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102U - 명함 보관함 - Google Patents

명함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102U
KR20090000102U KR2020070010855U KR20070010855U KR20090000102U KR 20090000102 U KR20090000102 U KR 20090000102U KR 2020070010855 U KR2020070010855 U KR 2020070010855U KR 20070010855 U KR20070010855 U KR 20070010855U KR 20090000102 U KR20090000102 U KR 20090000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cover
business card
coupl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진
Original Assignee
박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진 filed Critical 박은진
Priority to KR2020070010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1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0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7/00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함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명함을 보관하는 수납부(10a)가 형성된 보관함(10)과, 그 보관함(10)의 수납부(10a)를 여닫을 수 있도록 보관함(10)의 일측에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명함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함(10)의 양 측면 후방에는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다수의 결함홈이 서로 연결된 가변결합홈(102)을 형성하며,
덮개(20)의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201) 내측면에는 결합돌부(202)를 형성하여, 그 결합돌부(202)를 상기 가변결합홈(102)에 끼워서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함으로써, 보관함에 닫힌 덮개의 높이 조절이 가능케 되어, 다량의 명함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 수납량이나 명함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전체 높이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덮개의 열린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써, 명함을 세워서 진열할 때 명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이점도 있다.
명함, 보관함, 덮개, 가변결합홈, 결합돌부

Description

명함 보관함{NAME CADE CUSTODY CASE}
본 고안은 명함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관함과 덮개가 결합하는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덮개가 열리는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하여 명함의 진열이 용이하게 하고, 보관함을 덮는 덮개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하여 보관함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명함 수납이 가능케 한 명함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 보관함은 인쇄된 명함을 일정량만큼 수납, 포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용도로서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명함 보관함은 단순히 보관함과 덮개를 갖춘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보관함 내부에 명함을 넣고 덮개를 덮은 후 덮개가 열리지 않도록 고무줄 등으로 묶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명함 보관함은 일일이 덮개를 고무줄로 묶어서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고무줄로 묶어주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명함의 재질과 두께 및 인쇄 기법이 다양해지면서 동일한 장 수의 명함이라 하더라도 명함의 전체 높이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하게 제작된 명함 보관함에 명함을 넣어서 포장하게 되면, 두껍게 제작된 명함의 경우에는 명함 보관함 내부에 명함이 완전히 수납되지 못하고 명함이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노출된 명함이 보관함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식당이나 숙박시설 등에서 손님이 다시 찾아줄 것을 기대하며 계산대 등에 명함을 진열해놓고 손님이 편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이처럼 명함을 진열할 때는 별도의 진열함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명함 보관함에 명함을 담긴 상태에서 덮개만 열어놓고 진열해 두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명함 보관함에 명함이 담긴 상태 그대로 명함을 계산대 등에 진열하게 되면, 손님이 명함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일이 고개를 숙여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함 내부에 수납된 명함을 꺼내기도 불편하기 때문에 명함을 세워서 진열하는 경우도 있는데, 종래의 명함 보관함에 명함 을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명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워둔 명함이 쉽게 쓰러지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명함을 보관하는 수납부(10a)가 형성된 보관함(10)과, 그 보관함(10)의 수납부(10a)를 여닫을 수 있도록 보관함(10)의 일측에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명함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함(10)의 양 측면 후방에는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다수의 결함홈이 서로 연결된 가변결합홈(102)을 형성하며,
덮개(20)의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201) 내측면에는 결합돌부(202)를 형성하여, 그 결합돌부(202)를 상기 가변결합홈(102)에 끼워서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변결합홈(102)은 원형의 결합홈(102a,102b)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결합홈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102c)를 결합홈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관함(10)의 전면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103, 10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덮개(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3)가 상기 걸림홈(103, 103')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보관함(10)은 수납부(10a) 바닥면에 수납부(10a)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돌부(104)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돌부(104')는 그 주변에 절개부(104a)를 형성하여 받침돌부(104') 일측이 보관함(10)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상하로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케 한 구성이다.
본 고안은 명함 보관함의 덮개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보관함에 닫힌 덮개의 높이 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써, 다량의 명함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 수납량이나 명함의 두께 변화에 따른 전체 높이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덮개의 열린 각도 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써, 명함을 세워서 진열할 때, 명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이점도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함(10)에 덮개(2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덮개(20)가 열린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 예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 예시도로서, 도면과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보관함(10)과 덮개(20)로 구성되어, 덮개(20)가 보관함(10)을 여닫을 수 있도록 보관함(10) 일측에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다.
이러한 덮개(20)의 회동 구조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보관함(10)의 양 측면 후방에는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그 내면에 결함홈(102a,102b)이 서로 연결된 가변결합홈(1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변결합홈(102)은 원형으로 형성된 상부결합홈(102a)과 하부결합홈(102b)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결합홈(102a,102b)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102c)를 결합홈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덮개(20)의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201)의 내측면에는 결합돌부(202)를 형성하여, 그 결합돌부(202)를 상기 보관함(10) 양 측면에 형성된 가변결합홈(102)에 억지 끼움으로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결합돌부(202)를 축으로 하여 덮개(20)의 회동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가변결합홈(102)의 상부결합홈(102a)와 하부결합홈(102b)간의 이동이 가능케 된다.
그리하여 덮개(20)가 회동 가능케 결합된 보관함(10) 내부에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다수의 명함(N)을 수납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포장, 배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덮개(20)를 열고, 명함을 세워서 진열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덮개(20)의 결합부(201)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02)가 가변결합홈(102)의 하부결합홈(102b)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20)를 개방하면, 덮개(20)가 결합돌부(202)를 축으로 회전하다가 덮개(20)의 결합부(201) 가 보관함(10)의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101)에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명함이 보관함(10)의 바닥면과 덮개(20)의 내면간에 걸쳐지도록 기울여서 세워 놓으면, 보관함(10)의 바닥면에 수납부(10a)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돌부(104)에 기울여 세워놓은 명함의 하단부가 걸리면서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명함이 적당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눈으로 식별하기 용이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7은 덮개(20)가 개방된 각도를 더 크게 한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덮개(20)의 결합부(201)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02)가 가변결합홈(102)의 상부결합홈(102a)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20)를 개방하면, 결합돌부(202)가 가변결합홈(102)의 하부결합홈(102b)에 결합된 상태에 비해서 더 큰 개방 각도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명함을 기울여서 세울 때 명함이 기울어진 각도를 좀더 눕힐 수 있기 때문에 보관함(10)에 위치나, 사용자의 시야에 따라서 보관함(10)에 결합되는 덮개(20)의 결합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첨부도면 도 8과 같이 덮개(20)의 결합부(201)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02)가 가변결합홈(102)의 상부결합홈(102a)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20)를 닫으면 보관함(10)의 전면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103, 103') 중 상부에 형성된 걸림홈(103')에 덮개(20)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3)가 끼워져 고정되기 때 문에 보관함(10)의 바닥면에서 덮개(20)의 천장면까지의 높이가 결합돌부(202)를 가변결합홈(102)의 하부결합홈(102b)에 결합한 상태일 때보다 더 높아진 상태로 닫히게 된다.
따라서, 명함의 두께가 두껍거나, 많은 양의 명함을 보관함(10) 내부에 수납할 때, 수납된 명함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덮개(20)가 보관함(10)에 안정적으로 닫히기 때문에 보관함(10) 내부에 수납된 명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함(10)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보관함(10)의 수납부(10a) 바닥면에 형성되는 받침돌부(104')는 그 주변에 절개부(104a)를 형성하여 받침돌부(104') 일측이 보관함(10)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상하로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케 함으로서, 보관함(10)의 수납부(10a)에 다량의 명함을 수납하면 수납된 명함의 무게에 의해 받침돌부(104')가 아래로 가압되면서 받침돌부(104')의 상단부가 수납부(10a)의 바닥면과 수평이 되게 하여 수납된 명함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명함들이 받침돌부(10')에 눌려서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눌린 자국으로 인해 사용이 어려워 명함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가장 바람직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 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며, 가변결합홈(102)을 구성하는 결합홈의 숫자나 보관함(10) 전면에 형성된 걸림홈(103,103')은 필요에 따라서 그 숫자를 증가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관함에 덮개가 덮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덮개를 세운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관함 내부에 명함이 수납된 상태의 측면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덮개를 열고, 명함을 세워서 진열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덮개를 또 다른 각도로 열어서 명함을 진열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덮개가 들어 올려져 닫힌 상태의 측면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보관함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관함 10a: 수납부
101: 걸림턱 102: 가변결합홈
102a: 상부결합홈 102b: 하부결합홈
102c: 연결통로 103, 103': 걸림홈
104, 104': 받침돌부 104a: 절개부
20: 덮개 201: 결합부
202: 결합돌부 203: 걸림돌기

Claims (5)

  1. 명함을 보관하는 수납부(10a)가 형성된 보관함(10)과, 그 보관함(10)의 수납부(10a)를 여닫을 수 있도록 보관함(10)의 일측에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명함 보관함에 있어서,
    보관함(10)의 양 측면 후방에는 걸림턱(101)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다수의 결함홈이 서로 연결된 가변결합홈(102)을 형성하며,
    덮개(20)의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201) 내측면에는 결합돌부(202)를 형성하여, 그 결합돌부(202)를 상기 가변결합홈(102)에 끼워서 덮개(20)를 회동 가능케 결합한 구성으로 된 명함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변결합홈(102)은 원형의 결합홈(102a,102b)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결합홈간을 연결하는 연결통로(102c)를 결합홈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한 것을 포함하는 명함 보관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관함(10)의 전면에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103, 103')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덮개(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3)가 상기 걸림홈(103, 103')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한 것을 포함하는 명함 보관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관함(10)은 수납부(10a) 바닥면에 수납부(10a)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받침돌부(104)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명함 보관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받침돌부(104')는 그 주변에 절개부(104a)를 형성하여 받침돌부(104') 일측이 보관함(10)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상하로 탄력적인 움직임이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보관함.
KR2020070010855U 2007-07-02 2007-07-02 명함 보관함 KR200900001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55U KR20090000102U (ko) 2007-07-02 2007-07-02 명함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55U KR20090000102U (ko) 2007-07-02 2007-07-02 명함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02U true KR20090000102U (ko) 2009-01-07

Family

ID=4127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55U KR20090000102U (ko) 2007-07-02 2007-07-02 명함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10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485B2 (en) Display and storage container
USD571654S1 (en) Hinged cookie container
US20040035748A1 (en) Tool case with cover member support
US20080309036A1 (en) Device in a Shopping Basket with Wheels
ES2390811T3 (es) Sistema de exhibición de productos minoristas con un cajón equipado con un localizador de muestra móvil frontal
KR100874105B1 (ko) 와인 병 포장박스
US6578732B1 (en) Chewing gum stick dispenser
US6494316B1 (en) Article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JPH03500281A (ja) ヒンジ止めされたカバーを有する食品容器
US20060108300A1 (en) Hand tool rack
KR20090000102U (ko) 명함 보관함
KR20090036382A (ko) 휴대용 배너 스탠드
AU2006315085A1 (en) Dispenser for elongate objects
US6817581B1 (en) Bag hanging and storage device
WO2013106751A1 (en) Supply pod dispens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206955B2 (en) Upright standing travel soap dish
US20170088329A1 (en) Personal container for food item storage and distribution
US6619482B1 (en) Medicine caddy
US20150098185A1 (en) Foldable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KR101757152B1 (ko) 전시 기능을 갖는 포장용 상자
US20040232040A1 (en) Storage and display container and methods
US20040130245A1 (en) Bathroom items dispenser
JP3583316B2 (ja) バスケット
KR200383884Y1 (ko) 물품 수납구
US20050109718A1 (en) Poster display an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