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081U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81U
KR20090002081U KR2020070014327U KR20070014327U KR20090002081U KR 20090002081 U KR20090002081 U KR 20090002081U KR 2020070014327 U KR2020070014327 U KR 2020070014327U KR 20070014327 U KR20070014327 U KR 20070014327U KR 20090002081 U KR20090002081 U KR 200900020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flow path
support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승중
Original Assignee
주승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중 filed Critical 주승중
Priority to KR2020070014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081U/ko
Publication of KR20090002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다단으로 형성된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한 다단형태의 안치부(121)에 결합돌기(123)를 복수 형성한 한 쌍의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에 고정되도록 결합공(112)을 형성하고, 오수가 외측으로 흐르도록 유로라인(115)을 형성하면서 배출하도록 배수공(117)을 형성한 받침플레이트(1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에 고정되도록 형성하면서, 상부측이 배수공(117) 저면에 밀착되는 경사유로(151)를 형성한 배수구(150)와; 상기 지지대(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형성한 연결바(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플레이트, 배수공, 경사유로, 유로경사면, 지지대, 배수유로, 토르마린

Description

화분 받침대{FLOWERPOT MAT}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는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 물질 즉, 담배 연기,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일산화 탄소, 오존 및 각종 유기 물질은 양이온을 형성하고 있는데 음이온은 이들 양이온을 중화 침전시켜 제거하므로 실내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해 준다.
이렇게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공기청정기보다는 실내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여 보스톤펀, 아레카 야자, 관음죽, 인도고무나무, 잉글리시 아이비, 스파티 필름, 행운목, 에피프레넘, 마지나타 드라세나, 싱고니움, 산세베리아 등의 공기정화식물을 화분에 심어 실내에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화분은 토양의 수분유통을 위하여 하부면에 침출수 유출구가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침출수 유출구를 통하여 흘러나온 물이 미관을 해치거나 카펫, 탁자 등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화분 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는 통상적으로 물받이기능을 하게 되는데 물받이 용량이 매우 적은 관계로 화분에 물 공급시 조금만 과도한 양의 물을 공급할 경우에도 화분을 통과한 물이 받침대에서 실내바닥으로 넘쳐 흘러 바닥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화분 받침대 잔존하게 되는 물이 세균에 오염되면서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물받이 내에 묻어있는 오염물들을 제거하기 위해 화분을 들어내고 물받이를 자주 청소해 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까지 노출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를 다 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고정되면서 화분을 통과한 오수가 배수공을 통하여 경사유로를 통하여 상단에서 하단으로 단계적으로 흐르면서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의 공간을 넓게 하기 위하여 실내공기정화식물을 한곳에 모와 보관할 수 있도록 다단 으로 이루어진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질개선과 냄새 감소, 화분의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토르마린을 형성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다단으로 형성된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한 다단형태의 안치부에 결합돌기를 복수 형성하면서, 측면에 연결공을 복수 형성하고, 저면에 바퀴부재를 복수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결합돌기에 고정되도록 내측 중앙에서 외측 하부로 경사진 유로경사면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유로경사면에 화분이 올려지도록 수평상태의 안치면을 구비한 받침돌기를 복수 구비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가 외측으로 흐르도록 유로라인을 형성 하며 유로라인을 따라 흐른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공을 형성하면서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를 형성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고정구에 고정되도록 고정공을 저면에 형성하면서, 상부측이 지지대의 안치부에 고정된 받침플레이트의 배수공 저면에 밀착되는 경사유로를 형성한 배수구와; 상기 지지대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삽입돌기를 양끝단면에 형성하여 한 쌍의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형성한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받침플레이트의 받침돌기 상면에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화분이 올려지는 안치면에 형성한 토르마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지지대의 안치부에 배수유로를 형성하면서, 받침플레이트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의 중앙에 배수유로 측으로 관통된 오수유입공을 형성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지대의 결합돌기 하부로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가이드공에 삽입 가이드되어 오수유입공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유로를 구비하면서 안치부를 따라 형성한 중공형태의 배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지지대의 후방 측면 상 하부에 각각 걸림공을 형성하고,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양 끝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고정바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후방 내측에서 엑스형태로 교차되어 한 쌍의 지지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지지대의 전방에 받침플레이트를 통해 배출된 오수를 수거하도록 구비한 수거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가 다 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의 안치부에 고정되면서 화분이 관통한 오수가 유로경사면의 유로라인을 따라 배수공측으로 흐르면서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면서 경사유로를 따라 하단에 위치한 받침플레이트로 유입되면서 다시 배수공을 유입되면서 경사유로를 따라 하부로 단계적으로 흐르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가 다 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의 안치부에 고정되면서 화분을 통과한 오수가 유로라인을 따라 유로경사면의 배수공 내측에 형성한 결합공에 결합된 결합돌기의 오수유입공으로 유입되면서 유입된 오수가 배수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원활히 수거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공기정화식물을 심어 여러 종류의 화분을 다 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고정된 복수의 받침플레이트에 동시에 올려놓을 수 있어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하면서 실내의 미관을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유로라인을 형성한 받침플레이트의 받침돌 기의 안치면에 올려지면서 화분을 통과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수거통으로 수거되므로 화분마다 별도의 물 받침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화분의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통과한 오수가 유로라인을 따라 흐르면서 걸림돌기의 오수유입공으로 유입되면서 배수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수거되므로 오수에 의한 실내 바닥의 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형성한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바로 연결하여 고정하므로 지지대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받침플레이트에 여러 종류의 화분을 동시에 올려놓아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의 후방 내측에 엑스형태로 교차되는 고정바가 형성되어 지지대를 고정하게 되므로 지지대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의 안치면에 토르마린이 형성되면서, 그 위에 화분이 올려지면서 화분에 심어진 공기정화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게 되고, 꽃의 색상이 선명하게 형성되며, 해충이 없고, 물이 썩지 않게 되며, 화분을 통과한 물을 필터링하게 되어 수질 오염을 예방하게 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의 안치면에 토르마린이 형성되면서, 화분을 통과한 오수에 발생한 냄새를 제거하면서 화분에 심어진 공기정화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면서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 공한다.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는 보스톤펀, 아레카 야자, 관음죽, 인도고무나무, 잉글리시 아이비, 스파티 필름, 행운목, 에피프레넘, 마지나타 드라세나, 싱고니움, 산세베리아 등의 공기정화식물을 심은 화분을 토르마린을 형성한 받침플레이트에 여러 개를 동시에 올려놓게 되면서 공기정화식물에서 음이온이 방출되면서 실내공기정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 신체의 저항력 증가, 자율신경 조절 및 통증 완화 작용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며,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지지대 다른 실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제 7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지지대 다른 실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도 내지 제 7 도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 받침대(100)는, 다 단으로 형성된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에 고정되어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1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배수구(150)와; 상기 지지대(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30)로 구성한다.
상기 화분 받침대(100)의 지지대(120)는 상면에 형성한 다단형태의 안치부(121)에 결합돌기(123)를 복수 형성한다.
아울러, 지지대(120)의 측면에 연결공(125)을 복수 형성하면서 저면에 바퀴부재(126)를 복수 형성하여 이동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한다.
그리고 안치부(121)에 배수유로(122)를 형성하면서, 결합돌기(123)의 중앙에 배수유로(122) 측으로 관통된 오수유입공(124)을 형성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수유로(122)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오수가 전방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 하부로 가이드공(127)을 형성하고, 가이드공(127)에 삽입 가이드되어 오수유입공(124)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유로(129)를 구비하면서 안치부(121)를 따라 형성한 중공형태의 배수관(128)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대(120)의 전방으로 배수유로(122)를 따라 흐르는 오수를 수거하도록 구비한 수거통(140)을 더 구성하여 오수가 실내 바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 받침대(100)의 받침플레이트(110)는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에 고정되도록 내측 중앙에서 외측 하부로 경사진 유로경사면(111) 양측에 결합공(1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에 오수유입공(124)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오수가 결합공(11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개(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로경사면(111)에 화분이 올려지도록 수평상태의 안치면(113)을 구비한 받침돌기(114)를 복수 구비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가 외측으로 흐르도록 유로라인(115)을 형성하며 유로라인(115)을 따라 흐른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공(117)을 형성하고, 배수공(117)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118)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플레이트(110)의 받침돌기(114) 상면에 형성된 안치면(113)에 토르마린(116)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토르마린(116)은 라듐의 발견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퀴리 부부의 남편인 삐에르가 광물학자인 형 자크의 도움을 받아서 토르마린의 결정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결정 표면에 전하(전기)가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토르마린은 전기석이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고, 1986년 일본의 한 연구소에서 토르마린 을 아무리 작게 분쇄하여도 각각 그 결정의 양단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존재하고 있으며 1000℃ 가까이 가열하지 않는 한 영구히 감쇠하지 않는 전극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리고 토르마린 결정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을 연결하면 0.06㎃의 미약 전류가 흐르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토르마린(116)은 약칼리화 최적의 ph7.4, 물의 클러스터(분자집단)를 세분화, 미네랄 함유, 제균 효과, 탈취 효과, 염소 냄새를 제거하는 수질개선과, 인체의 신진 대사를 촉진시키는 마이너스 이온, 세포기능, 면역 기능 활성화, 혈액 정화, 자율 신경 안정, 침투성, 습윤성, 보습 효과를 갖는 건강개선과, 배수구에 끼는 이물질과 냄새 감소, 세정력이 좋은 물이 되어 세제 사용량 감소, 애완 동물의 냄새 제거와 식물생장을 촉진 하는 환경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토르마린(116)을 받침플레이트(110)에 형성하여 그 위에 화분이 올려지면서 화분에 심어진 공기정화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게 되고, 꽃의 색상이 선명하게 형성되며, 해충이 없고, 물이 썩지 않게 되며, 화분을 통과한 물을 필터링하게 되어 수질 오염을 예방하게 된다.
상기 화분 받침대(100)의 배수구(150)는 받침플레이트(110)의 고정구(118)에 고정되도록 고정공(152)을 저면에 형성하면서, 상부측이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고정된 받침플레이트(110)의 배수공(117) 저면에 밀착되는 경사유로(151)를 형성한다.
상기 화분 받침대(100)의 연결바(130)는 받침플레이트(110)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대(120)의 연결공(125)에 결합되는 연결삽입돌기(131)를 양끝단면에 형성 하여 한 쌍의 지지대(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형성한다.
나아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20)를 후방에서 견고히 결속하도록 지지대(120)의 후방 측면 상 하부에 각각 걸림공(125a)을 형성하고, 걸림공(125a)에 걸리는 걸림돌기(133)를 양 끝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고정바(132)를 형성하여 지지대(120)의 후방 내측에서 엑스형태로 교차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120)를 양측으로 이격시키고, 이격된 지지대(120)의 내측으로 지지대(120)의 연결공(125)에 연결바(130)의 연결삽입돌기(131)를 삽입 결합하여 연결바(130)로 한 쌍의 지지대(120)를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바(130)로 상호 연결된 지지대(120)의 견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대(120)의 후방 내측에 고정바(132)를 엑스형태로 교차되게 하면서 고정바(132)의 걸림돌기(133)를 지지대(120)의 걸림공(125a)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연결바(130)와, 고정바(132)에 의하여 지지대(120)가 세워지면, 다단형태로 형성한 각각의 안치부(121)에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110)를 안치시키도록한다.
이때, 받침플레이트(110)의 결합공(112)으로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가 삽입되도록 하여 받침플레이트(110)를 지지대(120)에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안치부(121)에 고정된 각각의 받침플레이트(110) 고정구(118)에 배수 구(150)의 고정공(152)을 끼워 배수구(150)가 받침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배수구(150)의 경사유로(151) 상부측이 상단에 위치한 받침플레이트(110)의 배수공(117) 저면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분을 받침플레이트(110)에 올려놓게 되고, 올려진 화분은 수평형태의 안치면(113)에 의해 기울어짐 없이 받듯한 형태로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120)의 전방인 최하단 받침플레이트(110)의 배수구(150) 하부로 오수를 수거하도록 형성된 수거통(140)을 비치하여 오수가 실내 바닥으로 흐르지 않도록 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렇게 화분 받침대(100)의 받침플레이트(110)에 공기정화식물이 심어진 여러 종류의 화분을 실내에서 재배할 수 있어 공기정화식물의 음이온 방출로 실내공기정화,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 신체의 저항력 증가, 자율신경 조절 및 통증 완화 작용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공기정화식물이 심어진 화분에 물을 주게 되면 화분의 토사에서 흡수되고 남은 물은 화분 하부를 통과하면서 오수하게 되고, 이때 오수는 토르마린(116)에 의하여 오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필터링 되면서 받침플레이트(110)의 유로경사면(11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로경사면(111)으로 유입된 오수는 받침돌기(114)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라인(115)을 따라 유로경사면(111)의 양측 전방에 형성한 배수공(117)으로 유입되면서 배수구(150)의 경사유로(151)를 따라 하단에 위치한 받침플레이트(110)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수는 다시 배수공(117)으로 유입되면서 경사유로(151)를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받침플레이트(110)나, 수거통(140)으로 유입되면서 오수를 모아 버릴 수 있게된다.
한편, 지지대(120)에 배수유로(122)가 형성된 경우 결합공(112)에 구비된 마개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공(112)에 구비된 마개를 제거하게 되면 유로경사면(111)으로 유입된 오수는 받침돌기(114)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라인(115)을 따라 유로경사면(111)의 하단부 양측에 형성한 결합공(112) 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오수가 결합공(112) 측으로 흐르게 되면서 결합공(112)에 결합된 결합돌기(123)의 오수유입공(124)으로 유입되면서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형성된 배수유로(12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배수유로(122)를 따라 하부로 흐르면서 지지대(120)의 전방에 비치한 수거통(140)에 수거하게 되며, 수거된 오수는 모아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배수관(128)이 형성된 경우 결합공(112) 측으로 흐른 오수가 결합돌기(123)의 오수유입공(124)으로 삽입된 배수관(128)의 삽입유로(129)로 유입되면서 배수관(128)을 따라 수거통(140)이 비치된 전방으로 흐르게 되면서 오수를 수거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화분이 올려지는 받침플레이트(110)가 고정되면서 화분을 통과한 오수가 유로라인(115)을 따라 유로경 사면(111)의 전방 양측에 형성한 배수공(117)으로 유입되면서 경사유로(151)를 따라 외부로 배출 하거나, 결합돌기(123)의 오수유입공(124)으로 유입되면서 유입된 오수가 배수유로(122)를 따라 흐르면서 지지대(120)의 전방에 형성된 수거통(140)으로 원활히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나타낸 정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지지대 다른 실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지지대 다른 실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분 받침대 110: 받침플레이트
111: 유로경사면 112: 결합공
113: 안치면 114: 받침돌기
115: 유로라인 116: 토르마린
117: 배수공 118: 고정구
120: 지지대 121: 안치부
122: 배수유로 123: 결합돌기
124: 오수유입공 125: 연결공
125a: 걸림공 126: 바퀴부재
127: 가이드공 128: 배수관
129: 삽입유로 130: 연결바
131: 연결삽입돌기 132: 고정바
133: 걸림돌기 140: 수거통
150: 배수구 151: 경사유로
152: 고정공

Claims (6)

  1. 다단으로 형성된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한 다단형태의 안치부(121)에 결합돌기(123)를 복수 형성하면서, 측면에 연결공(125)을 복수 형성하고, 저면에 바퀴부재(126)를 복수 구비한 한 쌍의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에 고정되도록 내측 중앙에서 외측 하부로 경사진 유로경사면(111) 양측에 결합공(112)을 형성하고, 유로경사면(111)에 화분이 올려지도록 수평상태의 안치면(113)을 구비한 받침돌기(114)를 복수 구비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가 외측으로 흐르도록 유로라인(115)을 형성하며 유로라인(115)을 따라 흐른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공(117)을 형성하면서 후방에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118)를 형성한 받침플레이트(11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의 고정구(118)에 고정되도록 고정공(152)을 저면에 형성하면서, 상부측이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고정된 받침플레이트(110)의 배수공(117) 저면에 밀착되는 경사유로(151)를 형성한 배수구(150)와;
    상기 지지대(120)의 연결공(125)에 결합되는 연결삽입돌기(131)를 양끝단면에 형성하여 한 쌍의 지지대(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복수 형성한 연결바(13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110)의 받침돌기(114) 상면에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화분이 올려지는 안치면(113)에 형성한 토르마린(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의 안치부(121)에 배수유로(122)를 형성하면서, 받침플레이트(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3)의 중앙에 배수유로(122) 측으로 관통된 오수유입공(124)을 형성하여 화분을 관통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의 결합돌기(123) 하부로 가이드공(127)을 형성하고, 가이드공(127)에 삽입 가이드되어 오수유입공(124)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유로(129)를 구비하면서 안치부(121)를 따라 형성한 중공형태의 배수관(12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의 후방 측면 상 하부에 각각 걸림공(125a)을 형성하고, 걸림공(125a)에 걸리는 걸림돌기(133)를 양 끝단부에 형성한 한 쌍의 고정바(132)를 형성하여 지지대(120)의 후방 내측에서 엑스형태로 교차되어 한 쌍의 지지대(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20)의 전방에 받침플레이트(110)를 통해 배출된 오수를 수거하도록 구비한 수거통(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KR2020070014327U 2007-08-29 2007-08-29 화분 받침대 KR200900020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27U KR20090002081U (ko) 2007-08-29 2007-08-29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27U KR20090002081U (ko) 2007-08-29 2007-08-29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81U true KR20090002081U (ko) 2009-03-04

Family

ID=4150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327U KR20090002081U (ko) 2007-08-29 2007-08-29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08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8464A1 (en) * 2010-03-25 2011-09-28 Bama S.p.A. Flower holder structure
KR101403102B1 (ko) * 2012-08-07 2014-06-03 김영규 화분 받침대
KR200473474Y1 (ko) * 2013-05-22 2014-08-06 이기원 방수 및 배수 기능성 화분용 선반
KR200475057Y1 (ko) * 2013-05-09 2014-11-05 문현만 회전판과 조화된 수레식 화분 진열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8464A1 (en) * 2010-03-25 2011-09-28 Bama S.p.A. Flower holder structure
KR101403102B1 (ko) * 2012-08-07 2014-06-03 김영규 화분 받침대
KR200475057Y1 (ko) * 2013-05-09 2014-11-05 문현만 회전판과 조화된 수레식 화분 진열대
KR200473474Y1 (ko) * 2013-05-22 2014-08-06 이기원 방수 및 배수 기능성 화분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1078Y1 (ko) 분수와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식물재배기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CA2904208C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2029226B1 (ko) 실내용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정수 장치
KR20090002081U (ko) 화분 받침대
CN105776755A (zh) 小型污水与空气处理的一体式净化装置
KR20150041327A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0225740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 및 상기 화분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KR101658191B1 (ko)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AU2015100899A4 (en) The Drawer Pot.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101083075B1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KR101499172B1 (ko) 빗물 이용 장치
KR200423012Y1 (ko) 농축산용 공기정화장치
KR100209822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90108249A (ko) 공기 집진기
KR20210020587A (ko) 잔디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장치
KR20220060112A (ko) 식생장치
CN210433764U (zh) 一种清洁型鸭头锅具的沥水消毒柜
RU824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воздуха
KR200394637Y1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2002868B1 (ko) 식물포트 및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