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741U -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741U
KR20090001741U KR2020070013781U KR20070013781U KR20090001741U KR 20090001741 U KR20090001741 U KR 20090001741U KR 2020070013781 U KR2020070013781 U KR 2020070013781U KR 20070013781 U KR20070013781 U KR 20070013781U KR 20090001741 U KR20090001741 U KR 200900017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body
turbid
network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중창
강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to KR2020070013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741U/ko
Publication of KR20090001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여과효율이 높으며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한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필터장치는, 혼탁액이 유입되는 필터몸체와 이 필터몸체 설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는 다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망은 비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필터몸체의 각각의 면에 각각 설치된다.
필터, 여과, 반원, 비평면, 다각형, 릴리, 고압 분사, 정화, 하수.

Description

필터장치{A FILTER DEVICE}
본 고안은 혼탁액에 포함된 혼탁입자를 여과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시스템 또는 하수처리시스템과 같은 처리시스템의 경우, 미세 고체입자가 포함되어 혼탁해진 정수 또는 하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를 구비한다. 하기에서는 상기 미세 고체입자는 혼탁입자, 혼탁입자가 혼입된 액체는 혼탁액, 그리고, 상기 혼탁입자가 여과된 액체는 청정액으로 지칭한다.
상기 필터장치는 혼탁액이 유입되도록 적어도 일단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회전되는 필터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몸체의 외면에는 혼탁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망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혼탁입자가 포함된 혼탁액은 상기 필터몸체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혼탁액에 포함된 혼탁입자가 상기 필터망에 의해 여과되며, 그로 인해, 상기 혼탁액은 청정액이 된다.
한편, 상기 필터망의 표면면적은 여과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따라서, 원통형의 상기 필터몸체에 마련된 필터망으로는 고품질의 여과효율을 구현하기에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망의 일부영역이 찢어지는 것과 같이 유지 또는 보수를 필요로할 경우, 상기 원통형의 필터몸체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이로써, 상기 필터장치의 유지 또는 보수비용이 상승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지 또는 보수가 용이하고 여과효율이 향상된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필터장치는, 혼탁액이 유입되는 필터몸체와 이 필터몸체 설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는 다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망은 비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필터몸체의 각각의 면에 각각 설치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망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몸체는 육각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터장치에 의하면, 반원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필터망이 다각형의 필터몸체에 설치됨으로써, 혼탁액을 여과하는 상기 필터망의 표면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혼탁액의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필터망이 상기 필터몸체에 복수개로 설치됨으로써, 유지 또는 보수가 필요한 필터망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유지 또는 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 또는 보수 동작이 간편한 필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장치는, 필터몸체(10), 필터망(20) 및 클리닝수단(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몸체(10)는 일단(13)에 마련된 유입구(11)를 통해 혼탁액이 유입되며, 이를 위해 내부가 비워진 중공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몸체(10)는 도 3과 같이 단면이 다각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상기 필터몸체(10)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과의 연결에 의해 도 3에 표시된 A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필터망(20)은 상기 다각형상의 필터몸체(10) 각각의 면에 각각 지지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상의 필터몸체(10)에 대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필터망(20)이 필터몸체(10) 각각의 면에 각각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필터망(20)은 도 2와 같이,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필터망(20)이 설치된 필터몸체(10)의 단면은 백합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망(20)은 꼭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비평면형상인 예컨대 삼각 또는 오각단면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필터망(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몸체(10)에 스크류(S)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 기 6개의 필터망(20) 중 유지 또는 보수가 필요한 필터망(20) 만을 상기 필터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필터망(20)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몸체(10)는 상기 필터망(20)과 스크류(S)에 의해 체결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몸체(10)는 도 2와 같이, 유입구(11)가 형성되는 일단(13)과 이 일단(13)과 마주하는 타단(14) 사이의 영역이 관통되며, 그 일단(13)과 타단(14) 사이는 일단(13)과 타단(14)을 연결하며 필터망(20)과 스크류(S)에 의해 체결되는 프레임(15)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필터망(20)은 상기 필터몸체(10)의 외관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필터몸체(10) 내부로 유입된 혼탁액을 여과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몸체(10)의 유입구(11)로 유입된 상기 혼탁액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필터몸체(10)의 내부에서 필터망(20)을 통해 B방향으로 배출되어 혼탁입자가 여과된다.
상기 필터망(20)을 통해 상기 필터몸체(10) 외부로 배출된 혼탁입자가 여과된 청정액은 필터몸체(10)의 외부에 마련된 수거통(12)에 수거된다. 상기 수거통(12)의 내부에는 수거된 청정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6)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몸체(10)의 혼탁액과 수거통(12)의 청정액은 소정 수위차 예컨대 30cm의 수위차를 가짐으로써, 혼탁액이 상기 필터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혼탁액이 고 수위의 필터몸체(10) 내부로부터 저 수위의 필터몸체(10)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필터망(20)에 의한 여과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수거통(12)에 의해 수거된 청정액은 다음 단계의 하수처리 또는 정수처 리를 위해 이송된다. 이러한 필터장치가 채용되는 하수처리시스템 또는 정수처리시스템은 이미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클리닝수단(30)은 상기 필터망(20)에 끼인 혼탁입자를 클리닝하는 것으로써, 클리닝노즐(31)과 클리닝받이(32)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노즐(31)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몸체(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망(20)으로 세척액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노즐(31)은 상기 필터몸체(10) 외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중력방향인 도 3에 도시된 C방향으로 고압 세척액를 분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닝노즐(31)은 상기 필터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혼탁액으로부터 분리되어 필터망(20)에 걸린 혼탁입자를 C방향 즉, 필터망(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세척액를 고압 분사하여 필터망(2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클리닝받이(32)는 상기 클리닝노즐(31)로부터 고압 분사된 세척액에 의해 필터망(20)으로부터 C방향으로 분리된 혼탁입자를 수거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받이(32)는 상기 필터망(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클리닝노즐(31)와 마주하도록 필터몸체(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클리닝받이(32)에는 혼탁입자가 포함된 세척액이 수거되며, 수거된 혼탁입자가 포함된 세척액은 다음 단계 처리를 위해 클리닝받이(32)와 연결된 연결호스(33)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D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은 상기 필터망(20)에 의해 혼탁입자가 여과된 청정액이 사용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리닝노즐(31)이 상기 필터몸체(10)의 외부 상측에 설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클리닝노즐(31)의 위치는 상기 필터망(20)의 혼탁입자를 분리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든지 상관없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클리닝받이(32) 또한, 상기 클리닝노즐(31)의 위치에 대응하여 필터망(20)으로부터 분리된 혼탁입자를 수거할 수 있는 어떠한 위치든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장치의 여과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탁입자가 포함된 혼탁액이 유입구(11)를 통해 상기 필터몸체(10)로 유입되면, 상기 필터몸체(10) 내외부의 수압차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B방향으로 혼탁액이 필터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혼탁액에 포함된 혼탁입자는 상기 필터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필터망(20)을 통해 여과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망(20)은 도 2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혼탁액은 필터망(20)과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한 채 여과된다.
상기 필터망(20)에 의해 여과된 청정액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수거통(12)에 의해 수거된다. 이때, 상기 수거통(12) 내부의 청정액은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 출된다.
상기 필터망(20)에 의한 혼탁액 여과동작이 계속되어 상기 혼탁입자에 의해 필터망(20)의 막힘이 발생되면, 상기 수거통(12)에 설치된 수위센서(16)가 일정 수위 이하의 청정액을 센싱함으로써 이를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탁액이 막혀진 필터망(20)에 의해 여과되지 못하고 필터몸체(10) 외부로 배출되지 못함으로써, 상기 수거통(12)에 수거되는 청정액의 수위는 점점 낮아진다. 이를, 상기 수위센서(16)가 감지함으로써, 상기 필터망(20)의 막힘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망(20)의 막힘이 발생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클리닝노즐(31)로부터 고압 세척액이 C방향으로 분사된다. 상기 클리닝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고압 세척액은 상기 필터망(20)에 걸린 혼탁입자의 걸림방향인 B방향과 반대인 C방향인 필터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혼탁입자가 필터망(2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필터망(20)으로부터 분리된 혼탁입자는 세척액에 포함되어, 상기 클리닝노즐(31)과 마주하도록 필터몸체(10) 내부에 설치된 클리닝받이(32)에 수거된 후, 연결호스(33)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D방향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6개의 필터망(20) 중 어느 하나의 필터망(20)의 유지 또는 보수동작이 요구될 경우, 작업자는 상기 6개의 필터망(20) 중 유지 또는 보수가 필요한 필터망(20) 만을 필터몸체(10)로부터 분리하여 교체시킨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 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몸체로부터 필터망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필터몸체 20: 필터망
30: 클리닝수단

Claims (3)

  1. 혼탁액이 유입되는 필터몸체와 이 필터몸체 설치되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는 다각형상을 가지며, 상기 필터망은 비평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필터몸체의 각각의 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망은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는 육각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KR2020070013781U 2007-08-20 2007-08-20 필터장치 KR200900017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781U KR20090001741U (ko) 2007-08-20 2007-08-20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781U KR20090001741U (ko) 2007-08-20 2007-08-20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41U true KR20090001741U (ko) 2009-02-25

Family

ID=4129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781U KR20090001741U (ko) 2007-08-20 2007-08-20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7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4683A (zh) * 2017-10-19 2018-03-02 中国宣纸股份有限公司 过滤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4683A (zh) * 2017-10-19 2018-03-02 中国宣纸股份有限公司 过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JP2013512771A (ja)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CN108726591A (zh) 用于水处理的过滤装置和用于水处理过滤装置的工作方法
KR101468655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RU200512818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KR101499781B1 (ko) 오토 스트레이너
JP2014024031A (ja) 膜ろ過装置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JP5768391B2 (ja) 濾過装置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20090001741U (ko) 필터장치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CN208244203U (zh) 一种自清洗精密过滤器
KR100740048B1 (ko) 중공사막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689855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JP6361982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の洗浄装置
KR100899071B1 (ko) 탁도 제거기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KR102666479B1 (ko) 세정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장치의 멤브레인 모듈
KR200476522Y1 (ko) 오토 스트레이너
KR102269801B1 (ko) 하폐수 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의 프레임 구조
KR101716826B1 (ko) 중공사막 모듈
JPH0761404B2 (ja) 液中の軽比重の浮遊物の除去装置
KR102269800B1 (ko) 하폐수 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
KR100975694B1 (ko) 오폐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