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45A -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45A
KR20090003245A KR20087022956A KR20087022956A KR20090003245A KR 20090003245 A KR20090003245 A KR 20090003245A KR 20087022956 A KR20087022956 A KR 20087022956A KR 20087022956 A KR20087022956 A KR 20087022956A KR 20090003245 A KR20090003245 A KR 2009000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transmission
multicast group
group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702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모테기
야스히로 카토
유리 안다르마원티 햅사리
타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기지국에, 재권하는 이동국 중,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그룹분리수단과,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무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위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 컨텐츠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멀티캐스트 그룹, 참가요구

Description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CENTRAL NODE,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을 구성하는 복수의 이동국(mobile station)에 대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multicast data)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동국 및 기지국(base station)에서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이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센트럴 노드(central node),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MBMS의 멀티캐스트 모드에서는, "Subscription", "Service Announcement", "Joining", "Session Start", "MBMS notification", "Data Transfer", "Session Stop", "Leaving"의 복수 단계가 있다.
"Service Announcement"는, 어느 정도 긴 기간에 걸쳐서 수행되며, Service Announcement가 수행되고 있는 기간이라면, 언제라도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가 가능하다. 특히, "Joining"하는 경우에는, NAS(Non-Access Stratum)의 "MBMS Multicast Service Activation" 절차(procedure)가 실행된다.
"MBMS Multicast Service Activation" 절차 중에 "ACTIVATE MBMS CONTEXT REQUEST"가 UE로부터 NW(RNC를 통해, SGSN, GGSN으로)으로 전송된다. 이 정보요소에는, "Supportable MBMS bearer capabilities"가 포함되어 있으며, 다운링크의 최대 비트율(maximum downlink bit rate)을 정의가능하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배경기술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다.
IMT-2000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시스템이 서포트(support)하는 주파수 대역은, 5MHz로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기지국(BTS)은, 일반적으로, 최대 주파수 대역까지 전송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 대역은 한정된 자원이며, 필요한 주파수를 획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지국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획득한 주파수 대역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자체는, 20MHz 대응이지만, 획득한 주파수 대역의 관계로 5MHz의 전파 이외에는 송신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의 능력은 5MHz로 제한된다.
한편, 장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주파수 대역을 플렉서블하게(flexibily) 대응시키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 아키텍쳐(system architecture)에서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동국(UE)이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UE마다 다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장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대역에 한정하지 않고, MIMO(Multi-Input Multi-Output)의 안테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GI(Guard Interval) 등도 플렉서블하게 설정하는 것이 상정된다. IMT-2000 시스템에서는, 이들의 항목은 고정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cast service)를 수신하는 이동국의 이동국 능력 및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능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서비스를 전달(transmit)할 수 있는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센트럴 노드(central node)는,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request to join)에 기초하여, 이미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 중 적어도 일방과,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의 설정을 수행하며, 컨텐츠의 전송을 수행하는 컨텐츠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미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에 더해서, 새롭게 이동국을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은, 재권하는 이동국 중,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categorizing)를 수행하는 그룹분리수단 및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무선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위국(upper node)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 컨텐츠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 기지국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파악하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이동국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국은,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를 생성하는 이동국 능력 통지수단과 상기 참가요구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해당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등가인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재권하는 이동국 중,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그룹분리단계와,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무선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전송능력 결정단계와, 상위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 컨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 기지국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파악하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이동국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스케줄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이동국의 이동국 능력 및 해당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능력에 따라서, 적절하게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 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부호의 설명
100 무선통신 시스템
200 코어 네트워크
300 MBMS 전달 서버
400 액세스 게이트웨이(ACGW)
500, 5001, 5002 기지국
600, 6001, 6002, 6003, 6004, 6005, 6006 이동국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며,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200)에 접속된 MBMS 전달 서버(BM-SC: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entre)(300) 및 센트럴 노 드(central node)로서의 액세스 게이트웨이(ACGW: Access Gateway)(400)와,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접속된 기지국(500), 예를 들어 기지국 A(5001) 및 기지국 B(5002)와, 이동국(600), 예를 들어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이동국 C(6003),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으로 구성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는,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게이트웨이가 포함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와 이동국(600)과의 사이에는,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이 규정된다.
또한, 기지국(500)과 이동국(600)과의 사이에는, AS(Access Stratum) 프로토콜,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 MAC(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규정된다. AS로서, RRC, MAC 이외에,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이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 A(5001) 및 기지국 B(5002)으로부터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이동국 C(6003),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에 대하여, 동일의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cast service), 예를 들어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복수의 기지국(500)을 통해, 복수의 이동국(600)으로 공통 유저 데이터(common user data)를 전송한다.
각 기지국(500) 및 각 이동국(600)의 대응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을 표 1에 도시한다.
5MHz 10MHz 15MHz 20MHz
기지국 A
기지국 B
이동국 A
이동국 B
이동국 C
이동국 D
이동국 E
이동국 F
기지국 A(5001)은 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기지국 B(5002)는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동국 A(6001)은 1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B(6002)는 1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C(6003)은 1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D(6004)은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E(6005)은 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F(6006)은 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동국(600)은, 기지국(500)을 통해, 자이동국의 능력, 예를 들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은 "Join" 리퀘스트(request)(참가요구)에 자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여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은, "Join" 리퀘스트(참가요구)에 자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과 등가(等價 : equivalent)인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여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 A(5001)은, 잠재능력적으로, 20MHz 주파수 대역까지 대응가능하지만, 주파수의 할당의 관계상,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5MHz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500)은, 재권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that are in the coverage area of the base station) 중,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MBMS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categorizing)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500)은, 이동국의 능력에 상관없이 그룹분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500)은, 이동국을 나타내는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500)은, 이동국을 N개의 그룹 수로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국(500)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룹 수 N으로 제산(除算 : devide)한 경우의 잉여(remainder)(이동국을 나타내는 정보의 모듈로(modulo))를 계산하는 것에 의해,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기지국 A(5001) 배하(coverage area)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 중에 멀티캐스트 데이터(multicast data)(MBMS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은,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가 된다. 이 경우,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15MHz, 15MHz, 10MHz이다. 따라서,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10MHz이다.
이 경우, 기지국 A(5001)은, 10MHz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해야한다. 그러나, 기지국 A(5001)은, 주파수의 할당의 관계로부터 5MHz 주파수 대역에서만 전송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 A(5001),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이 공통으로 송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5MHz가 되므로, 5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가 스케줄된다. 즉, 자기지국이 제공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미만인 경우, 기지국이 제공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상위국(upper node)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한다(transmit). 또한, 자기지국이 제공가능한 전송속도가,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전송속도 미만인 경우, 기지국이 제공가능한 전송속도로, 상위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예를 들어, 기지국 B(5002) 배하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중에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은,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가 된다.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20MHz, 5MHz, 5MHz이다. 따라서,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가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5MHz이다.
이 경우, 기지국 B(5002)은, 5MHz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한다. 기지국 B(5002)은, 20MHz까지 대응가능하므로, 기지국 B(5002)은, 5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500)은, 이동국의 능력마다, 예를 들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에 기초하여, 그룹분리를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지국(500)은,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폭과 등가인 전송속도에 기초하여, 그룹분리를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에 기초하여,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A(5001) 배하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 중의 이동국은,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이다.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15MHz, 15MHz, 10MHz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 A(5001)는, 이동국 A(6001)와 이동국 B(6002)로 구성되는 멀티캐스트 그룹 1과, 이동국 C(6003)로 구성되는 멀티캐스트 그룹 2의 2개의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그룹분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멀티캐스트 그룹 1은 15MHz의 주파수 대역까지 수신가능하며, 멀티캐스트 그룹 2는 10MHz 주파수 대역까지 수신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기지국 A(5001)가 5MHz 주파수 대역만 전송가능하기 때문에, 그룹에 의존하지 않고 5MHz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한다.
여기서, 기지국 A(5001)가, 자기지국 A(5001)의 송신가능한 주파수 범위와 이동국이 송신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비교한 결과, 기지국 A(5001)가 송신가능하다. 주파수 범위가 최저의 주파수 범위인 경우에는, 복수의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즉, 하나의 그룹을 구성한다.
한편, 기지국 B(5002) 배하에서,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중에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은,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이다. 이동국 D(6004), 이동국 E(6005) 및 이동국 F(6006)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20MHz, 5MHz, 5MHz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 B(5002)는, 이동국 D(6004)로 구성되는 멀티캐스트 그룹 3과, 이동국 E(6005)와 이동국 F(6006)로 구성되는 멀티캐스트 그룹 4 중 2개의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그룹분리한다. 멀티캐스트 그룹 3은 20MHz의 주파수 대역까지 수신가능하며, 멀티캐스트 그룹 4는 5MHz 주파수 대역까지 수신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 B(5002)는, 멀티캐스트 그룹 3에 대하여 20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링하고, 멀티캐스트 그룹 4에 대하여 5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MBMS 데이터를 스케줄링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600)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600)은, 제어부(602)와, 제어부(602)와 접속된 송신수단으로서의 무선전송부(604), MBMS 컨텐츠 수신부(608) 및 이동국 능력 통지수단으로서의 UE capability 통지부(606)를 구비한다. 무선전송부(604)는, UE capability 통지부(606) 및 MBMS 컨텐츠 수신부(608)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제어부(602)는, 자이동국(600)이 구비하는 각 기능 엔터티(functional entity)에 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2)는, 가입처리를 수행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로부터 컨텐츠의 전달이 아나운스멘트(announcement)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무선전송부(604)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와의 사이의 무선링크 상에서, 시그널링 메시지(signaling message), 예를 들어, NAS(Non-Access Stratum)/MBMS 컨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UE capability 통지부(606)는, 적어도 당해 이동국이 서포터블한(supportable) 주파수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500)을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UE capability 통지부(606)는, "Join" 리퀘스트에 자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여 송신한다. 또한, UE capability 통지부(606)는, 적어도 당해 이동국이 서포터블한 주파수 밴드와 등가인 최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500)을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UE capability 통지부(606)가 통지하는 정보는, 서포터블한 밴드폭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서포터블한 MIMO의 안테나 수, TTI, OFDM에 있어서의 가드 인터벌(GI : Guard Interval), 암호화 알고리즘(encryption algorithm), 레이어 2의 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 예를 들어 Outer ARQ, HARQ 등의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MBMS 컨텐츠 수신부(608)는, 무선전송부(604)를 통해, MBMS 컨텐츠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50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500)은, 제어부(502)와, 제어부(502)와 접속된 유선전송부(504), 그룹분리수단으로서의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 컨텐츠 전송수단으로서의 MBMS 컨텐츠 전송부(510), 무선전송부(506) 및 기지국 능력 해석부(512)를 구비한다.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유선전송부(504) 및 MBMS 컨텐츠 전송부(510)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무선전송부(506)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제어부(502)는, 자기지국(500)이 구비하는 각 기능 엔터티에 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02)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자기지국의 커버하는 에리어(area)에 재권하며,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능력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무선전송부(506)는, 이동국(600)과의 사이의 무선링크 상에서, 시그널링 메시지의 송신과, MBMS 컨텐츠의 수신을 수행한다.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자기지국의 배하의 이동국 중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하며, 그룹마다, 해당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능력, 예를 들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이동국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하며,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파악한다.
또한,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유선전송부(504)를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지된 각 이동국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을 그룹분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유선전송부(504)를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지된 각 이동국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밴드와 등가인 최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을 그룹분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서포트할 수 있는 이동국 능력, 예를 들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파악하고, 예를 들어 최소가 되는 이동국 능력, 예를 들어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최소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MBMS 컨텐츠 전송부(510)로 입력한다.
기지국 능력 해석부(512)는, 자기지국(500)의 운용상황(operation condition), 예를 들어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밴드를 해석하고, 예를 들어 서포트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MBMS 컨텐츠 전송부(510)로 입력한다.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멀티캐스트 그룹 내의 이동국의 최소능력과, 기지국의 운용상황을 비교하여 MBMS 컨텐츠의 전송능력을 결정하고, 기지국 상위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최소 이동국 능력, 예를 들어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의 최소값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비교하고, MBMS 컨텐츠의 전송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한다.
또한,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기지국의 상위국, 예를 들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전송되어 온 MBMS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으로 전달한다. 그 결과, 무선전송부(506)을 통해, 이동국(600)에 MBMS 컨텐츠가 송신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제어부(402), 제어부(402)와 접속된 유선전송부(404), 이동국 능력 통지부(406), MBMS 컨텐츠 전송부(408) 및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를 구비한다.
이동국 능력 통지부(406)는, 유선전송부(404),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 및 컨텐츠 전송수단으로서의 MBMS 컨텐츠 전송부(408)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또한,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유선전송부(404)와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제어부(402)는, 자액세스 게이트웨이(400)가 구비하는 각 기능 엔터티에 대하여, 적절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600)으로부터 송신된 어느 멀티캐스트 서비스로의 "Join" 리퀘스트(참가요구)에 대응하여, "Join" 리퀘스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UE capability, 예를 들어 MBMS bearer capability를 취득하고, 취득한 UE capability를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2)는,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해당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등가인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로 전송한다.
유선전송부(404)는, 자액세스 게이트웨이(400)와 기지국(500)과의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 수신과, MBMS 컨텐츠의 송신을 수행한다.
이동국 능력 통지부(406)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이 가지는 이동국의 능력, 예를 들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500)에 대하여, 예를 들어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통지한다. 또한, 이동국 능력 통지부(406)는,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등가인 최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는, 이동국(600)이 송신하는 "Join" 메시지에 따라서, 이동국(600)이 어느 멀티캐스트 그룹에 Join하는 접수를 수행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는,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는 이동국의 관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는,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해당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과 등가인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에서 관리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에 대하여, 해당 MBMS 컨텐츠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동국(600), 기지국(500)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 나누어서,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600)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600)은, 사전에 컨텐츠 프로바이더와의 사이에서 가입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602)는, 가입처리를 수행한 컨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컨텐츠의 전달이 아나운스멘트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502).
컨텐츠의 전달의 아나운스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단계 S502: NO), 및 컨텐츠의 전달의 아나운스가 수행되어 있는 경우에 유저가 그 컨텐츠에 흥미(interest)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 결과, 해당 컨텐츠의 전달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컨텐츠의 전달의 아나운스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단계 S502: YES)에, 유저가 흥미 있는 컨텐츠의 전달을 요구한 경우, UE capability 통지부(606)는, 기지국(500)을 통해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대하여 시그널링 메시지를 이용하여 UE capability(이동국 능력), 예를 들어, 자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단계 S504). 그 결과, 자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는, 기지국(500)을 통해, 액세스 서버(400)로 송신된다.
다음으로, 기지국(500)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502)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자기지국의 커버하는 에리어에 재권하며,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능력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60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이동국의 능력에 관한 정보가 통지되지 않는 경우(단계 S602: NO),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이동국의 능력에 관한 정보가 통지되는 경우(단계 S602: YES), 이동국 능력 해석부(508)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통지된 멀티캐스터 그룹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능력 중, 최소가 되는 UE capability를 구하고, MBMS 컨텐츠 전송부(510)로 입력한다. 또한, 기지국 능력 해석부(512)는, 자기지국(500)의 운용상황, 예를 들어 기지국(500)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MBMS 컨텐츠 전송부(510)로 입력한다.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입력된 최소가 되는 UE capability와, 자기지국(500)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비교한다(단계 S604).
최소 UE capability가 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이상인 경우(단계 S604: YES),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기지국(500)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맞춰서, 컨피겨레이션을 수행한다(단계 S606).
한편, 최소 UE capability가 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이상이 아닌 경우(단계 S604: NO),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최소 UE capability에 맞춰서, 컨피겨레이션을 수행한다(단계 S608).
다음으로,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해당 MBMS 컨텐츠의 데이터 트랜스퍼(data transfer)가 개시, 예를 들어 세션 스타트(session start) 절차가 기동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610).
데이터 트랜스퍼가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610: NO), 단계 S610으로 돌아간다.
한편, 데이터 트랜스퍼가 개시된 경우(단계 S610: YES),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단계 S606 혹은 단계 S608에서 설정된 컨피겨레이션에 따라서,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한다(단계 S61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제어부(402)에 있어서, 이동국(600)으로부터 어느 MBMS 서비스로의 "Join" 리퀘스트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한다(단계 S702).
이동국(600)으로부터 "Join" 리퀘스트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702: NO),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동국(600)으로부터 어느 MBMS 서비스로의 "Join" 리퀘스트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702: YES), 제어부(402)는, 해당 "Join" 리퀘스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UE capability, 예를 들면 MBMS bearer capability를 취득한다(단계 S704).
다음으로, 제어부(402)는, 단계 S704에서 취득한 UE capability를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이동국 능력 통지부(406)는, 단계 S704에서 취득한 UE capability를, 유선전송부(404)를 통해, 기지국(500)으로 전송한다(단계 S706).
다음으로,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MBMS 전달 서버(BM-SC)(300)로부터 MBMS 컨텐츠가 전송되어 왔는지 아닌지 판단한다(단계 S708).
MBMS 전달 서버(300)로부터 MBMS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단계 S708: NO), 단계 S708로 돌아간다.
한편, MBMS 전달 서버(300)로부터 MBMS 컨텐츠가 전송되고 있는 경우(단계 S708: YES), MBMS 전송부(408)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를 참조하고, MBMS 컨텐츠를 송신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하여, 해당 MBMS 컨텐츠를 전송한다(단계 S7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과 동일하지만, 기지국(500)과 이동국(600)의 컨피겨레이션이 다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A(5001) 및 기지국 B(5002)은, 20MHz 주파수 대역까지 전송가능하다.
각 이동국이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표 2에 나타낸다.
5MHz 10MHz 15MHz 20MHz
이동국 A
이동국 B
이동국 C
이동국 D
이동국 E
이동국 F
이동국 A(6001)은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B(6002)는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C(6003)은 1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D(6004)은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E(6005)은 20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며, 이동국 F(6006)은 5MHz의 주파수 대역의 전송이 가능하다.
기지국 A(5001) 및 기지국 B(5002)의 배하의 이동국(500)은, "Join" 리퀘스트를 수행한다. 기지국 A(5001) 및 기지국 B(5002)은, "Join" 리퀘스트에 따라, 다른 응답을 수행한다.
기지국 A(5001)의 배하의 이동국 A(6001) 및 이동국 B(6002)가 세션을 개시(Session Start)를 한 후에, 이동국 C(6003)이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Join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이동국 A(6001) 및 이동국 B(6002)은, Join 완료이다.
서비스 아나운스먼트로, 계약 완료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을 인식한 이동국 C(6003)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대하여,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이동국 C(6003)의 "Join" 리퀘스트에 포함되는 UE capability를 취득하고,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을 접수한다.
여기서, 액세스 게이트웨이(400)가, 기지국 A(5001)에 대하여, 이동국 C(6003)의 UE capability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기지국 A(5001)는, 데이터 전송 개시 중에는, "Join"을 확인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종료 후에, 이동국 C(6003)의 능력에 맞춰서, 컨피겨레이션의 변경을 수행하며, 해당 변경에 수반하여, MBMS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 즉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를 재설정한다. 기지국 A(5001)은, MBMS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의 재설정 후, 차회 데이터 전송으로부터 이동국 A(6001), 이동국 B(6002) 및 이동국 C(6003)으로 송신하는 MBMS 컨텐츠의 스케줄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B(5002)의 배하의 이동국 D(6004) 및 이동국 E(6005)이 세션을 개시(Session Start)한 후에, 이동국 F(6006)이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Join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이동국 D(6004) 및 이동국 E(6005)는, Join 완료이다.
서비스 아나운스먼트로, 계약 완료의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전송을 인식한 이동국 F(6006)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에 대하여,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 리퀘스트를 송신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이동국 F(6006)의 "Join" 리퀘스트에 대하여, 거부(reject)하는 응답을 수행한다. 단,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세션종료 후, 차회의 세션 스타트시인 경우에, 해당 "Join" 리퀘스트에 대하여 접수를 수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기지국 B(5002)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이동국 F(6006)에 맞춰서 구성하고, MBMS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즉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기지국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구성은,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국, 기지국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기지국(500)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 분리하여,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5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과 동일하다.
기지국(500)의 동작 흐름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지국(500)의 제어부(502)는,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MBMS bearer의 컨피겨레이션/리컨피겨레이션(configuration/reconfiguration)을 수신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802).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MBMS bearer의 컨피겨레이션/리컨피겨레이션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단계 S802: NO),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로부터 MBMS bearer의 컨피겨레이션/리컨피겨레이션을 수신한 경우(단계 S802: YES),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지정된 컨피겨레이션으로 설정하고, 데이터 트랜스퍼되어 온 MBMS 컨텐츠를 전송한다(단계 S804). 예를 들어, MBMS 컨텐츠 전송부(510)는, 기지국 능력 해석부(512)에 의해 입력된 최소가 되는 UE capability와, 자기지국(500)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서, 컨피겨레이션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400)는, 제어부(402)에 있어서 이동국(600)으로부터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 리퀘스트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902).
이동국(600)으로부터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Join" 리퀘스트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902: NO), 당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동국(600)으로부터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 리퀘스트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단계 S902: YES), 제어부(402)는,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부(410)로 해당 "Join" 리퀘스트를 전송한다(단계 S904).
멀티캐스트 관리부(410)는, 입력된 "Join" 리퀘스트에 저장된 해당 이동국의 UE capability를 참조하고, UE capability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어느 이동국의 UE capability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S906).
UE capability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어느 이동국의 UE capability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906: NO), 멀티캐스트 관리부(410)는,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Join"을 허가한다(단계 S908).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해당 UE에 개별로 MBMS bearer의 설정을 수행한다(단계 S908).
다음으로,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MBMS bearer의 설정이 종료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단계 S910).
MBMS bearer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단계 S910: YES),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MBMS 컨텐츠의 전송을 개시한다(단계 S912).
한편, MBMS bearer의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910: NO), 단계 S910으로 돌아간다.
단계 S906에 있어서의 판단의 결과, 해당 UE의 UE capability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는 어느 이동국의 UE capability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단계 S906: YES), 제어부(402)는, 세션 중에 데이터 트랜스퍼를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단계 S914).
세션 스타트 후에 데이터 트랜스퍼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단계 S914: YES), 단계 S914로 돌아간다.
한편, 세션 중이 아닌 경우(단계 S914: NO), 해당 UE가 멀티캐스트 그룹에 "Join"한 것에 의해 컨피겨레이션이 변경되므로, MBMS 컨텐츠 전송부(408)는 멀티캐스트 그룹의 MBMS bearer를 재설정한다(단계 S916).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1 기지국이 1 셀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1 기지국이 복수 셀을 가진다. 그 경우에는, 상기에 설명한 내용은, 기지국을 셀과 바꿔 읽는 것에 의해, 1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이동국의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 기지국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파악하고,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이동국이 공통으로 수신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MBMS 데이터를 스케줄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플렉서블하게 설정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MBMS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AE/LTE 시스템에 있어서, MBMS 데이터를 수신하는 그룹 내의, 능력이 다른 이동국에 대하여, 공평하게 MBM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국제출원은, 2006년 3월 2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6-08942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2006-089423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수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부터 통지된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으로의 참가요구(request to join)에 기초하여, 이미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및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 중 적어도 일방과,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을 비교하고, 해당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의 설정을 수행하며, 컨텐츠의 전송을 수행하는 컨텐츠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럴 노드(central nod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수단은,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를 수행한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이, 이미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보다 미만인 경우, 송신하고 있는 컨텐츠의 전송이 종료된 후, 무선 파라미터의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럴 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수단은, 세션 개시(session start) 후의 멀티캐스트 데이 터(multicast data) 전송 중에,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가 있는 경우, 데이터 전송 종료 후에, 무선 파라미터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럴 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수단은, 세션 개시 후에, 멀티캐스트 그룹으로의 참가요구가 있는 경우, 해당 세션 종료 후에 무선 파라미터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트럴 노드.
  5. 재권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that are in the coverage area of the base station) 중,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categorize)를 수행하는 그룹분리수단; 및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및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 중 적어도 일방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및 전송속도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를 결정하고, 상위국(upper node)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transmit) 컨텐츠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base station).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분리수단은, 상기 이동국을 나타내는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분리수단은, 상기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에 기초하여, 그룹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 5 항에 있어서,
    컨텐츠 전송수단은,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혹은 전송속도 미만인 경우, 기지국이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 혹은 전송속도를 사용하여, 상위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및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 중 적어도 일방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으로의 참가요구(request to join)를 생성하는 이동국 능력 통지수단; 및
    상기 참가요구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10. 재권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 that are in the coverage area of the base station) 중,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에 참가하고 있는 이동국의 그룹분리(categorizing)를 수행하는 그룹분리단계;
    각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 및 전송속도(transmission rate) 중 적어도 일방과, 자기지국의 전송가능한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무선 파라미터(radio parameter)를 결정하는 전송능력 결정단계; 및
    상위국(upper node)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컨텐츠를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전달하는(transmit) 컨텐츠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방법.
KR20087022956A 2006-03-28 2007-03-27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 KR20090003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9423 2006-03-28
JPJP-P-2006-00089423 2006-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45A true KR20090003245A (ko) 2009-01-09

Family

ID=3858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7022956A KR20090003245A (ko) 2006-03-28 2007-03-27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59835A1 (ko)
EP (1) EP2001146A4 (ko)
JP (1) JP4938001B2 (ko)
KR (1) KR20090003245A (ko)
CN (1) CN101411094A (ko)
TW (1) TW200746693A (ko)
WO (1) WO2007116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1263B (zh) 2006-10-20 2015-04-11 Interdigital Tech Corp Lte增強b節點自行配置方法及裝置
TWI543644B (zh) 2006-12-27 2016-07-21 無線創新信號信託公司 基地台自行配置方法及裝置
EP4106461B1 (en) * 2008-03-19 2024-01-17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setting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gram
US9037734B2 (en) 2009-04-17 2015-05-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transfer of collaborative sess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JP2012530986A (ja) * 2009-06-30 2012-12-06 エヌイーシー ヨーロッパ リミテッド 警報メッセージの配信をサポートする方法
EP2517436B1 (fr) * 2009-12-22 2019-12-18 Orange Communication pair à pair en fonction de la capacité de transmission
EP2384060B1 (en) * 2010-04-26 2016-12-21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nd report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s "PLMN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12035198A1 (en) * 2010-09-13 2012-03-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 association and address provisioning
US20130279394A1 (en) * 2010-11-08 2013-10-24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sgsn, ggsn, mme, mbms gw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5742929B2 (ja) * 2011-03-17 2015-07-0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配信制御装置、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の制御方法
WO2012159376A1 (zh) * 2011-08-12 2012-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组播方法和设备
EP2883372B1 (en) * 2012-08-08 2020-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of bearer grouping for data transmission in a broadband wireless network
EP2966631B1 (en) * 2013-03-07 2020-02-12 Fujitsu Limited Data collection method, system and data collection program
US20150116162A1 (en) * 2013-10-28 2015-04-30 Skycross, Inc. Antenna structures and methods thereof for determining a frequency offset based on a differential magnitude
US9699500B2 (en) * 2013-12-13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Session management and control procedures for supporting multiple groups of sink devices in a peer-to-peer wireless display system
CN104980287B (zh) * 2014-04-04 2018-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组播组分配方法及组播管理节点
GB2529406A (en) * 2014-08-18 2016-02-24 Vodafone Ip Licensing Ltd Paging in cellular networks
US9774463B2 (en) * 2015-09-02 2017-09-26 Cisco Technology, Inc. Optimizing user experiences of web conferences that send data with source-specific multicast and automatic multicast tunneling
CN107454672B (zh) 2016-05-31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子帧的方法和装置
JP7097528B2 (ja) * 2019-03-25 2022-07-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963A (en) * 1995-06-06 1998-03-31 Flash Comm, Inc. Remote initiated messag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two way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JP3704003B2 (ja) * 1999-08-16 2005-10-05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
JP3662473B2 (ja) * 2000-05-12 2005-06-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情報配信装置
JP3464644B2 (ja) * 2000-06-23 2003-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
EP1686705A3 (en) * 2000-07-07 2006-09-13 Hitachi, Ltd. Mobile station
WO2002017574A1 (fr) * 2000-08-24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reception
US6985739B2 (en) * 2000-12-1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JP2003046437A (ja) * 2001-07-31 2003-02-14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DE10141813A1 (de) * 2001-08-27 2003-05-08 Siemens Ag Datenübermittlung an Gruppen von Empfängern
US6996104B2 (en) * 2002-02-20 2006-02-07 Nokia Corporation Rate allocation and control for multicast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JP4008843B2 (ja) * 2002-09-19 2007-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無線制御装置
FI20021755A0 (fi) * 2002-10-02 2002-10-02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yleislähetyksen vastaanottoedellytysten ilmaisemiseksi
KR100935933B1 (ko) * 2002-10-15 2010-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에서 무선단말 그룹화에 의한 신뢰성 있는멀티캐스트 데이터 재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4159017A (ja) * 2002-11-05 2004-06-0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て好適な無線局
JP2004193676A (ja) * 2002-12-06 2004-07-08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移動局
KR100559979B1 (ko) * 2003-04-03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CN1287628C (zh) * 2003-11-14 2006-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组播业务的方法
KR20050107145A (ko) * 2004-05-07 200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모드를 고려하여 효율적으로서비스를 통지하는 방법
JP2006054627A (ja) * 2004-08-11 2006-02-23 Nec Corp 同報送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データ加工方法
JP4235594B2 (ja) 2004-09-27 2009-03-1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角栓除去ゴマージュ化粧料
US7496061B2 (en) * 2005-05-25 2009-02-24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a multicast service using a multicast group-source key
KR100754213B1 (ko) * 2006-02-2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Plc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여 전송하는방법 및 장치
EP3240341A3 (en) * 2006-08-09 201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s method, system and devices
JP4764811B2 (ja) * 2006-12-14 2011-09-07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通信経路管理方法
KR101360250B1 (ko) * 2007-03-06 2014-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변 대상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38001B2 (ja) 2012-05-23
EP2001146A1 (en) 2008-12-10
JPWO2007116703A1 (ja) 2009-08-20
US20090059835A1 (en) 2009-03-05
WO2007116703A1 (ja) 2007-10-18
TW200746693A (en) 2007-12-16
CN101411094A (zh) 2009-04-15
EP2001146A4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245A (ko) 센트럴 노드, 기지국, 이동국 그리고 데이터 전송방법
US11930543B2 (en) Method of radio bearer transmission in dual connectivity
EP1505782B1 (en) Method for cell reselection for reception of packet data
EP2302969B1 (en) Method of handling mobility i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0776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within a basic service set
US7889689B2 (en) Supporting a switch between channels for a multicast transmission
EP3046383A1 (en) Capability extensions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MXPA05006107A (es) Aparato y metodo para controlar el acceso a una red de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2687439B (zh) 在多载波系统中支持e-mbs服务的装置和方法
CN112715054A (zh) 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和方法
EP3695642A1 (en) Management of bitrate for ue bearers
JP5355798B2 (ja) マルチキャリアシステムにおいてe−mbsサービスのためにキャリアスイッチング動作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8307321B (zh) Mbms数据传输方法、施主基站、中继节点及系统
US20220353642A1 (en) Dynamic Switch Between Multicast and Unicast for NR Multicast Service
CN115836538A (zh) 具有上行链路反馈的可靠多播传输
CN114390448A (zh) 组播传输的方法和设备
KR2007004964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US20230116092A1 (en) Reliable multicast transmission with compact protocol stack
US20230389128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20120076062A1 (en) Method, public land mobile network and base station entity
CN117440324A (zh) 一种测量配置的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