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79A -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79A
KR20090002579A KR1020070066049A KR20070066049A KR20090002579A KR 20090002579 A KR20090002579 A KR 20090002579A KR 1020070066049 A KR1020070066049 A KR 1020070066049A KR 20070066049 A KR20070066049 A KR 20070066049A KR 20090002579 A KR20090002579 A KR 2009000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earning problem
learning
ques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162B1 (ko
Inventor
장건
Original Assignee
장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건 filed Critical 장건
Priority to KR102007006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1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1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 G09B7/1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일련의 학년/학기 수준, 기본 개념수준 등을 독자적으로 설정한 후, 이 학습문제 데이터를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에 의해 제공된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 학년/학기와 무관한 학습고유순서에 따라 설정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학년/학기별 세부 학습유형 목차(EEL:Each-grade Elementary study pattern List)"에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전산모듈>, <학습자에 의해, SCL, PSL 등이 선택됨에 따라, 이에 링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독자 설정된 기본 개념수준, 학년/학기 수준 등에 따라, 어렵거나 쉬운 순서로 정렬시킨 후, 정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문제 데이터의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측에서, "학습에 대한 자신의 기본개념 이해정도에 따라, 해당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도, 합리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점",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학습문제, 데이터, 출제, 시스템

Description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a setting process of a studying problem data}
본 발명은 학습문제의 출제 절차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일련의 학년/학기 수준, 기본 개념수준 등을 독자적으로 설정한 후, 이 학습문제 데이터를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에 의해 제공된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 이하, "SCL"이라 명명함), 학년/학기와 무관한 학습고유순서에 따라 설정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 이하, "PSL"이라 명명함)",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학년/학기별 세부 학습유형 목차(EEL:Each-grade Elementary study pattern List; 이하, "EEL"이라 명명함)"에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전산모듈>, <학습자에 의해, SCL, PSL 등이 선택됨에 따라, 이에 링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독자 설정된 기본 개념수준, 학년/학기 수준 등에 따라, 어렵거나 쉬운 순서로 정렬시킨 후, 정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문제 데이터의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측에서, "학습에 대한 자신의 기본개념 이해정도에 따라, 해당 기본개념을 공 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도, 합리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점",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예컨대, 인터넷망과 같은 온라인망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들이 웹 상에 폭 넓게 개설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학습 풀이 능력, 예를 들어, 수학 풀이 능력을 평가받고자 하는 임의의 학습자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PDA, 게임기 등) 및 온라인망(3:예컨대, 인터넷망)을 매개로 시스템(1)에 접속하여, 학습문제의 출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시스템 측 학습문제 출제 서버(2)는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5)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를 선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5)에 저장된 학습문제 데이터는 이후의 출제절차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사안을 두루 감안하여, 예컨대, 각 학년별 목차, 각 교과진행별 목차 등과 같은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된 패턴을 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 1학기의 "집합 목차"와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는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7-가/집합"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된 패턴을 취하게 되며, 중학교 1학년의 "방정식 목차"와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는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7-가/방정식"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된 패턴을 취하게 된다.
또한, 중학교 3학년 2학기의 "집합 목차"와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는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9-나/집합"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된 패턴을 취하게 되며, 중학교 3학년 2학기의 "방정식 목차"와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는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9-나/방정식"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된 패턴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상황 하에서, 통상적인 학습교육의 특성 상, 기본개념을 공유하는 일련의 학습적인 이슈들은 학습자들이 좀더 효과적인 학습능력을 융통성 있게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저학년으로부터 고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교습되는 특징을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건제시법이라는 기본개념을 공유하는 집합단원의 일부 수학적인 이슈들은 "중학교 1학년 학습자 대상의 수학 7-가"를 시작으로 하여, "중학교 3학년 학습자 대상의 수학 9-나",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대상의 수학 10-가"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교습되는 특징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예컨대, 중학교 1학년 학습자가 조건제시법이라는 기본개념 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해당 학습자는 수학 7-가에 등장하는 집합단원의 일부 수학적인 이슈들은 물론, 수학 9-나에 등장하는 집합단원의 일부 수학적인 이슈들, 나아가, 수학 10-가에 등장하는 집합단원의 일부 수학적인 이슈들까지도 융통성 있게 이해하고, 그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손쉽게 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체제 하에서, 예컨대, "중학교 1학년 1학기의 집합과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는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7-가/집합"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되어 있다가, 기 지정된 순서에 따라, 단순히 기계적으로 출력되는 패턴을 취하고 있고, 나아가, "중학교 3학년 2학기의 방정식과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 역시, 시스템(1) 측 설정에 따라, "수학 9-나/방정식"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종속되어 있다가, 기 지정된 순서에 따라, 단순히 기계적으로 출력되는 패턴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중학교 1학년 학습자는 자신이 특정 기본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 해당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 융통성 있게 풀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수학 7-가에 상응하는 문제 데이터만을 불합리하게 접할 수밖에 없게 되며, 중학교 3학년 학습자 역시, 자신이 특정 기본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 해당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 융통성 있게 풀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수학 9-나에 상응하는 문제 데이터만을 불합리하게 접할 수밖에 없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에서, 각 학습자 측에서는, 고가의 비용을 들여, 일련의 학 습문제 관리 시스템(1)을 정상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학습능력을 취득함에 있어,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시스템(1)을 관리하는 종래의 일부 학습문제 출제 관리 업체 측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의 해결이 그 무엇보다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혀 인식하지 못한 체,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배가시킨다는 명목 하에, 기본개념을 아예 벗어난(즉, 학습자가 아예 배우지도 않은), 상위 학년의 문제를 하위 학년의 학습자에게 무모하게 제공하는 정책을 무분별하게 강행하고 있어, 학습자의 학습능률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악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학습문제 출제 서버(2) 측에 의해,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일련의 문제 데이터가 제공되면, 학습자 측에서는 해당 문제 데이터를 풀어, 그 해답을 제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에 상응하여, 학습문제 출제 서버(2) 측에서는 정답 내지 풀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만약, 학습자가 제시한 해답이 오답 또는 정답인 경우, 학습문제 출제 서버 측에서는, 해당 오답 또는 정답에 의해 확인된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판별하여, 차기 출제되는 문제 데이터의 수준을 하향 또는 상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학습문제 출제 시스템(1) 측에서는,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차기 출제문제의 수준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아무런 조치 없이, 예컨대, "중학교 1학년 1학기의 집합과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 "중학교 3 학년 2학기의 방정식과 관련된 수학문제 데이터" 등을 시스템 측 설정에 따라, "수학 7-가/집합"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나아가, "수학 9-나/방정식"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다층의 학년/학기 구조 하에 저장하고 있다가, 기 지정된 순서에 따라, 단순히 기계적으로 출력시키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 측에서는, "자가 학습능력에 따른(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른) 출제문제 조절"이라는 합리적인 이점을 전혀 향유하지 못한 체, 오로지, 시스템 측에서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률적으로 제공하는 일련의 문제 데이터만을 기계적으로 접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 상황에서도, 각 학습자 측에서는, 고가의 비용을 들여, 일련의 학습문제 관리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학습능력을 취득함에 있어,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일련의 학년/학기 수준, 기본 개념수준 등을 독자적으로 설정한 후, 이 학습문제 데이터를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에 의해 제공된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 학년/학기와 무관한 학습고유순서에 따라 설정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학년/학기별 세부 학습유형 목차(EEL:Each-grade Elementary study pattern List)"에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전산모듈>, <학습자에 의해, SCL, PSL 등이 선택됨에 따라, 이에 링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독자 설정된 기본 개념수준, 학년/학기 수준 등에 따라, 어렵거나 쉬운 순서로 정렬시킨 후, 정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문제 데이터의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측에서, "학습에 대한 자신의 기본개념 이해정도에 따라, 해당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도, 합리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점",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이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습문제 데이터를,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에 링크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에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와; 상기 SCL이 게시된 서비스 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학습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페이지를 매개로 로그인한 후,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PSL을 검색·확보한 후, 상기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상기 특정 PS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에 따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에 순차적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의 제공순서를 조절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에 비해, 상위 또는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차기 출력되도록 컨트롤하는 학습문제 출제 서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일련의 학년/학기 수준, 기본 개념수준 등을 독자적으로 설정한 후, 이 학습문제 데이터를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에 의해 제공된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 학년/학기와 무관한 학습고유순서에 따라 설정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학년/학기별 세부 학습유형 목차(EEL:Each-grade Elementary study pattern List)"에 순차적으로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전산모듈>, <학습자에 의해, SCL, PSL 등이 선택됨에 따라, 이에 링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독자 설정된 기본 개념수준, 학년/학기 수준 등에 따라, 어렵거나 쉬운 순서로 정렬시킨 후, 정렬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측에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는 학습자 측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학습문제 데이터의 난이도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절하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 측에서, "학습에 대한 자신의 기본개념 이해정도에 따라, 해당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위 학년의 문제까지도, 합리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점",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300)은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 및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 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자신의 학습 풀이 능력, 예를 들어, 수학 풀이 능력을 평가받고자 하는 임의의 학습자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 PDA, 게임기 등) 및 온라인망(3:예컨대, 인터넷망)을 매개로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학습문제의 출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시스템(300) 측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는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를 선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선택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는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과, 이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 운영 보조모듈(104),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추출모듈(110), 학습문제 정렬모듈(130), 학습문제 출력모듈(150),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학습이력 저장모듈(10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은 학습자 측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를 통해, 시스템(300) 측에 접속하게 되면,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내에 배치된 운영정보 저장 라이브러리(207)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서비스 운영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비스 페이지(401)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서비스 페이지(401)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선택 전송·게시하 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에 의한 각종 서비스 절차의 기초 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D/B 관리모듈(107)은 시스템(300) 내에 배치된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이벤트에 따라, <학습문제 출제·운영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의 필요 라이브러리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역으로, 로딩(Loading)·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D/B 관리모듈(107)은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내에 배치된 운영정보 저장 라이브러리(207)는 <학습문제 출제·운영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위시하여, 시스템(100) 측 자원현황 정보, 각 학습자들의 신상 등록정보, 각 학습자들의 학습이력 정보, 각 학습자들의 사용료 지불현황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 보조모듈(104)은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 라이브러리(207)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각종 보조절차, 예를 들어, 각 학습자들의 등록정보를 갱신하는 절차, 각 학습자들의 로그인 과정을 인증하는 절차, 각 학습자들 의 시스템 방문이력을 누적 관리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내에 배치된 SCL 라이브러리(201)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SCL에 부여된 식별정보(예컨대, ID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202)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SCL 및 PSL 간의 링크 관계, 예컨대, 각 SCL ID 및 PSL ID 간의 매칭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내에 배치된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203)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PSL 및 EEL 간의 링크 관계, 예컨대, 각 PSL ID 및 EEL ID 간의 매칭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204)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L 및 학습문제 데이터 간의 링크 관계, 예컨대, 각 EEL ID 및 학습문제 데이터 ID 간의 매칭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앞의 SCL은 교육부 등의 정부기관에 의해 제공된, "각 학습영역의 교습 순서를 나열한 목차"로써, 예컨대, 학습영역이 수학영역일 경우, <‥집합,‥자연수의 성질,‥> 등의 순서를 이루게 된다. 또한, PSL은 학년/학기와 무관한 학습고유순서에 따라 설정된 목차로써, 예컨대, 학습영역이 수학영역일 경우, <‥집합 의 표현,‥집합의 분류,‥> 등의 순서를 이루게 된다. 나아가, EEL은 앞의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목차로써, 예컨대, 학습영역이 수학영역일 경우, <‥원소나열법으로 표현,‥새로운 집합의 정의,‥> 등의 순서를 이루게 된다(물론, 상황에 따라, SCL, PSL, EEL 등의 세부 내역은 다양한 변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내에 배치된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습문제 ID에 상응하는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 저장 라이브러리(206)는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학습문제 출제 서버(100)와 교신을 취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에 상응하는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들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앞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에 저장되어 있는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의 헤더 영역에는, "각 문제 데이터의 서브 ID", "각 문제 데이터(또는, 풀이 데이터)의 학년/학기 수준 정보", "각 문제 데이터(또는, 풀이 데이터)의 기본 개념수준 정보" 등이 하나의 세트로 기록되며,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의 바디 영역에는, "그림,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인 문제 데이터", "그림,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해당 문제에 대한 풀이 데이터", "그림,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 데이터" 등이 하나의 세트로 기록된다.
물론, 이렇게,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EEL에 링크된 각 학습문제 ID에 상 응하는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의 저장공간 내에서, 자신의 헤더 영역에, "각 문제 데이터의 서브 ID", "각 문제 데이터(또는, 풀이 데이터)의 학년/학기 수준 정보", "각 문제 데이터(또는, 풀이 데이터)의 기본 개념수준 정보" 등을 기록하고 있게 되는 경우,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은 일련의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을 독자적으로 가지면서, EEL에 최종 링크되는 패턴을 융통성 있게 형성하게 된다(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EEL은 SCL, PSL 등과 링크됨).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은 상술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을 통해, SCL이 게시된 서비스 페이지(401)를 운영하면서, 온라인망(3)에 접속 중인 학습자 클라이언트(4)가, 서비스 페이지(401)를 매개로 로그인한 후, 학습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일련의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PSL(예컨대, 집합의 표현), 나아가, 특정 PSL에 상응하는 특정 EEL(예컨대, 원소나열법으로 표현)을 검색·확보한 후,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도 10 참조), 특정 PS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에 따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의 기능 수행 상황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를 통해, 시스템(300) 측에 로그인 하여, 수학의 집합 영역을 자신의 문제풀이 대상으로 요청한 임의의 학습자, 예컨대, 중학교 3학년 학습자 측으로는, 수 학 9-가 레벨의 기본 개념수준을 공유하고 있는 "수학 10-가 학년/학기 수준의 수학문제 데이터", "수학 9-가 학년/학기 수준의 수학문제 데이터", "수학 7-가 수준의 수학문제 데이터" 등이 다채롭게 출제·제공될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학교 3학년 학습자는 "수학 9-가에 상응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이 문제와 "원소나열법이라는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하위 학년/학기의 다른 문제들, 예컨대, "수학 10-가에 상응하는 문제", "수학 7-가에 상응하는 문제"까지도 융통성 있게 접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해당 학습자는 종래에 비해, 전체적인 학습능력 취득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이점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일련의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제·제공되면, 학습자 측에서는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를 풀어, 그 해답을 제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에 상응하여,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 측에서는 정답 내지 풀이 데이터를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 측에서는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전송되는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에 따라, 학습문제 데이터의 제공순서를 조절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에 비해, 상위 또는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차기 출력되도록 컨트롤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예컨대, 앞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학년/학기 수준 9-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제·제공 된 상황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고, 전송 완료된 해답 데이터가 오답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 측에서는, 그 즉시, 학습문제 데이터의 제공순서를 하향 조절하여, "학년/학기 수준 7-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차기 문제로 출력되도록 컨트롤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학년/학기 수준 9-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제·제공된 상황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고, 전송 완료된 해답 데이터가 정답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 측에서는, 그 즉시, 학습문제 데이터의 제공순서를 상향 조절하여, "학년/학기 수준 10-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차기 문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 환경 하에서, 해당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예컨대, 학년/학기 수준)이 합리적으로 하향 또는 상향 조절되는 이점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학습능력 취득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은 앞서 언급한 각 절차들을 세부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자신의 제어 체제 하에, 학습문제 추출모듈(110), 학습문제 정렬모듈(130), 학습문제 출력모듈(150),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등을 체계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추출모듈(110)은 D/B 관리모듈(107)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SCL 라이브러리(201),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202),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203),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204)를 차례로 검색하여,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SCL 및 특정 SCL에 링크된 특정 PSL, 그리고, 특정 PSL에 링크된 특정 EEL을 검색 확보한 후,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와 교신을 취하여,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문제 추출모듈(110)은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와, 이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문제출제 이벤트 체크부(113), SCL 식별정보 획득부(114), PSL 식별정보 획득부(115), EEL 식별정보 획득부(116), 학습문제 식별정보 획득부(117), 학습문제 추출부(118), 학습문제 로딩부(119) 등이 긴빌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는 정보 교환부(11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 학습문제 출력버퍼(106),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면서, 각 라이브러리를 검색하는 절차, 학습 데이터를 추출하는 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문제출제 이벤트 체크 부(113)는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 측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SCL 선택 데이터를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SCL 식별정보 획득부(114)는 상술한 문제출제 이벤트 체크부(113)의 기능 수행에 의해, SCL 선택 데이터가 확보 완료되면,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교신을 취하여, SCL 라이브러리(201)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SCL 식별정보들 중(도 6 참조),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SCL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특정 SCL 식별정보를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PSL 식별정보 획득부(115)는 상술한 SCL 식별정보 획득부(114)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SCL 식별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교신을 취하여,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202)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SCL 및 PSL 간의 링크 관계정보들을 체크하여(도 7 참조), 특정 SCL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PSL 식별정보를 확보하고, 확보 완료된 특정 PSL 식별정보를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EEL 식별정보 획득 부(116)는 상술한 PSL 식별정보 획득부(115)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SCL에 상응하는 특정 PSL의 식별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교신을 취하여,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203)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PSL 및 EEL 간의 링크 관계정보들을 체크하여(도 8 참조), 특정 PSL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EEL 식별정보를 확보하고, 확보 완료된 특정 EEL 식별정보를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식별정보 획득부(117)는 상술한 EEL 식별정보 획득부(116)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PSL에 상응하는 특정 EEL의 식별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교신을 취하여,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204)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L-학습문제 간의 링크 관계정보들을 체크하여(도 9 참조), 특정 EEL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학습문제 식별정보를 확보하고, 확보 완료된 특정 학습문제 식별정보를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추출부(118)는 상술한 학습문제 식별정보 획득부(117)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EEL에 상응하는 특정 학습문제의 식별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정보교환부(112)를 매개로, D/B 관리모듈(107), 학습문제 라이브러리 블록(200) 등과 교신을 취하여,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205)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특정 학습 문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추출하고(도 10 참조), 추출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학습문제 추출 제어부(11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로딩부(119)는 상술한 학습문제 추출부(118)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학습문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추출 완료되면, 정보 교환부(112)를 매개로, 학습문제 출력버퍼(106)와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습문제 출력 버퍼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은 상술한 학습문제 추출모듈(110)에 의해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선택적으로 추출되고, 이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학습문제 출력 버퍼(106) 내에 저장 완료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의 헤더를 판독하여,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에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을 체크한 후,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기본 개념수준 별로 일차 정렬시키고, 기본 개념수준 별로 일차 정렬된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이차 정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의 기능 수행 하에서, 학습문제 출력 버퍼(106) 내에 저장 완료되어 있던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예컨대, 기본 개념수준을 9-가로 동일하게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들은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들끼리 한데 모여 일차 정렬된 후,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학년/학기 수준 10-가의 학습문 제 데이터", "학년/학기 수준 9-가의 학습문제 데이터", "학년/학기 수준 7-가의 학습문제 데이터"의 순으로(물론, 역순도 가능함), 이차 정렬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렇게,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의 기능 수행에 의해,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각기 독자적으로 정해진 기본 개념수준 및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일·이차 정렬 완료된 상황에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출력모듈(150:도 4 참조)은 서비스 페이지(401)를 게시하고 있던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학습문제 출제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학습문제 출력버퍼 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에 의해 정렬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추출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습문제 출력모듈(150)은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앞의 학습문제 데이터에 상응하는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를 판별한 후, 해답 데이터가 오답인 경우,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전송하고, 해답 데이터가 정답인 경우,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상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문제 출력모듈(150)은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와, 이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학습문제 판 독부(153), 학습문제 출력부(154), 풀이/정답 출력부(157), 정/오답 체크부(155), 차기문제 추출부(159), 개념설명 출력 요청부(158)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는 정보 교환부(15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 학습문제 출력버퍼(106), 학습이력 저장모듈(105),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학습문제 출력절차, 정/오답 체크절차, 학습문제 출력순서 조절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판독부(153)는 정보교환부(152)를 매개로, 학습문제 출력버퍼(106), 학습문제 정렬모듈(130)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서비스 페이지(401)를 게시하고 있던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학습문제 출제요청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에 상응하여,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에 의한 일련의 학습문제 정렬절차가 마무리되면, 학습문제 출력버퍼(106)에 접근하여, 정렬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를 프로세싱 버퍼부(156)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판독·이식절차 하에서도, 각 학습문제 데이터는 앞의 정렬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게 된다)(만약, 상술한 학습문제 출력버퍼의 운용에 여유가 있을 경우, 학습문제 데이터의 프로세싱 버퍼부로의 판독·이식절차는 융통성 있게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문제 출력부(154)는 정보 교환부(15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상술한 학습문제 판독부(153)에 의해 학습문제 데이터가 프로세싱 버퍼부(156) 내에 안정적으로 판독·저장 완료되면, 프로세싱 버퍼부(156)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습문제 정렬모듈(130)에 의해 정렬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추출한 후, 정보교환부(15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학습문제를 담은 서비스 페이지(402)가 안정적으로 게시될 수 있게 된다(이 경우, 학습문제는 상황에 따라, 한 문제씩 출력되는 패턴을 보일 수도 있고, 소정 개수의 여러 문제가 한꺼번에 출력되는 패턴을 보일 수도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상황에서, 예컨대, 수학의 집합 영역을 자신의 문제풀이 대상으로 요청한 임의의 학습자, 예컨대, 중학교 3학년 학습자는 "수학 9-가에 상응하는 문제"뿐만 아니라, 이 문제와 "원소나열법이라는 기본개념"을 공유하고 있는 상·하위 학년/학기의 다른 문제들, 예컨대, "수학 10-가에 상응하는 문제", "수학 7-가에 상응하는 문제"까지도 융통성 있게 접할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이때, 학습자가 서비스 페이지(402)에 게시된 학습문제를 모두 풀어,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일련의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면,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되는 풀이/정답 출력부(157)는 그 즉시, 프로세싱 버퍼부(156)에 접근 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의 바디 영역을 판독하여,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가 가지는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를 추출한 다음,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를 담은 서비스 페이지(403)가 안정적으로 게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이, 서비스 페이지(403)를 통해, 학습문제 데이터와 연관된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학습자 측에서는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 및 자신이 제시한 해답 데이터의 풀이과정을 좀더 밀도 있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서비스 페이지(403)에 게시된 학습문제를 모두 풀어,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일련의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면,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되는 정/오답 체크부(155)는 그 즉시, 프로세싱 버퍼부(156)에 접근한 후,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의 바디 영역을 판독하여,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가 가지는 정답 데이터를 확인한 다음, 이 정답 데이터를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전송된 해답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를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처럼, 정/오답 체크부(155)의 기능 수행에 의해, 학습자 측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가 체크되는 상황에서,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어되는 차기문제 추출부(159) 측에서는 정/오답 체크부(155)와의 교신을 통해, 학습자 측 해답 데이터가 오답인지 또는 정답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앞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예컨대, "학년/학기 수준 9-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제·제공된 상황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고, 전송 완료된 해답 데이터가 오답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차기문제 추출부(159) 측에서는, 그 즉시, 프로세싱 버퍼부(156)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학년/학기 수준 7-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정보교환부(15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학년/학기 수준 7-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는 <"학년/학기 수준 7-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담은 서비스 페이지가 안정적으로 게시될 수 있게 된다(도 17 참조).
물론, 이처럼,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즉, "학년/학기 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즉, "학년/학기 수준 7-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 해당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앞의 경우와 다르게, 학습자 클라이언트(4)로부터 전송 완료된 해답 데이터가 정답 데이터인 것으로, 확인되면, 차기문제 추출부(159) 측에서는, 그 즉시, 프로세싱 버퍼부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학년/학기 수준 10-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정보교환부(152)를 매개로,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학년/학기 수준 10-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되며(도 12 참조),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는 <"학년/학기 수준 10-가", "기본 개념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담은 서비스 페이지가 안정적으로 게시될 수 있게 된다(도 17 참조).
물론, 이처럼,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즉, "학년/학기 수준 9-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상위의 학년/학기 수준, 즉, "학년/학기 수준 10-가"를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출력되는 상황에서도, 해당 학습자 측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에 따라(예컨대, 자신이 작성한 해답의 정/오 여부에 따라), 출제문제의 수준이 합리적으로 조절되는 이점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페이지(403)를 통해, 학습문제 데이터와 연관된 "풀이 데이터" 및 "정답 데이터"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와 연관된 기본개념을 상세히 익히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메뉴항목(404)을 선택하고, 이에 상응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으로부터 일련의 개념설명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학습문제 출력 제어부(151)에 의해 제 어되는 개념설명 출력 요청부(158)는 그 즉시, 프로세싱 버퍼부(156)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학습문제 데이터에 접근한 후, 이의 헤더 영역을 판독하여, 해당 학습문제 데이터의 서브 ID를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학습문제 데이터의 서브 ID가 확보 완료되면, 개념설명 출력 요청부(158)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교환부(152)를 매개로,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도 1 참조)과 교신을 취하여, 확보 완료된 학습문제 데이터의 서브 ID를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측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개념설명 출력모듈(170)은 개념설명 출력 요청부(158)와의 교신을 통해, 학습문제 데이터의 서브 ID를 확보한 다음, 이를 토대로,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 저장 라이브러리(206)와 교신을 취하여, 학습문제 데이터에 링크된 특정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를 추출한 후, 서비스 페이지 운영모듈(103)과 교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가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절차 하에, 학습자 클라이언트(4) 측에,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를 담은 서비스 페이지가 안정적으로 게시 완료되면, 학습자 측에서는, 학습문제 데이터 또는 풀이 데이터와 연관된 일련의 기본개념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적절한 시점에서,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이력 저장모듈(105: 도 4 참조)은 학습문제 출력모듈(150), 개념설명 출력모듈(170) 등과 교신을 취하여, 학습자의 학습이력, 예컨대, 학습문제 교습이력, 학 습문제 성적이력 등을 확보한 후, D/B 관리모듈(107)을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 라이브러리(207)와 교신을 취하여, 확보 완료된 학습자의 학습이력을 운영정보 저장 라이브러리(207)에 저장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추후, 상황에 따라, 일련의 부가 서비스(예, 성적관리 부가 서비스)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추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단지, 수학문제 분야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어학문제 분야, 과학문제 분야, 법학문제 분야 등에서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통상적인 학습이슈의 교습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에 의해 시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 도 17,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페이지의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SCL 라이브러리,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 저장 라이브러리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에 의해 시행되는 서비스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추출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정렬모듈의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문제 출력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개념설명 출력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4)

  1.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이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습문제 데이터를, 표준목차(SCL:Standard Contents List)에 링크된 범 학년 학습유형 목차(PSL:Pan-grade Study pattern List)에 링크시켜 저장 관리하는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와;
    상기 SCL이 게시된 서비스 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학습자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페이지를 매개로 로그인한 후,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PSL을 검색·확보한 후, 상기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상기 특정 PS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각 학습문제 데이터에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에 따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에 순차적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에 따라,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의 제공순서를 조절하여, 학습자의 학습능력에 따라,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에 비해, 상위 또는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가 차기 출력되도록 컨트롤하는 학습문제 출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제 출제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SCL 및 PSL 간의 링크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와;
    상기 학습문제 출제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PSL 및 해당 PSL을 각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한 학년/학기별 세부 학습유형 목차(EEL:Each-grade Elementary study pattern List) 간의 링크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와;
    상기 학습문제 출제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EEL 및 학습문제 데이터간의 링크 관계를 저장 관리하는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제 출제 서버는 상기 서비스 페이지의 운영절차, 학습문제 데이터의 추출 및 출력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과;
    상기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상기 SCL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SCL-PSL 매칭 라이브러리, PSL-EEL 매칭 라이브러리, EEL-학습문제 매칭 라이브러리를 차례로 검색하여, 상기 SCL 선택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SCL 및 상기 특정 SCL에 링크된 특정 PSL, 그리고, 상기 특정 PSL에 링크된 특정 EEL을 검색 확보한 후, 상기 학습문제 저장 라이브러리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학습문제 추출모듈과;
    상기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문제 추출모듈에 의해 상기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선택적으로 추출되면,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의 헤더를 판독하여,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에 독자적으로 각기 정해진 학년/학기 수준 및 기본 개념수준을 체크한 후,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기본 개념수준 별로 일차 정렬시키고, 기본 개념수준 별로 일차 정렬된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 중, 기본 개념수준이 동일한 각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이차 정렬시키는 학습문제 정렬모듈과;
    상기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문제 정렬모듈에 의해 상기 특정 EEL에 링크된 특정 학습문제 데이터들이 각기 독자적으로 정해진 기본 개념수준 및 학년/학기 수준에 따라 일·이차 정렬 완료된 상황에서,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학습문제 출제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들을 상기 학습문제 정렬모듈에 의해 정렬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에 상응하는 해답 데이터가 전송되면, 해당 해답 데이터의 정/오 여부를 판별한 후, 상기 해답 데이터가 오답인 경우,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하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본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해답 데이터가 정답인 경우, 직전 학습문제 데이터 보다 상위의 학년/학기 수준 또는 기변 개념수준을 가지는 학습문제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학습문제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제 출제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에 링크된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 저장 라이브러리와;
    상기 학습문제 출제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본 개념설명 출력요청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 저장 라이브러리와 교신을 취하여, 상기 학습문제 데이터에 링크된 특정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특정 기본 개념설명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개념설명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KR1020070066049A 2007-07-02 2007-07-02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KR10090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49A KR100907162B1 (ko) 2007-07-02 2007-07-02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49A KR100907162B1 (ko) 2007-07-02 2007-07-02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79A true KR20090002579A (ko) 2009-01-09
KR100907162B1 KR100907162B1 (ko) 2009-07-09

Family

ID=4048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049A KR100907162B1 (ko) 2007-07-02 2007-07-02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9655A (zh) * 2019-06-11 2019-09-06 深圳市仝智科技有限公司 基于认知过程的问答库生成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0105A (ko)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엠제이에듀 문제 거래 및 학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839B1 (ko) * 2000-03-11 2002-12-28 주식회사 지와이인텍 사이버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16638A (ko) * 2000-12-30 2001-03-05 김만석 문제출제/평가에 퍼지이론이 적용된 인공지능 학습 및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9655A (zh) * 2019-06-11 2019-09-06 深圳市仝智科技有限公司 基于认知过程的问答库生成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162B1 (ko)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mero et al. Data mining in education
Ifenthaler et al. Investigating students' use of self‐assessments in higher education using learning analytics
US20030182289A1 (en) Internet test-making method
CN103620662A (zh) 用于自适应知识评估和学习的系统与方法
WO2014127131A1 (en) Knowledge evaluation system
KR20000048616A (ko) 자동평가, 전자 교수 및 학생 관리 시스템
Miller Social Media
CN112288314A (zh) 网络在线教育系统
Ryan et al. Teacher education and teaching for diversity: A call to action
CN11248866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共享型计算机教学管理系统
KR20100012943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문제 운영 시스템
Collier et al. Test review: Texa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system (TELPAS)
KR102507733B1 (ko) 인공지능 기술 기반 학생 맞춤형 교육 및 취업지원 방법 및 시스템
Chen Enhancing teaching with effective data mining protocols
Reynolds et al. Library instruc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2016
Schanzer et al. Integrated data science for secondary schools: Design and assessment of a curriculum
Casey et al.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assess how preservice teachers’ view educational technology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KR100907162B1 (ko) 학습문제 출제 관리 시스템
Tian Interactive music instructional mode based on cloud computing
Rae Mancilla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digital accessibility: A needs assessment
Fletcher Placement Evaluations and Remedial Education: Are Students Shopping for Bargains?
Shin et al. Teachers’ perceptions of first-year implementation of computer scienc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How we can support CS initiatives
Ajanovski Guided exploration of the domain space of study programs
Brodsky et al. Fact-checking Instruction Strengthens the Association between Attitudes and Use of Lateral Reading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Herodotou et al. Virtual Microscopes and online learning: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12 teachers about pedag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