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816U - 천장등 - Google Patents

천장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816U
KR20090002816U KR2020070015491U KR20070015491U KR20090002816U KR 20090002816 U KR20090002816 U KR 20090002816U KR 2020070015491 U KR2020070015491 U KR 2020070015491U KR 20070015491 U KR20070015491 U KR 20070015491U KR 20090002816 U KR20090002816 U KR 20090002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ceiling
decorative member
patter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윤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정인윤
김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윤, 김태완 filed Critical 정인윤
Priority to KR2020070015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816U/ko
Publication of KR20090002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1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실내의 천장(天障)에 설치되어 조명(照明)으로 사용하는 천장등(天障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소켓부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측으로 투광커버가 결합형성되어지되, 바디프레임은 상부링과 하부링에 다수의 연결브리지가 환형으로 결합형성되어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와 문양 공간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에는 연결링이 형성되고 바디프레임의 내측으로 투광부재가 부착형성되며 바디프레임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부재가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의 연결링의 내측으로 투광부재와 보울트결합되는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에 의하면 바디프레임 자체에 특별한 문양과 장식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 투광의 효과도 있어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천장등, 바디프레임, 문양, 장식부재

Description

천장등{A ceiling light}
본 고안은 건물 실내의 천장(天障)에 설치되어 조명(照明)으로 사용하는 천장등(天障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소켓부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측으로 투광커버가 결합형성되어지되, 바디프레임은 상부링과 하부링에 다수의 연결브리지가 환형으로 결합형성되어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와 문양 공간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에는 연결링이 형성되고 바디프레임의 내측으로 투광부재가 부착형성되며 바디프레임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부재가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의 연결링의 내측으로 투광부재와 보울트결합되는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등이라 함은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하거나 실내의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등은 그 모양과 형상이 매우 다양하고 사용장소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주거문화의 고급화로 인해서 실내 인테리어를 구성 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므로 보다 아늑하고 우아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 장식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천장등은 대개의 경우 램프를 끼울 수 있는 소켓부가 있는 본체와 이를 보호하고 덮어주는 투광커버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천장등의 본체는 단순히 소켓부를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고 특별한 문양이나 형상을 갖지 못하는 것이어서 본체 자체는 독특한 장식효과나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장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프레임 자체에 특별한 문양과 장식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 투광의 효과도 있어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천장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소켓부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하측으로 투광커버가 결합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부링과 하부링에 다수의 연결브리지가 환형으로 결합형성되어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와 문양 공간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에는 연결링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으로 투광부재가 부착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의 연결링(15)의 내측으로 상기 투광부재와 보울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 공간부는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1
"와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2
"의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에 의하면 바디프레임 자체에 특별한 문양과 장식부재가 형성될 수 있고 투광의 효과도 있어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상부에 소켓부(4)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1)의 하측으로 투광커버(3)가 결합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디프레임(1)은 상부링(11)과 하부링(12)에 다수의 연결브리지(13가 환형으로 결합형성되어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와 문양 공간부(16)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에는 연결링(14)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1)의 내측으로 투광부재(2)가 부착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부재(18)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의 연결링(15)의 내측으로 상기 투광부재(2)와 보울트결합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와 문양 공간부(16)는 상기 연결브리지(13)와 상기 연결브리지(13) 사이의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문양 공간 부(16)에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17, 17'))이 상기 연결브리지(13)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에 형성되는 연결링(14)의 부분에는 단추, 볼(Ball)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의 장식부재(18)가 결합형성되게 되므로 원하는 형상의 장식부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천장등 본체 자체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과 장식이 형성됨으로써 소켓부의 보호기능만을 하는 종래의 천장등과는 달리 보다 다양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1)의 내측으로 투광부재(2)가 부착형성되는데, 이에 의하면 상기 바디프레임(1) 자체에 형성되는 상기 문양(17, 17')과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에 형성되는 상기 다양한 형상의 장식부재(18)에 상기 소켓부(4)의 램프(5)의 불빛이 상기 투광부재(2)를 통하여 밖으로 투광되어 반사됨으로써 상기 문양(17, 17')과 상기 장식부재(18)가 보다 아늑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문양 공간부(16)에 형성되는 상기 바디프레임(1) 자체에는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3
"와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4
"의 문양(17, 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양 공간부(16)에 형성되는 상기 문양(17, 17')과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링(14)은 상기 연결브리지(13), 상기 상부링(11), 상기 하부링(12)에 접하는 부분이 서로 용접결합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양 공간부(16)에 형성되는 상기 문양(17, 17')과 상기 연결링(14)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독특한 문양을 가지는 바디프레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광부재(2)와 상기 장식부재(18)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바디프레임 자체만으로도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4 내지 도5는 각각 상기 두 가지 문양(17, 17')의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을 실내의 천장면에 설치한 참고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바디프레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바디프레임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소켓부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의 평면도.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참고사용상태도1.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등의 참고사용상태도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디프레임 11. 바디프레임의 상부링
12. 바디프레임의 하부링 13. 바디프레임의 연결브리지
14. 바디프레임의 연결링 15.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
16. 문양 공간부 17, 17'. 문양
18. 장식부재 2. 투광부재
3. 투광커버 4. 소켓부
5. 램프

Claims (3)

  1. 천장등에 있어서,
    상부에 소켓부(4)를 포함하는 바디프레임(1)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1)의 하측으로 투광커버(3)가 결합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디프레임(1)은 상부링(11)과 하부링(12)에 다수의 연결브리지(13)가 환형으로 결합형성되어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와 문양 공간부(16)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에는 연결링(14)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프레임(1)의 내측으로 투광부재(2)가 부착형성되며 상기 바디프레임(1)의 외측으로 다수의 장식부재(18)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 공간부(15)의 연결링(15)의 내측으로 상기 투광부재(2)와 보울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공간부(16)는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5
    "와 같은 문양(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공간부(16)는 "
    Figure 112007067268134-UTM00006
    "와 같은 문양(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등.
KR2020070015491U 2007-09-17 2007-09-17 천장등 KR200900028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91U KR20090002816U (ko) 2007-09-17 2007-09-17 천장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91U KR20090002816U (ko) 2007-09-17 2007-09-17 천장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16U true KR20090002816U (ko) 2009-03-20

Family

ID=4365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491U KR20090002816U (ko) 2007-09-17 2007-09-17 천장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8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7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인테리어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117B1 (ko) * 2022-08-03 2023-03-17 주식회사 디자인쉐어랩 인테리어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3781S1 (en) Volumetric downlight light fixture
USD641520S1 (en) LED downlight with trim and spacers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KR20090002816U (ko) 천장등
KR200460316Y1 (ko) 천장 직착식 led 조명장치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USD578238S1 (en) Lighting fixture
CN205090243U (zh) 多功能驳岸栏杆
KR200391541Y1 (ko)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한 조명커버 착탈구조를 갖는조명등
CN205592880U (zh) 一种具有投影功能的投影灯
KR100715285B1 (ko) 엘이디 장식조명등
KR100660439B1 (ko) 장식용 조명기구의 전등커버
CN216744041U (zh) 一种灯杯组合式的led射灯
KR200450929Y1 (ko) 천장등
CN211822022U (zh) 一种吸音灯
KR20100004772U (ko) 조명등 케이스
JP2008098031A (ja) 建物の外壁照明装置および外壁化粧パネル
KR200386149Y1 (ko) 조명등용 전등갓
KR200393289Y1 (ko) 천정 등기구
KR200433275Y1 (ko) 이중 커버를 구비한 조명등
JP6792469B2 (ja) 照明器具を備えた建材
KR200449062Y1 (ko) 천장등용 장식구.
KR101778000B1 (ko) 칵테일 잔 형태로 된 장식 조명등
KR20090001143U (ko) 천장등
KR200444967Y1 (ko) 천장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