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020U - 샌드웨지 클럽헤드 - Google Patents

샌드웨지 클럽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020U
KR20090000020U KR2020070010599U KR20070010599U KR20090000020U KR 20090000020 U KR20090000020 U KR 20090000020U KR 2020070010599 U KR2020070010599 U KR 2020070010599U KR 20070010599 U KR20070010599 U KR 20070010599U KR 20090000020 U KR20090000020 U KR 20090000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head
club
slits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훈
Original Assignee
문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훈 filed Critical 문성훈
Priority to KR2020070010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020U/ko
Publication of KR20090000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63B2053/0479Wedge-type club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벙커샷 동작시 사용하는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공이 위치한 바닥의 모래를 쳐낼 때에 모래에 의한 타격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에 슬릿이 형성된 경우의 문제점인 중량감 저하와 안정감 저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또한 그린엣지에서 샌드웨지로 어프로치 샷을 할 경우 잔디에 상기 웨이트부의 슬릿이 걸려 얽혀서 전혀 어프로치 샷을 할 수 없는 문제점까지 해결한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 상면에 타격이 이루어지는 면인 클럽페이스 면이 형성되어 있고, 클럽페이스에서 헤드 앞쪽 부분으로 하면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구조의 웨이트부가 형성된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있어서, 상기 클럽페이스에서 웨이트부의 뒤쪽 부분에 샷 타격 동작시 모래를 포함한 이물질이 통과되면서 타격 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다수의 슬릿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프, 샌드웨지, 클럽, 헤드, 슬릿, 저항 감소, 안정감 향상

Description

샌드웨지 클럽헤드{Sand Wedge Club-Head}
도 1은 종래의 샌드웨지 클럽헤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샌드웨지 클럽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럽헤드에 의한 벙커샷 타격 동작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11 : 클럽페이스
12 : 마찰홈 13 : 웨이트부
15 : 홈부 16 : 슬릿
본 고안은 벙커샷 동작시 사용하는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장에서 모래벙커 또는 풀속 등의 장애물인 해저드에 빠진 골프공을 골퍼가 손쉽고 간편하게 쳐낼 수 있도록 사용하는 샌드웨지 골프클럽의 헤드 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골프인구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최근 들어서는 국내에서도 골프인구 수가 크게 급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 프로골퍼들이 외국의 크고 작은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내어 엄청난 상금과 유명도에 따른 광고수입 등 상업적인 측면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골프가 축구, 농구, 배구 및 기타 운동과는 달리 신체적인 조건에 크게 제약됨 없이 즐길 수 있는 운동이고 특히 각자 자기단독의 책임하에 행해지는 운동이므로 더욱 흥미를 느끼게 한다는 점이 주된 이유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골프는 운동량 및 경기과정이 과격하지 않아 남녀노소 등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사교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골프인구의 급증 추세에 맞추어 각종 골프용품 및 골프에 관련된 운동구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다양한 업체들에서 신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특히, 각 제조업체들은 골프용품에 관한 한 비거리가 길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제품에 경쟁적으로 관심을 쏟고 있으며, 드라이브 또는 아이언 헤드를 구성하는 금속재의 재질 및 구조를 비롯하여 금속재 또는 프라스틱재의 샤프트는 물론 골프공에 이르기까지 기능이 우수한 제품개발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골프경기는 18개의 코스를 돌면서 적은 타수를 기록하는 골퍼가 이기는 경기로, 18홀을 다도는 것을 라운드라고 하며, 골퍼는 경기 진행상황에 따라 우드, 아이언, 드라이버, 퍼터, 웨지 등의 골프클럽을 선택하여 사용 한다.
최근 각 골프장들이 골퍼들에게 코스마다 난이도를 어렵게 하기 위하여 해저드인 모래벙커, 바다, 연못, 개울, 긴 풀숲을 만들어 놓고 있기 때문에, 골퍼들이 라운드 도중에 스윙한 골프공이 해저드에 빠지는 경우에는 해저드에서 골프공을 그린 위로 올리는데 샌드웨지(Sand Wedge)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골프에서는 골퍼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우드, 아이언, 드라이버, 퍼터, 웨지 등의 다양한 골프클럽을 사용하며, 우드는 보다 멀리 골프공을 보내는 것이 주목적인 클럽으로 통상 1번 드라이버부터 7번 페어웨이 우드까지 흔히 사용되고, 아이언의 경우는 드물게 1, 2번 아이언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통상 3번 아이언부터 9번 아이언까지, 웨지의 경우는 피칭웨지, 어프로치웨지, 샌드웨지 등이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 중에서 샌드웨지는 벙커샷 동작시에 사용하는 골프클럽으로, 가장 로프트가 큰 아이언 클럽이며, 벙커에서의 샷과 피칭에 사용된다.
상기 샌드웨지는 벙커샷용으로 고안된 클럽이므로 헤드 형상이 해저드에 빠진 골프공을 골퍼가 손쉽고 간편하게 쳐낼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샌드웨지 클럽헤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상적인 샌드웨지의 헤드(10)는 모래벙커, 풀속 등 장애물에 빠진 공을 쳐낼 때 헤드가 지면을 긁어 올리면서 쳐낼 수 있도록 대체로 낮은 각도의 클럽페이스(11)를 가져 클럽페이스 면이 뒤로 누워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샌드웨지의 헤드(10)는 클럽헤드 중에 제일 무겁고 넓적하며, 앞쪽 바 닥이 불룩한 형상을 가지는데, 헤드 앞쪽 바닥에 웨이트부(13)를 형성하여 헤드 앞쪽 하면이 아래로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는 구조이므로, 샷을 할 때 웨이트부(13)의 불룩한 하면으로 골프공 밑 모래를 치게 되면 골프공은 위로 솟아오르고 모래는 옆으로 튀어 흩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샌드웨지의 사용시에 골프공이 위치한 바닥의 모래를 쳐내야 골프공이 위로 솟구치면서 탈출할 수 있고, 이때 헤드 앞쪽의 불룩한 웨이트부(13)가 지면을 긁어 올리면서 쳐내도록 해야하는 바, 바닥의 모래를 쳐내어 골프공이 바닥의 모래와 함께 탈출을 시도해야 하므로, 타격시 모래 저항을 극복해야 하고, 이에 정교한 스윙과 타구점이 보장되어야만 탈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모래나 풀 등이 헤드의 클럽페이스 면에 부딪치면서 이물질이 앞으로 나아가 골프채와 공 사이에 끼어 공이 멀리 나아가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초보자인 경우에는 쉽게 벙커에서 나오지 못하여 여러 번의 스윙을 해야 하고, 이로 인해 스코어가 나빠져 골퍼에게 골프경기의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헤드(10)의 웨이트부(13)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여 각 슬릿을 통해 이물질이 빠져나가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샌드웨지의 경우 그 사용 목적상 모래를 튕기면서 골프공을 쳐내야 하므로 헤드 앞쪽에 웨이트부(13)를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때 웨이트부에 어느 정도의 중량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나, 만약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13)에 슬릿이 형성된 경우에는 중량감이 크게 줄게 된다.
즉, 두껍고 불룩한 웨이트부(13)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중량감 이 크게 줄고 모래를 튕김이 약해 안정감이 없어지며, 이는 벙커 탈출의 주된 실패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헤드(10) 앞쪽에 슬릿이 있는 경우에는 웨이트부의 중량 저하와 모래를 튕기는 부분의 감소로 벙커 샷 시에 헤드가 볼 위로 뜨거나 또는 모래에 박힐 우려가 있으며, 특히 타격하는 방향으로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슬릿들에 이물질 등이 끼게 되므로 그린 주변에서 샌드웨지로 어프로치 샷을 할 경우 잔디에 슬릿이 걸려 얽혀서 볼을 띠울 수가 없는 등 페어웨이나 그린 주변에서의 사용은 불가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골프공이 위치한 바닥의 모래를 쳐낼 때에 모래에 의한 타격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에 슬릿이 형성된 경우의 문제점인 중량감 저하와 안정감 저하의 문제점과 그린 주변에서 어프로치 샷이 불가능한 문제점 등을 해결한 샌드웨지 클럽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헤드(10) 상면에 타격이 이루어지는 면인 클럽페이스 면이 형성되어 있고, 클럽페이스(11)에서 헤드 앞쪽 부분으 로 하면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구조의 웨이트부(13)가 형성된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있어서,
상기 클럽페이스(11)에서 웨이트부(13)의 뒤쪽 부분에 샷 타격 동작시 모래를 포함한 이물질이 통과되면서 타격 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다수의 슬릿(16)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16)들은 상기 클럽페이스(11)에서 웨이트부(13)의 뒤쪽으로 오목한 홈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판상 구조 부분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벙커샷 동작시에 사용하는 샌드웨지의 클럽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골프공이 위치한 바닥의 모래를 쳐낼 때에 모래에 의한 타격 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동시에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에 슬릿이 형성된 경우의 문제점인 중량감 저하와 안정감 저하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개선한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샌드웨지 클럽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럽헤드에 의한 벙커샷 타격 동작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9는 헤드넥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12는 골프공(1)과의 마찰 증대를 위해 클럽페이스 면에 형성한 마찰홈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샌드웨지 클럽헤드(10)는,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에 다수의 슬릿들이 형성된 종래의 클럽헤드와 달리, 헤드(10)의 클럽페이스 부분에서 웨이트부(13)의 뒤쪽 부분에 다수의 슬릿(16)들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시한 예의 클럽헤드(10)는, 상면이 골프공이나 바닥 모래를 타격하는 부분인 평평한 클럽페이스 면으로 되어 있고, 모래벙커, 풀속 등 장애물에 빠진 공을 쳐낼 때 헤드가 지면을 긁어 올리면서 쳐낼 수 있도록 대체로 낮은 각도의 클럽페이스(11)를 가지는 바, 클럽페이스 면이 뒤로 누워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10) 앞쪽의 바닥이 불룩한 형상을 가지는데, 헤드 앞쪽에 해당하는 클럽페이스 부분에는 하면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구조의 웨이트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럽페이스(11)에서 상기 웨이트부(13)의 뒤쪽 부분은 하면에서 볼 때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홈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웨이트부(13) 뒤쪽의 클럽페이스 부분은 하면에 형성된 홈부(15)에 의해 대략 일정한 두께의 판상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웨이트부(13) 뒤쪽의 판상 구조 부분에 종방향의 슬릿(16)들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이렇게 다수의 슬릿(16)들이 웨이트부(13) 뒤쪽의 클럽페이스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헤드 뒤쪽 부분은 빗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샌드웨지 클럽헤드(10)에서는, 하면에 홈부(15)가 형성 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판상 구조의 웨이트부(13) 뒤쪽 부분에 다수의 슬릿(16)들을 형성하여, 벙커샷 타격 동작시에 모래의 저항을 줄이면서 충분한 중량감 및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샌드웨지를 이용하여 샷을 할 때 골프공을 모래벙커 등 해저드로부터 탈출시키기 위해서 웨이트부(13)의 불룩한 하면으로 골프공(1) 바닥의 모래를 쳐주어야 하는데, 이때 골프공이 일부 모래와 함께 클럽페이스 면에 의해 타격되면서 위로 솟구치고, 이에 골프공이 해저드로부터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헤드(10) 앞쪽 부분인 웨이트부(13)가 골프공(1)이 위치한 바닥의 모래를 1차적으로 타격하게 되지만, 웨이트부(13) 영역의 클럽페이스 면을 타고 이동한 모래가 웨이트부 뒤쪽의 클럽페이스 면을 통과하며, 또한 일부 모래는 웨이트부(13) 접촉 없이 웨이트부 뒤쪽의 클럽페이스 부분에 의해 직접 타격되어진다.
여기서, 웨이트부(13) 뒤쪽의 클럽페이스 부분에 부딪치는 모래는 헤드(10) 뒤쪽에 형성된 슬릿(16)들을 통과하여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데, 모래가 슬릿(16)을 통과하게 되면서 클럽페이스 면이 타격방향으로 모래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모래 저항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샌드웨지 클럽헤드(10)는 모래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고안된 것이면서도, 특히 슬릿(16)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헤드(10) 뒤쪽 부분에 형성되어 헤드 앞쪽의 웨이트부에 형성된 종래의 클럽헤드와 비교할 때 중량감 및 안정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더욱 안정적인 샷 동작이 가능하여 벙커 탈출의 실패 확률이 크게 줄게 된다.
또한 헤드(10)의 앞쪽 부분에 슬릿(14)이 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헤드가 모래에 박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본 고안은 타격방향을 기준으로 뒤쪽 부분에 슬릿(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릿이 타격방향의 정면 쪽에 형성된 경우의 이물질 끼임 문제가 해결되는 바, 그린에서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의하면, 클럽페이스에 모래나 이물질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릿들이 형성됨으로써 타격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쉽고 정확한 샷이 가능해진다.
특히,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웨이트부 뒤쪽의 클럽페이스 부분에 다수의 슬릿들이 형성되므로, 저항 최소화의 효과와 동시에 중량감 및 안정감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안정적인 샷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벙커 탈출의 실패 확률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 앞쪽에 슬릿이 있는 경우와 비교할 때 헤드가 모래에 박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타격방향을 기준으로 뒤쪽 부분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릿이 타격방향의 정면 쪽에 형성된 경우의 이물질 끼임 문제가 해결되는 바, 그린에서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Claims (2)

  1. 헤드(10) 상면에 타격이 이루어지는 면인 클럽페이스 면이 형성되어 있고, 클럽페이스(11)에서 헤드 앞쪽 부분으로 하면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구조의 웨이트부(13)가 형성된 샌드웨지 클럽헤드에 있어서,
    상기 클럽페이스(11)에서 웨이트부(13)의 뒤쪽 부분에 샷 타격 동작시 모래를 포함한 이물질이 통과되면서 타격 저항을 줄여줄 수 있는 다수의 슬릿(16)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웨지 클럽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16)들은 상기 클럽페이스(11)에서 웨이트부(13)의 뒤쪽으로 오목한 홈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판상 구조 부분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웨지 클럽헤드.
KR2020070010599U 2007-06-28 2007-06-28 샌드웨지 클럽헤드 KR200900000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99U KR20090000020U (ko) 2007-06-28 2007-06-28 샌드웨지 클럽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599U KR20090000020U (ko) 2007-06-28 2007-06-28 샌드웨지 클럽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0U true KR20090000020U (ko) 2009-01-07

Family

ID=4127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599U KR20090000020U (ko) 2007-06-28 2007-06-28 샌드웨지 클럽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02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93B1 (ko) * 2012-04-30 2014-02-03 주식회사 위드조이 샌드웨지 클럽헤드
KR20200098077A (ko) * 2019-02-11 2020-08-20 이동현 골프채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193B1 (ko) * 2012-04-30 2014-02-03 주식회사 위드조이 샌드웨지 클럽헤드
KR20200098077A (ko) * 2019-02-11 2020-08-20 이동현 골프채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9310B1 (en) Wood-type golf club heads provided with vertical grooves on hitting surface
US9539484B2 (en) Golf swing ball impact teaching tool
US20150057097A1 (en) Utility iron
US20120115628A1 (en) Golf club
US7614961B2 (en) Golf putting teaching device and method
US6641491B1 (en) Golf sand wedge head
US7066830B2 (en) Golf club with improved head
US20140221123A1 (en) Golf club apparatus and method
KR100699768B1 (ko) 퍼터
JP3158069B2 (ja) アイアンヘッド
KR20090000020U (ko) 샌드웨지 클럽헤드
KR200423011Y1 (ko) 골프 퍼터의 헤드
US20020065143A1 (en) Golf club head with multiple dimpled face
US20200246669A1 (en) Golf tee
KR20220034614A (ko) 골프 연습용 퍼터
US7766758B2 (en) Golf training device
JP2020156857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20110244980A1 (en) True line putter
KR102250134B1 (ko) 뒤땅 방지를 위한 골프스윙 연습용 골프채
US20160243418A1 (en) Golf game
US20210252346A1 (en) Perimeter Bounce Wedge
GB2381756A (en) A golf putter
JP2023534499A (ja) 改良されたソール形状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
JP3199093U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0418207Y1 (ko) 골프 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