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931A -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cre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931A
KR20080113931A KR1020070062972A KR20070062972A KR20080113931A KR 20080113931 A KR20080113931 A KR 20080113931A KR 1020070062972 A KR1020070062972 A KR 1020070062972A KR 20070062972 A KR20070062972 A KR 20070062972A KR 20080113931 A KR20080113931 A KR 20080113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crete
guide
receiving unit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4557B1 (en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김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102007006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557B1/en
Publication of KR20080113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A concrete transfer apparatus is provided to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by transferring concrete to an ultra-high-rise or high building and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for administration, to restrain a change in the property of concrete while transferring concrete, to reduce the danger of freezing or creeping concrete by the conditions of the outside air such as temperature, to exclude the danger of scattering concrete to the surroundings by damaging a conveying pipe, to clean easily and to have no concern about the blocking of a conveying pipe. A concrete transfer apparatus comprises a housing unit(100) having an outer side formed continuously and an opening and shutting module and a transverse membrane to house concrete inward, a guide unit(200) transferring the housing unit upward and downward, and a driving unit(300) supplying driving force to the guide unit.

Description

콘크리트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CRETE}Concrete transport device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CRET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Ⅰ부분을 상부 방향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part I of FIG. 1 in an upward direction.

도 3은 도 2의 Ⅳ-Ⅳ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Ⅴ-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도 5는 도 1의 Ⅱ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tion II of FIG. 1.

도 6은 도 1의 Ⅱ 부분을 나타낸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FIG.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transport device illustrating part II of FIG. 1. FIG.

도 7은 도 1의 Ⅲ 부분을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tion III of FIG. 1.

도 8은 도 1의 Ⅲ 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rtical cross section of part III of FIG. 1.

도 9은 도 1의 Ⅱ 부분을 변형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dified part II of FIG. 1.

도 10는 도 1의 Ⅱ 부분을 변형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FIG.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part II of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수용유닛 110: 돌기부100: receiving unit 110: protrusion

130: 횡단막 135: 구획부재130: transmembrane 135: partition member

150: 개폐모듈 200: 가이드 유닛150: opening and closing module 200: guide unit

210: 레일부 220: 통로부210: rail portion 220: passage portion

225: 수용부 230: 안내홈225: receiving portion 230: guide groove

300: 구동유닛 400: 콘크리트 공급장치300: drive unit 400: concrete supply device

450: 시공장소 500: 세척유닛450: factory 500: washing unit

600: 배출유닛600: discharge uni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측면이 연속 형성되되 그 일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모듈 및 횡단막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을 상하로 이송하는 가이드 유닛 및 상기 가이드 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초고층 건물이나 고도가 높은 시공 장소까지 콘크리트를 상하로 이송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a transmembrane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is formed continuously, and transports the accommodation unit and the accommodation unit to accommodate the concrete therein up and down It includes a guide unit and a drive unit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guide unit relates to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concrete up and down to a high-rise building or high construction site.

현재 세계에서 가장 높은 초고층 빌딩은 대만에 위치한 타이페이 101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그 높이는 509 미터에 이른다. 한국은 용산에 620 미터 높이의 건물을 신축할 예정이며, 러시아에서는 1001 미터의 건물이 수립되어 있는 예를 찾아볼 수도 있으며, 현재 선진국뿐 아니라 두바이와 같은 중동 지역, 남미지역까지 초고층 빌딩의 건설 붐이 일고 있다.Currently, the tallest skyscraper in the world is known as Taipei 101, located in Taiwan, and its height reaches 509 meters. Korea will build a 620-meter-high building in Yongsan, and you can find an example of a 1001-meter building in Russia, and the construction boom of skyscrapers not only in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in the Middle East and South America, such as Dubai. This is happening.

이러한 초고층 빌딩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고층까지 운반할 수 있 는 장치가 필수적이며, 그 동력원으로 펌프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초고층용 펌프의 경우는 일반적인 펌프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특수한 초고압의 콘크리트 펌프를 사용하여야 한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 high-rise building, a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concrete to a high floor is essential, and the use of a pump as a power source can be considered. However, in the case of a high-rise pump, a general pump cannot be used, so a special ultra-high pressure concrete pump must be used.

하지만, 이러한 초고압 콘크리트 펌프의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However, these ultrahigh pressure concrete pumps cause many problems.

첫째, 콘크리트를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pipe)의 길이가 몇 백 미터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파이프를 통하여 이송하기 위해서는 압송 압력이 매우 커야만 한다. 한꺼번에 몇 백 미터를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몇 단계로 나눠서 이송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각 단계별로 펌프의 설치 및 작업 인원이 증가되어 건설비가 상승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First, the length of the pipe for transporting concrete should be more than a few hundred meters, and the conveying pressure must be very large in order to transport through this pipe. Instead of transferring a few hundred meters at a time, it is possible to think of how to transfer in several steps, but this increases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number of workers in each step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둘째, 파이프를 이송하는 중간에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하여 원하는 콘크리트의 성능을 확보하기가 힘들어서, 건물의 품질 관리면에서 불리하다. 이러한 문제는 한꺼번에 콘크리트를 이송하든, 아니면 몇 단계로 나눠서 이송하든 모두 발생하는 문제이다.Seco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red concrete performance due to the change in the properties of concrete in the middle of conveying pipes,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quality control of buildings. This problem is a problem that occurs whether you transfer concrete at once or transfer it in several stages.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하는 콘크리트의 성질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기 전에 이송 중의 품질 변화를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배합 등의 품질을 설계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외기 조건이 수시로 변화하고, 그 설계가 복잡함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해결 방안은 아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properties of concrete, there is a method of designing the quality of concrete, etc.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change during transport before being transported through the pipe, but the outdoor conditions change frequently, and the design is complicated. This is not a desirable solution.

셋째, 매우 긴 이송 파이프가 외부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외부 기온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파이프를 통해 장거리를 이동하게 되면, 동절기에는 동결의 위험성이 존재하며, 하절기에는 위결의 위험성이 크 다.Third, the very long transfer pipe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properties of the concrete change by the external temperature. In other words, if a long distance is moved through the pipe, there is a risk of freezing in winter, and a high risk of breach in summer.

넷째, 초고압 펌프를 이용하여 초고층 꼭대기까지 콘크리트를 운반하려고 하면, 그 압송 압력이 매우 높게 되므로, 파이프, 특히 연결부에서 압송 압력에 의하여 터질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만약, 사고 시에는 주위에 콘크리트를 뿌리는 상태가 되므로, 그 인적, 물적 피해는 심각하다.Fourth, when attempting to transport concrete to the top of the super high-rise by using an ultra-high pressure pump, becaus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is very high, there is a risk of bursting by the pressure of the pipe, especially in the connection portion. In case of accident, concrete is sprayed around, so the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serious.

다섯째, 콘크리트를 모두 이송한 후에는 파이프 내부의 콘크리트를 제거하여야만 하는데, 길이가 긴 이송 파이프의 경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즉, 파이프 내부에 남은 콘크리트가 부분적으로 굳게 되면 파이프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청소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매우 긴 파이프의 잔존하는 콘크리트의 양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이송 파이프를 분해하여 청소한다 하더라도 이는 매우 번거롭고, 작업 인원의 증가 등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방식이다.Fifth,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oncrete inside the pipe after transporting all the concrete, a very difficult problem in the case of a long transport pipe. That is, if the concrete remaining inside the pipe is partially hardened, the blockage of the pipe occurs, so it must be cleaned. However, not only the amount of concrete remaining in very long pipes is very large, but even if the transport pipes are disassembled and cleaned, this is very cumbersome and expensiv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ers.

여섯째, 압송 압력이 매우 큰 초고압 펌프를 설계하여 제작하는 것은 매우 고가이며, 건설 공정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Sixth, it is very expensive to design and manufacture an ultra-high pressure pump having a very large pressure feeding pressure, which may be a factor in delaying the construction process.

이러한 많은 문제점은 점차 초고층으로 건설되는 작금의 상황에 비추어보면, 그 문제는 매우 심각하며, 그 해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시점이라고 하겠다.Many of these problems are in light of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gradually being built into high-rises, and the problem is very serious, and it is an urgent time to study the solu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초고층이나 고층 건물에서 콘크리트를 운반하기가 용이하며, 관리가 편리한 구조로 형성되어 건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crete transport device that is easy to transport concrete in a high-rise or high-rise building, and is formed of a structure that is easy to man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이송 중에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 을 최대로 자제시켜 건물의 품질 향상 및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change of the properties of concrete during concrete conveyance to the maximum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bui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 등 외기의 조건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동결되거나 위결될 위험성을 감소시킨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which reduces the risk of freezing or fracturing of concrete by conditions of outside air such as temper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 파이프 등의 파손 등으로 콘크리트가 주위로 비산하는 사고의 위험이 없는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that does not have a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concrete is scattered around by breakage of a conveying pipe or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가 용이하며, 이송 파이프 내부의 막힘 우려가 없는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clean and that there is no fear of clogging inside the conveying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요량의 콘크리트 압송 후 이를 압송해야 하는 파이프내의 콘크리트 처리문제가 없는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that does not have a problem of concrete treatment in a pipe to be fed after the required amount of concrete conveying.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콘크리트를 이송하기 위해 외측면이 연속 형성되되 그 일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모듈 및 횡단막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유닛과 상기 수용유닛을 상하 이송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transport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odule and a transmembrane in which the outer side is continuously formed to open and close part of the concrete to transfer concrete therein And a receiving unit accommodating concrete, a guide unit for vertically transferring the receiving unit, and 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guide unit.

여기서,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수용유닛의 상기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개폐부 및 상기 가이드 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가 수용되어 안내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guide unit, and includes a guide groove that is accommodated and guided.

또한, 상기 안내홈은 2개의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 사이가 이격되었다가 접촉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구간에서 상기 외측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is composed of two grooves, the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spaced apart and the contact is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is opened in the spaced interval.

그리고, 상기 횡단막은 일부가 복수의 폴딩(FOLDING) 가능한 부채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수용유닛이 이동되는 통로부 및 상기 수용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ransmembrane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of a plurality of foldable fan blades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guide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to allow passage of the accommodating unit to the inside. It is more preferable to include a rail portion coupled to the portion and the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통로부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유닛은 외면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이송되도록 구비된다.The guide unit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ssages. The accommodation unit may include a protrusion that protrudes to an out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may be coupled to the rail to be transferred.

여기서, 상기 수용유닛은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ceiving unit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unit.

그리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외부 환경과 달리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상기 수용유닛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unlike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guide unit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inside of the guide unit, the concrete transfer device is a washing unit for supplying the washing unit to the washing unit to wash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수용유닛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유닛을 진동시키는 쉐이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상기 수용유닛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를 쏟는 것을 보조하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shaker unit for vibrating the receiving unit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accommodating unit,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unit for assisting to spill the concrete contained in the accommodating unit Include.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수용유닛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고압펌 프, 상기 수용유닛이 진동하도록 충격을 가하는 진동부 또는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를 긁어 내는 스크래퍼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Here, the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high-pressure pump for injecting high-pressure air into the receiving unit, a vibration unit for applying a shock to vibrate the receiving unit or a scraper scrap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elements that can be treated identically in terms of configuration and function are almost the same and can be specifi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수용유닛(100), 가이드 유닛(200) 및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0, a guide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00.

상기 수용유닛(100)은 외면이 연속으로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부가 개폐되도록 구비되어, 콘크리트 공급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상부의 시공 장소(450)로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도록 구비된다.The receiving unit 100 is formed in a donut shape continuous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part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o accommodate the concrete supplied from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the construction site 450 of the upper It is provided to transport concrete.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각각의 상기 공급장치(400)에서 공급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의 차별화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Due to this, the amount of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quantity of the concrete supplied from each of the supply devices 400 is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the concrete to be.

예를 들면, 상기 수용유닛(100)이 이동하는 경로상에 첫 번째로 배치된 상기 공급장치(400)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하고, 중앙부위에 있는 두 번째 상기 공급장치(400)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하며, 마지막으로 배치된 상기 공급장치(400)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상기 공급장치(400)를 거치며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의 양에 따라 공급하는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일률적으로 상기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장치(400)를 세 개 배치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콘크리트의 양과 상기 수용유닛(100)의 이동속도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공급장치(400)의 개수 및 각각의 상기 콘크리트 공급량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ly device 400 dispos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accommodation unit 100 moves provid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the concrete, and the second supply device 400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 Suppli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he concrete, and in the amount of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00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pply device 400 in the last supply device 400 disposed The amount of concrete can be efficiently and uniform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suppli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oposed that the three supply devices 400 are arranged, but the number of the supply devices 400 and each of the concrete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cret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The supply can be changed freely.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통로부(220) 및 레일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부(220)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유닛(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이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구간과 대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unit 200 includes a passage portion 220 and a rail portion 210. The passage portion 220 is formed in a pipe shape having a hollow therein, and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the guide unit 200 is the accommodation unit ( It is preferred that 100)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for transporting the concrete.

상기 레일부(210)는 상기 수용유닛(100)을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체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이 하부에서 상부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rail unit 210 serves to transfer a driving force to move the accommodation unit 100, is provided in a chain shape, so that the accommodation unit 100 is mov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r from the top to the bottom do.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초고층의 건물 또는 고도가 높은 시공현장으로 콘크리트를 이송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를 위하여 수백 미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를 위하여, 수백 미터 길이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며, 모듈화된 상기 통로부(220)를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200)을 형성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또한, 저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Here, the guide unit 200 serves to transport concrete to a high-rise building or high construction site, for this purpose it is generally formed to a few hundred meters long, for this purpose, integrally several hundred meters long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form, and it is realistic to form the guide unit 200 by connecting the modular passage portion 220,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at low cost.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모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필요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굴절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유닛(30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굴절부마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200)에 하중을 더하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중량과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따라, 그 개수와 위치를 공학적 설계에 따라 배치되도록 구비된다.The drive unit 300 is provid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guide unit 200, and uses a commonly used motor. Here, since the guide unit 200 is refracted in various directions as necessary, the driving unit 300 is preferably disposed for each of the refraction portions of the guide unit 200, the load is applied to the guide unit 200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and the load of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uni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ngineering design.

일반적으로 상기 통로부(220)의 외곽에는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지지하도록 철골 구조의 지지 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유닛(200)이 상기 수용유닛(100)을 고층 건물 또는 상부의 시공 현장으로 안내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구동유닛(300)을 지지한다. 다만, 건축물의 구조와 상태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450)은 구조의 변경이 가능하다.In general, a support device (not shown) of a steel structure is provided outside the passage part 220 so as to support the guide unit 200, and the guide unit 200 moves the accommodation unit 100 to a high-rise building or Support to guide to the construction site at the top. In addition, the support device supports the drive unit 300. However, the support unit 450 may be changed in structure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state of the building.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로 상기 수용유닛(100)이 근접하는 방향에 세척유닛(5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세척유닛(5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한 수조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유닛(100)이 상기 세척유닛(500) 내부로 경유하도록 구비된다.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ashing unit 5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ccommodating unit 100 approaches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The washing unit 5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the receiving unit 100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washing unit 500.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세척유닛(500)은 상기 수용유닛(100)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세척유닛(500)에 수용된 물을 경유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에 잔류된 상기 콘크리트를 세척해 내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유 닛(5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한 수조형태로 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수용유닛(100)에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유닛(100)을 진동시키는 별도의 진동 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이 상기 세척유닛(50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유닛(100)에 충격을 가하여, 물로 세척되지 않는 콘크리트 또는 고형화된 콘크리트를 상기 수용유닛(100)에서 제거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속으로 물을 살수하는 변형 세척유닛(550, 도 7참조)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the washing unit 500 is via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washing unit 500 in a state where the receiving unit 100 is opened, and thus, the residue remaining in the receiving unit 100. It is equipped to wash concrete. Here, the washing unit 500 has been presented in the form of a water tank containing water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ashing unit 500 may be impacted or the receiving unit (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vibrating device (not shown) for vibrating 100, the shock receiving unit 100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leaning unit 500, the washing unit 500, it is not washed with water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concrete or solidified concrete from the receiving unit (100).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modified washing unit (550, see Fig. 7) to spray water at high spee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여기서, 도 2내지 4을 참조하여 상기 수용유닛(100)과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Ⅰ부분을 상부 방향에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Ⅳ-Ⅳ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Ⅴ-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2 to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mmodation unit 100 and the guide unit 200 will be described below.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part I of FIG. 1 in an upward direc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V-IV direction of FIG. 2, and FIG. 4 is a cut away along the V-V direction of FIG. 2. It is a cross sec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수용유닛(100), 가이드 유닛(200) 및 구동유닛(30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2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0, a guide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00. For reference, Figure 2 shows a part for receiving the concrete in the receiving unit (100).

상기 수용유닛(100)은 개폐모듈(150) 및 횡단막(130)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모듈(150)은 개폐부(151) 및 안내홈(23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내부 면에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151)를 수용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내홈(230)은 2개의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 사이가 이격되었다가 접촉 형성되어 상 기 이격된 구간에서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이 개방되도록 구비된다.The accommodation unit 10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and a transmembrane 130.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51 and a guide groove 230. The guide groove 23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unit 200, and accommodate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51, it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art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more detail, the guide groove 230 is composed of two grooves, the grooves are spaced between the grooves are formed in contact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the spaced apart section is provided to open. .

상기 개폐부(151)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230)에 수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과정에는 상기 개폐부(151)가 인접하여 차단부재(155)가 서로 맞물려 겹치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51 is formed to protrude in a pai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groove 230,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 151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so that the blocking members 15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overlap each other, thereby block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unit 100.

상기 안내홈(230)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 도 1참조)가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구간과 상기 콘크리트를 배출하는 상기 시공장소(450, 도 1참조)를 경유하는 구간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을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부(151)를 이격시키도록 구비된다.The guide groove 23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tion through which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see FIG. 1) supplies the concrete and the city plant 450 (see FIG. 1) through which the concrete is discharged. It is provided to space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51 to op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상기 횡단막(130)은 일부가 복수의 폴딩(FOLDING) 가능한 부채살 형상(131)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개폐모듈(15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횡단막(130)은 상기 부채살 형상(131)의 변형에 의해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공간을 지속적으로 구획한다.The transmembrane 130 is formed to form a plurality of folding fan shape 131, a portion of which is provided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The transmembrane 130 continuously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unit 100 by the deformation of the fan shape 131.

상기 통로부(220)의 내면에는 상기 레일부(210)의 진동 또는 이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수용부(225)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210)는 상기 통로부(220)의 내면을 경유하는 동안 상기 수용부(225)에 의해 진행방향이 결정된다.An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22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25 for limiting or guiding the vibration or movement of the rail portion 210, the rail portion 210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220 The direction of travel is determined by the receiving portion 225 during the passage.

상기 수용유닛(100)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110)는 상기 레일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210)의 이동과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안정된 이동을 위하여 양 측면에 돌기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0)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protrusions 110 formed on the accommodation unit 100 are coupled to the rails 210 to move up and down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ails 210 and protrusions on both sides for stable movement. 110 is formed. The description of the protrusion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concrete transport device as follows.

먼저,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 도 1참조)로부터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상기 수용유닛(100)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홈(230)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개폐모듈(150)에 의해 상기 수용 유닛(100)의 외측면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유닛(200)에 의해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하기가, 즉 담기가 용이하도록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하고, 상기 개폐부(150)에 의해 개방된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이 상부에 위치한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를 향하도록 안내된다.First, in order to receive the concrete from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see FIG. 1) for supplying concrete to accommodate the concrete with the accommodation unit 100, the guide groove 230 maintains a spaced state therefrom.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100 by the guide unit 200 to maintain the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accommodate the concrete, that is, easy to contain, and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50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s guided toward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located at the top.

다음,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한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개폐모듈(150)에 의해 상기 개방된 외측면을 폐쇄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20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다. Next, the accommodating unit 100 accommodating the concrete closes the open outer surface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and is moved upward by the guide unit 200.

다음,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한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을 따라 상부로 이송된다.Next, the accommodating unit 100 accommodating the concrete is transferred upward along the guide unit 200.

다음,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안내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게 되고, 상기 개폐모듈(150)에 의해 폐쇄되었던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외측면이 상기 시공 장소(450)를 향하도록 안내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시공장소(20)에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시공장소(450)는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별도의 수용부재 또는 실제 시공 현장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Next, the receiving unit 100 is to change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unit 200,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that was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is opened, the The open outer surface is guided toward the construction site 450 to discharge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to the factory 20. Here, the factory 45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separate receiving member for receiving the concrete or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다음,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을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세척유닛(500)의 내부를 경유하게 되고,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에 잔류된 상기 콘크리트를 세척한다.Next, the accommodating unit 100 is transported along the guide unit 200, via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500, and washes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accommodating unit 100.

다음,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을 따라 다시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작동이 완료된다. Next, the receiving unit 100 is moved along the guide unit 200 in the direction of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again, thereby completing the operation of the concrete transport device.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작동에서는 상기 수용유닛(100)이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안내에 따라, 1회만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속적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가 작동된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operation of the concrete conveying device, the accommodation unit 100 is presented to transport the concrete only once,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unit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and continuously transports the concret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is operated so as to operate.

도 5는 도 1의 Ⅱ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tion II of FIG. 1.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유닛(200)은 통로부(220) 및 레일부(21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유닛(100)은 횡단막(130) 및 돌기부(11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내지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unit 200 includes a passage part 220 and a rail part 210, and the receiving unit 100 includes a transverse membrane 130 and a protrusion 110. For referenc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llustrated in FIGS. 1 to 4 will not be repeated and will be omitted.

상기 횡단막(130)은 상기 수용유닛(100)에 상기 콘크리트가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200)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에 상기 콘크리트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transverse membrane 130 is provided to support the concrete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100 while the concret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and transported by the guide unit 200.

이를 위하여, 상기 횡단막(130)은 상기 횡단막(130)의 원심 부를 중심으로 상기 레일부(210) 방향, 즉 외측면 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기울도록 형성되어, 완만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o this end, the transverse membrane 13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portion 210, that is, the out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ifugal portion of the transmembrane 130, which is formed in a smooth cone shape It is also possible.

상기 돌기부(110)는 상기 레일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210)의 이동과 대응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안정된 이동을 위하여 구획된 상기 수용유닛(100)의 양 측면에 두 개씩 총 네 개의 돌기부(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부(110)가 두 쌍씩 네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레일부(210)에 결합되는 형태이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상기 레일부(2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부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otrusion part 110 is coupled to the rail part 210 to move up and down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ail part 210,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unit 100 partitioned for stable movement. Four projections 110 are formed in total.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our protrusions 110 are provided as two pai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s 110 may be coupled to the rails 210. The shape corresponding to 210 may be continuously formed over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ay be formed on each of both outer side surfaces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또한, 상기 돌기부(110)는 상기 레일부(210)에서 탈착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유닛(200)과 상기 수용유닛(100)의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여유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10 is formed in a form that is easily removable from the rail unit 210. In addition, the guide unit 20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00 are coupled to form a free spac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상기 수용유닛(100)는 상기 횡단막(130)을 중심으로 각각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모듈화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유닛(200)도 필요한 길이에 따라, 기 설정된 일정 길이마다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100 may be modularly form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membrane 13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guide unit 200 may also be preset according to a required length. Modularized to allow separation and coupling at certain lengths.

이러한 상기 모듈화된 구조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거리, 즉,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400, 도 1참조)에서 상기 시공장소(450, 도 1참조)까지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과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분리 및 결합함 으로써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비된다.According to the modular structure, the accommodation uni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tance to transfer the concrete,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concrete supply device (400, see FIG. 1) to the city plant (450, see FIG. 1), By separating and coupling the 100 and the guide unit 200 is installed to adjust the length, it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the concrete.

도 6은 도 1의 Ⅱ 부분을 나타낸 콘크리트 이송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FIG.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crete transport device illustrating part II of FIG. 1.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수용유닛(100), 가이드 유닛(200) 및 구동유닛(300, 도 1참조)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0, a guide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00 (see FIG. 1).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통로부(220), 레일부(210) 및 조절 유닛(25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유닛(100)은 횡단막(130) 및 개폐모듈(15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1내지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guide unit 200 includes a passage part 220, a rail part 210, and an adjustment unit 25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00 includes a transverse membrane 130 and an opening / closing module 150. For reference, descriptions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5 will be omitted.

상기 조절 유닛(250)은 상기 가이드 유닛(200)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외부 환경과 달리 조절하도록 송풍 장치로 구비된다. 상기 조절 유닛(250)은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200) 내부 및 상기 가이드 유닛(200)과 상기 수용유닛(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상대적으로 차거나 또는 뜨거운 바람을 유동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의 고형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유닛(100)에 상기 콘크리트가 수용된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 unit 250 is provided with a blowing device to adjus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guide unit 200 differently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control unit 250 is relatively cold or hot wind i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guide unit 200 and between the guide unit 200 and the accommodat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outside. It is provided to supply a fluid, it is provided to supply the wind in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order to prevent the solidification of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00). That is, in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rete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is provided to supply wind from the lower direction of the guide unit 200 to the upper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절 유닛(250)을 송풍 장치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콘크리트의 고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습기 를 공급하는 습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내면에 전열선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200) 내부의 습도 또는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50 is provided as a blow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moisture to prevent solidification of the concrete, or the guide unit (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heating wi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200 to adjust the humidity or temperature inside the guide unit 200.

도 7은 도 1의 Ⅲ부분을 변형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II of FIG. 1 modified.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공급장치는 배출유닛(600) 및 변형 세척유닛(5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crete supply device includes a discharge unit 600 and a deformation washing unit 550.

상기 배출유닛(600)은 진동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의 개방된 외측면과 반대 방향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상기 수용유닛(100)이 진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수용유닛(100)으로부터 상기 시공장소(450)로 배출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비된다.The discharge unit 600 is provided as a vibration device, provid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by applying a vibration to the receiving unit 100 the receiving unit As the 100 is vibrated, the concre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is provided to assist the discharge from the accommodation unit 100 to the city factory 45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출유닛(600)을 상기 수용유닛(100)을 진동시키도록 구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수용유닛(100)에 잔류된 상기 콘크리트를 긁어내도록 일정 이상의 강성을 지니되,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 스크래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600 is provided to vibrate the accommodation unit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or limited, for example, to scrape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accommodation unit 100. It may be provided with a scraper having a predetermined or more rigidity, and formed similar to the inner shape of the receiving unit.

상기 수용유닛(100)은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출유닛(600)은 상기 수용유닛(10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충격을 전달하지만, 상기 수용유닛(100)과의 마찰은 최소화하는 바퀴형태로 구비된다.Since the accommodating unit 100 moves continuously,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friction with the accommodating unit 100, the discharging unit 600 exerts an impact o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unit 100. Although transmitted, the friction with the receiving unit 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wheel to minimize.

상기 변형 세척유닛(550)은 도 1에 도시된 상기 세척유닛(500, 도 1참조)과 유사한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부에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수용유닛(100)이 상기 시공장소(450)에 상기 콘크리트를 배출하고 난 후 잔류된 상기 콘크리트를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변형세척유닛(550)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콘크리트를 수집하도록 상기 변형세척유닛(550)의 하부에 잔류 콘크리트 수집 장치(555)가 구비된다.The deformable washing unit 550 is provided to play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washing unit 500 (see FIG. 1) shown in FIG. 1, by injecting high pressure water into the accommodating unit 100. 100 is provided to remove the concrete remaining after discharging the concrete to the city factory 450. At this time, the residual concrete collecting device 555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formation washing unit 550 to collect the concrete falling down by the deformation washing unit 55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변형세척유닛(550)을 두 개 배치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변형세척유닛(55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변형세척유닛(550)을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비하여,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수용유닛(100) 내부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eformation washing unit 550 is disposed on the moving path of the accommodation unit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ree or more deformation washing units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550, o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100, the deformation washing unit 550 is provided to move at the same time, spray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receiving unit 1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o that.

도 8은 도 1의 Ⅲ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rtical cross section of part III of FIG. 1.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수용유닛(100), 가이드유닛(200) 및 구동유닛(300, 도 1참조)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0, a guide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00 (see FIG. 1).

상기 수용유닛(100)은 개폐모듈(150) 및 횡단막(13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모듈(150)은 개폐부(151) 및 안내홈(23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ccommodation unit 10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and a transmembrane 1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51 and a guide groove 230. For reference, a description of a similar or identical configuration to that shown in FIG. 2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횡단막(130)은 복수 개의 개폐부재(132)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132)는 부채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꼭지점에서 원호방향으로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제거된 부위부터 원호까지의 길이(r)는 상기 횡단막(130)이 원형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지름의 2/3 가량의 길이로 형성된다.Here, the transmembran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132.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an, i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is removed in the arc direction at the vertex. The length r from the removed portion of the fan shape to the arc is formed to a length of about 2/3 of the diameter formed when the transverse membrane 130 is maintained in a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개폐부재(132)의 외곽, 즉, 상기 수용유닛(100)의 내면과 결합되는 부위를 형성하는 원호의 길이(S)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수용유닛(100)의 원호의 대략 1/5의 길이로 형성되고, 원호를 이루는 일부가 겹쳐진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횡단막(130)은 7개의 상기 개폐부재(132)로 형성되지만, 상기 개폐부재(132) 크기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length (S) of the arc that forms the out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that is, the portion coupl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s approximately the arc of the receiving unit 100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It is formed to a length of 1/5, and a portion forming an arc is provided in an overlapped form. Accordingly, the transverse membrane 130 is formed of seven opening and closing members 132, but the size and numb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개폐부재(132)는 상기 수용유닛(100)이 원형으로 유지되는 경우(VII)에는 서로 교대로 겹쳐진 상태로 원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이 때, 상기 개폐부재(132)의 겹쳐지는 부분은 서로 중복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경우에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provided so as to form a circle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unit 100 in a circular shape (VII) alternately overlapping each other, where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By overlapping each other, when the concre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00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concrete.

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개폐부재(132)가 겹쳐진 형태로 구비되면, 상기 개폐부재(132)는 원형의 상기 횡단막(130)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유닛(100)은 하나의 밀폐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도록 구비된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provided in an overlapping form,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32 is formed of the circular transverse membrane 130, the receiving unit 100 is a single closed tube shape Is formed to be provided to transport the concrete.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길이방향 종단면은 원형의 지름을 이루는 일측이 타측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벌어진 형태로 사발모양의 단면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225)는 상기 벌어진 형태의 상기 가이드 유닛(200)의 타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개방되지 않은 상측에 인접하여 배치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longitudinal section of the guide unit 200 has one side forming a circular diameter is opened around the other side, the bowl-shaped cross-section is formed in the open shape, accordingly, the receiving portion 225 is the open By being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unit 200 of the form,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nopened upper side of the guide unit 200.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200)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230)은 벌어진 형태로 형 성된 상기 가이드유닛(200)의 양 측에 위치되되, 외부로 상대적으로 좀 더 벌어진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230 formed in the guide unit 20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unit 200 formed in the form of a gap, it is formed in a relatively wider form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유닛(200)을 경유하는 상기 수용유닛(100)는 상기 수용부(225)와 상기 안내홈(230)에 의해 원형의 형상이 아닌, 상기 가이드유닛(200)과 유사하게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된 부위가 도 2에 도시된 개방된 형상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유닛(100)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를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100 via the guide unit 200 has an inner surface similar to that of the guide unit 200, rather than a circular shape by the receiving part 225 and the guide groove 230. The open area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relatively wider than the open shape shown in Figure 2, in a form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concrete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100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 one side Is formed.

도 9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1의 Ⅱ 부분을 변형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Ⅱ부분을 변형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9 to 10, the concrete trans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part II of FIG. 1, and FIG. 10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part II of FIG. 1.

먼저, 도 9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수용유닛(100), 가이드유닛(200) 및 구동유닛(300, 도 1참조)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S. 9 to 10, the concrete transport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unit 100, a guide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00 (see FIG. 1). For reference, descriptions of components similar or identical to tho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상기 수용유닛(100)은 구획부재(135), 돌기부(110) 및 개폐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재(135)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유닛(100)에 상기 콘크리트가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수용유닛(100)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콘크리트가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수용유닛(100)을 둘러싼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횡단막(130, 도 2참조)을 구비한 것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구획부 재(135)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고, 상기 구획된 내부 공간에 상기 콘크리트를 수용하고, 이송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unit 100 includes a partition member 135, the projection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50. The partition member 135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unit 100, when the concre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00 is fixed in a state of applying pressu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100, In the state where the concrete is not accommodated is provided to maintain a circular state surrounding the receiving unit (100). 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unit 100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member 135 in a form similar to that having the transverse membrane 130 (refer to FIG. 2), and the concrete is disposed in the partitioned inner space. Can be received and transported.

즉, 상기 구획부재(135)는 상기 수용유닛(100)에 상기 콘크리트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서로 인접하여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하부로 상기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That is, the partition member 135 is provided so as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leaking to the bottom by being kept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concre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100.

여기서, 상기 구획부재(135)의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200)은 양 측부에 레일부(210), 통로부(220) 및 수용부(2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용유닛(100)은 상기 레일부(210)와 상기 개폐모듈(150)에 의지하여 상기 콘크리트를 이송하게 된다.Here, for the operation of the partition member 135, the guide unit 200 is provided to include a rail portion 210, a passage portion 220 and a receiving portion 225 on both sides, accordingly, The accommodation unit 100 transfers the concrete by relying on the rail unit 210 and the opening / closing module 150.

이 때, 상기 콘크리트를 보다 안전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구획부재(135)는 상기 레일부(210)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형태로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레일부(210) 방향으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이 편중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transport the concrete more safely, the partition member 135 is provided in a form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rail portion 210, the concrete relative to the rail portion 210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so that the load is biase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이나 고층 건물에서 콘크리트를 운반하기가 용이하며, 구조가 관리하기 용이하여 건설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transport concrete in a high-rise or high-rise building, the structure is easy to manag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콘크리트 이송 중에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최대로 자제시켜 건물의 품질 향상 및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hange of the properties of the concrete during the transfer of concrete to the maximum to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building.

또한, 온도 등 외기의 조건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동결되거나 물이 증발하여 위결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risk of concrete freezing or water evaporation by the conditions of the outside air, such as temperature.

또한, 고압관인 이송 파이프 등의 파손 등으로 콘크리트가 주위로 비산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시키는 사고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effect of the risk of accidents that cause the human and physical damage to the concrete scattered around by damage such as a transfer pipe, such as a high-pressure pipe.

또한, 청소가 용이하며, 이송 파이프 내부의 막힘 우려가 없다.In addition, it is easy to clean and there is no fear of clogging inside the transfer pipe.

또한, 소요량의 콘크리트 압송 후 이를 압송해야 하는 파이프내의 콘크리트 처리문제가 없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problem of concrete treatment in the pipe to be pressed after the required amount of concrete press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3)

외측면이 연속 형성되되 그 일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모듈 및 횡단막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수용유닛;A receiving unit accommodating the concrete therein, having an opening / closing module and a transmembrane, the outer surface of which is continuously formed and a part thereof is opened and closed; 상기 수용유닛을 상하 이송하는 가이드유닛; 및A guide unit for vertically conveying the receiving unit; And 상기 가이드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A driving unit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guide unit;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Concrete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모듈은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is 상기 수용유닛의 상기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개폐부; 및An ope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unit; And 상기 가이드 유닛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가 수용되어 안내되는 안내홈;A guide groove formed in the guide unit and guid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Concrete transport apparatus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안내홈은 2개의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홈 사이가 이격되었다가 접촉 형성되어 상기 이격된 구간에서 상기 외측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guide groove is composed of two grooves, the concrete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grooves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is opened in the spaced apart interv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횡단막은 일부가 복수의 폴딩(FOLDING) 가능한 부채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transmembrane is a portion of 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foldable (FOLDING) fan partitions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유닛은The guide unit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수용유닛이 이동되는 통로부; 및A passage portion formed in a pipe shape to move the accommodation unit therein; And 상기 수용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레일부;A rail unit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unit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Concrete transport apparatus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통로부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guide unit is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ssage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수용유닛은 외면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accommodating unit is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outer surface, the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rail portion is convey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유닛은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accommodating uni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s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deformab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유닛은 외부 환경과 달리 상기 가이드유닛의 내부의 온도 또는/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guide unit, unlike the external environment concrete transport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r / and humidity of the inside of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상기 수용유닛에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concrete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washing unit for supplying and washing the washing water to the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수용유닛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유닛을 진동시키는 쉐이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guide unit further comprises a shaker unit for vibrating the accommodating unit in the process of conveying the accommodat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크리트 이송장치는 상기 수용유닛에 수용된 상기 콘크리트를 쏟는 것을 보조하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unit for assisting to spill the concrete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수용유닛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고압펌프, 상기 수용유닛이 진동하도록 충격을 가하는 진동부 또는 상기 수용유닛의 내부를 긁어 내는 스크래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장치.The discharge unit is a concrete conve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high-pressure pump for injecting high-pressure air into the receiving unit, a vibration unit for applying a shock to vibrate the receiving unit or a scraper scraping the inside of the receiving unit.
KR1020070062972A 2007-06-26 2007-06-26 Concrete Conveyor KR100934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72A KR100934557B1 (en) 2007-06-26 2007-06-26 Concrete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72A KR100934557B1 (en) 2007-06-26 2007-06-26 Concrete Convey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31A true KR20080113931A (en) 2008-12-31
KR100934557B1 KR100934557B1 (en) 2009-12-29

Family

ID=4037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72A KR100934557B1 (en) 2007-06-26 2007-06-26 Concrete 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5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44B1 (en) * 2011-12-05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Concrete placer
CN115182590A (en) * 2022-07-14 2022-10-14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full-concrete-pipe controlled vertical sliding convey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802B1 (en) 2021-07-02 2021-12-01 김남호 Agitating and supplying composition for road pav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467A (en) * 2001-07-03 2003-01-15 Nissei Koki Kk Equipment for vertical conveyance of earth
JP2004189364A (en) * 2002-12-09 2004-07-08 Tsubakimoto Bulk Systems Corp Apron bucket convey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44B1 (en) * 2011-12-05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Concrete placer
CN115182590A (en) * 2022-07-14 2022-10-14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full-concrete-pipe controlled vertical sliding conveying system
CN115182590B (en) * 2022-07-14 2024-01-23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of concrete full pipe controlled vertical sli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557B1 (en) 200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84B1 (en) Cleaning device for solar?cell panel
JP4754462B2 (en) Sand collection device for sand basin
JP71642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dust
KR100934557B1 (en) Concrete Conveyor
EP2647324B1 (en) Robot device for cleaning iron metal structures
KR101763039B1 (en) Dust discharging apparatus for tunnel construction
KR20090062076A (en) Cleaning device for solar cell panel
CN108798709A (en) Placement layer by layer material distributing machine and lining trolley comprising this material distributing machine
CN104511445A (en) Steel ball drying and cleaning device
JP6510821B2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06797B1 (en) Booth of the self car wash
US10287768B1 (en) Stormwater vault apparatus and method
CN103949349A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ischarging liquid in purifying case of oil smoke purifier
ITMO980119A1 (en) FLUID SEPARATOR FOR DENTAL SUCTION PLANTS
JP2019063777A (en) Floating scum crushing and collect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crushing and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of crushing and collecting floating scum
CN208743211U (en) A kind of mining ore cleaning device
CN107489099A (en) A kind of automatic cleaning bridge guardrail
CN219003956U (en) Ultrasonic cleaning equipment for glass
CN208022143U (en) A kind of anti-blocking control system of coal spout
KR20080113932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ncrete using a bucket
RU2485321C2 (en) Method of dust catching in process of coal mass transportation
KR200389135Y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pipe using ozone and air bubbles
CN205576856U (en) Trash rack device of decontaminating
JPH1161902A (en) Cleaning device for tank interior
TW20142231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ale build-up in a WFG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