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00A -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 Google Patents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00A
KR20090002300A KR1020070063232A KR20070063232A KR20090002300A KR 20090002300 A KR20090002300 A KR 20090002300A KR 1020070063232 A KR1020070063232 A KR 1020070063232A KR 20070063232 A KR20070063232 A KR 20070063232A KR 20090002300 A KR20090002300 A KR 2009000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unction
terminal
information
terminal support
nego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677B1 (ko
Inventor
박경
박종관
손경찬
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6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67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 및 (b)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DCD 서버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 간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통하여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을 인지할 수 있음으로,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에 적합한 동적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고, DCD 서버가 단말기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하지않아,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DCD 서버와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콘텐츠, DCD, 단말기, 지원기능

Description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Negotiating Terminal Capability in Dynamic Content Delive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제 1 지원기능 정보 (Capability for Negotiation)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비어러 타입 ID (Bearer Type ID)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DCD 서버 내부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내부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단말기 110: DCD 클라이언트
120: 애플리케이션 130: DCD 서버
140: 콘텐츠제공 서버 300: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310: 프리미티브 타입 ID 320: 트랜잭션 ID
330: 세션 ID 340: 제 1 지원기능
341: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342: 비어러 타입 ID
440: 트랜잭션 처리 결과 450; 제 2 지원기능
510: 데이터 수신 관리부
520: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관리부
530: 데이터 송신 관리부 540: 데이터 저장 관리부
611: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
612: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 613: 메시지 송신 관리부
614: 메시지 수신 관리부 615: 콘텐츠 전달 관리부
본 발명은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DCD 서버가 단말기의 지원기능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DCD 서버가 단말기로 단말기가 지원하지 못하는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하지않아 DCD 서버와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많이 생겨났으며, 사용자들은 이러한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운영하는 해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함으로써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인터넷상에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변경되는 정보를 전달하기 방안으로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이 절실히 요구되어졌으며, 그러한 웹 신디케이션(Web Syndication)의 일종으로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ATOM 등이 제안되어 표준이 되어졌고, 이러한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및 ATOM 등으로 인해 콘텐츠의 배포가 가능해졌으며, RSS Reader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를 수집하는 것도 많이 원활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원이 제한된 이동(Mobile) 환경에서는 RSS/ATOM을 이용해 배포하는 콘텐츠를 PC환경에서와 같이 접근하는 것은 제한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위해 수집된 콘텐츠를 최적화된 형태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OMA(Open Mobile Alliance)가 표준화를 추 진중인 동적 콘텐츠 전송(Dynamic Content Delivery: DCD, 이하 "DCD"라 칭함)이다. DCD가 추구하는 바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을 반영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전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콘텐츠 전달 기법으로 DCD 서버가 콘텐츠 업데이트(전송)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업데이트(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콘텐츠를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DCD-2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푸쉬(Push)방식이 제안되어졌다. 이러한 DCD-2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푸쉬 방식에 의하여, 기존의 이동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무선인터넷상의 사이트에 접속하고 여러 단계(depth)를 겨쳐 콘텐츠를 찾아가서 보던 방식에 탈피하여 콘텐츠를 사용자가 어렵게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해 주고,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Preference) 반영을 극대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것이 DCD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DCD는 기존의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 업데이터(전송) 요청에 의해서 DCD 서버가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DCD-1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한 풀(Pull) 방식도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적 콘텐츠 전송(DCD) 기술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로써,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서버 역할을 하는 DCD 서버와 콘텐츠를 전송받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와의 상호 연동에 의해서 수행되며, 이러한 DCD 기술은 DCD 서버와 DCD 클라이언트 간의 주고받는 메시지를 정의하고, 콘텐츠 및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에 대한 프로토콜을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DCD 기술에서는 DCD 서버가 단말기가 지원하는 기능 을 인지하지 못하여, DCD 서버는 단말기가 지원하지 못하는 콘텐츠를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의 문제점으로 인해, DCD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적합한 콘텐츠를 전송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언급한 필요한 콘텐츠 전송의 문제점으로 인해,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DCD 서버와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의 문제점으로 인해,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도 함께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DCD 서버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 간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통하여, DCD 서버가 단말기의 지원기능을 인지할 수 있게 하여, DCD 서버가 단말기의 지원기능에 적합한 동적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CD 서버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 간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통하여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을 인지할 수 있어서, DCD 서버가 단말기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하지않아,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DCD 서버와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DCD 서버로부터 단말기로의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 및 (b)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전송받기 전, 상기 DCD 클라이언트와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DCD 서버에 있어서, (a)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신 관리부; (b) 상기 데이터 수신 관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토대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관리부; (c)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콘텐츠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신 관리부; 및 (d)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상기 DCD 서버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DCD 클라이언트가 포함된 상기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CD 클라이언트는, (a) 상기 DCD 서버와의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관리부; (b)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관리부에서의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시작 지시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인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 (c)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생성 관리부; (d) 상기 메시지 생성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상기 DCD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송신 관리부; (e) 상기 DCD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수신 관리부; 및 (f) 상기 DCD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달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Dynamic Content Delivery: DCD, 이하 "DCD"라 칭함)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방법을 제공하는 전체 시스템은 DCD 클라이언트(110) 및 애플리케이션(120)이 포함된 단말기(100), DCD 서버(130), 콘텐츠제공 서버(140), 및 네트워크(150)로 구성된다.
DCD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Model)로써 설명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DCD 클라이언트(110)와 서버 역할을 하는 DCD 서버(130)의 연동에 의해 콘텐츠제공 서버(140)에 저장된 콘텐츠가 네트워크(150)를 통하여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100) 내 DCD 클라이언트로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콘텐츠는 단말기(100) 내 애플리케이션(120)으로 전달되어 단말기(100)의 대기화면 또는 화면표시부에 표현된다.
DCD 클라이언트(110)는 DCD 서버(130)와 연동하여 DCD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기(100) 내 존재하는 클라이언트 역할의 모듈(Module)로서, DCD 서버(130)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렇게 전송받은 콘텐츠를 애플리케이션(120)으로 전달하여 콘텐츠가 대기화면 또는 화면표시부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DCD 클라이언트(110)는 DCD 서버(130)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를 송신하여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기능을 수행한다.
DCD 서버(130)는 DCD 클라이언트(110)와 연동하여 DCD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단말기(100) 내 DCD 클라이언트(110)로 전송하는 서버이다.
또한, DCD 서버(130)는 DCD 클라이언트(110)로부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150)는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100)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로로서, CDMA 1x 망, EVDO 망, WCDMA 망, HSDPA 망, HSUPA 망, Wibro 망 등의 이동통신망, WiFi 네트워크 등의 무선네트워크, 유선 인터넷(Wired Interne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DCD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DCD 서버(130)와 DCD 클라이언트(110) 간의 통신하는 메시지(Message) 및 통신 프로토콜(Protocol)만을 규정한다. DCD 서버(130) 및 DCD 클라이언트(110)가 콘텐츠제공 서버(140) 또는 애플리케이션(120)과 통신하는 것에 대한 부분은 본 발명에서는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DCD 서버(130)(130)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해주는 DCD 서비스 제공 전, DCD 서버(130)(130)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110)(110)와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은 DCD 서버(130)(130)가 DCD 클라이언트(110)(110)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 및 DCD 서버(130)(130)가 DCD 클라이언트(110)(110)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방법을 아래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는 DCD 클라이언트(110)가 단말기 지원기능을 DCD 서버(130)로 알리는 단계로서,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 관련 프로그램에 설정된 협상 시작 시기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협상 시작 시기에 따라 DCD 클라이언트(110)에 의해 시작된다.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에서는 DCD 클라이언트(110)가 단말기 지원기능을 DCD 서버(130)로 알리기 위해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130)로 송신하게 된다.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에서의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 래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및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를 "m001"라고 설정한다면, DCD 서버(130)가 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 내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에 "m001"이라고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한 메시지가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CD 서버(130)는 DCD 클라이언트(110)와의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List)로서, 해당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Kilo Bite: KB) 정보 및 해당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정보를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비어러(Bearer) 타입 ID는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네트워킹 방식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의 DCD 클라이 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방식이 CDMA 1x 망이면 비어러(Bearer) 타입 ID를 "b000", EVDO 망이면 "b001", WCDMA 망이면 "b002", HSDPA 망이면 "b003", HSUPA 망이면 "b004", Wibro 망이면 "b005", WiFi 망이면 "b006", 유선 인터넷이면 "b007",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이면 "b008"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앞에서 언급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비어러타입 ID 정보 이외에 또 다른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는 DCD 서버(130)가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에서 DCD 클라이언트(110)로부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지하게 된 제 1 지원기능 내 단말기 지원기능 중에서 DCD 서버(130)가 지원가능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DCD 클라이언트(110)로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이 마무리되는 단계이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에서 DCD 서버(130)로부터 DCD 클라이언트(110)로 송신되는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래(Transaction)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해당 트랜잭션 ID에 해당하는 메시지 거래(Transaction)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 처리 결과 정보, 및 협 상이 이루어진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대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를 "m002"라고 설정한다면, DCD 클라이언트(110)가 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 내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에 "m002"이라고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한 메시지가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CD 클라이언트(110)는 DCD 서버(130)와의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마무리하게 된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는 DCD 서버(130)가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제 1 지원기능 정보에 명시된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단말기 지원기능이며, 동시에 DCD 서버(130)가 지원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은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와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에 의해 수행된다. 그 결과 DCD 서버(130)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에 적합한 동적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에 따라, DCD 서버(130)가 단말기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하지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DCD 서버(130)와 DCD 클라이언트(11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DCD 서버(130)로부터 DCD 클라이언트(110)로의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에서는 DCD 클라이언트(110)가 단말기 지원기능을 DCD 서버로 알리기 위해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130)로 송신하게 되는데, 도 3a는 이때의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310) 정보, 메시지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320)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330) 정보, 및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340)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 내 프리미티브 타입 ID (310)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 를 들어,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에 대한 프리미티브 타입 ID(310)를 "m001"라고 설정한다면, DCD 서버(130)가 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 내 프리미티브 타입 ID(310) 정보에 "m001"이라고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한 메시지가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CD 서버(130)는 DCD 클라이언트(110)와의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 내 제 1 지원기능 (340) 정보는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List)로서, 해당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Kilo Bite: KB) 정보 및 해당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앞에서 언급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비어러타입 ID 정보 이외에 또 다른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원기능에 대하여서는 도 3b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제 1 지원기능 정보 (Capability for Negotiatio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서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 내 제 1 지원기능 (340) 정보는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List)로서, 해당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341) 정보 및 해당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342) 정보를 포함한다.
전술한 비어러(Bearer) 타입 ID (342)는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네트워킹 방식에 대한 정보이다. 비어러(Bearer) 타입 ID (342) 설정의 예는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앞에서 언급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비어러타입 ID 정보 이외에 또 다른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비어러 타입 ID (Bearer Type ID)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것처럼, 비어러(Bearer) 타입 ID (342)는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네트워킹 방식에 대한 정보로써, 도 3c처럼 설정이 가능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DCD 서버(130)로부터 단말기의 DCD 클라이언트(110)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방식이 CDMA 1x 망이면 비어러(Bearer) 타입 ID (342)를 "b000"(3420)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EVDO 망이면 "b001"(3421)으로, WCDMA 망이면 "b002"(3422), HSDPA 망이면 "b003"(3423), HSUPA 망이면 "b004"(3424), Wibro 망이면 "b005"(3425), WiFi 망이면 "b006"(3426), 유 선 인터넷이면 "b007"(3427),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이면 "b008"(3428)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는 DCD 서버(130)가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S 200)에서 DCD 클라이언트(110)로부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지하게 된 제 1 지원기능 내 단말기 지원기능 중에서 DCD 서버(130)가 지원가능한 기능을 선택하여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DCD 클라이언트(110)로 송신함으로써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이 마무리되는 단계이며, 이러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S 202)에서는 DCD 서버(130)로부터 DCD 클라이언트(110)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가 송신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410) 정보, 메시지 거래(Transaction)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420)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430) 정보, 해당 트랜잭션 ID에 해당하는 메시지 거래(Transaction)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 처리 결과 (440) 정보, 및 협상이 이루어진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450) 정보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에 포함된 프리미티 브(Primitive) 타입 ID (410)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에 대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400)를 "m002"라고 설정한다면, DCD 클라이언트(110)가 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시지 내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410) 정보에 "m002"이라고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한 메시지가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CD 클라이언트(110)는 DCD 서버(130)와의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마무리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400)에 포함된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450) 정보는 DCD 서버(130)가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300) 내 제 1 지원기능 (340)정보에 명시된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단말기 지원기능이며, 동시에 DCD 서버(130)가 지원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DCD 서버 내부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전송받기 전, DCD 클라이언트와 단말기의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DCD 서버에 대한 내부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DCD 서버(500)는 데이터 수신 관리부(510),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관리부(520), 데이터 송신 관리부(530), 및 데이터 저장 관리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수신 관리부(510)는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관리부(520)는 데이터 수신 관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토대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송신 관리부(530)는 DCD 클라이언트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 및 콘텐츠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저장 관리부(540)는 콘텐츠 및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 내부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DCD 서버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DCD 클라이언트(610)가 포함된 단말기(6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을 위한 단말기(600)는 DCD 서버와 연동하여 실제로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고, DCD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DCD 클라이언트(610)와 DCD 클라이언트(610)가 수신한 콘텐츠를 전달받아 표현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기능을 제공하는 DCD 클라이언트(610)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611),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612), 메시지 생성 관리부(613), 메시지 송신 관리부(614), 메시지 수신 관리부(615), 및 콘텐츠 전달 관리부(6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611)는 DCD 서버와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612)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에서의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시작 지시를 전달받아,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인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생성 관리부(613)는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에서 생성된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생성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송신 관리부(614)는 메시지 생성 관리부에서 생성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DCD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수신 관리부(615)는 DCD 서버로부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콘텐츠 전달 관리부(616)는 DCD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및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611)는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 관련 프로그램에 설정된 협상 시작 시점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협상 시작 시점에 따라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시작을 관리하고, 협상 시작 시점에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로 협상 시작 지시를 전달하여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이 시작되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DCD 서버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 간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통하여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 기능을 인지할 수 있음으로,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에 적합한 동적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DCD 서버와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 간의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통하여 DCD 서버는 단말기의 지원기능을 인지할 수 있어서, DCD 서버가 단말기로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하지않아,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에 따른 DCD 서버와 단말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DCD 서버로부터 단말기로의 불필요한 콘텐츠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 및
    (b) 상기 DCD 서버가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는,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에 관련된 프로그램에 설정된 협상 시기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협상 시기에 따라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CDMA 1x 망, EVDO 망, WCDMA 망, HSDPA 망, HSUPA 망, Wibro 망, WiFi 네트워크, 유선 인터넷(Wired Interne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의 네트워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D 서버는,
    상기 DCD 클라이언트와 연동하여 동적 콘텐츠 전송(DCD)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로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상기 단말기 내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서버이며,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CD 클라이언트는,
    상기 DCD 서버와 연동하여 동적 콘텐츠 전송(DCD)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기 단말기 내 존재하는 모듈(Module)로서, 상기 DCD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는 클라이언트로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DCD 서버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요청 단계는,
    상기 DCD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을 상기 DCD 서버로 알리는 단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을 위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원기능 (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는 상기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상기 비어러타입 ID 정보 이외에 다른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러(Bearer) 타입 ID는,
    상기 DCD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메시지 또는 콘텐츠가 전송되기 위한 네트워크 형태 또는 네트워킹 방식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단계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a)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단계에서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지하게 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중에서 상기 DCD 서버가 지원가능한 기능을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래(Transaction)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해당 트랜잭션 ID에 해당하는 메시지 거래(Transaction)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 처리 결과 정보, 및 협상이 이루어진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다른 메시지와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에 대응되는 고유한 ID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에 명시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단말기 지원기능이며, 상기 DCD 서버가 지원가능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16. 단말기 내 DCD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전송받기 전, 상기 DCD 클라이언트와 상기 단말기의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기 위한 DCD 서버에 있어서,
    (a)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부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수신 관리부;
    (b) 상기 데이터 수신 관리부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토대로 제 2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응답 관리부;
    (c) 상기 DCD 클라이언트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 및 상기 콘텐 츠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송신 관리부; 및
    (d)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저장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하기 위한 DCD 서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을 위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DCD 서버.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DCD 서버.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에 명시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단말기 지원기능이며, 상기 DCD 서버가 지원가능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DCD 서버.
  20. DCD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단말기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 상기 DCD 서버와 단말기 지원기능을 협상하는 DCD 클라이언트가 포함된 상기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CD 클라이언트는,
    (a) 상기 DCD 서버와의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
    (b)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에서의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시작 지시를 전달받아,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인 제 1 지원기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
    (c)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의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생성 관리부;
    (d) 상기 메시지 생성 관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를 상기 DCD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송신 관리부;
    (e) 상기 DCD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수신 관리부; 및
    (f) 상기 DCD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단말기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콘텐츠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 전달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단말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요청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협상 관련 프로그램에 설정된 협상 시작 시점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협상 시작 시점에 따라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의 협상 시작을 관리하고, 협상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 관리부로 협상 시작 지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단말기.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원기능(Capability for Negotiation) 정보는,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단말기가 한 번에 수신가능한 콘텐츠의 크기 정보가 포함된 다운로드 가능 사이즈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비어러(Bearer)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비어러 타입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단말기.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응답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 타입 ID 정보, 메시지 거래(Transaction)를 식별하기 위한 트랜잭션(Transaction) ID 정보, 해당 메시지 거래가 수행되는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Session) ID 정보, 해당 트랜잭션 ID에 해당하는 메시지 거래(Transaction)에 대한 처리 결과 정보가 포함된 트랜잭션 처리 결과 정보, 및 협상이 이루어진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정보가 포함된 제 2 지원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단말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원기능(Negotiated Capability) 정보는,
    상기 DCD 서버가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 요청 메시지 내 상기 제 1 지원기능 정보에 명시된 상기 단말기 지원기능에 대한 리스트 중에서 선택한 단말기 지원기능이며, 상기 DCD 서버가 지원가능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을 위한 단말기.
KR1020070063232A 2007-06-26 2007-06-26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KR10131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32A KR101313677B1 (ko) 2007-06-26 2007-06-26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32A KR101313677B1 (ko) 2007-06-26 2007-06-26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00A true KR20090002300A (ko) 2009-01-09
KR101313677B1 KR101313677B1 (ko) 2013-10-02

Family

ID=4048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232A KR101313677B1 (ko) 2007-06-26 2007-06-26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15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환경에 기반한 메시지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928B1 (ko) * 2000-07-03 2002-11-07 주식회사 모빌탑 휴대통신단말기용 콘텐츠 프로그램 전송방법 및 그 실행방법
KR100673259B1 (ko) * 2004-08-20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컨텐츠 다운로드 방법
JP2008160324A (ja) 2006-12-21 2008-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サーバ、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切り替え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15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환경에 기반한 메시지 송신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677B1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18B1 (ko)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정보 수집을 위한 방법 및 서버
KR101351821B1 (ko) 이동단말기로 콘텐츠리스트 전송을 통한 콘텐츠 전송 방법,및 그를 위한 서버
CN1767508B (zh) 即时消息传送服务中的文件传输方法以及用于支持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CN101164045B (zh) Web服务器、通信设备以及其使用的方法
KR101669672B1 (ko)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CN1794640B (zh) 来自服务器的实时数据
KR1017351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01128A (ko) 자동 사용자 디바이스 프레즌스 등록 시스템
KR101207132B1 (ko) 차별화된 콘텐츠 표현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시스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단말기
KR101973531B1 (ko)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140061943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13677B1 (ko)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 지원기능 협상 방법,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JP2006031455A (ja) 電子メ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の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サーバ装置
KR101378401B1 (ko) 콘텐츠 유형에 따른 콘텐츠 전송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dcd서버
CN101790137A (zh) 一种融合ip消息的转发方法及系统
KR101128844B1 (ko) 단말기 상태 관리에 따른 콘텐츠 전송 방법, 그를 위한콘텐츠 전송 서버 및 단말기
KR101415002B1 (ko)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단말기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그를 위한 단말기 및 dcd 서버
KR101297155B1 (ko) 이동단말기 대기화면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서버, 및 클라이언트
KR101382360B1 (ko) 애플리케이션 등록 방법, 애플리케이션 해제 방법 및 그를위한 dcd 서버 및 단말기
KR101128852B1 (ko) 콘텐츠 업데이트를 위한 단말기 메모리 관리 방법 및 그를위한 단말기 및 서버
KR101128845B1 (ko) 콘텐츠 전송 분산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전송관리서버 및 단말기
KR20090038539A (ko) 콘텐츠 전송 스케줄 관리 방법, 그를 위한 콘텐츠 전송서버 및 단말기
KR101375088B1 (ko) 과금정보 협의에 따른 콘텐츠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위한 dcd 서버 및 단말기
JP5635053B2 (ja) 位置情報送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72929B1 (ko) 단말기 대기화면으로 동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콘텐츠과금정보 알림 방법, 그를 위한 단말기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