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813U -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813U
KR20090000813U KR2020070012148U KR20070012148U KR20090000813U KR 20090000813 U KR20090000813 U KR 20090000813U KR 2020070012148 U KR2020070012148 U KR 2020070012148U KR 20070012148 U KR20070012148 U KR 20070012148U KR 20090000813 U KR20090000813 U KR 200900008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evaporator
storage
discharge por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희
정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2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813U/ko
Publication of KR20090000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8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상히터의 구동으로 인한 열기에 의해 선반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성에 착상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저장실과, 증발기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과,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제상히터의 가동시 상기 저장실내로 유입되는 열기의 상향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Frost prevention structur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에 포함되는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착상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20 : 제1저장실
22 : 증발기 23 : 제상히터
30 : 제2저장실 40 : 선반
41 : 프레임 43 : 패널부
44 : 연통홀 50 : 덕트부
52 : 덕트커버 52a: 토출구
53 : 유입구 54: 송풍팬
본 고안은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 상부에 마련된 선반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있는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순환시켜 제2저장실과 제1저장실의 고내온도를 제어함으로써 고내에 저장된 냉동식품과 냉장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냉동사이클은 저온저압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 공기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여 팽창시키는 모세관과, 그 모세관으로부터 팽창된 냉매와 고내공기를 열교환시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의 고내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저장실의 고내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도록 압축기과 송풍팬을 온/오프 제어하여 토출구를 통해 저장실내로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저장실에 대한 냉각운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냉각운전을 장시간 계속하면 증발기에 성에가 착상되게 되는데, 냉각운전을 수행하는 도중에 제상조건을 만족시 제상히터를 구동하여 제상히터의 열로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증발기의 제상을 위한 제상 운전시 제상히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수증기를 머금은 열기는 토출구를 통해 저장실내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저장실내로 유입되는 제상히터측의 열이 선반 또는 내상에 접하게 되고 그 부분을 국 부적으로 가열하게 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이와 같은 물방울은 고드름과 같은 얼음 또는 성에로 자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장실에 김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부피가 큰 저장상자를 수납하는 냉장고에는 저장실내부로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 저장상자에 의해 토출구가 가리게 않도록 토출구를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선반의 인접하는 하부에 토출구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은 선반과 토출구의 배치구조에 의해 선반에 얼음 또는 성에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상히터의 구동으로 인한 열기에 의해 선반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성에 착상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장실과, 증발기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과,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제상히터의 가동시 상기 저장실내로 유입되는 열기의 상향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는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고안은 증발기와,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실 과, 상기 저장실내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선반과,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와, 상기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상기 제상히터측의 열기가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성에 착상방지 구조는 저장실과, 증발기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며 연통홀이 형성된 선반과,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히터의 구동시 상기 저장실로 유입되는 열기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선반의 상부로 유동토록 하여 상기 선반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는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에 포함되는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성에 착상 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실(20,30)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본체(10)를 구비하고, 본체(10)의 내부의 저장실(20,30)은 중간벽(11)에 의해 상호 상하로 구획된 상부의 제1저장실(20)과 하부의 제2저장 실(30)을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제1저장실(20)과 제2저장실(30)을 각각 개폐하기 위한 제1저장실도어(21)와 제2저장실도어(31)가 설치된다.
본체(10)는 내부에 우레탄 발포 단열재가 충진된 함체상으로 마련되며, 하부의 후방에는 각종 전장품이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형성된다. 기계실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와 동일하게 냉동사이클의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미도시)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미도시)와, 전장상자(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제1저장실(20)에는 저장물을 얹어 놓기 위한 선반(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선반(40)은 제1저장실(20)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미도시)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저장실(20)에 삽입 고정된다.
선반(40)은 저장공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가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구획하여 보다 많은 저장물이 보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저장실(20)에 김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부피가 큰 저장상자(A)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선반(40)은 견고하게 마련된다.
선반(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평판형태로 된 패널부(43)와, 패널부(43)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41)을 구비하여 제1저장실(20)의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 착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프레임(41)은 그 전방 및 후방 골격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부(41a), 후면 프레임부(41b) 및 이들(41a,41b)을 연결하는 측면 프레임부(41c)를 가지며, 가로 방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측면프레임부(41c)에는 선반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면프레임부(41c)로부터 상향 돌출된 가이드부(42)가 마련된다.
패널부(43)는 투시가 가능한 통상의 강화유리나 수지재 패널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반(40)은 제1저장실(20)을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하며, 비교적 무겁고 부피가 큰 저장상자, 예를 들어 김치 등을 보관하는 저장상자(A)가 수납될 수 있다.
제2저장실(30)의 상부는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좌측에는 제빙기(32)와, 제빙기(3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3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우측 및 하측에는 제2저장실용 수납서랍(3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저장실도어(21) 및 제2저장실도어(31)는 각각 제1저장실(20)과 제2저장실(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1저장실(20)과 제2저장실(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에 형성된 힌지(미도시)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여 제1저장실(20)과 제2저장실(30)을 개폐하게 된다.
1,2저장실(20,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온도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와 같이 저장실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통상의 기술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측에 마련된 제1저장실(20)의 후방에는 냉동사이클과 연결되어 제1저장실(20)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22)와, 증발기(22)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제1저장실(20)로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부(50)와, 증발기(22)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제상히터(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덕트부(50)는 증발기(22)의 전방을 덮는 증발기커버(51)와, 증발기커버(5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내부에 냉기유로(55)를 형성하고 제1저장실(20)과 증발기(22)측을 구획하면서 제1저장실(20)의 후면을 형성하는 덕트커버(52)로 이루어진다.
덕트부(50)의 하측에는 제1저장실(20)의 냉기를 증발기(22)측으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53)가 형성되며, 유입구(53)를 통해 유입된 냉기가 증발기(22)를 거쳐 열교환되어 제1저장실(20)로 토출되도록 송풍구(51a)가 증발기커버(51)의 상측에 마련된다. 이때 송풍구(51a)에는 열교환된 냉기가 제1저장실(20)로 강제공급하기 위한 송풍팬(54)이 구비된다.
또한 송풍팬(54)에 의해 송풍구(51a)를 통과한 냉기가 제1저장실(20)에 골고루 분산 토출되도록 덕트부(50)의 덕트커버(52) 전면 즉, 제1저장실(20)의 후면에는 적정 개수의 토출구(52a)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덕트부(50) 내부에는 송풍구(51a)로 유입된 냉기를 토출구(52a)로 안내할 수 있도록 냉기유로(55)가 형성된다.
제1저장실(20)에는 김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부피가 큰 저장상자(A)를 수납하기 때문에 제1저장실(20)내부에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기 위해서는 저장상자(A)에 의해 토출구(52a)가 가리게 않도록 토출구(52a)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토출구(52a)가 선반(40)의 인접하는 하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저장실(20)내의 냉기는 유입구(53)를 통해 증발기(22)측으로 유입되고, 증발기(22)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팬(54)을 통해 냉기유로(55)로 유입되며, 냉기유로(55)의 냉기는 토출구(52a)를 통해 제1저장실(20)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후방에 배치된 덕트부와 증발기의 구성은 제2저장실의 후방에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저장실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제2저장실을 냉각할 수도 있다.
증발기(22)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상히터(23)는 바람직하게는 증발기(22)의 하부에 마련되어 냉각운전을 장시간 계속함으로 인하여 증발기(22)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한다. 즉, 냉각 운전 수행중 제상조건(제상조건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한다.)만족하는 경우 제상히터(23)를 구동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제상히터(23)의 열로 증발기(22)의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압축기(미도시)와 송풍팬(54)의 구동을 종료하고 제상히터(23)를 가동하게 되는데, 제상히터(23)의 가동으로 인하여 증발기(22)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되고 수증기를 포함하는 열기가 자연대류에 의해 토출구(52a)를 통해 제1저장실(20)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저장실(20)내부로 유입되는 열기는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인접하게 마련된 선반(40)의 후면 프레임(41)의 하부를 가열하게 되고, 가열된 부위에 서는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은 물방울 등은 추후에 성에 및 얼음 등으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선반에 성에 및 얼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저장실(20)내부로 유입되는 열기가 상향유동 가능하도록 연통홀(44)을 형성한다.
이는 토출구(5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홀(44)을 형성하여 배출되는 열기에 의해 선반(4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통홀(44)은 단일의 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프레임(41)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열기의 상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52a)로부터 토출되는 열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40)의 후면 프레임(41)의 하부를 가열함이 없이 연통홀(44)을 통해 상향 이동되기 때문에 선반(40)에 이슬이 맺히거나 성에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저장실의 성에 착상 방지구조는 제2저장실에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상부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장실이 형성된 냉장고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좌우로 구획되어 일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타측에 냉동실이 형성된 일명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 및 상부 냉장실에 한쌍의 도어가 마련되는 일명 프렌치 타입 냉장고 등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성에 착상 방지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의 선반은 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며, 토출구에 대응하는 부위에 연통홀을 마련하여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열기에 의해 선반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선반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저장실과, 증발기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선반과,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는 상기 제상히터의 가동시 상기 저장실내로 유입되는 열기의 상향유동이 가능하도록 연통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는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증발기와,
    토출구가 형성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내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선반과,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와,
    상기 선반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상기 제상히터측의 열기가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저장실과, 증발기와,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며 연통홀이 형성된 선반과, 상기 증발기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상히터의 구동시 상기 저장실로 유입되는 열기가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선반의 상부로 유동토록 하여 상기 선반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의 성에 착상방지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선반은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는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성에 착상방지 구조.
KR2020070012148U 2007-07-23 2007-07-23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900008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48U KR20090000813U (ko) 2007-07-23 2007-07-23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48U KR20090000813U (ko) 2007-07-23 2007-07-23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813U true KR20090000813U (ko) 2009-01-30

Family

ID=4129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148U KR20090000813U (ko) 2007-07-23 2007-07-23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8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071B2 (en) Refrigerator
KR102326481B1 (ko) 냉장고
EP3705818B1 (en) Refrigerator
KR101339519B1 (ko) 도어에 제빙실의 냉동 시스템이 설치된 냉장고
US10852050B2 (en) Refrigerator
CN105605857B (zh) 冰箱
KR102483212B1 (ko) 냉장고
KR100584271B1 (ko) 냉장실 도어에서의 제빙 냉기 유로 구조
JP3904866B2 (ja) 冷蔵庫
KR20050094671A (ko)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유로 구조
KR10059730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2000314580A (ja) 冷凍冷蔵庫
EP3271669B1 (en) Refrigerator
KR100531317B1 (ko) 냉장고
KR100614315B1 (ko) 냉장고
KR20150045796A (ko) 김치냉장고
KR20030021943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KR20090000813U (ko) 성에 착상 방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76269A (ko) 냉장고
KR20000034726A (ko) 홈바룸의 에어커튼 장치
KR100597302B1 (ko) 냉장고
KR100853423B1 (ko) 냉장고용 냉각기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 냉장고
KR20170010305A (ko) 냉장고
KR100596524B1 (ko) 냉장고
KR100451344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냉장고의 급속냉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