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600U - 외과 수술용 베개 - Google Patents

외과 수술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600U
KR20090002600U KR2020070015156U KR20070015156U KR20090002600U KR 20090002600 U KR20090002600 U KR 20090002600U KR 2020070015156 U KR2020070015156 U KR 2020070015156U KR 20070015156 U KR20070015156 U KR 20070015156U KR 20090002600 U KR20090002600 U KR 20090002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surgical
pillow
neck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3913Y1 (ko
Inventor
박난희
Original Assignee
박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난희 filed Critical 박난희
Priority to KR2020070015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91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6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1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Upper body, e.g.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3/00Operating tables; Auxiliary appliances therefor
    • A61G13/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3/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 A61G13/120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patient-supporting surfa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G13/1225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과 수술용 베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후부나 흉부 에 대한 외과 수술에 있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과 수술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의 박엽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증대된 높이의 경사 평활면을 갖는 흉부 재치부(在置部)와; 상기한 흉부 재치부의 타측에 인접한 마루부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와; 상기한 마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양 어깨부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로 형성되는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흉부 재치부와 목 재치부,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가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되며, 본 고안에 따른 외과 수술용 베개는 우수한 압력 분산성과 원형 복원력을 가지므로 목부나 흉부에 대한 외과 수술 시 두부를 편안하게 지지 고정함과 더불어 목부와 흉부 상측을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수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가 있으며, 또한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낮은 오염성과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방지성 및 높은 세정성 및 내약품성을 나타낸다.
베개, 외과수술, 두부 고정 받침, 라텍스, 폴리우레탄, 발포

Description

외과 수술용 베개{PILLOW FOR SURGERY OPERATION}
본 고안은 외과 수술용 베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후부나 흉부 에 대한 외과 수술에 있어 수술 보조 용구로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과 수술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외과 수술 시 사용되는 베개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원형이거나 또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베갯속은 미생물 오염의 문제를 고려하여 볏짚이나 조, 왕겨 등과 같은 천연물 대신에 천연 또는 합성 수지재의 중실형(中實形) 또는 중공형(中空形) 미소 입방체를 사용하며 베개 커버는 혈액이나 체액으로 인한 오염 방지 및 용이한 세정성, 그리고 내약품성 부여를 위하여 발포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C)나 발포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인조 피혁 소재로 만들어지고 통상의 경우 별도의 베갯잎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외과 수술용 베개는 혈액이나 체액, 또는 미생물 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세정이 용이한 소재로 만들어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그 형태가 종래의 베개와 대동소이한 형태로서 환자의 머리를 받쳐 주는 기능을 수행할 뿐, 외과 수술 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술 보조 용구로서의 기능은 갖고 있지 못하였다.
한편, 근자에 이르러 라텍스(latex) 베개,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를 이용한, 소위 '메모리 폼(memory foam)'이라 불려지는 베갯속이 없는 베개가 쾌적한 숙면을 위한 가정용 침구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여기서, 라텍스 베개는 천연고무, 또는 스티렌 부타딘엔 고무나 이소프렌 고무와 같은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천연 고무를 이용한 라텍스는 탄성이 높고 자연 소재로서 인체 친화적이나 고가이고, 저온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스티렌 부타딘엔 고무를 이용한 라텍스나 석유 추출 정제 과정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이소프렌 고무를 이용한 라텍스는 생산성이 높고 저렴하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따라서 가정용 침구로서 제작되는 라텍스 베개는 대개 천연고무와 합성 고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 소위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제작된 베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탄성도를 낮춤으로써 베개멀미를 방지하고 높은 안락감을 나타내며 형태 복원성이 우수하고, 각종 항균성 작용기(funtional group)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라텍스 베개나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이용한 베개는 커팅 또는 성형에 의해 원하는 인체공학적 형태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가 있으며 탁월한 압력 분산성과 원형 복원성을 나타내므로 편안한 숙면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어느 것도 갑상선 수술이나 유방암 수술 등과 같은 목부나 흉부에 대한 외과 수술 시 두부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고정시킴과 더불어 목부와 흉부 상측을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돌출시킴으로써 수술이 용이하게 되도록 보조할 수 있는 형태의 베개는 현재까지 전혀 알려져 있는 바 없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목부나 흉부에 대한 외과 수술 시 두부를 편안하게 지지 고정함과 더불어 목부와 흉부 상측을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수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보조하기 위한 외과 수술용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더하여 우수한 압력 분산성과 원형 복원력을 갖는 외과 수술용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낮은 오염성과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방지성 및 높은 세정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 외과 수술용 베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일측의 박엽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증대된 높이의 경사 평활면을 갖는 흉부 재치부(在置部)와; 상기한 흉부 재치부의 타측에 인접한 마루부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와; 상기한 마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양 어 깨부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로 형성되는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흉부 재치부와 목 재치부,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가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 고정 받침부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의 양단이 각각 환형 만곡 측부를 개재(介在)하여 곡면 돌출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한 곡면 돌출 단부 사이에는 개방 단부가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한 흉부 재치부와 목 재치부,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전체 길이가 30~70cm, 일반적으로는 40~60cm, 특정하게는 약 50cm이고, 흉부 재치부 길이: 목 재치부 길이: 두부 고정 받침부 길이=1:0.01~0.3: 0.5~1의 비율이며, 전체 길이: 마루부 높이: 흉부 재치부의 너비=1: 0.20~0.35: 0.5~1.0의 비율이고, 두부 고정 받침부의 길이: 반원형 경사 곡면부의 가장 넓은 직경=1:0.5~0.8의 비율인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로 형성된 외과 수술용 베개의 외표면에 내오염성 및 내약품성, 그리고 세정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호 코팅층이 피복되어 있는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세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보호 코팅층이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플루오르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群)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외과 수술용 베개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외과 수술용 베개는 우수한 압력 분산성과 원형 복원력을 가지므로 목부나 흉부에 대한 외과 수술 시 두부를 편안하게 지지 고정하여 받침과 더불어 목부와 흉부 상측을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수술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가 있으며, 또한 혈액이나 체액에 의한 낮은 오염성과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방지성 및 높은 세정성 및 내약품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시된 외과 수술용 베개(1)는 일측의 박엽 단부(12)로부터 연속적으로 증대된 높이의 경사 평활면(11)을 갖는 흉부 재치부(在置部)(10)와, 상기한 흉부 재치부(10)의 타측에 인접한 마루부(21)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20)와, 상기한 마루부(2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양 어깨부(36)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31)로 형성되는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흉부 재치부(10)와 목 재치부(20),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30)는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두부 고정 받침부(30)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의 양단이 각각 환형 만곡 측부(33)를 개재(介在)하여 곡면 돌출 단부(34)로 연결되고, 상기한 곡면 돌출 단부(34) 사이에는 개방 단부(35)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락감 증진 및 두부(頭部) 지지 고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의 양 측면은 두부 고정 받침부(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경계부(37)를 기준으로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2개의 하측면(13)과 테이퍼 형상으로 너비가 감소되게 수렴하는 2개의 상측면(38)으로 구분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테이퍼 형상은 지지되는 두부의 양 측면에 대한 탄성력을 약간 저감시키게 됨으로써 두부에 대한 확실한 고정 효과를 나타내게 되나, 이는 본 고안에 있어 선택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편의상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의 사용 상태 예시도인 도 4를 상기한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면, 흉부나 목부의 수술이 필요한 환자의 흉부 배면인 등 부분은 경사 평활면(11)을 갖는 흉부 재치부(10) 상에 반듯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지지되는 한편, 목 뒷부분은 마루부(21)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20)에 놓여지고, 두부(頭部)의 뒷부분은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30)의 양 어깨부(36)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31)의 곡면 상에 편안하고 안락하게 놓여지며, 정수리에 인접한 뒷부분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환형 만곡 측부(33)를 개재(介在)하여 형성되는 곡면 돌출 단부(34)와 그 사이의 개방 단부(35)에 의하여 편안하게 받쳐지며, 결과적으로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와, 환형 오목부(31), 환형 만곡 측부(33), 곡면 돌출 단부(34), 그리고 개방 단부(35)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두부(頭部)가 안락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 지지됨과 아울러, 수술 대상 부위인 목이나 상측 흉부는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편안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예 외에, 목 뒷부분이나 상층 등 부분에 대한 수술이 필요할 경우에는 도시된 예와는 반대로, 환자의 등부 배면인 흉부가 직접 경사 평활면(11)을 갖는 흉부 재치부(10) 상에 접하여 반듯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지지되는 한편, 목 옆부분은 마루부(21)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20)에 놓여지고, 턱의 일부 측면 부분이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30)의 양 어깨부(36)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32) 상측에 걸린 상태로 놓여지며, 두부의 옆 부분이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31)의 곡면 상에 편안하고 안락하게 놓여지며, 정수리에 인접한 측면의 뒷부분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환형 만곡 측부(33)를 개재(介在)하여 형성되는 곡면 돌출 단부(34)와 그 사이의 개방 단부(35)에 의하여 편안하게 받쳐지며, 결과적으로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와, 환형 오목부(31), 환형 만곡 측부(33), 곡면 돌출 단부(34), 그리고 개방 단부(35)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두부(頭部)가 안락하면서도 확실하게 고정 지지됨과 아울러, 수술 대상 부위인 목 뒷부분이나 옆 부분, 그리고 상측 등 부분은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편안하게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가 흉부 재치부(10)와 목 재치부(20),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30)으로 형성됨을 나타내며, 그 구조는 도 1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본 고안에 대한 이해 증진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흉부 재치부(10)의 일측 단부를 이루는 박엽 단부(12)는 그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등 부분에 대한 편안감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그 높이는 0.1~0.5c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경사 평활면(11)은 상기한 일측의 박엽 단부(12)로부터 높이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흉부 및 목 부분이 상방으로 편안하게 들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목 재치부(20)를 형성하는 마루부(21)는 호형(弧形)으로 할 수도 있으나, 목 부분에 대한 편안감 증대를 위하여 평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30)의 측선은 어깨부(36)로부터 반원형 경사 곡면부(32)를 거쳐 환형 만곡 측부(33)로 연장된 다음, 곡면 돌출 단부(34)로 이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7은 측면 경계부를, 13은 하측면, 38은 상측면을 나타냄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로서, 두부 고정 받침부(30)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한 두부 고정 받침부(30)는 양측 상방의 어깨부(36) 사이의 중앙 공간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반원형 경사 곡면부(32)가 형성되고 그 최저점 부분에 환형 만곡부(31)가 형성되며 상기한 어깨부(36)로부터 연장된 부분은 하방으로 곡선상으로 경사지게 이어져 환형 만곡 측부(33)를 형성한 다음 다시 상향으로 곡선상으로 돌출된 곡면 돌출 단부(34)를 형성하며, 곡면 돌출 단부(34) 사이에는 그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개방 단부(35)가 형성되나, 상기한 환형 만곡 측부(33)나 곡면 돌출 단부(34)는 본 고안에 있어 선택적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8은 상측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과 수술용 베개의 치수는 임의적인 것으로서, 환자의 연령, 성별, 체격 등을 고려하여 저겆ㄹ한 크기로 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사항을 언급하면, 흉부 재치부(10)와 목 재치부(20),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30)로 이루어지는 전체 길이가 30~70cm, 일반적으로는 40~60cm, 특정하게는 약 50cm이고, 흉부 재치부(10) 길이: 목 재치부(20) 길이: 두부 고정 받침부(30) 길이=1:0.01~0.3: 0.5~1의 비율이며, 전체 길이: 마루부(21) 높이: 흉부 재치부(10)의 너비=1: 0.20~0.35: 0.5~1.0의 비율이고, 두부 고정 받침부(30)의 길이: 반원형 경사 곡면부(32)의 가장 넓은 직경=1:0.5~0.8의 비 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는 천연 라텍스, 합성 라텍스, 또는 천연 및 합성 혼합 라텍스, 또는 당업계 공지의 소위 '메모리 폼'이라 칭하여지는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한 라텍스 또는 저탄성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를 이용한 베개 성형은 공지로서 관용화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는 표면 오염 문제 및 세정 용이성 문제, 그리고 자외선에 의한 경시적 황변 현상에 따른 미관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인조 피혁 소재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비발포 또는 저발포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베갯잎(미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베갯잎은 양방이 개방된 통상적인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포대 형상으로 되고 일측에 지퍼나 지퍼 백 분야에 관용되는 통상의 오목돌출형 끼워맞춤부를 갖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1)가 상기한 바와 같은 베갯잎을 사용할 필요 없이 그 외표면에 내오염성 및 내약품성, 그리고 세정 용이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호 코팅층(미도시)을 직접 피복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것이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보호 코팅층은 고탄성, 내오염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 세정용, 바람직하게는 내황변성을 갖는 것이라면 공지된 임의의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나, 그 바람직한 예로서는 비발포 또는 저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저발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플루오르 수 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를 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저면은 내구성 및 경질성을 갖는 저발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나 아크릴 수지로, 그리고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지로 피복한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플루오르 수지의 예로써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 비닐, 삼플루오르화 에틸렌, 플루오르화 비닐리덴, 육플루오르화 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성 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는, 상품명 '테플론'(Du Pont사 제), '플루온' (ICI사 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보호 코팅층은 침적법, 스프레이법, 스핀 코팅법 등에 의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를 이루는 소재와 보호 코팅층 의 이종(異種) 수지 간의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나 라텍스 수지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한 후 초고속 순간 경화 스프레이법을 이용하여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보호 코팅층의 두께는 사용 시 파단(破斷)의 문제를 고려하여 100㎛~5000㎛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500~2000㎛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는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외과 수술용 베개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외과 수술용 베개
10: 흉부 재치부(在置部)
11 : 경사 평활면 12 : 박엽(薄葉) 단부
13 : 하측면
20: 목 재치부 21: 마루부
30: 두부 고정 받침부
31: 환형 오목부 32: 반원형 경사 곡면부
33 : 환형 만곡 측부 34: 곡면 돌출 단부
35 : 개방 단부 36: 어깨부
37: 측면 경계부 38: 상측면

Claims (8)

  1. 일측의 박엽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증대된 높이의 경사 평활면을 갖는 흉부 재치부(在置部)와;
    상기한 흉부 재치부의 타측에 인접한 마루부로 형성되는 목 재치부와;
    상기한 마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양 어깨부 사이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와 상기한 반원형 경사 곡면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형 오목부로 형성되는 두부(頭部) 고정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흉부 재치부와 목 재치부,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가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 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두부 고정 받침부의 반원형 경사 곡면부의 양단이 각각 환형 만곡 측부를 개재(介在)하여 곡면 돌출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한 곡면 돌출 단부 사이에는 개방 단부가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과 수술용 베개(1)의 측면이 두부 고정 받침부(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경계부(37)를 기준으로 상호 평행하게 위치하는 2개의 하측면(13)과 테이퍼 형상으로 너비가 감소되게 수렴하는 2개의 상측면(38)으로 구분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흉부 재치부(10)의 일측 단부를 이루는 박엽 단부(12)의 높이가 0.1~0.5cm인 외과 수술용 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목 재치부(20)를 형성하는 마루부(21)가 호형(弧形) 또는 평면상으로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흉부 재치부와 목 재치부, 그리고 두부 고정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전체 길이가 30~70cm이고, 흉부 재치부 길이: 목 재치부 길이: 두부 고정 받침부 길이=1:0.01~0.3: 0.5~1의 비율이며, 전체 길이: 마루부 높이: 흉부 재치부의 너비=1: 0.20~0.35: 0.5~1.0의 비율인 외과 수술용 베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과 수술용 베개의 외표면에 보호 코팅층이 피복되어 있는 외과 수술용 베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호 코팅층이 두께 100㎛~5000㎛의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 비닐, 삼플루오르화 에틸렌, 플루오르화 비닐리덴 및, 육플루오르화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 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수지로 형성되는 외과 수술용 베개.
KR2020070015156U 2007-09-11 2007-09-11 외과 수술용 베개 KR200443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156U KR200443913Y1 (ko) 2007-09-11 2007-09-11 외과 수술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156U KR200443913Y1 (ko) 2007-09-11 2007-09-11 외과 수술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600U true KR20090002600U (ko) 2009-03-16
KR200443913Y1 KR200443913Y1 (ko) 2009-03-24

Family

ID=4128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156U KR200443913Y1 (ko) 2007-09-11 2007-09-11 외과 수술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9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831A (zh) * 2014-09-01 2014-12-03 张妍 一种甲状腺手术术前体位训练枕和制法
CN105726255A (zh) * 2016-03-28 2016-07-06 于杰 一种甲状腺疾病手术枕
KR20200105084A (ko) * 2019-02-28 2020-09-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쥐 어깨 수술용 측와위 고정기
KR20220104945A (ko) * 2021-01-19 2022-07-2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지지대
KR20220138092A (ko) * 2021-04-05 2022-10-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616B1 (ko) 2022-11-23 2023-03-3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변환기 높이 조절 유닛을 포함한 높이 가변 교체형 베개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831A (zh) * 2014-09-01 2014-12-03 张妍 一种甲状腺手术术前体位训练枕和制法
CN105726255A (zh) * 2016-03-28 2016-07-06 于杰 一种甲状腺疾病手术枕
KR20200105084A (ko) * 2019-02-28 2020-09-07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쥐 어깨 수술용 측와위 고정기
KR20220104945A (ko) * 2021-01-19 2022-07-26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지지대
KR20220138092A (ko) * 2021-04-05 2022-10-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용 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913Y1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913Y1 (ko) 외과 수술용 베개
US8359686B2 (en) Pillow
US6513179B1 (en) Pillow
US3974532A (en) Padding for mattresses and like articles
US6226811B1 (en) Epidermal scrubbing device
US6564397B1 (en) Integral bath mat with zoned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a bath mat
US20070143942A1 (en) Handle with soft gel cushioning member
CN215077049U (zh) 一种餐垫及包含餐垫的系绳系统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6554782B2 (en) Chairmat with foot massage area
US20040139548A1 (en) Pillow facilitating good sleep
US20160183693A1 (en) Cushion with changeable supporting sections
US4949407A (en) Shampoo basin neck rest
WO2010101311A1 (ko) 외과 수술용 베개
US20230044899A1 (en) Methods of cleaning a drinking hose (straw)
US20190313800A1 (en) Orthopedic seating wedge with ventilation channels
US20070261165A1 (en) Removable, portable, universal elevated footrest for pedicure spas
US7310835B2 (en) Flexing support in a spa
JP3128187U (ja) 大腿部安定化用装着具
JP2000070094A (ja)
US20190254484A1 (en) Bathtub Edge Guard
KR200337702Y1 (ko) 베개
CN218279239U (zh) 枕头
CN206102251U (zh) 舒适睡眠枕
KR100511370B1 (ko) 세발용 목뒷덜미 지지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