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09A -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09A
KR20090002309A KR1020070063428A KR20070063428A KR20090002309A KR 20090002309 A KR20090002309 A KR 20090002309A KR 1020070063428 A KR1020070063428 A KR 1020070063428A KR 20070063428 A KR20070063428 A KR 20070063428A KR 20090002309 A KR20090002309 A KR 2009000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location
portable terminal
automatic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309A/ko
Publication of KR2009000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웹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위치를 선택하고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서비스 설정 및 서비스 해제 동작을 이동 시마다 번번이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자동 부가서비스, 착신모드, 착신호전환, 호제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UTOMATIC CALL SUPPLEMENTARY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호 부가서비스를 변경하기위한 시스템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시스템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호 부가서비스가 변경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 변경의 신호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착발신모드로 자동 변경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호(call) 부가서비스에는 착신 호 전환(Call Forwarding), 호제한(Call Barring)등이 있다.
상기 착신 호 전환은 사용자에게 걸려 오는 전화에 대해 사용자가 선 지정한 다른 번호나 음성 메일박스(Voice Mailbox) 등으로 전달시키는 것이고, 상기 호 제한은 사용자가 선 지정한 조건 하에서 발신을 막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호 부가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셋팅(Setting)메뉴나 MMI(Man Machine Interface) Code 등을 직접 입력하는 등의 수동 설정을 해야한다.
또한, 상기 호 부가서비스를 위치에 따라 적용할 필요가 있을 때, 위치 이동이 빈번하거나 반복적인 사용자는 서비스 설정 및 서비스 해제 동작을 이동 시마다 번번이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착발신모드로 자동 변경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웹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위치를 선택하고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자 시스템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웹서버를 통해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웹서버를 통해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견지에 따르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착발신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착발신 모드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웹서버를 통해 등록된 위치에 따른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착발신모드를 자동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호 부가서비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착신 호 전환(Call Forwarding), 호제한(Call Barring)등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호 부가서비스를 변경하기위한 시스템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100), 웹서버(110), 사 업자 시스템(120) 휴대용 단말기(1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는 상기 웹서버(110)를 통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할 장치로 제어부(102), 통신부(104), 표시부(106), 입력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의 제어부(102)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웹서버를 통해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의 통신부(104)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웹서버(110)와의 통신을 제공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의 표시부(106)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위치에 따른 부가서비스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의 입력부(108)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한다.
상기 웹서버(110)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할 시,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에 등록하기 위한 장치로 제어부(112),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공되어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의 호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웹서버(110)의 제어부(112)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100)에서 설정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에 등록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웹서버(110)의 통신부(114)는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되어 수신될 시 사업자 시스템(120)으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이다.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로 전송할 장치로 제어부(122), 호 부가서비스 정보 전송부(124), 통신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의 제어부는(122) 호 부가서비스 정보 전송부(12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가 등록된 위치에 진입할 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의 통신부(126)는 상기 제어부(12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는 제어부(132), 착발신모드변경부(134), 통신부(136), 표시부(138), 입력부(1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의 제어부(13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착발신모드변경부(134)를 포함함으로써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사업자 시스템(120)으로부터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된 정보에 따라 착발신모드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의 통신부(136)은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의 표시부(138)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정보,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30)의 입력부(139)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들을 상기 제어부(132)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시스템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사업자 시스템은 2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 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면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사업자 시스템은 205단계에서 상기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호 부가서비스 정보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후, 상기 사업자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호 부가서비스가 변경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되면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에서 상기 사업자시스템으로부터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받은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착발신 모드로 변경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 변경의 신호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01단계에서 상기 개인용컴퓨터(400)는 상기 웹서버(410)에 접속하여 통해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웹서버(41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업자 시스템(420)에 설정된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등록한다.
이후, 405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430)가 설정된 자동 호 부가서비스에 등록된 위치에 진입할 시,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업자 시스템(4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430)에 상기 등록된 위치에 설정된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409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430)의 착발신 모드는 상기 전송받은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모드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개인용컴퓨터(400)에서 웹서버(410)가 제공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치 1의 서울특별시 신림동에는 전화번호 '01095308284'로 호 전환서비스(Forwarding)를 선택, 위치 2의 수원시 매탄동에는 음성메일박스(Voice Mailbox)로 호 전환서비스를 선택하고 위치 3의 서울특별시 강남에는 국제전화(International Call)가 호 제한(Barring)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이후,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 1의 서울특별시 신림동에 진입하면 상기 사업자 시스템(42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430)에 위치 1에 설정된 호 전환서비스 변경 정보를 단문메시지서비스(SMS)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등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호 전환서비스 변경 정보를 수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430)는 호 전환 모드로 변경되어 '01095308284'로 호(call)를 전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착발신모드로 자동 변경함으로써 서비스 설정 및 서비스 해제 동작을 이동 시마다 번번이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웹서버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웹서버를 통해 위치를 선택하고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자 시스템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자 시스템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착발신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 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웹서버를 통해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여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웹서버를 통해 사업자 시스템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자 시스템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자 시스템의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착발신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착발신 모드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에 따른 자동 호 부가서비스는 호 전환(Call Forwarding)서비스, 호 제한(Call Barring)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자동 호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위치에 진입할 시,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진입한 위치에 설정된 호 부가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과정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혹은 셀 브로드캐스팅(Cell Broadcasting)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63428A 2007-06-27 2007-06-27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02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28A KR20090002309A (ko) 2007-06-27 2007-06-27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428A KR20090002309A (ko) 2007-06-27 2007-06-27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09A true KR20090002309A (ko) 2009-01-09

Family

ID=4048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428A KR20090002309A (ko) 2007-06-27 2007-06-27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3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7662A (zh) * 2016-02-24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信息共享方法和定位信息共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7662A (zh) * 2016-02-24 2016-06-0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定位信息共享方法和定位信息共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7487A (ko) 듀얼 심카드 단말기에서 주 심카드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139370A (zh) 通信电子装置、显示装置和装置间切换通话的方法
EP1592277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rovider service availability in a wireless network
KR2001000363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223472A (ja) 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
KR2009000230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호 부가서비스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21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투 넘버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5123A (ko) 휴대폰의 로밍시 시간 표시 방법
KR20080009846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100594446B1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50072199A (ko) 로밍 상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번호 입력 방법
KR100706978B1 (ko) 컨텐츠의 채널 전환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67352B1 (ko)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089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03420B1 (ko) Sms를 이용한 단말기 수신자의 상태정보 알림 장치 및그 방법
KR100644035B1 (ko) 부가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50679B1 (ko) 무선인터넷 자동스위칭연결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KR2001002904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피디에이의 부가 서비스 방법
KR20030010187A (ko)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98961B1 (ko) 구분자를 이용한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