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549A -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549A
KR20090000549A KR1020070017697A KR20070017697A KR20090000549A KR 20090000549 A KR20090000549 A KR 20090000549A KR 1020070017697 A KR1020070017697 A KR 1020070017697A KR 20070017697 A KR20070017697 A KR 20070017697A KR 20090000549 A KR20090000549 A KR 20090000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rce data
encryption key
playbac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환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조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환 filed Critical 조민환
Priority to KR102007001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549A/ko
Priority to PCT/KR2008/001010 priority patent/WO2008102989A1/en
Publication of KR2009000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 G06F21/1011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by binding digital rights to specific entities to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5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remote server
    • G11B20/0086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remote server wherein the remote server can deliver the content to a receiv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3Processing of entitlement messages, e.g. ECM [Entitlement Control Message] or EMM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사용자가 선택하는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을, 음원이 저장될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 서버와,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에 대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개별 재생장치별로 고유하게 인코딩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이용하는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제 1 암호키(ID1')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포함하는 헤더,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이루어지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음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재생장치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고, 제 1 암호키(ID1')를 키로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 및 재생하는 재생장치, 그리고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17697
음원; 음원데이터; 저작권; 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재생

Description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SYSTEM FOR DOWNLOADING AND PLAYING AUDIO DATA WHICH IS UNIQUELY CREATED FOR INDIVIDUAL PLAY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와 출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라디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데이터의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재생장치 11, 31, 41 : 디스플레이부
12, 32 : 입력부 13, 22, 33, 42 : 제어부
14, 34, 43 : 저장부 15, 35, 44 : 전원 공급부
16, 21, 36, 45 : 통신모듈 20 : 출력장치
23, 37 : 컨버터 24, 38 : 증폭기
25, 39 : 스피커 30 : 인터넷 라디오
40 : 도킹 스테이션 50 : 컴퓨터
100 :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200 :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
300 : 음원 서버
본 발명은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음원데이터, 특히 각 재생장치에 따라 고유하게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음원을 기록 재생하기 위한 매개체로는 사용자 개별 음향기기에서 개별적인 암호화가 아닌 매체에 압축 혹은 음원 매체의 변형만으로 음원을 제공한 형태의 재생기, 즉 LP(Long Playing record), 카세트테이프 및 CD(Compact Disk) 등이 사용되어 왔으며, 일방적인 음향 제공 매체로 라디오 혹은 다중 이용 시설에서 제공하는 PA(Public Amplifier) 설비 등의 별도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기록된 음향을 출력하였다. 그러나, 라디오와 같은 매체는 일방적인 음원 제공에는 유리하나 이를 재녹음하거나 복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아날로그 형태로 기록되던 음향을 디지털 포맷으로 압축하여 제공하는 MP3 포맷이 제공되었는데, MP3 포맷 파일의 경우 음향이 차지하는 용량을 크게 압축하여 파일 크기가 작고 이동이 용이한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매개체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의 경우 작곡/작사가 또는 제작자의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향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종래에 음향을 전달하는 매개체의 경우 그 복제 및 유포가 매우 용이하여 음향의 저작권을 적절히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MP3 파일의 경우 별다른 제재 없이 웹사이트나 파일공유 프로그램 등을 통해 온라인에서 손쉽게 검색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문제점은 더 심각하다 할 것이며, 급기야 국내 음반 시장을 위축시키고 그 존재마저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 등의 불법적인 복제와 유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안이 절실하게 요청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음원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음원 등을 재생하는 재생부를 일체화한 재생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 재생장치는 저장 부와 재생부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고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을 생산 단계에서 저장부에 저장하여 공급함으로써 음원의 복제 및 유포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재생장치의 경우 새로운 음원을 저장부에 추가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이 유출될 경우 유출된 음원이 불법 복제되어 유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음향을 녹음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추출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불법 복제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불법 복제 유출된 음원은 기하학적으로 복제를 하여 이를 제재할 방법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을 각 재생장치에 따라 고유하게 인코딩한 음원데이터 형태로 다운로드 및 저장함으로써 음원의 인위적인 추출을 방지하고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유출되더라도 다른 재생장치를 통해 정상적인 재생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음원의 불법적인 복제를 차단하여 저작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이어폰 등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함에 있어서, 출력장치를 인증하고 인증된 출력장치로만 정상적인 음향을 제공하는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음원을 녹음하는 것과 같은 불법적 인 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 중 각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을, 음원이 저장될 각 사용자의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 서버와, 각 사용자가 구비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에 대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사용자의 개별 재생장치별로 고유하게 인코딩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이용하는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제 1 암호키(ID1')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포함하는 헤더,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이루어지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음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 및 재생하는 재생장치, 그리고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재생장치가,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추출하고, 재생장치의 고정 ID를 키로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추 출하고, 제 1 암호키(ID1')를 키로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재생하는 제어부와, 재생장치의 고정 ID, 음원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제 1 암호 알고리즘 및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음원 서버는,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재생장치의 고정 ID를 키로 제 1 암호키(ID1')를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장치의 고정 ID가, 기기종류, 제조년월, 제조시, 기기버전 및 제조순번을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재생장치가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재생장치의 고정 ID와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1을 음원 서버로 전송하고, 음원 서버는, ID1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미리 설정된 값을 삽입한 후 유동 ID를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생성하도록 한다. 유동 ID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의 버전인 음원 버전, 음원데이터의 영구저장 여부 및 재생 가능 횟수를 나타내는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음원데이터를 재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횟수를 나타내는 다운로드 횟수 및 재생장치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크기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재생/저장방법이 음원데이터의 영구저장으로 설정된 경우, 재생장치의 제어부는 음원데이터의 삭제를 위한 암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부여한 후 부여된 암호를 폐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음원을 재생할 때 출력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확인 코드를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출력장치는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재생장치의 저장부는 추출 및 재 생되는 음원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더 저장하도록 하며, 재생장치의 제어부는 재생되는 음원을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후 인코딩된 음원을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출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코드가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정당한 값인 경우에 제 5 암호키 및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출력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출력장치는, 인코딩된 음원을 제 5 암호키 및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이,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며,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재생장치를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인터넷 라디오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인터넷 라디오는,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인터넷 라디오가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와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2를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음원 서버는, ID2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유동 ID를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제 2 암호키(ID2')를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생성한 후,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ID2')로 중복적으로 인코딩하고,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하고, 인터넷 라디오의 제어부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2 암호 키 정보(ID2'')를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하고, 제 2 암호키(ID2')를 키로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재생장치를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를 더 포함하고,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 스테이션이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와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3를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음원 서버는, ID3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유동 ID를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하고, 제 3 암호키(ID3')를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 후,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제 3 암호키(ID3')로 중복적으로 인코딩하고,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제 3 암호키(ID3')를 키로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이,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며, 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인터넷 라디 오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인터넷 라디오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재생장치와 인터넷 라디오를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를 더 포함하고, 인터넷 라디오가,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인터넷 라디오가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와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2를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도킹 스테이션은, 도킹 스테이션이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와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3를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음원 서버는, ID2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유동 ID를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ID3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유동 ID를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하며, 제 2 암호키(ID2')를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생성하고, 제 3 암호키(ID3')를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 후,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ID2')와 제 3 암호키(ID3')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하고, 제 2 암호키 정보(ID2'') 및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제 3 암호키(ID3')를 키로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인터넷 라디오로 전송하고, 인터넷 라디오의 제어부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하고, 제 2 암호키(ID2')를 키로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용어 정리 ***
1. 음원데이터: 불법 복제 및 유출 방지를 위하여 음원(저작권이 보호된 음원)을 인코딩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2. 저작권이 보호된 음원: 저작자의 독점권이 인정되는 음원으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요금을 지불하여야 하는 음원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수의 노래, 학원강사의 강의, 오디오 북, 설교, 강론 및 저작권이 있는 개인 또는 단체가 보유한 음향 등을 포함한다. 음반 등의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곡 단위 또는 음반 전체가 될 수 있다.
3. 음원데이터 패킷: 음원의 선택 및 다운로드시 음원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으로, 헤더+음원데이터+체크썸(checksum)으로 구성된다.
4. ID: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식별하기 위하여 제조 시 부여되는 식별 값으로, 고정 ID로 구성된다.
5. 고정 ID: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제조시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 값, 즉 제품정보로, 기기 종류, 제조년월, 제조사, 기기 버전 및 제조 순번 등을 포함한다.
6. 유동 ID: 음원의 인코딩/디코딩 및 저장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값으로, 음원 버전,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다운로드 횟수 및 메모리 크기 등을 포함한다. 음원 버전은 해당 음원이 재녹음 또는 업데이트된 버전을 나타내고, 재생/저장 방법은 음원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횟수와 음원데이터의 저장형태(영구 저장 여부)를 나타낸다. 인코딩 정보는 음원의 인코딩시 사용된 암호화 또는 믹스(MIX) 방법을 나타내고, 다운로드 횟수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횟수의 제한이 있는 음원의 경우 해당 음원을 다운로드한 횟수 또는 잔여 횟수를 나타낸다. 메모리 크기는 재생장치의 잔여 메모리 용량으로 재생장치와 음원 서버가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음원 서버에 의해 산출된다. 유동 ID는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가 각 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각 필드를 할당하고 할당된 각 필드에 0 또는 NULL을 디폴트(default) 값으로 삽입한다. 음원 서버는 음원의 다운로드시 할당된 각 필드에 필요한 정보를 삽입한다.
7. ID1, ID2, ID3: 음원 서버 접속시 전송되는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식별 값으로,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다. 이때, 유동 ID는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에 의해 각 필드가 할당되고, 할당된 각 필드에 0 또는 NULL이 삽입된 상태가 된다.
8. ID4: 음원 서버 접속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등).
9. ID1', ID2', ID3': 다운로드할 음원을 음원 서버가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암호키를 나타낸다. ID1', ID2' 및 ID3'은, 음원 서버가 ID1, ID2 및 ID3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필요한 값을 삽입하고,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각 고정 ID로 상기 각 유동 ID를 인코딩하여 생성된다.
10. ID1'', ID2'', ID3'': 음원 서버가 음원을 인코딩한 암호키를 추출하기 위하여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삽입되는 암호키 정보를 나타낸다. ID1'', ID2'' 및 ID3''은, ID1', ID2' 및 ID3'을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각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생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와 출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라디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100)은, 인코딩된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디코딩 및 재생하는 재생장치(10),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장치(20), 웹을 통해 라디오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고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인터넷 라디오(30), 재생장치 또는 인터넷 라디오를 컴퓨터(50)에 통신 연결하거나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에 통신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40), 그리고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과 연결되고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는 컴퓨터(50)를 포함한다. 각 사용자가 구비하는 각각의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100)은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음원 서버(300)에 통신 연결되고, 각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에 대하여 인코딩되어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각기 다운로드한다. 각각의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100)의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에는 다른 시스템의 장치와 식별할 수 있도록 고유한 식별 값인 ID(고정 ID)가 제조시에 부여된다.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재생장치(10)는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음원 서버(300)에 통신 연결되고, 음원 서버로부터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재생장치에 다운로드되는 음원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을 음원 서버(300)가 인코딩하여 생성된 데이터이다. 재생장치(10)는 컴퓨터(50)를 통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에 통신 연결되며, 재생장치와 컴퓨터는 인터넷 라디오(30) 또는 도킹 스테이션(40)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한편, 재생장치(10)와 도킹 스테이 션(40)의 연결만으로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에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재생장치(10)는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 및 재생하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출력장치(2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재생장치(10)가 출력장치(20) 대신 인터넷 라디오(30)와 연결된 경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인터넷 라디오(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재생장치(10)는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목걸이형 또는 귀걸이형 등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재생장치(10)는, 재생장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12), 다운로드 및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을 출력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제어부(13), 음원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재생장치의 ID(고정 ID)를 저장하는 저장부(14), 재생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 그리고 출력장치(2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모듈(1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부(15)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도록 한다.
저장부(14)는 음원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재생장치의 ID(고정 ID), 제 1 암호 알고리즘, 제 5 암호 알고리즘, 제 1 암호키 및 제 5 암호키를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부(14)가 음원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별도의 영역에 분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재생장치의 ID는 다른 재생장치와 식별할 수 있도록 제조시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 값으로, 이때 부여되는 ID는 재생장치의 하드웨어적인 정보, 즉 제품정보인 고정 ID가 된다. 고정 ID는 기기 종류, 제조년월, 제조사, 기기 버전 및 제조 순번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재생장치(10)의 ID(고정 ID)는 각 재생장치마다 서로 다른 고유한 값이 되므로, 동일한 사양의 재생장치라도 모두 다른 ID(고정 ID)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ID는 음원 서버(300)로부터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 음원을 인코딩하고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암호 알고리즘은 음원 서버에서 음원을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하고 재생장치에서 다운로드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고, 제 5 암호 알고리즘은 추출된 음원을 출력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하여 인코딩하고 출력장치에서 인코딩된 음원을 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제 1 암호키는 제 1 암호 알고리즘에 의해 음원을 인코딩하고 음원데이터의 디코딩할 때 사용되는 키를 나타내고, 제 5 암호키는 제 5 암호 알고리즘이 음원을 인코딩/디코딩할 때 사용되는 키를 나타낸다.
제어부(13)는 재생장치(10)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재생장치가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면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함께 음원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에 대한 음원데이터를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4)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재생장치(10)가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여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 제어부(13)는 유동 ID를 할당 및 생성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새로운 ID1을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유동 ID는 음원 버전,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다운로드 횟수 및 메모리 크기 등을 기록 할 수 있는 필드들로 이루어지며, 각 필드에는 0 또는 NULL과 같은 디폴트 값이 삽입된다. 음원 서버(300)는 ID1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을 삽입하여 가공한 후 가공된 유동 ID를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생성한다.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를 사용하여 선택된 음원을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ID1')를 ID1의 고정 ID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생성하여 헤더에 삽입하고, 헤더,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checksum)으로 이루어지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헤더에 음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목, 가수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음원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음원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하고, 헤더의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자신의 ID(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지 않고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저장부(14)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3)가 제 1 암호키를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유동 ID를 추출한 후, 유동 ID의 각 필드에 삽입된 정보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설정한 후 저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는 재생/저장 방법 필드가 영구저장으로 설정된 경우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임의로 삭제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데, 예를 들면 제어부는 해당 음원데이터의 삭제를 위한 암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부여한 후 이를 폐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나 음원의 공급자가 해당 음원데이터를 지울 수 없게 된다. 또한, 재생 횟수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3)는 해당 음원데이터의 재생시, 즉 해당 음원데이터의 디코딩 및 재생이 이루 어질 때마다 별도의 카운터를 이용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 수가 재생 횟수와 동일하게 되면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락을 걸어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재생 횟수만큼만 재생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3)는 다운로드 및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출력장치(20)를 통해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제 1 암호키(ID1')과 제 1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한다. 제 1 암호키(ID1') 대신 제 1 암호키 정보(ID1'')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13)는 제 1 암호키 정보를 재생장치의 ID(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를 추출한다. 이때, 제 1 암호키 정보(ID1'')로부터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는 재생장치의 ID(고정 ID)는 각 재생장치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값이므로, 동일한 음원에 대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라도 재생장치마다 인코딩시 사용된 제 1 암호키가 달라지므로 음원데이터 역시 크기 및 데이터 구성이 상이해진다. 따라서, 음원데이터가 다운로드 과정에서 유출되거나 특정 재생장치(1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유출되어 다른 재생장치에 저장되더라도, 재생장치의 고정 ID가 상이하여 해당 음원데이터에 대한 제 1 암호키를 취득할 수 없게 되므로 음원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디코딩 및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제어부(13)는 디코딩 및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기 위하여 재생장치(10)와 연결된 출력장치(20)를 인증한 후, 저장부(14)에 저장된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원을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음원을 출력장치로 전송한다.
출력장치(20)는 재생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한다. 출력장치(20)로는 이어폰, 헤드폰, 헤드셋 및 휴대전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출력장치(20)는, 재생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21), 재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원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2), 재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음원을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컨버터(23), 변환된 음원을 증폭하는 증폭기(24) 및 증폭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25)를 포함한다.
출력장치(20)는 재생장치(1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함에 있어서 불법적인 음원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생장치를 통해 인증이 이루어진 후 정상적인 음원을 출력하도록 한다. 즉, 재생장치(10)에 저장되는 음원데이터는 해당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인코딩된 데이터이므로, 출력장치(20) 역시 해당 재생장치에 대하여 인증된 출력장치만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재생장치(10)와 출력장치(20)는 출력장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거치고, 출력장치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정상적인 음원을 전송 및 출력하도록 한다. 출력장치(20)의 인증은, 예를 들어 재생장치와 출력장치 간의 확인 코드 및 응답 코드의 전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로부터 출력장치(20)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확인 코드)를 전송하면, 출력장치의 제어부(22)는 확인 코드에 대한 응답 코드를 전송한다. 이때, 응답 코드는 각 출력장치(20)마다 미리 설정된 값이거나 확인 코드를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해 변환한 값이 될 수 있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가 수신된 응답 코드가 올바른 값으로 판단하여 출력장치(20)를 인증하고, 제 5 암호키 및 제 5 암호 알고리즘과 함께 인코딩된 음원을 전송한다. 출력장치(20)의 제어부(22)는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음원을 디코딩하여 정상적인 음원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은 컨버터(23), 증폭기(24) 및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적인 음질의 음원을 들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재생장치(10)에 의해 출력장치(20)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재생장치는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 없이 음원데이터 또는 인코딩된 음원만을 전송하므로, 출력장치는 음원을 정상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게 되고 사용자는 정상적인 음원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재생장치(10)에 대하여 인증된 출력장치(20)와 함께 일반적인 출력장치도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재생장치(10)는 확인 코드와 응답 코드의 송수신 과정 없이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음원을 그대로 출력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인터넷 라디오(30)는 인터넷을 통해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라디오로서, 인터넷 라디오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1),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32), 인터넷 라디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 제어 프로그램 및 인터넷 라디오의 ID(고정 ID)를 저장하는 저장부(34), 전원 공급부(35), 재생장치(10) 및 도킹 스테이션(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36),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간 변환하는 컨버터(37), 음원을 증폭하는 증폭기(38) 및 증폭된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39)를 포함한다. 인터넷 라디오(30) 역시 다른 인터넷 라디오와 식별하기 위한 ID, 즉 고정 ID가 제조시에 부여되며, 상기 ID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각 인터넷 라디오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따라 설정된 맞춤형 서비스, 예를 들어 약 투여시간 안내, 안내방송, 음악방송 등의 서비스, 그리고 하루의 일정, 생일 등 기념일 알림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가 컨텐츠 공급자의 서버에 접속 및 로그인하여 일정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또는 일정에 따라 사용자의 인터넷 라디오(30)를 통해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30)는 재생장치(10)를 장착하고 도킹 스테이션(40)을 통해 컴퓨터(50)와 연결함으로써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여 재생장치로의 음원데이터 다운로드를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33)는 인터넷 라디오(30)가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면 인터넷 라디오의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새로운 ID2를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유동 ID는 재생장치의 유동 ID와 같이 음원 버전,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다운로드 횟수 및 메모리 크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임의의 암호키를 기록할 수 있는 필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필드에는 0 또는 NULL과 같은 디폴트 값이 삽입된다. 음원 서버(300)는 ID2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 또는 랜덤하게 생성된 값을 삽입하고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되어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제 2 암호키(ID2')로 인코딩한다. 또한, 음원 서버(300)는 제 2 암호키(ID2')를 ID2의 고정 ID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 보(ID2'')를 생성한 후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인터넷 라디오(30)의 제어부(33)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추출한 후 자신의 ID(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하고,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로 디코딩한 후 재생장치(1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라디오(30)의 저장부(34)가 제어 프로그램 및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와 함께, 상기 디코딩된 제 2 암호키와 제 2 암호 알고리즘을 더 저장하도록 한다. 제 2 암호 알고리즘은 제 2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원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한편, 인터넷 라디오(30)와 재생장치(10)를 연결할 경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은 인터넷 라디오의 스피커(39)를 통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31)를 통해 음원 정보, 즉 음원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음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35)를 통해 재생장치(10)의 전원 공급부(15), 즉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은 재생장치(10) 또는 인터넷 라디오(30)를 컴퓨터(50)와 연결하거나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에 연결한다. 도킹 스테이션 역시 식별 가능한 ID(고정 ID)가 부여된다. 도킹 스테이션(40)은, 도킹 스테이션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1), 도킹 스테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2), 제어 프로그램 및 도킹 스테이션의 ID(고정 ID)를 저장하는 저장부(43), 전원 공급부(44) 및 재생장치(10) 또는 인터넷 라디오(30)와 컴퓨터(50) 또는 인터 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과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및 음원 서버(300)로부터 음원데이터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통신모듈(45)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모듈(45)은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컴퓨터(50) 및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과 통신 연결하기 위하여 유무선 통신 포트와 데이터 전송 포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선 통신 포트로 TCP/IP 포트를 사용하고 무선 통신 포트로는 블루투스 포트를 사용하고 데이터 전송 포트로는 USB 포트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40)의 저장부(43)는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 재생장치(10)로 전송되는 음원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킹 스테이션(40)의 제어부(42)는 도킹 스테이션이 음원 서버(300)에 접속하면 도킹 스테이션의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새로운 ID3를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 도킹 스테이션의 유동 ID 역시 음원 버전,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다운로드 횟수 및 메모리 크기 등을 기록할 수 있는 필드들로 구성되거나, 임의의 암호키를 기록할 수 있는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필드에는 0 또는 NULL과 같은 디폴트 값이 삽입된다. 음원 서버(300)는 ID3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 또는 랜덤하게 생성된 값을 삽입하고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한다. 음원 서버(300)는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와 인터넷 라디오의 제 2 암호키(ID2')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제 3 암호키(ID3')로 인코딩하고, 제 3 암호키(ID3')를 ID3의 고정 ID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하여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도킹 스테이션(40)의 제어부(42)는 음원데이터 패킷 의 헤더로부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추출하고 자신의 ID(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음원데이터를 제 3 암호키로 디코딩한 후 인터넷 라디오(3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도킹 스테이션(40)의 저장부(43)가 제어 프로그램 및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와 함께, 상기 디코딩된 제 3 암호키와 제 3 암호 알고리즘을 더 저장하도록 한다. 제 3 암호 알고리즘은 제 3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원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컴퓨터(50)는 도킹 스테이션(40)을 통해 재생장치(10) 또는 인터넷 라디오(30)와 연결되고,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음원 서버(3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원을 선택 및 결제한 후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음원의 결제방법으로는 핸드폰 소액결제, 신용카드, 상품권 및 계좌이체 등 다양한 결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음원 서버(300)는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의 고정 ID를 이용하여 제 1 암호키(ID1'), 제 2 암호키(ID2') 및 제 3 함호키(ID3')를 각기 생성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제 1 내지 제 3 암호키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한 후 재생장치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음원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상기 제 1 암호키를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 및 제 3 암호키로 중복적으로 인코딩한다. 또한,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ID1')를 재생장치(10)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생성하고, 제 2 암호키(ID2') 및 제 3 암호키(ID3')을 인터넷 라디오(30)와 도킹 스테이션(40)의 고정 ID로 각기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와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다.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 정보, 제 2 암호키 정보 및 제 3 암호키 정보를 헤더에 포함한 후, 상기 헤더, 인코딩된 상기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이루어지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원 서버(300)가 각 사용자별로 선택 및 구매한 음원의 내역 또는 각 재생장치(10)별로 다운로드한 음원의 내역을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이미 구입 및 결제한 음원에 대하여는 이후에 별도의 과금 없이 다운로드 및 재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데이터의 암호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원데이터의 암호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재생장치(10)가 음원 서버(300)에 연결되면 재생장치의 제어부(13)는 재생장치의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ID1을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라디오(30)와 도킹 스테이션(40)이 음원 서버(300)에 연결되면 인터넷 라디오와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33, 42) 역시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ID2 및 ID3를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 음원 서버는 ID1, ID2 및 ID3에 포함된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를 통해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정품 여부를 인증한다.
사용자는 컴퓨터(50)를 통해 음원 서버(300)에 접속 및 로그인한 후 음원을 선택한다. 음원 서버(300)는 재생장치의 ID1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를 생성하고, 선택된 음원(D)을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한다(ID1'+D). 마찬가지로, 음원 서버(300)는 인터넷 라디오의 ID2와 도킹 스테이션의 ID3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 또는 랜덤하게 생성된 값을 삽입한 후 일정 값이 삽입된 ID2 및 ID3의 유동 ID를 ID2 및 ID3의 고정 ID로 각기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와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한다.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에 의해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와 제 3 암호키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한다(ID1'+ID2'+ID3'+D). 또한, 음원 서버(30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ID4)를 인코딩하여 제 4 암호키(ID4')를 생성한 후, 제 1 내지 제 3 암호키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제 4 암호키로 인코딩한다(ID1'+ID2'+ID3'+ID4'+D).
또한,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ID1')를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생성하고, 제 2 암호키(ID2')와 제 3 암호키(ID3')를 ID2와 ID3의 고정 ID로 각기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와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다. 음원 서버(300)는 제 1 내지 제 3 암호키 정보를 헤더에 삽입한 후, 상기 헤더,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구성되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생성 및 전송한다. 이때, 음원(D)이 하나의 암호키만으로 인코딩되지 않고 네 개의 암호키(ID1', ID2', ID3', ID4')에 의해 인코딩되므로 보안 수준을 크게 향상시 킬 수 있다.
사용자의 컴퓨터(50)는 음원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음원데이터 패킷 중 음원데이터(ID1'+ID2'+ID3'+ID4'+D)를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대한 제 4 암호키(ID4')로 디코딩한 후 도킹 스케이션(40)으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원데이터는 ID1'+ID2'+ID3'+D 형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컴퓨터(50)가 제 4 암호키와 제 4 암호 알고리즘을 저장하도록 한다. 제 4 암호 알고리즘은 제 4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원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다.
도킹 스테이션(40)의 제어부(42)는 컴퓨터(50)로부터 전송된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추출하고 자신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한다. 도킹 스케이션(40)의 제어부(42)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ID1'+ID2'+ID3'+D)를 저장부(43)의 제 3 암호 알고리즘과 제 3 암호키(ID3')를 이용하여 디코딩한 후 인터넷 라디오(3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원데이터는 ID1'+ID2'+D 형태가 된다.
인터넷 라디오(30)의 제어부(33)는 도킹 스테이션(40)으로부터 전송된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추출하고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한다. 인터넷 라디오(30)의 제어부(33)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ID1'+ID2'+D)를 저장부(34)의 제 2 암호 알고리즘과 제 2 암호키(ID2')를 이용하여 디코딩한 후 재생장치(10)로 음원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원데이터는 ID1'+D 형태가 된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인터넷 라디오(30)로부터 전송된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추출한 후 재생장치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고,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ID1'+D)와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저장부(14)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음원데이터의 재생을 요청하면,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저장부(14)의 제 1 암호 알고리즘과 제 1 암호키(ID1')를 이용하여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D)을 추출한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확인 코드/응답 코드를 이용하여 출력장치(20)를 인증하고, 음원(D)을 제 5 암호키(ID')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음원(ID'+D)을 출력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제 5 암호키(ID')와 제 5 암호 알고리즘 역시 함께 출력장치로 전송됨은 물론이다. 출력장치(20)의 제어부(22)는 제 5 암호키(ID')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해 인코딩된 음원(ID'+D)을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음원(D)을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100)은 용도에 따라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도킹 스테이션(40) 및 컴퓨터(50)는 다양한 형태로 연결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생장치(10)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때에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컴퓨터(50)를 연결하는 형태로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10), 도킹 스테 이션(40) 및 컴퓨터(50)를 연결하는 형태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a)의 경우 인터넷 라디오와 컴퓨터 사이에 도킹 스테이션을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30)의 고유 기능을 이용할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40)을 통해 인터넷 라디오를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에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10)와 인터넷 라디오(30)를 직접 연결 구성할 경우 인터넷 라디오의 스피커(39)를 통해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 음원 서버(300)에 연결되면, 각 제어부(13, 33, 42)는 각 장치의 유동 ID를 할당한 후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ID1, ID2 및 ID3를 음원 서버로 전송한다(ST100, ST110). 구체적으로,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유동 ID를 구성하는 각 필드를 할당한 후 할당된 필드에 0 또는 NULL을 디폴트 값으로 삽입하고 재생장치의 고정 ID와 유동 ID로 구성된 ID1을 음원 서버(300)로 전송한 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라디오(30)와 도킹 스테이션(40)의 제어부(33, 42) 역시 각 장치의 유동 ID를 할당하고 0 또는 NULL을 디폴트 값으로 삽입한 후 각 장치의 고정 ID와 상기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2 및 ID3를 음원 서버(300)로 전송한다. 음원 서버(300)는 ID1, ID2 및 ID3에 포함된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의 고정 ID를 이용하여 각 장치를 식별 및 인증한다(ST120).
사용자는 컴퓨터(50)를 이용하여 음원 서버(300)에 접속 및 로그인한 후, 다운로드할 음원을 선택하고 저장방법 및 재생횟수 등을 설정한다(ST130).
음원 서버(300)는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으로부터 전송된 ID1, ID2 및 ID3, 그리고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ID4를 인코딩하여 제 1 내지 제 4 암호키를 생성한다(ST140). 구체적으로, 음원 서버(300)는 재생장치의 ID1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을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유동 ID의 음원 버전 필드, 재생/저장 방법 필드, 인코딩 정보 필드, 다운로드 횟수 필드 및 메모리 크기 필드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에 대한 정보 및 설정 정보를 삽입한다. 음원 서버(300)는 상기 유동 ID를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음원 서버(300)는 인터넷 라디오(30)의 ID2와 도킹 스테이션의 ID3 중 유동 ID의 각 필드에 정해진 값을 삽입한 후, ID2 및 ID3의 고정 ID로 각기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 및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한다. 이때, ID2와 ID3의 유동 ID의 필드에는 랜덤하게 생성된 값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음원 서버(300)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ID4) 역 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인코딩하여 제 4 암호키(ID4')를 생성하도록 한다.
음원 서버(300)는 선택된 음원(D)을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한다(ST150). 또한, 음원 서버(300)는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제 2 암호키(ID2'), 제 3 암호키(ID3') 및 제 4 암호키(ID4')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한다.
음원 서버(300)는 제 1 내지 제 3 암호키(ID1', ID2', ID3')를 ID1, ID2, ID3의 고정 ID로 각기 인코딩하여 제 1 내지 제 3 암호키 정보(ID1'', ID2'', ID3'')를 생성하고, 각 암호키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상기 인코딩된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이루어진 음원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한다(ST160). 사용자의 컴퓨터(50)는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상기 로그인 정보에 대한 제 4 암호키(ID4')로 디코딩한 후 도킹 스테이션(40)으로 전송한다.
도킹 스테이션(40)의 제어부(42)는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자신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상기 제 3 암호키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인터넷 라디오(30)로 전송한다(ST170). 인터넷 라디오(30)의 제어부(33) 역시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자신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한 후, 상기 제 2 암호키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재생장치(10)로 전송한다.
전송된 음원데이터 패킷은 재생장치(10)의 통신모듈(16)로 수신되고, 재생장치의 제어부(13)는 수신된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자신의 고정 ID로 디코딩하여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고, 상기 제 1 암호키를 상기 고정 ID로 다시 디코딩하여 유동 ID를 추출한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음원데이터 패킷에서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유동 ID의 각 필드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저장부(14)에 설정 및 저장한다(ST180, ST190). 구체적으로, 음원 설정정보의 저장방법에 따라 영구저장 여부를 설정하고, 재생횟수가 설정된 경우 별도의 카운터를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 역시 함께 저장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서는 재생장치(10)가 인터넷 라디오(30) 및 도킹 스테이션(40)과 모두 연결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a)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가 인터넷 라디오 또는 도킹 스테이션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된 경우 역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음원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6(a)와 같이 재생장치(10), 인터넷 라디오(30) 및 컴퓨터(50)가 연결 구성된 경우, ST100 및 ST110 단계에서 재생장치와 인터넷 라디오의 ID1 및 ID2만이 전송되고, ST140 내지 ST160 단계에서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ID1') 및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음원(D)을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 및 음원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6(c)와 같이 재생장치(10), 도킹 스테이션(40) 및 컴퓨터(50)가 연결 구성된 경우, ST100 및 ST110 단계에서 재생장치와 도킹 스테이션의 ID1 및 ID3만이 전송되고, ST140 내지 ST160 단계에서 음원 서버(300)는 제 1 암호키(ID1') 및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하고 음원(D)을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 및 음원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사용자가 재생장치(10)에 저장된 음원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재생장치의 제어부(13)는 연결된 출력장치(20)가 올바른 출력장치인지, 즉 유효성이 있는 허용된 출력장치인지 인증한다. 먼저,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출력장치(20)를 인증하기 위한 확인 코드를 전송한다(ST200). 이때, 출력장치(20)가 올바른 출력장치, 즉 재생장치(10)와 유효성이 있는 출력장치라면 출력장치의 제어부(22)는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재생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반면, 출력장치(20)가 제어부(22)가 없는 일반적인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의 출력장치인 경우 확인 코드에 대하여 아무런 신호도 전송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출력장치(20)가 재생장치(10)에 대하여 유효성이 없는 출력장치인 경우 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코드가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올바른 값이 아닐 것이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응답 코드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응답 코드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응답 코드가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올바른 값인지를 판단한다(ST210, ST220).
ST210 및 ST220 단계에서 출력장치(20)로부터 올바른 응답 코드가 수신된 경 우,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선택된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ID1')로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한다(ST230). 또한, 재생장치(10)의 제어부(20)는 제 5 암호 알고리즘과 제 5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원을 다시 인코딩한다(ST240). ST230 또는 ST240 단계는 ST20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사용자가 음원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원을 다시 인코딩한 후 출력장치(20)를 인증할 수도 있다.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저장부(14)에 저장된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추출하여 출력장치(20)로 전송하고, ST240 단계에서 인코딩된 음원을 출력장치로 전송한다(ST250, ST260). ST250 및 ST260 단계는 순서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출력장치(20)의 제어부(22)는 ST250에서 수신된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음원을 디코딩하여 음원을 추출한다(ST270). ST270 단계에서 추출된 음원은 출력장치(20)의 컨버터(23), 증폭기(24) 및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된다(ST280).
한편, ST210 단계에서 출력장치(20)로부터 응답 코드가 수신되지 않거나 ST220 단계에서 수신된 응답 코드가 올바르지 않은 경우, 재생장치(10)의 제어부(13)는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장치로 전송하거나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의 전송 없이 ST240에서 인코딩된 음원을 전송한다(ST290).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적인 음질의 음원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재생장치(10)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장치(20)를 통해 출력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재생장치를 인터넷 라디오(30)에 연결하여 인터넷 라디오의 스피커(39)를 통해 음원을 출력하는 경우 또한 도 8과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재생장치(10)와 인터넷 라디오(30)가 확인 코드 및 응답 코드를 교환하여 인터넷 라디오를 인증하고, 재생장치는 인코딩된 음원과 함께 제 5 암호키 및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인터넷 라디오로 전송함으로써 인증된 인터넷 라디오에 대해서만 정상적인 음질의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재생장치(10)가 음원 서버(300)로부터 저작권이 보호된 음원에 대한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이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저작권이 보호된 음원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저작권이 보호되는 데이터에 공히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영화, 방송 컨텐츠 및 동영상 강의와 같은 저작권이 보호되는 동영상이나, 소설, 교재, 강의록 및 녹취록 등 저작권이 보호되는 텍스트(문서) 등의 경우 역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생장치의 ID를 이용하여 인코딩한 후 다운로드 및 저장하고, 출력장치(20)를 통해 출력함에 있어 출력장치를 인증한 후 정상적인 화질 및 음질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에 따라 고유하게 인코딩하여 생성하므로 다운로드된 음원이 유출되더라도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여 음원의 불법 복제 및 유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이용하는 재생장치의 유동 ID를 생성한 후 상기 유동 ID를 각 재생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1 암호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암호키를 이용하여 음원을 인코딩 및 디코딩하므로, 동일한 음원에 대하여 생성되는 음원데이터라도 다운로드되는 재생장치에 따라 그 크기 및 포맷이 전혀 다른 고유한 맞춤형 데이터가 된다. 이러한 음원데이터는 재생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인코딩된 상태로 저장부에 저장되고 재생시에 디코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제 1 암호키는 각 재생장치의 고정 ID로 다시 인코딩되어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삽입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특정 재생장치에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유출되어 다른 재생장치에 저장되더라도 이를 디코딩할 수 있는 제 1 암호키가 다르므로 음원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제 1 암호키 정보를 취득한다 하더라도, 제 1 암호키를 취득하기 위하여는 해당 재생장치의 고정 ID가 있어야 하므로 다른 재생장치에서는 정상적인 제 1 암호키를 취득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취득된 비정상적인 제 1 암호키로는 음원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음원의 불법적인 복제 및 유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저작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2) 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 및 유동 ID를 이용 하여 생성된 제 1 내지 제 3 암호키를 이용하여 중복적으로 인코딩이 이루어지므로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음원 서버에서 인코딩함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사용자 장치(재생장치, 인터넷 라디오 및 도킹 스테이션)의 ID1, ID2 및 ID3를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3 암호키를 생성하고, 제 1 암호키로 음원을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한 후 제 2 및 제 3 암호키로 음원데이터를 중복적으로 인코딩하게 된다. 또한,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는 각 장치를 거치면서 상기 각 암호키로 한 단계씩 디코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재생장치의 제 1 암호키 하나만으로 인코딩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 보안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원데이터의 다운로드 중에 유출되더라도 정상적인 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3)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함에 있어서 출력장치를 인증한 후 인증된 출력장치에 대하여만 정상적인 음원을 출력하므로 불법적인 복제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은 확인 코드와 응답 코드 등을 통해 출력장치를 인증하고 인증된 출력장치에 대하여만 인코딩된 음원을 디코딩할 수 있는 암호키 및 암호 알고리즘을 전송한다. 따라서, 재생장치에 대하여 유효하지 않은 출력장치를 사용할 경우 음원데이터 또는 인코딩된 음원이 그대로 출력되므로 정상적인 음질의 음원을 출력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재생되는 음원을 녹음하는 것과 같은 불법적인 복제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4) 음원 서버로부터 음원을 선택 및 다운로드할 때 저장방법 및 재생횟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에 따라 음원데이터를 재생장치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음원 설정 및 이용이 가능하다.
5) 저작권이 보호된 음원뿐만 아니라 영화, 방송 컨텐츠 및 동영상 강의와 같은 저작권이 보호되는 동영상이나, 소설, 교재, 강의록 및 녹취록 등 저작권이 보호되는 텍스트(문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의 폭이 넓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14)

  1. 저작권이 보호되는 음원 중 각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을, 상기 음원이 저장될 상기 각 사용자의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하여 음원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원 서버; 및 상기 각 사용자가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원에 대하여 생성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상기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원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상기 사용자의 개별 재생장치별로 고유하게 인코딩하여 생성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이용하는 상기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으로서,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인코딩하여 생성된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포함하는 헤더, 상기 음원데이터 및 체크썸으로 이루어지는 음원데이터 패킷을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원을 추출 및 재생하는 상기 재생장치; 및
    상기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장치가,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로부터 상기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추출하고, 상기 재생장치의 고정 ID를 키로 상기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디코딩하여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추출하고,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키로 상기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음원을 추출하고 재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재생장치의 고정 ID, 상기 음원데이터를 인코딩/디코딩하는 제 1 암호 알고리즘 및 상기 음원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음원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재생장치의 고정 ID를 키로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암호키 정보(I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의 고정 ID가,
    기기종류, 제조년월, 제조시, 기기버전 및 제조순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재생장치가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상기 재생장치의 고정 ID와 상기 할 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1을 상기 음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ID1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미리 설정된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상기 ID1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암호키(I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ID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의 버전인 음원 버전, 상기 음원데이터의 영구저장 여부 및 재생 가능 횟수를 나타내는 재생/저장 방법, 인코딩 정보, 상기 음원데이터를 재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횟수를 나타내는 다운로드 횟수 및 상기 재생장치의 잔여 메모리 용량을 나타내는 메모리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저장방법이 상기 음원데이터의 영구저장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의 삭제를 위한 암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암호를 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 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상기 음원을 재생할 때, 상기 출력장치를 인증하기 위한 확인 코드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상기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장치의 저장부가, 상기 추출 및 재생되는 음원을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제 5 암호키와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더 저장하고,
    상기 재생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재생되는 음원을 상기 제 5 암호키와 상기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코딩한 후 인코딩된 음원을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코드가 상기 확인 코드에 대응하는 정당한 값인 경우 상기 제 5 암호키 및 상기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가, 상기 인코딩된 음원을 상기 제 5 암호키 및 상기 제 5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상기 음원을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이,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며, 상기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생장치를 상기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인터넷 라디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가,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인터넷 라디오가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와 상기 할당된 유동 ID로 구 성되는 ID2를 상기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ID2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상기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상기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생성한 후, 상기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상기 제 2 암호키(ID2')로 중복적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하고,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키로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이,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상기 재생장치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생장치를 상기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와 상기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3를 상기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ID3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상기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상기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 후, 상기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상기 제 3 암호키(ID3')로 중복적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키로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이,
    컨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며, 상기 재생장치와 연결되는 인터넷 라디오; 및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고유한 식별 값인 고정 ID가 부여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와 연결되어 인터넷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재생장치와 상기 인터넷 라디오를 상기 음원 서버에 통신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가,
    상기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인터넷 라디오가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와 상기 할당된 유동 ID로 구 성되는 ID2를 상기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이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할 때, 하나 이상의 필드를 갖는 유동 ID를 할당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와 상기 할당된 유동 ID로 구성되는 ID3를 상기 음원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ID2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상기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ID2')를 생성하고, 상기 ID3의 유동 ID의 각 필드에 일정 값을 삽입한 후 상기 유동 ID를 상기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ID3')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상기 ID2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생성하고,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상기 ID3의 고정 ID로 인코딩하여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생성한 후, 상기 제 1 암호키(ID1')로 인코딩된 상기 음원데이터를 상기 제 2 암호키(ID2')와 상기 제 3 암호키(ID3')로 순차적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제 2 암호키 정보(ID2'') 및 상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에 포함하여 전송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 3 암호키 정보(ID3'')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추출하고, 상기 제 3 암호키(ID3')를 키로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인터넷 라디오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제어부가,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제 2 암호키 정보(ID2'')를 상기 인터넷 라디오의 고정 ID를 키로 디코딩하여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추출하고, 상기 제 2 암호키(ID2')를 키로 상기 음원데이터 패킷의 음원데이터를 디코딩한 후 상기 디코딩된 음원데이터를 상기 재생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 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KR1020070017697A 2007-02-22 2007-02-22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KR20090000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7A KR20090000549A (ko) 2007-02-22 2007-02-22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PCT/KR2008/001010 WO2008102989A1 (en) 2007-02-22 2008-02-21 System for downloading and playing audio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7A KR20090000549A (ko) 2007-02-22 2007-02-22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49A true KR20090000549A (ko) 2009-01-08

Family

ID=3971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97A KR20090000549A (ko) 2007-02-22 2007-02-22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00549A (ko)
WO (1) WO20081029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09B1 (ko) * 2011-07-08 2013-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암호화 방법, 콘텐츠 복호화 방법, 및 이들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204639B1 (ko) * 2019-12-04 2021-01-18 아르코 뮤직, 인크. 미디어 디스크 장치를 이용한 음원 데이터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0112A (zh) * 2022-04-12 2022-05-13 北京智科车联科技有限公司 语音播报方法、车载喇叭、车载终端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019B1 (en) * 1999-03-26 2002-04-02 Liquid Audio, Inc. Copy security for portable music players
KR100820971B1 (ko) * 2001-10-11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 오디오 파일에서의 암호화 해독 키 기록 및 재생방법
KR20060015675A (ko) * 2006-01-19 2006-02-17 주식회사 마크애니 컨텐츠 불법복제 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09B1 (ko) * 2011-07-08 2013-08-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서버, 콘텐츠 암호화 방법, 콘텐츠 복호화 방법, 및 이들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204639B1 (ko) * 2019-12-04 2021-01-18 아르코 뮤직, 인크. 미디어 디스크 장치를 이용한 음원 데이터 거래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2989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0101B2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8301569B2 (en)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W589836B (en) Contents transmission system, portable terminal player and contents provider
US20020138442A1 (en) Content provision device and method and license server capable of facilitating circulation of encrypted content data
US20020131594A1 (en) Reproduction device stopping reproduction of encrypted content data having encrypted region shorter than predetermined length
US200401259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istribution
US8090920B2 (e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he recording medium
US20090164378A1 (en) Music Distribution
WO2002075550A1 (fr) Enregistreur de donnees restituant des donnees originales autorisees a n'exister qu'en un seul exemplaire
WO2003088059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procede,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gramme
US20200019677A1 (en) Monitor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Including Copyrighted Items
CN101677010A (zh) 内容发布系统、记录设备和方法、重放设备和方法及程序
JPWO2006003883A1 (ja) 記録媒体並びに記録媒体に情報を記録する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WO200401030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15622A (ja) 著作権保護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WO2004027622A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distribution
JP2002288453A (ja) 情報端末装置
JP2007124717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無断複製防止システム
JP4655470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方法
KR20090000549A (ko) 개별 재생장치에 대하여 고유하게 생성된 음원데이터다운로드 및 재생 시스템
JP2000358003A (ja) 音楽配信システム
JP4766762B2 (ja) データ再生装置
KR101446157B1 (ko)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JP200329856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2175084A (ja) 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