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077A -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077A
KR20090003077A KR1020070089081A KR20070089081A KR20090003077A KR 20090003077 A KR20090003077 A KR 20090003077A KR 1020070089081 A KR1020070089081 A KR 1020070089081A KR 20070089081 A KR20070089081 A KR 20070089081A KR 20090003077 A KR20090003077 A KR 2009000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ocation
profile
signatur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617B1 (ko
Inventor
알란 메세르
도린 쳉
유 송
스와루프 카라사푸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810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JP5390118B2/ja
Publication of KR2009000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친숙한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 현재 공간의 서명과 위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현재 공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현재 공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은 현재 공간에서 주지 자원의 예상 존재를 가리키는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련된 위치 인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관련된 가상 공간의 위치 인식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따르면, 공간(space)은 컨텐츠와 서비스들을 마련하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지털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컨텐츠 및 서비스는 총괄하여 자원(resource)으로 불린다. 자원은 공간 사이에 이동할 수도 있고 공간 안팎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공간은 물리 또는 가상일 수도 있다. 물리 공간은 전형적으로 물리적인 위치와 상호 연결되어 있고, 우편 주소를 가질 수도 있다. 가상 공간은 어떤 특정한 물리적인 위치와 일치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그것은 상호연결된 이름을 가질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위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물리 공간도 하나 이상의 가상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종래의 접근은 공간의 이름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비컨(beacon)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름은 공간을 인식하기 위하여 디바이스를 수신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이 접근은 물리 및 가상 공간 양쪽을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컨 브로드캐 스트를 이용하는 것은 중요한 모든 공간에서 비컨을 인스톨하고, 구성하고,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인프라서트럭처(infrastucture) 셋업(setup)과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소비가 많다.
공간 위치 인식에 대한 두 번째 종래의 접근은 전용 위치 서버(dedicated location server)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유지하고, 위치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서버에서 위치 정보를 액세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접근 역시 셋업과 유지에 비용이 많이 든다.
공간 위치 인식에 대한 세 번째 종래의 접근은 휴대폰 기지국의 식별자(Identification ; ID) 또는 위성 항법 디바이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사용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접근은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 달려있다. 더구나, GPS 수신기들은 실내에서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휴대폰 기지국을 사용하는 도시 지역들은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낮은 해상도를 제공한다.
공간 위치 인식에 대한 네 번째 종래의 접근은 현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신호의 세기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접근은 전력선으로부터의 신호와 WiFi, 블루투스,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들로부터의 신호 등등 다양한 신호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접근은 역시 위치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맵(map)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과 고 해상도로 공간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관계한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한 정보는 위치-인식 어플리케이션을 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주지한 공간에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고, 현재 공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고, 현재 공간의 서명과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주지한 공간에 대하여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고, 현재 공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고, 현재 공간에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예상 존재를 가리키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만약 이용가능하다면 물리적인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그러나 필요한 것은 아니다.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은 위치에 대한 입자성(granularity)의 다양한 레벨을 이끌어 내는 복수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위치-인식 어플리케이션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관점, 이점들은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청구항,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네트워크에 관계한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위치-인식 어플리케이션을 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치 정보는 낮은 비용으로 바람직한 입자성(granularity)의 변화하는 정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충분한 디테일(해상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는 공간에서 이미 이용가능한 서명(signature)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이끌어 냄으로써 결정된다. 서명은 물리적인 센서의 사용을 필요로 함이 없이, 그리고 위치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더 강화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공간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 또는 관심 객체를 추천) 입자성의 다양한 레벨에서 위치 정보를 이끌어내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용어의 간단한 설명이 먼저 제공된다. 클리이언트 디바이스는 휴대 또는 고정된 개인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CE(Consumer Electronics) 디바이스, 컴퓨터)이다. 공간은 컨텐츠 및 서비스를 마 련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 사이에서의 디바이스, 컨텐츠, 서비스는 총괄하여 공간에서의 자원이라고 부른다. 범용 단일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UUID)는 유일하게 모든 영역에서 자원을 식별한다.
아래의 예는 다른 공간에서 존재하는 전체 관점은 다르다는 관찰을 이용한다. 전체 관점은 디바이스 및 서비스와 같은 자원의 형태와 식별(예를 들어, URLs,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UUIDs), 자원들에 수행될 수 있는 작동(operation) 및 작동에 이용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전체 관점은 공간의 서명을 형성함으로써 획득된다.
공간 서명은 하나의 공간을 다른 공간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주지 공간(familiar space)" 용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사용자)에 의하여 방문의 횟수(빈도)가 임계치를 넘는 방문된 공간을 포함한다. 게다가, 위치 프로파일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위치와 상기 공간의 서명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하여 형성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위치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공간에 들어갈 때, 상기 공간의 자원이 주지 공간(familiar space) 하나의 서명과 유사하다는 충분히 높은 확신을 인식할 수 있다면, 서명과 상호 연결된 위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있는 현재의 위치일 것이다.
실시예는 아래에 제공되고, 먼저 두 실시예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검출 계산과 공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 검출 계산(예를 들어, 네트워크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의해서)의 양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첫 번째 실시예에서, 공간은 공간 자신의 서명을 계산하고 유지하며, 상기 서명과 위치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공간 자신의 위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프로파일을 은닉하고(예를 들어, 로컬 메모리 디바이스에 두고), 디바이스가 이동함으로서 현재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프로파일을 사용한다.
특히, 첫 번째 실시예는 위치 검출 계산에 대하여 공간의 서명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서명은 공간에서 자원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의해서 먼저 계산된다. 그 후에, 서명은 공간의 위치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간의 위치와 상호 연결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위치 프로파일을 은닉한다. 후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공간에 들어갔을 때, 은닉된 프로파일로부터 위치를 선택하고, 공간에서 도달가능한 자원에 도달하려고 시도하고, 도달가능한 자원을 이용하여 서명을 계산하고, 계산의 결과와 선택된 위치 프로파일에서의 서명을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는 선택된 서명과 상호 연결된 위치가 현재 위치인지 아닌지에 대한 확신 레벨(confidence)을 제공한다. 만약 확신 레벨이 낮다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은닉된 프로파일로부터 다른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확신 레벨이 높거나 위치가 만족스러울 정도로 결정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되풀이한다. 후자의 경우는 디바이스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어느 하나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공간에서 도달가능한 자원을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서명을 구성하는 예는 공 간에서 하나 이상의 자원을 제공하고, 공간에서 자원을 발견하는 모든 자원에 대하여 범용 단일 식별자(UUID)를 제공하고, 일련의 발견된 디바이스의 식별을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간 안팎으로 자원이 이동할 수 있음에 따라, 서명 구성은 서명에서 포함된 자원은 여전히 공간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상기 증명에 기초하여 현재 도달가능한 일련의 자원을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일련의 자원에서 자원의 식별을 이용하는 공간에 대하여 새로운 서명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명은 서명의 계획된 사용에 달려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명이 각각 고정되고 뚜렷한 특징(예를 들어, 홈(home) 및 일(work))을 가진 공간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도달가능한 자원의 인식의 해시 값(hash value)은 충분할 수 있다. 만약 반대로, 서명이 종종 변화하거나 공유된 도달 가능한 자원들(예를 들어, 사무실 대 연구실)을 가진 공간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원래 자원 인식의 리스트가 훨씬 적절하다. 게다가, 서명에 포함된 자원의 형태는 서명의 목적에 의하여 변한다. 예를 들어, 긴 범위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에 도달가능한 자원은 더 큰 인접 공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짧은 범위 네트워크(예를 들어, 블루투스)에 도달가능한 자원은 더 작은 공간을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서명은 가상 위치 또는 물리적인 위치 또는 양자 모두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는 공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을 위하여 공간의 서명을 이용하는 방법(process)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파일로부터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 프로파일의 서명에서 획득된 자원에 도달하려고 시도하고, 현재 도달가능한 자원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명을 계산하고, 유사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새로운 서명과 선택된 위치 프로파일의 서명의 유사성을 계산함으로써 현재 위치 정보를 이끌어낸다. 선택된 서명과 상호 연결된 위치 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현재 공간으로부터 공간 서명을 인출(fetch)하려고 시도하고, 위치 프로파일에서 저장된 서명과 상기 서명을 비교하고, (2) 만약 일치(match)가 있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현재 위치로서 일치된 프로파일에서 위치를 선택하고, 정지한다(또는 주기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동안 반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서명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1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공간(10)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2)와 같은 자원을 포함하고, 서명 생성부(14)는 공간(10)에 대한 서명을 결정하기 위하여 공간(10)에서 자원 인식을 사용한다. 또한 서명 생성부(14)는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하여 서명과 공간의 위치를 상호 연결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6)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18)을 은닉하고, 현재 공간의 서명과 저장된 위치 프로파일(18)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위치 정보를 이끌어낸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6)는 은닉된 프로파일로부터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려고 시도하고, 공간에서 도달가능한 자원에 도달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6)는 도달가능한 자원을 사용하는 서명을 계산하고, 계산의 결과와 선택된 위치 프로파일에서의 서명과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는 선택된 서명과 상호연결된 위치가 현재 위치인지 아닌지에 대한 확신 레벨(confidence level)을 나타낸다. 확신이 낮다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은닉된 프로파일로부터 다른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고 위치가 만족스럽게 결정되거나 또는 만족스러운 것이 없을 때까지 방법을 반복한다. 후자의 경우는 디바이스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어느 하나에도 있지 않다고 해석될 수 있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공간에서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공간 서명을 계산하고,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위치 인식에서 사용을 위한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서명을 저장한다. 위치 검출에 대한 방법은 공간이 서명을 제공한다고 가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하지도 않다. 대신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공간에서 공간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있는 각각의 공간의 서명을 계산하고,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을 인식하고,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위치 결정 방법은 (1)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2) 주지 작동(familiar operation)과 위치 프로파일에서 설명되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예를 들어,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check)하는 단계, (2) 검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에 부가하여, 공간의 위치 프로파일은 (1) 공간에서의 주지 디바이스/자원(familiar device/resource), (2) 공간에서 이용가능한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 (3) 공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특별한 작동(special operation) 및 (4) 공간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특정 통신 메카니즘/프로토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후에 위치 프로파일 파일에서 특별한 작동과 프로토콜은 얼마나 많은 주지 디바이스/서비스(familiar device/service)가 도달될 수 있는지 검사하고, 공간에서 얼마나 많은 특별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지 검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 유사성 계산의 예는 성공적인 검사의 수를 카운트(count)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현재 공간에서 도달가능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에서 위치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것으로서,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위치 프로파일들 중에서부터, 자원의 존재라는 관점으로 현재 공간에서 가장 많은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이 현재의 공간에 대하여 위치 정보로 선택된다.
그러한 검사하는 예는 (1) 하나 이상의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의 이름/ID를 핑(ping)하는 것과 같은 유명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의 존재를 검사, (2) "wget webpage_from_intranet"과 같은 유명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의 존재를 검사, (3) 범 용 플러그 앤 플레이(UPnP)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지 작동(familiar operation)을 검사(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특별한 허가로 텔레비전, 자동 전자 디바이스와 같은 자원에 액세스를 시작하게 할 수 있다)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경우에 있어서, 위치 프로파일은 차례차례 검사될 수 있다. 위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성공적인 검사의 수가 임계치를 넘자마자, 프로파일의 위치정보는 현재 위치로서 선택된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모든 위치 프로파일은 검사되고, 가장 성공적인 검사를 가지는 위치 프로파일이 선택된다. 그러나 다른 경우에 있어서, 모든 프로파일은 검사되고, 임계치는 설정된다. 오직 임계치를 넘어 가장 높게 성공적인 검사를 가진 프로파일만이 선택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모든 검사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는 위치 정보는 이끌어 나오지 않는다. 당업자가 인식가능한 경우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위치 프로파일을 검사하는 다른 방법은 가능하다.
공간 서명은 공간의 특징을 포착(capture)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공간 서명은 공간에서 자원을 포착하고, 공간을 인식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서 디바이스이다. 유사하게,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서 자원이다.
위치 인식 목적을 위해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공간 서명을 인식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역시 공간의 이름 또는 주소를 얻기 위하여, 공간 서명은 공간에 대하여 위치 정보와 상호 연결된다.
위치 프로파일은 클라이언트 부 개념(side concept)이다. 그것은 공간의 위 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구조적으로 위치 프로파일은 공간 서명과 상기 공간 서명과 상호연결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는 개별화될 수 있다.
또한 공간 서명은 계산될 수 있고 공간에 의해 스스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경우 클라이언트는 여전히 사용자가 매우 좋아하는 라벨링(libeling)을 위하여 개별화된 위치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위치 프로파일의 개념은 전체적으로 다르고, 다른 공간은 다른 정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공간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방문자에 의하여 생성된 모든 라벨을 유지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는 반면, 공간은 오직 물리적인 주소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와 디바이스(24)와 같은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2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는 공간(20)이 서명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또는 필요로 함이 없이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있는 공간의 서명을 계산하는 것 대신에,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을 인식하고,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공간(20)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위치 정보와 공간에서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 공간에서 이용가능한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 공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특별한 작동 및/또는 공간 사이에서 작동에 필요한 특정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는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하여 위치 프로파일(26)을 유지한다. 공간(20)으로 들어갈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는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의 전부 또는 부분과 주지 작동(familiar operation)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에 저장된 위치 프로파일(26)에서 설명된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는 검사된 디바이스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기초한 위치 프로파일(26)로부터 현재 위치 프로파일(28)을 선택한다.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앞서 공급되고, 사용자의 활동을 관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공간(20)에서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할 때, 아래에 기술되는 유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24)의 수를 검사하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시작한다. 디바이스(24)로부터 이들 검사에 대한 성공적인 응답은 위치 정보가 특정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같다는 것을 보증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 인트라넷(36), 인트라넷 서버(37) 및 데이타베이스(3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3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공간(30)은 서명을 가진다는 가정 없이 또는 필요로 하지 않고, 공간에서 자원을 검사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특별한 위치에서 이용가능한 서비스의 디테일(detail)을 포함하는 위치 프로파일(34)을 포함한다. 그러한 서비스의 예는 작업장, 작업장에서의 특별한 서버에서의 인트라넷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공간(30)에서 자원(36-38)으로 작동을 테스트함 으로써 검사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서버를 거쳐 "wget intranet_homepage"를 통해 인트라넷(36)으로부터 웹페이지를 얻고, 데이타베이스(38)에 액세스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작동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위에서 설명된 대로 비슷한 방식으로 확신에 기초한 위치 프로파일(34)로부터 현재 위치 프로파일(39)을 선택한다.
위치 프로파일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프로파일은 매뉴얼 적으로 설명될 수 있고 또는 시간에 걸쳐 디바이스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하여 학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방문된 공간(visited space)" 용어는 사용자(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방문한 공간으로서, 그러나 방문 빈도는 임계치 이하로서 정의된다. 현재 공간 서명 또는 디바이스의 존재의 검사 결과가 저장된 프로파일 어느 하나에도 일치 되지 않거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어떠한 저장된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현재 서명/검사 결과와 방문된 공간에 저장된 서명/검사 결과를 비교한다. 방문된 공간의 어느 하나도 현재 서명/검사 결과와 일치하지 않거나, 방문된 공간이 없다면, 디바이스는 방문된 공간에 서명/검사 결과를 저장하고, 방문 카운트를 1로 정하고, 정지한다(또는 주기적인 위치 확인을 위해 반복한다). 만약, 일치가 있다면, 디바이스는 방문 카운트를 하나씩 증가시킨다. 만약 카운트가 임계치를 넘는다면, 서명/검사 결과들은 방문된 공간에서 주지 공간(familiar space) 및 현재 위치로서 사용되는 서명/검사 결과와 상호 연결된 위치로 이동되고, 정지한다(또는 주기적인 위치 확인을 위해 반복한다).
제한된 저장용량을 가진 디바이스에서, 제한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수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제한은 방문된 공간의 수로 정해질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할 것이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른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두 구현은, 위치가 충분한 확신을 가지고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면, 네트워크에서 쿼리 피어(query peer)로서 위치 정보를 모으는 것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는 공간(20)이 서명을 가진다는 가정 없이 또는 필요함이 없이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공간(30)이 서명을 가진다는 가정 없이 또는 필요함이 없이 공간에서 자원을 검사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구현은 독립적으로 또는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공간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고, 방법(process)(40)에서 함께 사용하는 많은 방식의 하나를 나타낸다.
단계 42 : 시작.
단계 44 : 공간 서명 획득.
단계 46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위치 프로파일(47)을 비교.
단계 48 : 임계치 이상? 만약, 이상이라면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 49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50으로 이동.
단계 50 : 공간에서 주지(familiar) 디바이스 검사.
단계 52 : 공간에서 주지(familiar) 서비스 검사.
단계 54 : 공간에서 주지(familiar) 작동을 검사.
단계 56 : 임계치 이상? 만약 이상이라면 위치가 결정되는 단계 58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60으로 이동.
단계 60 :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중 어떤 하나가 현재 공간의 위치를 아는지 결정하기 위해서, 공간에서, 만약 있다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피어; peer)에 메세지를 보냄.
단계 62 : 하나 이상의 위치가 피어에 의해 인식될 때, 피어에 의해 인식되는 위치의 수가 임계치 이상? 만약 이상이라면 단계 66으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64로 이동.
단계 64 : 종래의 위치 결정 방법과 같은, 다른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 정지.
단계 66 : 하나 이상의 위치가 피어에 의해 인식될 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피어의 가장 높은 수에 의해 받은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공간의 위치 결정. 정지.
단지 주지(familiar) 디바이스, 서비스 및 작동의 검사 순서가 변함에 따라 많은 변화가 존재한다. 또한 여러 변화는 방법의 순서가 변화하는 것과 피어에게 요구하는 것의 결과이다. 게다가, 비록 상기 실시예의 얼마간이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고정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는 무선 링크 또는 다른 링크를 통해서 공간에서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그런 통신을 위한 통신부(72)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5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관계하여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메모리(74)와 같은 저장 소자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하여 위치 검출과 인식의 단계를 수행하는 위치 검출부(76)(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 특정 회로 어플리케이션)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방문된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주지(familiar) 공간 및 주지(familiar) 디바이스/자원에 대하여 위치 프로파일(78)을 유지하는 프로파일 생성부(77)를 포함한다. 위치 프로파일(78)은 메모리(74)에 저장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현재 공간의 서명을 결정하기 위한 (도 1 또는 여기에 기술된 다른 방법에서 공간 서명 생성부(14)와 유사한) 서명 생성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프로파일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에 의한 액세스를 위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에 대해 외부에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프로파일 생성부(77)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70)는 키보드, 디스플레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서(UI)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전술한 예시 아키텍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될 프로그램 명령, 논리 회로, ASIC, 펌웨어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기술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어떤 바람직한 버전과 관련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다른 버전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의 진의와 범위는 여기의 바람직한 버전의 기술에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서명에 기초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1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2)와 디바이스(24)와 같은 자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2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 인트라넷(36), 인트라넷 서버(37) 및 데이타베이스(3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공간(30)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위치 결정에 대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블럭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Claims (59)

  1. 공간에서의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의해 방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단계; 및
    현재 공간의 서명을 상기 위치 프로파일과 비교함으로써, 현재 공간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문된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가리키는 일치(match)에 대하여 상기 방문된 공간의 상기 위치 프로파일과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의 상기 서명을 인출(fetch)하는 단계;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서명과 상기 서명을 비교하는 단계; 및
    일치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로서 상기 일치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자원들에 대하여 인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공간에서 자원들을 발견하는 단계; 및
    상기 일련의 발견된 자원들의 인식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서 모든 자원에 대하여 인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공간에서 모든 자원에 대하여 범용 단일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UUID) 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컨텐츠 및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상호연결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된 공간은 적어도 한번 이상 디바이스에 의하여 방문된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은 디바이스에 의해 복수 회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고, 방문 횟수는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방법.
  13.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자원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단계;
    현재 공간에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예상 존재(probable presence)를 가리키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공간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생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은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서 설명된 주지 작동 및 프로토콜(familiar operation 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한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한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의 존재에 의하여 다수의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한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존재에 의하여 임계치 이상인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각각의 위치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공간에서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
    상기 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
    상기 공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특별한 작동(special operation); 및
    상기 공간 사이에서 작동을 필요로 하는 특정 통신 프로트콜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복수 회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고, 방문 횟수는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생성 방법.
  24. 공간에서의 위치 인식을 위한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프로파일을 얻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생성부;
    현재 공간에 대하여 서명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서명 생성부;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과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 검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생성부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주지(familiar)한 공간에 대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가리키는 일치(match)에 대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과 상기 주지 공간(familiar space)의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비교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을 인출(fetch)하고,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서명들과 상기 서명을 비교하고, 일치(match)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로서 상기 일치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위치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생성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자원을 발견하고, 일련의 발견된 자원의 인식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원은 모든 자원에 대하여 범용 단일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UU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컨텐츠 및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상호 연결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복수 회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고, 방문 횟수는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시스템.
  36. 공간에서의 위치 인식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프로파일을 얻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생성부; 및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과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 검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생성부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주지(familiar)한 공간에 대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 이스.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을 인출(fetch)하고,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서명들과 상기 서명을 비교하고, 일치(match)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로서 상기 일치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위치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의 서명을 인출(fetch)하고,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 저장된 서명들과 상기 서명을 비교하고, 일치(match)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로서 상기 일치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위치를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0. 제 36 항에 있어서,
    현재 공간에 대하여 서명을 얻도록 구성되는 서명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명 생성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자원을 발견하고, 일련의 발견된 자 원의 인식을 사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서명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원은 모든 자원에 대하여 범용 단일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UU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컨텐츠 및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4.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서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공간의 상호 연결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6.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주지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복수 회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고, 방문 횟수는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49. 위치 인식 디바이스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주지(familiar)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프로파일을 얻고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로파일 생성부; 및
    상기 현재 공간에서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예상 존재(probable presence)를 가리키는 위치 프로파일에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위치 검출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 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프로파일은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위치 프로파일에서 설명된 주지 작동 및 프로토콜(familiar operation and protocol)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하여 검사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서 상기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의 전체 또는 부분의 존재에 대한 검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 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의 존재에 의하여 다수의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5.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현재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하여, 상기 현재 공간에서 존재에 의하여 임계치 이상인 주지 자원(familiar resource)을 설명하는 위치 프로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현재 공간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6.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위치 프로파일은 주지 공간(familiar space)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대한 각각의 위치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 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공간에서 주지 디바이스(familiar device);
    상기 공간에서 이용 가능한 주지 서비스(familiar service);
    상기 공간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특별한 작동(special operation); 및
    상기 공간 사이에서 작동을 필요로 하는 특정 통신 프로트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8.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주지(familiar)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하여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주지(familiar)한 공간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서 복수 회 방문된 공간을 포함하고, 방문 횟수는 임계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인식 디바이스.
KR20070089081A 2007-04-16 2007-09-03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47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1624A JP5390118B2 (ja) 2007-04-16 2008-04-09 位置認識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87,464 2007-04-16
US11/787,464 US8055762B2 (en) 2007-04-16 2007-04-16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identif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077A true KR20090003077A (ko) 2009-01-09
KR101478617B1 KR101478617B1 (ko) 2015-01-05

Family

ID=3985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89081A KR101478617B1 (ko) 2007-04-16 2007-09-03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5762B2 (ko)
KR (1) KR101478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0092B2 (en) * 2000-07-06 2009-02-10 Streamsage, Inc. Method and system for indexing and searching timed media information based upon relevance intervals
US8042132B2 (en) 2002-03-15 2011-10-18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content
US8365230B2 (en) 2001-09-19 2013-01-29 Tvworks, Llc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applications
US7703116B1 (en) 2003-07-11 2010-04-2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applications that blend programming information of on-demand and broadcast service offerings
US8220018B2 (en) 2002-09-19 2012-07-1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ferred placement programming of iTV content
US11381875B2 (en) 2003-03-14 2022-07-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Causing display of user-selectable content types
US8578411B1 (en) 2003-03-14 2013-11-05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V application behaviors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 profile filters
US8819734B2 (en) 2003-09-16 2014-08-26 Tvworks, Llc Contextual navigational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US7818667B2 (en) 2005-05-03 2010-10-19 Tv Works Llc Verification of semantic constraints in multimedia data and in its announcement, signaling and interchange
US8055762B2 (en) 2007-04-1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identification
US7921218B2 (en) 2007-06-15 2011-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pace signature
JP4334602B1 (ja) * 2008-06-17 2009-09-30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832024B2 (en) 2008-11-20 2023-11-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ideo and video-related content at sub-asset level
US8713016B2 (en) 2008-12-24 2014-04-29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segments of media assets and determining relevance of segments to a query
US20100161441A1 (en) * 2008-12-24 2010-06-24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at the sub-asset level
US9442933B2 (en) 2008-12-24 2016-09-13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Identification of segments within audio, video, and multimedia items
US11531668B2 (en) * 2008-12-29 2022-12-20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Merging of multiple data sets
US8961619B2 (en) 2009-01-06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based system permissions and adjustments at an electronic device
US8176043B2 (en) * 2009-03-12 2012-05-08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Ranking search results
US20100241690A1 (en) * 2009-03-20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Component and dependency discovery
US20100250614A1 (en) * 2009-03-31 2010-09-30 Comcast Cable Holdings, Llc Storing and searching encoded data
US8533223B2 (en) 2009-05-12 2013-09-10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Disambiguation and tagging of entities
US9892730B2 (en) * 2009-07-01 2018-02-13 Comcast Interactive Media, Llc Generating topic-specific language models
US8423555B2 (en) 2010-07-09 2013-04-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tomatic segmentation of video
US9823078B2 (en) * 2010-12-23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maps of private spaces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 sensors
US10467289B2 (en) 2011-08-02 2019-11-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gmentation of video according to narrative theme
US8302152B1 (en) * 2012-02-17 2012-10-30 Google Inc. Location-based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169891A1 (en) * 2012-06-08 2015-06-18 Dstillery,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to related compute devices based on obfuscated location data
US10880609B2 (en) 2013-03-1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event messaging
US11783382B2 (en) 2014-10-22 2023-10-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metadata
KR102400014B1 (ko) 2014-12-26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데이터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94507B2 (en) 2016-02-17 2018-02-13 Ca, Inc. Automatic data exchange between peer devices
US10367813B2 (en) * 2016-09-30 2019-07-30 Mcafee, Llc Distributed authentication with thresholds in IoT devices
US10820141B2 (en) * 2018-11-16 2020-10-27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privacy-respectful and personalized location-based comments based on passenger context and vehicle proximity to the location
US10805182B2 (en) * 2018-12-04 2020-10-13 Sap Se Provisioner disaster-recovery framework for platform-as-a-service offering
US11470162B2 (en) * 2021-01-30 2022-10-11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Intelligent configuration of personal endpoi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249B1 (ko) * 1992-06-12 1995-09-12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이력관리기법에 의한 이동체의 위치관리방법
US7237240B1 (en) * 2001-10-30 2007-06-26 Microsoft Corporation Most used programs list
US20030100307A1 (en) * 2001-11-27 2003-05-29 Intel Corporation Automatic service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US7139820B1 (en) * 2002-02-26 2006-11-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in relation to a target device
US7221939B2 (en) * 2002-08-16 2007-05-22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mobile device profiles
US7263560B2 (en) * 2002-08-30 2007-08-28 Sun Microsystems, Inc. Decentralized peer-to-peer advertisement
US7213057B2 (en) * 2004-03-31 2007-05-01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configuration of notebook computer based on location
US7509131B2 (en) * 2004-06-29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using wireless signal strengths
US7444360B2 (en) * 2004-11-17 2008-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storing and using metadata in multiple storage locations
US7340686B2 (en) * 2005-03-22 2008-03-04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program launch menu search
WO2007036737A1 (en) * 2005-09-30 2007-04-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nformation based on location and activity of a user
US20070134641A1 (en) * 2005-12-08 2007-06-14 Mobicom Corporation Personalized content delivery
US7610483B2 (en) * 2006-07-25 2009-10-2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accelerate identification of hardware platform classes
US7706811B2 (en) * 2006-09-19 2010-04-27 Broadphone Llc Signal comparison-based location determining method
US8055762B2 (en) 2007-04-16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identification
US7921218B2 (en) * 2007-06-15 2011-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space sign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617B1 (ko) 2015-01-05
US20080256097A1 (en) 2008-10-16
US8055762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617B1 (ko)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US93511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cation changes and monitoring assistance data via scanning
TWI477169B (zh) 用於提供位置察知資源定位器模型之方法與系統、計算裝置及電腦可讀儲存媒體
US8126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wireless access points
US10390173B2 (e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and using associations between location profiles and beacon profiles
KR101627544B1 (ko) 와이파이 신호 맵 구축 장치 및 방법
EP2936189B1 (e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user terminal
Di Flora et al. Indoor and outdoor location based services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JP4979813B2 (ja) 端末装置の位置を測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4349275B (zh) 被应用于基于服务器的定位系统的定位数据库管理
EP2854378B1 (en) Method, device and network equipment for acquiring feature information
WO2014130958A1 (en) Identifying computer devices in proximity to a given origin
WO20090291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wireless access points
EP3228148A1 (en) Beacon addressing
KR101460157B1 (ko) 공간 서명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papostolou et al. Scene analysis indoor positioning enhancements
US20140244167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location correction cache
Meneses et al. Radio maps for fingerprinting in indoor positioning
JP5390118B2 (ja) 位置認識方法及びシステム
di Flora et al.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simple WiFi positioning
di Flora et al. Indoor positioning for location-aware applications on Java-based mobile devices
Law A framework for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