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551A -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551A
KR20090000551A KR1020070017897A KR20070017897A KR20090000551A KR 20090000551 A KR20090000551 A KR 20090000551A KR 1020070017897 A KR1020070017897 A KR 1020070017897A KR 20070017897 A KR20070017897 A KR 20070017897A KR 20090000551 A KR20090000551 A KR 2009000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ccess
storage device
stored
poli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551A/ko
Publication of KR2009000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06F21/121Restricting unauthorised execution of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접근 제어 방법은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전달되는 (a) 단계와,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b)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전달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DRM, 권리 객체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Method for access control to an apparatus for playing conten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저장 장치 내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접근 목록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컨텐츠 제공자
250: 홈 네트워크
252: 컨텐츠 수신 장치
254: 저장 장치
256: 제1 호스트 장치
258: 제2 호스트 장치
260: 제3 호스트 장치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 목록을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저장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러한 예로서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Card)와 같은 메모리카드 형태, 교통 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와 같은 스마트카드, 휴대용 전화에 이용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 identity module; SIM) 그리고 USB 저장 매체 등이 있다.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는 보통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호스트 장치의 종류나 성격에 상관없이 호스트 장치가 재생 능력만 보유하고 있다면 얼마든지 재생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 속속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보안 디지털 카드(Secure Digital Card)와 같은 저장 장치는 분리형 매체 콘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for Removable Media; CPRM)을 컨텐츠 저작권에 대한 보호 기술로서 지원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저장 장치 내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는 호스트 장치는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한다(S110). 그리고 나서, 호스트 장치는 저장 장치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호스트 장치의 임시 버퍼로 가져온 후(S120), 호스트장치는 임시 버퍼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게 된다(S130).
그런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에는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지 않던지, 포함되어 있더라도 그 기능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의 도메인 개념을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하려고 할 때, 구현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상에서 컨텐츠 저작권을 관리함에 있어서 중요한 도메인 개념을 저장 장치를 통해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은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전달되는 (a) 단계와,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b)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전달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은 장치 접근 목록이 생성되는 (a) 단계와, 저장 장치에 상기 생성된 장치 접근 목록이 저장되는 (b)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장치 접근 목록을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용어를 정리하기로 한다.
1.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접근은 누구에게나 무제한으로 허용하고 있으나, 컨텐츠 객체라는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사용하려면 권리 객체라는 디지털 저작권을 필요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2. 컨텐츠 객체 (Content Object)
DRM 기술에 의해 저작권이 보호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의미한다.
3. 권리 객체 (Rights Object)
디지털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키,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는 형태를 정의하는 사용 허가 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하는 사용 제한 정보 등을 갖는 멀티미디어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을 의미한다.
4. 인증 (Authentication)
장치A가 장치B와 통신하기 전에 장치B의 보안적 안전함을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5. 도메인 (Domain)
임의의 장치 그룹이 임의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장치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공유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들에 대한 논리적인 집합을 의미한다. 이 때, 도메인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를 도메인에서 제외하거나 또는 임의의 장치를 도메인에 추가함으로써 도메인을 구성하는 장치들이 변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200)은 컨텐츠 제공자(210)와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는 다수의 장치들로 구성된다.
컨텐츠 제공자(210)는 컨텐츠를 제공하며, 컨텐츠와 함께 도 4에 도시된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 접근 정체 정보는 미도시된 다른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장치 접근 정체 정보에 대해서는 후출하기로 한다.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는 장치들로서는, 컨텐츠 제공자(21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장치(252)와,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고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서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허락된 장치들에 대한 장치 접근 목록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장치(254)가 있다. 상기 장치 접근 목록은 도 5에 도시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250)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호스트 장 치(256, 258, 260)들을 포함하며, 호스트 장치들은 컨텐츠 수신 장치(252) 또는 저장 장치(25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임의의 호스트 장치에서의 컨텐츠 재생 여부는 저장 장치(254)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 접근 목록을 기초로 하게 된다.
또한, 컨텐츠 수신 장치(252)는 홈 네트워크(250)에서 외부 방송 또는 컨텐츠 다운로드(content download)가 가능한 인터넷 연결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250)에 속하는 다른 장치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수신 장치(252)는 저장 장치(254)와 직접 접속이 가능하거나 마그네틱 카드와 같이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저장 장치(254)는 임의의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보안 영역(security area)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장치만이 상기 보안 영역의 내용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간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컨텐츠 수신 장치(252)가 컨텐츠 제공자(21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데, 이 때,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상기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 수신 장치(252)로 전달될 수 있다(S310).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는 컨텐츠 제공자(2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250) 상의 장치로 전달할 때, 컨텐츠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는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는 장치로 전달한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장치의 속성을 정의하고, 또한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장치의 속성을 정의한다.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장치 접근 목록으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는 임의의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 수신 장치(252)로 전달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에 의해 "Secure Removable Media"라는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OMA DRM 2.0"이라는 저작권 보호 기술이 탑제된 "Mobile Phone"이라는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는 것이다.
컨텐츠 수신 장치(252)는 컨텐츠 제공자(2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와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저장 장치(254)에 저장한다(S320). 이 때, 컨텐츠 수신 장치(252)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호스트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호스트 장치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해 사용자는 저장 장치(254)를 다른 장치에 연결한다(S330). 도 2에서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들로서 제1 호스트 장치(265), 제2 호스트 장치(258) 그리고 제3 호스트 장치(260)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기초로 어느 장치에서는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하나, 다른 장치에서는 컨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저장 장치(254)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호스트 장치들로 도메인을 구성하여 도메인에 속하는 호스트 장치에서만 저장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S340).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는 저장 장치(254)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 접근 목록을 저장하고, 저장된 장치 접근 목록을 기초로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권한을 호스트 장치에게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 접근 목록은 컨텐츠 수신 장치(252)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 장치(254)로 전달될 수 있으며, 컨텐츠 수신 장치(252)는 호스트 장치들(256, 258, 260)과의 통신을 통하여 호스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장치 접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접근 목록에는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고 있는 장치의 목록과 저장 장치(254)가 각각의 장치에 대하여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허용할지 아닐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장치 접근 목록은 저장 장치(254)의 보안 영역에 저장되어 안전하게 보호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장치 접근 목록을 가정하면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는 AA와 CC라는 장치에서는 재생될 수 있지만, BB라는 장치에서는 재생될 수 없게 된다.
컨텐츠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다.
우선, 컨텐츠 재생 장치 즉, 홈 네트워크(250)를 구성하는 임의의 호스트 장치에 저장 장치(254)를 연결하면, 연결된 호스트 장치는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한다. 이 때, 저장 장치(254)는 연결된 호스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읽고, 자신의 장치 접근 목록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연결된 호스트 장치가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결된 호스트 장치는 저장 장치(254)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저장 장치(254)가 연결된 호스트 장치에 의한 컨텐츠 재생을 거부하게 된다.
만일, 연결된 호스트 장치에 이미 컨텐츠가 저장된 경우, 저장 장치(254)는 장치 접근 목록을 기초로 컨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 전달을 제어함으로써, 호스트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컨텐츠의 저장 장소에 대한 제약 사항을 표현함으로써, 도메인의 컨텐츠 공유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저사양의 컴퓨팅 능력을 가진 이동식 저장 장치에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장치와 접근할 수 없는 장치를 쉽게 가려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도메인 개념을 이동식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전달되는 (a) 단계;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b)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재생 장치가 상기 전달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접근 정책 정보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장치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4. 장치 접근 목록이 생성되는 (a) 단계;
    저장 장치에 상기 생성된 장치 접근 목록이 저장되는 (b)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장치 접근 목록을 기초로, 상기 저장 장치와 연결된 컨텐츠 재 생 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접근을 제어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접근 목록은 장치 식별 정보와 접근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KR1020070017897A 2007-02-22 2007-02-22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KR20090000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897A KR20090000551A (ko) 2007-02-22 2007-02-22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897A KR20090000551A (ko) 2007-02-22 2007-02-22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51A true KR20090000551A (ko) 2009-01-08

Family

ID=4048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897A KR20090000551A (ko) 2007-02-22 2007-02-22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5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146B2 (en) Secure storage
US822509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7984506B2 (en)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cont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KR101135145B1 (ko) 보안용 멀티미디어 카드, 디지털 컨텐츠 사용을 위한 권리객체 발급 방법 및 장치
US8140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file transfers
US8280818B2 (en) License source component, license destination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JP4855963B2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方法
NZ545771A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tructure, portable storage device, and contents management method using the portable storage device
US200901584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among apparatuses
KR20080097235A (ko) 애플리케이션들 및 미디어 컨텐트의 보호되는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250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drm contents
US20060059103A1 (en) Return component, program, and return component method
US20040133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digital-rights management systems
WO2006065633A2 (en)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CN10356292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US78907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e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80162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message exchange between drm agent and rendering
JP5009832B2 (ja) 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13607A (ja) 記録媒体装置、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装置の制御方法
US9117480B1 (en) Device for estimating playback time and handling a cumulative playback time permission
US20090119744A1 (en) Device component roll back protection scheme
KR101389928B1 (ko) 상호 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drm 디바이스
US20150269360A1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02842002A (zh) 智能终端的数字媒体版权保护方法
KR20090000551A (ko)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접근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