정보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를 식별 코드로 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처방전 MMS가 총 몇 건이 저장되어 있는지 카운트한다. 이때, 원격 진료비 등급이 병·의원마다 다르게 책정될 수 있으므로, 진료비 산정부(420)는 원격 진료비 등급을 추가로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처방전 MMS의 총 건수로부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한다(S1320).
이렇게 하여 원격 진료비가 산정되면, 원격 진료비 산정부(420)는 산정된 원격 진료비와 원격 진료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휴대 전화 번호에 따른 이동 통신 회사의 청구 센터로 전송한다(S1330). 그러면, 청구 센터에서 휴대 전화 요금에 원격 진료비를 추가로 청구하게 된다. 이때, 이동 통신 회사의 청구 센터는 은행과 같은 금융 회사 및 보험 회사의 전자 결제 서버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 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환자는 병·의원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화상 통화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이용해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로부터 받게 되는 원격 진료비와 보험 공단으로부터 받게 되는 원격 진료 보험 수가를 원격 진료 서버에서 대신 청구해줌으로써, 의사에게는 원격 진료에 대한 수입을 보장해 줄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원격 진료가 활성화될 수 있다.

Claims (20)

  1.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및 음성 신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할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 및 음성 처리부,
    상기 환자의 원격 진료에 따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 기록 및 처방전 작성부, 그리고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암호화부
    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변환하여 상기 암호화부로 전달하는 데이터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상기 환자의 이름, 상기 환자의 주민 등록 번호, 질환명 및 처방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부는 적어도 상기 환자의 이름 및 주민 등록 번호를 암호화하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는 공개키 방식의 전자 서명으로 이루어지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원격 진료 예약 요청에 따라서 원격 진료 예약을 접수하고, 원격 진료 예약의 대기 정보 및 접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진료 예약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료 단말 장치.
  6.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의 원격 진료에 따른 화상 통화를 제어하는 화상 통화 모듈부,
    상기 원격 진료에 의해 상기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복호화하는 복호 모듈부, 그리고
    상기 복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에 의해 상기 복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이 읽혀질 수 있도록 무선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개인키 및 상기 복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호 모듈부는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복호화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그리고
    상기 SMS 형태의 원격 진료 예약 메시지를 상기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통화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송수신부는 상기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형태로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복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 통신하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로부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환자의 식별 코드로부터 상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검색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의 총 건수로부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하는 원격 진료비 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 상기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 사이에 화상 통신을 통해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서 생성되는 원격 진료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에는 원격 진료비 등급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 진료비 산정부는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의 상기 원격 진료비 등급을 추가로 고려하여 상기 원격 진료비를 산정하는 원격 진료 서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원격 진료 서버.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과 함께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환자의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은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각 원격 진료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원격 진료 서버.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원격 진료 서버.
  16. 의사의 원격 진료 단말 장치의 원격 진료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화상 통신을 통한 상기 환자의 원격 진료에 따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MMS 형태의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을 암호화하는 원격 진료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MMS 형태의 전자 의무 기록 및 처방전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공개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자 서명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 진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원격 진료 예약 요청에 따라 상기 원격 진료 예약을 접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격 진료 예약의 접수 번호 및 대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 진료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료 예약 요청은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수신되며,
    상기 접수 번호 및 대기 정보는 상기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송신하는 원격 진료 방법.
KR1020070057182A 2007-05-30 2007-06-12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34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99 2007-05-30
KR20070052599 200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59A true KR20090003459A (ko) 2009-01-12

Family

ID=4048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182A KR20090003459A (ko) 2007-05-30 2007-06-12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4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03B1 (ko) * 2010-09-09 2013-11-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CN112927774A (zh) * 2021-03-11 2021-06-08 全链通有限公司 远程诊疗系统及该系统的操作方法
WO2022075834A1 (en) * 2020-10-05 2022-04-14 Mohammad Naim Muhammad Asyraf Bin A system for virtual healthca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03B1 (ko) * 2010-09-09 2013-11-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WO2022075834A1 (en) * 2020-10-05 2022-04-14 Mohammad Naim Muhammad Asyraf Bin A system for virtual healthcare
CN112927774A (zh) * 2021-03-11 2021-06-08 全链通有限公司 远程诊疗系统及该系统的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591B2 (en) Authentication gateway apparatus for accessing ubiquitous service and method thereof
CA2829256C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US20230162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digital scripts
US7748617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CN103039035B (zh) 基于声波或音频的近距离安全数据通讯方法
JP2007042103A (ja) 物理的posトランザ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339977A (zh) 安全实时健康记录交换
US9165149B2 (en) Us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s an electronic health insurance card
JPWO2005024645A1 (ja) 情報処理サーバ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8299396A (ja) 紹介支援装置、紹介支援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紹介支援方法
US20220318806A1 (en) Detailing secure service provider transactions
KR20090003459A (ko)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98655B2 (ja) 匿名個人情報の提供方法、匿名個人情報の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194855A1 (en) Encryption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exchanging encrypted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407737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의 금융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13080385A (ja) 決済システム、第一端末、第二端末、およびデータセンター
WO2004066508A2 (ja) データ送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装置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10049107A (ko) 모바일기반 의료보험 청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66929A (ja) サーバシステム、電子機器、通信端末及び認証方法
TW201804384A (zh) 電子卡片建立系統及其方法
May et al. Securing the drop-box architecture for assisted living
CN112041897A (zh) 一种控制方法、售票规则服务器、检票规则服务器及装置
KR100739525B1 (ko) 인코딩된 이미지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WO2005103973A1 (ja) 電子申請方法及び電子申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