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221A -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221A
KR20090000221A KR1020070011247A KR20070011247A KR20090000221A KR 20090000221 A KR20090000221 A KR 20090000221A KR 1020070011247 A KR1020070011247 A KR 1020070011247A KR 20070011247 A KR20070011247 A KR 20070011247A KR 20090000221 A KR20090000221 A KR 2009000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og data
advertisement
online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198B1 (ko
Inventor
서성욱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1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1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복수의 패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온라인 광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정보를 전송하는 웹 서버, 그리고 로그 데이터 및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널별로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과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력을 대응시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로그 데이터는 온라인 광고 노출 정보를 포함하고, 로그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구매 정보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을 활용하여 온라인 광고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광고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고, 최적화된 온라인 광고 집행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광고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패널, 로그 데이터, 구매 정보, 광고 효과

Description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ON-LINE ADVERTISING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의 표시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로그 데이터와 구매 정보의 선별 및 매칭을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 150: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110: 웹 서버,
120, 125: 광고 효과 분석 서버, 130: 데이터베이스,
200, 250: 통신망, 300: 사용자 단말기,
310: 브라우저, 320: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
330: 구매 정보 입력 모듈, 350: 스캐너,
400: 구매 정보 수집 서버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통신망 및 그 응용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던 서비스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손쉽게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종류도 전자 상거래, 전자 광고, 인터넷 폰,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는 가장 중요한 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의 주요 수익 모델은 사용자에게 배너 광고 등의 온라인 광고를 노출시키는 것이다. 즉, 포털 사이트의 운영자는 자사의 포털 사이트에 광고주의 배너 광고를 노출시키고 그 대가로 광고주에게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 받는다.
최근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기존 오프라인 매체의 경우 오랜 기간 광고 집행을 통하여 그 유효성이 입증되었으나 뉴미디어인 인터넷 상의 온라인 광고에 대하여는 그 유효성이 입증된 바 없다. 따라서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오프라인 광고 집행에 대하여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으나 온라인 광고 집행에 대하여는 그 효과에 대하여 아직 의문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광고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토대로 하여 광고주에게 보다 최적화된 광고 집행 방식에 대하여 제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광고의 효과를 판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최적화된 광고 집행 방식을 도출해낼 수 있게 하는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은, 복수의 패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을 설치하고 온라인 광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웹 서버, 그리고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의 로그 데이터 및 상기 패널로부터의 상기 온라인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널별로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력을 대응시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온라인 광고가 상기 패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상기 구매 정보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르다.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고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거쳐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입력되고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거쳐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를 소정 기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거나 상기 소정 기간 내에서 특정 기간마다 상기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온라인 광고의 노출 여부, 노출 횟수, 클릭 여부 및 클릭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패널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패널별로 구매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상품/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대상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후 웹 서핑을 하도록 요구되며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사실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사실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를 수 있다.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에 기초하여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복수의 패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을 설치하고 온라인 광고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온라인 광고가 상기 패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온라인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널별로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력을 대응시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상기 구매 정보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르다.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고 외부의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매 정보는 스캐너를 통하여 입력되고 외부의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를 소정 기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수행되거나 상기 소정 기간 내에서 특정 기간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온라인 광고의 노출 여부, 노출 횟수, 클릭 여부 및 클릭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패널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패널별로 구 매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상기 상품/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대상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상기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한 후 웹 서핑을 하도록 요구되며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사실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사실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의 표시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웹 서버(110),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며, 통신망(200)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 및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 연결되어 있다.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고, 통신망(250)을 통하여 스 캐너(250)와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브라우저(310),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 그리고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을 포함하며, 통신망(200)을 통하여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 및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는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각각 사용하는 복수의 패널(panel)은 온라인 광고에 대한 효과 분석을 위하여 선정된 소정 수효의 응답자 집단으로서, 소정 절차에 따라 선정되며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고 자신이 구매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된다.
브라우저(310)는 웹 페이지를 열어 볼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웹 서버(110)에 접속하여 이로부터 웹 페이지 정보를 받아 해당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브라우저(310)의 한 예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생성될 수 있는 스크립트 실행 코드로서, 웹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의 브라우저(310)에 의해 해석 및 실행될 수 있다.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해당 패널의 사용자 정보 및 광고 정보를 포함 하는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부호, 로그인 정보, 사용자 단말기(300)의 IP 주소 및 웹 서버(100)에 접속한 접속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광고 정보는 웹 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광고에 대하여 해당 광고의 노출 여부를 알리는 광고 노출 정보, 광고 노출 시간, 해당 광고의 클릭 여부를 알리는 클릭 정보, 클릭 시간 등을 포함한다.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최초로 설치될 때 해당 패널의 사용자 식별 부호 등을 기억해 두고, 추후 해당 패널이 웹 서버(110)에 접속할 때 사용자 인증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패널의 사용자 식별 부호 등을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해당 패널을 자동으로 인식하면 패널이 매번 로그인을 하여 웹 서버(110)에 접속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물론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최초로 설치될 때 해당 패널은 사용자 인증을 받을 필요가 있다.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은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 또는 웹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패널로부터 구매 상품 또는 구매 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입력받아 통신망(200)을 통하여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로 전송한다. 구매 정보는 구매 상품/서비스, 구매 가격, 상품/서비스 선택 이유, 특정 광고에 노출되었는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은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서 해당 패널을 인식하기 위하여 별도의 패널 식별 부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하며, 패널 식별 부호는 웹 서 버(110)에서 해당 패널을 인식하기 위하여 브라우저(310)에 입력하는 사용자 식별 부호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의 한 예로서 브라우저(310)에 표시될 수 있는 웹 다이어리(web diary)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웹 다이어리에는 관람영화관, 관람영화, 지불가격, 동반인수, 동반인, 영화 선택 이유, 해당 영화의 인터넷 광고 노출 여부 등의 입력란이 있어서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한 후 다양한 구매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영화 관람이라는 구매 서비스 이외에도 구매 상품/서비스에 따라 웹 다이어리에 표시되는 입력란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은 이러한 웹 다이어리 이외에도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스캐너(350)는 통신망(250)을 통하여 구매 정보를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때 스캐너(350)에는 해당 스캐너(350)를 사용하는 패널을 식별할 수 있는 스캐너 식별 데이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패널이 구매 상품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등을 스캔하면 식별 데이터가 구매 정보와 함께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 전송된다. 스캐너(350)를 통하여 전송되는 구매 정보는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을 통하여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와 달리 단순히 어느 상품인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스캐너(350)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홈 스캐너이거나 휴대용 스캐너일 수 있으며, 소위 카메라폰이라 불리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일 수 있다. 스캐너(350)는 패널이 구매한 상품에 표시되어 있는 상품 식별 코드, 예를 들면 바 코드, 핫코드(hot code) 또는 컬러 코드(color code) 등을 읽어 해당 코드를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에 전송한다.
패널이 스캐너(350) 및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매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다른 하나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으나,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 및 스캐너(350)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통신망(200, 25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스캐너(350)가 홈 스캐너인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스캐너인 경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는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로부터 패널 식별 부호 및 구매 정보를 받아 해당 패널 정보와 구매 정보를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또한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는 통신망(250)을 통하여 스캐너(350)로부터 스캐너 식별 데이터 및 구매 정보를 받아 해당 패널 정보와 구매 정보를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을 운영하는 서비스 사업자와 다른 별도의 정보 조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 있으나 동일한 사업자에 의하여 운영될 수도 있다.
웹 서버(110)는 검색, 게임, 커뮤니티 등의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300)가 접속하면 해당 웹 페이지 정보를 통신망(2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웹 페이지 정보에는 검색, 게임, 커뮤니티 등의 관련 정보와 광고주에 의해 요청된 다양한 종류의 복수의 온라인 광고가 포함될 수 있다. 웹 페이지에 표시되는 온라인 광고는 배너 광고 및 키워드 광고 등의 어떠한 광고라도 상관없으며 정지 영상, 동영상, 플래시 영상뿐만 아니라 단어, 키워드, 문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110)는 다양한 정보 및 광고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에 사용자 인증란을 표시하여 패널에게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패널이 사용자 인증란에 자신의 사용자 식별 부호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웹 서버(11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면 웹 서버(110) 또는 사용자 인증 서버(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 웹 서버(110)는 해당 사용자 식별 부호를 가지는 패널을 인식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각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받고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로부터 패널 정보 및 구매 정보를 받아 이들을 적절히 선별하고 매칭한다. 우선 사용자 식별 부호와 패널 정보를 참조하여 각 패널별로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 및 광고 클릭 이력과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이력을 대응시킨다. 그런 후 각 패널의 광고 노출 및 클릭 이력과 상품/서비스 구매 이력을 참조하여 특정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 집단, 광고를 클릭한 패널 집단 및 노출되지 않은 패널 집단을 구분하고, 광고 효과 분석에 필요한 자료, 예를 들면, 각 패널 집단에 대하여 해당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비율, 구매 빈도, 구매량 등을 산출한다. 또한 해당 광고에 노출된 횟수 및 클릭 횟수에 따라 광고 노출 패널 집단을 구분하고 구분된 집단에 대하여 구매 비율, 구매 빈도, 구매량 등을 산출한다.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산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적절한 형태의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러한 광고 효과 분석은 온라인 광고가 일정 기간 집행되어 패널에 노출되고 일정 기간 패널로부터 입력된 구매 정보를 수집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광고 효과 분석은 이와 달리 또는 이와 병행하여 일정 기간 내에서 특정 기간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웹 서버(110) 및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받아 기억한다. 즉, 웹 서버(110)는 웹 페이지 관련 정보 및 웹 페이지에 표시할 광고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로부터 받은 구매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광고 효과에 대하여 분석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웹 서버(110) 및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이들(110, 120)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사용자 정보 및/또는 패널 정보를 기억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는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로그 데이터와 구매 정보의 선별 및 매칭을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은 패널을 선정하는 단계(S510), 패널이 광고에 노출되는 단계(S520), 패널이 구매한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530), 광고에 노출된 정보와 구매 정보를 선별하고 매칭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S5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단계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패널 선정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패널 선정에 앞서 광고 효과 분석을 위한 대상 카테고리를 정한다. 대상 카테고리는 상품 및 서비스에 따라 나뉘며 예를 들면 생활용품, 식품 등을 포함하는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화장품, 휴대폰, 신용카드(신규발급 기준), 영화, 외식 서비스(패밀리 레스토랑), 온라인 유통 등을 들 수 있다. 대상 카테고리는 대상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서비스의 온라인 광고가 웹 서버(110)에서 충분히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즉, 온라인 광고가 실제로 집행된 이력과 앞으로 집행될 계획을 참조하여 대상 카테고리를 정하는 것이 좋다. 대상 카테고리의 선별을 위하여 해당 상품/서비스의 구매 빈도가 고려될 수 있으며, 광고주의 요청 또는 서비스 사업자의 필요에 따라 대상 카테고리를 정할 수도 있다.
대상 카테고리가 정해지면 소정의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대상 카테고리에 적합한 패널을 선정한다. 소정의 사용자 집단은 정보 조사업자가 정보 조사를 위하 여 자체적으로 미리 확보해두고 있는 사용자 집단일 수 있다. 사용자 집단 중에서 사용자의 연령대, 성별, 기호 등을 고려하여 대상 카테고리의 패널을 선정한다. 즉, 대상 카테고리에 속하는 상품/서비스에 대한 구매 빈도가 높고 온라인 광고 수용성이 높은 사용자를 대상 카테고리의 패널로 선정한다. 예를 들면, FMCG는 가정주부나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영화는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즉, 가장 구매층이 두터운 사용자를 패널로 선정하면 광고 효과에 대하여 보다 적절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선정된 패널은 컴퓨터, 인터넷 등에 대하여 최소한의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으며, 웹 서버(110)에 접속하여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기에 충분할 정도로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패널의 수효는 너무 적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패널의 수효가 많으면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지므로 통계학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적절한 규모로 패널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광고 노출
선정된 패널은 웹 서버(110)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하도록 요구되며, 웹 서버(110) 및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해당 패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식별 부호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정된 패널에게 로그인을 한 후 웹 서핑을 하도록 사전에 교육할 수 있으며, 패널이 웹 서버(110)에 로그인을 한 후 웹 서핑을 하면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해당 패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경우 패널은 사용자 인증을 할 필요가 없다.
패널은 웹 서핑을 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다양한 광고에 노출될 수 있다. 패널은 광고에 단순히 노출될 뿐만 아니라 광고를 클릭하여 좀 더 상세한 광고를 볼 수 있다.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된 웹페이지를 조사하고 패널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여 패널이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것을 기록하고, 클릭한 광고를 기록하며, 광고 노출 시간, 클릭 시간 등을 기록해 둔다. 또한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사용자 식별 부호, 로그인 정보, 사용자 단말기(300)의 IP 주소 및 웹 서버(100)에 접속한 접속 시간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후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은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한편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 대신 웹 서버(11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웹 페이지 정보를 판단하여 패널에게 노출되는 광고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구매 정보 수집
선정된 패널은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 및/또는 스캐너(350)를 통하여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로 전송한다. 패널에게는 자신이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것과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것과의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르게 한다. 즉, 패널은 온라인 광고에 따른 효과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상품/서비스 를 구매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패널 선정 시 정보 조사업자는 패널에게 웹 서버(110)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하는 것이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밝히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널이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더라도 온라인 광고를 의식하지 않고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게 되어 온라인 광고에 대한 유효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패널은 대상 카테고리에 따라 해당 상품/서비스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외식 서비스와 온라인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유통의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상품/서비스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한편 구매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도 구매 상품/서비스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생활 용품이나 식음료 등의 FMCG와 화장품의 경우 스캐너(350)를 이용하거나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을 이용하여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기타 휴대폰, 신용카드, 영화, 외식 서비스, 온라인 유통 등의 상품/서비스의 경우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을 이용하여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는 각 패널로부터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 및 스캐너(350)로부터 전송된 구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패널 정보와 함께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광고 효과 분석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로부터 구매 정보 및 패널 정보를 수신하고,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한 다. 광고 노출, 구매 및 구매 정보 수집은 일정 기간 계속되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수집된 로그 데이터 및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온라인 광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를 작성한다.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은 전체 패널의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로부터 전송되는 모든 로그 데이터 및 전체 패널의 모든 구매 정보를 참고하여 수행된다. 이때 해당 온라인 광고 이외의 다른 매체 광고 등의 외부 변수의 변화를 모든 패널이 동일하게 받는다고 전제하고 외부 변수의 영향을 배제한 채 분석을 수행한다.
도 5를 참고하면,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로그 데이터와 구매 정보를 적절하게 선별하고 매칭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데, 우선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을 위한 특정 온라인 광고(이하, 대상 광고라 함)에 대하여 각 패널별로 노출 횟수 및 클릭 횟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각 패널별로 구매 여부를 파악하여 대상 광고에 노출된 패널이 해당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비율과 노출되지 않은 패널이 해당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비율(침투율)을 산출한다. 해당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패널에 대하여는 대상 광고에 노출된 패널과 노출되지 않은 패널을 나누어 총구매량 및 1회 구매량을 산출하고, 총구매액 및 1회 구매액을 산출하며, 구매 빈도를 산출한다. 또한 대상 광고에 노출된 패널에 대하여 노출 횟수에 따라 구매 여부를 파악하고, 구매량, 구매액, 구매 빈도 등도 산출한다. 이러한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대상 광고의 노출 여부가 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산출된 자료들은 예시일 뿐이며, 로그 데이터와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하게 분석 자료를 도출해 낼 수 있다.
각 패널의 이력 내지 성향이 담긴 프로파일을 참조하면 어떠한 성향 내지 이력이 대상 광고의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떠한 성향 내지 이력이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각 패널별로 대상 광고의 노출 시간 및 클릭 시간을 고려하면 대상 광고가 실제로 패널이 상품/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대상 광고가 노출/클릭되기 전에 패널이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경우라면 대상 광고의 노출/클릭이 상품/서비스 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대상 광고가 노출/클릭된 후에 패널이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경우라면 대상 광고의 노출/클릭이 상품/서비스 구매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로그인 현황을 분석하면 각 패널의 활동이 적절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조사된 자료가 통계적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패널이 웹 서버(110)에 로그인을 하지 않으면 해당 패널이 대상 광고에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하여 올바른 분석을 도출해내기 어렵다. 다시 말하면, 패널이 웹 서버(110)에 적극적으로 로그인을 하여 웹 서핑을 할수록 광고 효과에 대한 분석이 보다 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의 로그인 현황을 참조하여 패널이 웹 서버(110)에 충분한 정도로 접속하였다는 것을 광고 효과 분석의 전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것처럼,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패널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패널이 웹 서버(110)에 반드시 로그인을 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320)이 전송하는 사용자 정 보를 참조하면 어느 패널이 웹 서버(110)에 접속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이 광고에 노출되었다고 하는 것은 단순히 온라인 광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표시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지만, 노출된 시간을 고려하여 온라인 광고가 소정 시간 이상 표시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패널이 해당 광고 영역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해 두고 소정 시간 이상 경과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패널이 의식적으로 해당 광고를 클릭하여 해당 광고의 상세 정보를 보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렇게 광고가 노출되었다는 것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온라인 광고 효과를 보다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다.
한편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광고 노출, 구매 및 구매 정보 수집이 계속되는 일정 기간에서 특정 기간마다 예를 들면, 주간, 월간, 임의의 기간마다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석을 수행하면 온라인 광고 효과의 시계열적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쉽다.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0)는 산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적절한 형태의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를 생성하고, 이것을 열람 권한이 있는 사용자, 예를 들면 웹 서버(110) 운영자, 정보 조사업자 및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널을 활용하여 온라인 광고를 노출하고 구매 정보를 수집하여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광고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광고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따라 온라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한 한 예를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온라인 광고 노출 여부에 따른 패널의 구매 행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특정 음료수를 분석 대상 상품으로 하였으며, 한 달 동안 해당 음료수의 온라인 광고를 패널에게 노출시켰고 같은 기간 동안 대상 패널의 구매 정보를 수집한 후 광고 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카테고리는 FMCG이었으며, 총 사용자 집단 3,000명 중에서 대상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패널 1,000명을 선정하였다. 대상 카테고리에 해당되지 않는 패널 2,000명은 비선정 패널이다. 선정된 패널 중에서 해당 온라인 광고에 적어도 한 번 노출된 패널은 287명이었고, 이 중에서 3회 이하로 노출된 패널은 194명, 4회 이상 노출된 패널은 93명이었으며, 노출된 적이 없는 패널은 713명이었다.
한 번이라도 해당 음료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패널의 비율(구매 경험율)은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경우 25.3%(3회 이하 노출의 경우 24.2%, 4회 이상 노출의 경우 27.2%)이었고, 비노출된 패널의 경우 22.1%이었다. 한 번이라도 해당 음료수를 구매한 적이 있는 패널의 평균 총구매량은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경우 6.45리터(3회 이하 노출의 경우 6.22리터, 4회 이상 노출의 경우 6.92리터)이었고, 비노출된 패널의 경우 4.25리터이었다. 한 번이라도 해당 음료수를 구매한 적이 있는 패널의 평균 구매 빈도는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 널의 경우 5.1회(3회 이하 노출의 경우 4.9회, 4회 이상 노출의 경우 5.5회)이었고, 비노출된 패널의 경우 3.4회이었다. 한편 비선정 패널의 구매 경험율, 총구매량 및 구매 빈도는 광고에 비노출된 패널의 그것과 거의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구매 경험율, 총구매량, 구매 빈도는 비노출된 패널의 그것에 비하여 모두 높은 수치를 가졌다. 즉, 광고에 노출된 경우 노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구매 경험율이 높았으며, 구매 빈도도 높았다. 또한 평균 총구매량의 경우 50% 이상의 차이를 가져왔다. 따라서 해당 온라인 광고가 상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온라인 광고가 노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3회 이하로 노출된 경우와 4회 이상 노출된 경우 구매 경험율, 총구매량 및 구매 빈도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하여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따라 온라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한 다른 예를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온라인 광고 노출 빈도에 따른 영화 관람자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정 영화를 분석 대상 서비스로 하였으며, 한 달 동안 해당 영화의 온라인 광고를 패널에게 노출시켰고 같은 기간 동안 대상 패널의 구매 정보를 수집한 후 광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해당 온라인 광고에 비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7.4%이었고, 1회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10.2%이었으며, 노출된 횟수가 높아질수록 차례로 10.1%, 10.3%, 9.2%, 14.2%, 13.3%, 14.7%, 14.9%, 14.3%이었으며, 10회 이상 노출된 패널의 경우 15.1%이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적어도 한 번 해당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비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에 비하여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5회 이상 해당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와 같이 광고 노출 빈도에 따라 패널의 구매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온라인 광고 집행에 대한 효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로 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온라인 광고의 집행 여부, 집행 기간, 집행 횟수 등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광고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따라 온라인 광고의 효과를 분석한 또 다른 예를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온라인 광고 노출 및 클릭 빈도에 따른 영화 관람자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예도 또 다른 특정 영화를 분석 대상 서비스로 하였으며, 한 달 동안 해당 영화의 온라인 광고를 패널에게 노출시켰고 같은 기간 동안 대상 패널의 구매 정보를 수집한 후 광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 8a를 참고하면, 전체 패널 6,994명 중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지 않은 패널은 1,111명이었고 이들의 영화 관람 비율은 4.1%이었다.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은 5,883명이었고 이들의 영화 관람 비율은 8.6%이었다. 따라서 광고에 노출된 경우가 노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2배 높은 구매 결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 5,883명 중 592명이 해당 광고를 클릭하였고, 나머지 5,291명이 클릭하지 않았다. 클릭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12.8%이었고, 클릭하지 않은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8.1%이었다. 따라서 광고에 노출된 후 클릭한 경우가 클릭하지 않은 경우보다 50% 높은 구매 결과를 가져왔으며, 광고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보다 3배 높은 구매 결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해당 온라인 광고에 노출되지 않은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4.1%이었고, 1회∼7회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5.4%이었으며, 8회∼23회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7.7%이었고, 24회 이상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10.4%이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적어도 한 번 해당 광고에 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은 비노출된 패널의 영화 관람 비율에 비하여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광고에 노출된 횟수가 많아질수록 영화 관람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예의 분석 결과,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패널은 노출되지 않은 패널에 비 하여 구매율이 2배 높았고, 온라인 광고를 클릭한 패널은 노출되지 않은 패널에 비하여 구매율이 3배 높았으며, 광고에 노출된 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구매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광고 노출 빈도 및 광고 클릭에 따라 패널의 구매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온라인 광고 집행에 대한 효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로 집행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한 위의 예들에 의하면, 온라인 광고 집행에 따른 상품/서비스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된 온라인 광고 집행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 자료 및 분석 결과를 광고주에게 제시하여 최적화된 온라인 광고 집행을 위한 설득 논리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가 온라인 광고를 통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인지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구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추적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 및 정보를 근거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시 최적화된 온라인 광고를 집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50)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웹 서버(110),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5)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며, 통신망(200)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결 되어 있으며, 통신망(250)을 통하여 스캐너(350)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50)은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5)를 제외하면 앞선 실시예의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들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5)는 앞선 실시예의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는 구매 정보 수집 서버(400)가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00) 외부에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광고 효과 분석 서버(125)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330) 및 스캐너(350)로부터 패널의 구매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광고 효과 분석에 사용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50)은 사용자 단말기(300) 및 스캐너(350)로부터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 선정을 위하여 별도의 정보 조사업자가 있더라도 정보 조사업자는 별도의 구매 정보 수집을 위한 서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150)의 서비스 사업자는 별도의 정보 조사업자가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패널을 선정하고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패널 선정을 할 때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패널에게는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것과 상품/서비스를 구매한 것과의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르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 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패널을 활용하여 온라인 광고가 소비자 구매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광고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고, 최적화된 온라인 광고 집행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며, 온라인 광고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광고 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분석 자료를 광고주에게 제시하여 온라인 광고 집행을 위한 설득 논리로 활용할 수 있으며, 효율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온라인 광고 집행을 광고주에게 제안할 수 있다.

Claims (18)

  1. 복수의 패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을 설치하고 온라인 광고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웹 서버, 그리고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의 로그 데이터 및 상기 패널로부터의 상기 온라인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널별로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력을 대응시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온라인 광고가 상기 패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상기 구매 정보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른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고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거쳐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구매 정보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입력되고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거쳐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며,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달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구매 정보 수집 서버 및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를 소정 기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거나 상기 소정 기간 내에서 특정 기간마다 상기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는 상기 온라인 광고의 노출 여부, 노출 횟수, 클릭 여부 및 클릭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패널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패널별로 구매 비율을 산출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패널은 상기 상품/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대상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상기 웹 서버에 접속한 후 웹 서핑을 하도록 요구되며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사실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사실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르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에 기초하여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10. 복수의 패널의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을 설치하고 온라인 광고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온라인 광고가 상기 패널에게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노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를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널로부터 상기 온라인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 정보 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각 패널별로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이력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이력을 대응시켜 온라인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로그 데이터의 전송 경로와 상기 구매 정보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매 정보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고 외부의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2. 제10항에서,
    상기 구매 정보는 스캐너를 통하여 입력되고 외부의 구매 정보 수집 서버를 통하여 전달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로그 데이터 및 상기 구매 정보를 소정 기간 수신하고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수행되거나 상기 소정 기간 내에서 특정 기간마다 수행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4. 제10항에서,
    상기 분석 단계는 상기 온라인 광고의 노출 여부, 노출 횟수, 클릭 여부 및 클릭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패널을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패널별로 구매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5. 제10항에서,
    상기 패널은 상기 상품/서비스의 분류에 따른 대상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선정되고 상기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웹 서버에 접속한 후 웹 서핑을 하도록 요구되며 상기 온라인 광고에 노출된 사실과 상기 상품/서비스의 구매 사실 사이의 연관 관계를 모르는 광고 효과 분석 방법.
  16. 제10항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에 기초하여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17. 제10항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 생성 모듈은 상기 패널의 로그인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로그 데이터를 상기 광고 효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효과 분석 시스템.
  18. 컴퓨터에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70011247A 2007-02-02 2007-02-02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0928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47A KR100928198B1 (ko) 2007-02-02 2007-02-02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47A KR100928198B1 (ko) 2007-02-02 2007-02-02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21A true KR20090000221A (ko) 2009-01-07
KR100928198B1 KR100928198B1 (ko) 2009-11-25

Family

ID=4048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247A KR100928198B1 (ko) 2007-02-02 2007-02-02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19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150A (ko) * 2009-01-30 2011-10-2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컨버전 크레디팅
WO2012023708A2 (ko) * 2010-08-16 2012-02-23 Choi Jae Sung 광고 기능을 구비한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84415A (ko) * 2011-01-20 2012-07-3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온라인 사이트의 광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12861A2 (en) * 2011-07-19 2013-01-2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microsegments
WO2013025920A2 (en) * 2011-08-16 2013-02-21 Business Research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arketing treatment data
WO2013052039A1 (en) * 2011-10-03 2013-04-11 Google Inc. Conversion / non-conversion comparison
KR101336998B1 (ko) * 2009-12-18 2013-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패킷감시장치를 이용한 광고효과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3181630A2 (en) * 2012-05-31 2013-12-0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nline advertisement exposure
WO2014010916A1 (ko) * 2012-07-11 2014-0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4018133A1 (en) * 2012-07-27 2014-01-30 Google Inc.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presentation of a content item and a transaction by a user at a point of sale terminal
WO2015066304A1 (en) * 2013-10-30 2015-05-07 Trans Un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and advertising campaigns
WO2015084634A3 (en) * 2013-12-05 2015-11-12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data-driven attribution model for assigning attribution credit to a plurality of events
US9996856B2 (en) 2014-03-11 2018-06-12 Trans Union Llc Digital prescreen targete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26378A (ko) * 2021-06-22 2023-02-24 김지현 온오프 사용자 행위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0933B2 (en) 2011-04-11 2013-12-31 Google Inc. Illustrating cross channel conversion paths
US8510326B2 (en) 2011-04-11 2013-08-13 Google Inc. Priority dimensional data conversion path reporting
US20120259854A1 (en) * 2011-04-11 2012-10-11 Google Inc. Conversion Path Based Segmentation
US8959450B2 (en) 2011-08-22 2015-02-17 Google Inc. Path explorer visualization
US20150262223A1 (en) * 2014-03-13 2015-09-17 HasOff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credit for installs of applications
US10055754B2 (en) 2014-03-13 2018-08-21 Tu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pplication installs that distinguish new users from existing users without directly accessing user account records
KR20220090754A (ko) 2020-12-23 2022-06-30 한창민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부정클릭 차단 및 광고 효과의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515B1 (ko) * 2000-03-11 2003-03-26 주식회사 윈텍코리아 인터넷광고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10097357A (ko) * 2000-04-21 2001-11-08 송유철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광고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30308A (ko) * 2003-09-25 2005-03-30 오기영 인터넷에서 실시간 매출 분석, 고객 분석, 마케팅 효과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7332B1 (ko) * 2005-05-13 2006-10-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모바일 실시간 리서치와 그 결과에 근거한 즉시마케팅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150A (ko) * 2009-01-30 2011-10-25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컨버전 크레디팅
US10438233B2 (en) 2009-01-30 2019-10-08 Google Llc Conversion crediting
KR101336998B1 (ko) * 2009-12-18 2013-12-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패킷감시장치를 이용한 광고효과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2023708A2 (ko) * 2010-08-16 2012-02-23 Choi Jae Sung 광고 기능을 구비한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23708A3 (ko) * 2010-08-16 2012-04-12 Choi Jae Sung 광고 기능을 구비한 페이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84415A (ko) * 2011-01-20 2012-07-30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온라인 사이트의 광고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012861A3 (en) * 2011-07-19 2013-05-1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microsegments
WO2013012861A2 (en) * 2011-07-19 2013-01-2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microsegments
US10339545B2 (en) 2011-07-19 2019-07-02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Protecting privacy in audience creation
US9524504B2 (en) 2011-07-19 2016-12-2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Protecting privacy in audience creation
WO2013025920A3 (en) * 2011-08-16 2013-07-11 Business Research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arketing treatment data
WO2013025920A2 (en) * 2011-08-16 2013-02-21 Business Researcher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arketing treatment data
WO2013052039A1 (en) * 2011-10-03 2013-04-11 Google Inc. Conversion / non-conversion comparison
US8751303B2 (en) 2012-05-31 2014-06-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nline advertisement exposure
WO2013181630A3 (en) * 2012-05-31 2014-04-1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nline advertisement exposure
WO2013181630A2 (en) * 2012-05-31 2013-12-0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of tracking online advertisement exposure
WO2014010916A1 (ko) * 2012-07-11 2014-0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4018133A1 (en) * 2012-07-27 2014-01-30 Google Inc.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presentation of a content item and a transaction by a user at a point of sale terminal
WO2015066304A1 (en) * 2013-10-30 2015-05-07 Trans Un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and advertising campaigns
US10885544B2 (en) 2013-10-30 2021-01-05 Trans Un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and advertising campaigns
US11941658B2 (en) 2013-10-30 2024-03-26 Trans Un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and advertising campaigns
US9852440B2 (en) 2013-12-05 2017-12-26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content for display based on conversion probabilities of paths
US9858588B2 (en) 2013-12-05 2018-01-02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ttribution credit data based on parameters
US9858587B2 (en) 2013-12-05 2018-01-02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data-driven attribution model for assigning attribution credit to a plurality of events
US9858586B2 (en) 2013-12-05 2018-01-02 Googl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rules for assigning attribution credit across a plurality of events
WO2015084634A3 (en) * 2013-12-05 2015-11-12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 data-driven attribution model for assigning attribution credit to a plurality of events
US9996856B2 (en) 2014-03-11 2018-06-12 Trans Union Llc Digital prescreen targete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KR20230026378A (ko) * 2021-06-22 2023-02-24 김지현 온오프 사용자 행위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198B1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198B1 (ko) 온라인 광고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US7870025B2 (en) Vendor comparison, advertising and switching
Bucklin et al. Click here for Internet insight: Advances in clickstream data analysis in marketing
Ngai Selection of web sites for online advertising using the AHP
US8620746B2 (en) Scoring quality of traffic to network sites
US81218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KR100819703B1 (ko) 온라인 광고 효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85251A1 (en) System and method of presenting on-line product selection based on internal marketing and user popularity
KR20110032878A (ko) Sns 프로그램에서 구현되는 키워드 광고방법 및 시스템
Hung et al. User acceptance of e-government services
WO20010371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ffectiveness of on-line advertising
JP2010514010A (ja) クロスチャネル最適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10061617A (ko) 온라인 광고에 대한 과금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ang et al. Online ad effectiveness evaluation with a two-stage method using a Gaussian filter and decision tree approach
KR101959808B1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Wang et al. Acceptance of E-government service: a validation of the UTAUT
KR20170121589A (ko) 온라인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9179353A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およ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0792701B1 (ko) 협업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릭 패턴에 기초한 웹광고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1033445A1 (fr) Procede de distribution d&#39;informations de remuneration
KR101459102B1 (ko) 웹 페이지의 검색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0054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oftware and web based applications
Agha E-service quality factors impacting customers purchase retention in e-retailing in Malaysia
Khoa et al. Reasons for customers reluctance to use electronic payments–A study in Ho Chi Minh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