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910A -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910A
KR20080113910A KR1020070062930A KR20070062930A KR20080113910A KR 20080113910 A KR20080113910 A KR 20080113910A KR 1020070062930 A KR1020070062930 A KR 1020070062930A KR 20070062930 A KR20070062930 A KR 20070062930A KR 20080113910 A KR20080113910 A KR 2008011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ing
mobile terminal
scroll
uni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910A/ko
Publication of KR2008011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하우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Hinge)와, 상기 힌지에 구비된 스크롤부와,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소정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 모드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스크롤링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힌지에 스크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각 동작모드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스크롤 장치,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APPARATUS FOR SCROLLING IN A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에 대한 제1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에 대한 제2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롤 장치의 스크롤링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휴대단말기의 발전 속도가 급속해지면서, 일반적인 키패드만으로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여러가지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의 휴대단말기는 스크롤 장치(예를 들어, 휠 키)를 탑재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크롤 장치는 실장될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키입력부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키의 공간을 대 체하거나 별도의 공간을 차지한다. 즉,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는 하나, 스크롤 장치는 휴대단말기에서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여 탑재된다. 따라서, 스크롤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스크롤 장치 이외의 장치를 탑재할 공간의 부족을 겪게되며, 이는 휴대단말기의 디자인적 한계와 기능적 한계를 유발한다. 디지털 컨버젼스라는 명제하에서 무게, 크기 및 부피로 인한 이동성을 도외시하고 무조건적으로 여러가지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휴대단말기라는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하겠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스크롤링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휴대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높은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하우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Hinge)와, 상기 힌지에 구비된 스크롤부와,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소정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 모드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스크롤링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이 때, 키입력부(27)는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키입력을 받을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50)는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스크롤 장치(60)는 사용자의 스크롤링 동작을 입력 받아 메뉴나 목록의 검색 혹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며, 감지부(61)는 사용자의 스크롤링 동작을 감지한다. 스크롤 장치(60)의 종류에는 크게 접촉식과 비접촉식의 스크롤 장치가 있다. 접촉식 스크롤 장치는 스크롤 장치의 내부의 특정 구조(예를 들어, 톱니) 사이에 위치된 스위치가 사용자의 스크롤링에 따라 스위칭되며, 스위치로부터의 스위칭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스크롤링을 판단하는 장치이다. 비접촉식 스크롤 장치는 스크롤 장치 내부에 위치된 다극착자 원형 마그넷(Ring Magnet)이 사용자의 스크롤링에 따라 자기센서(또는 감지부로써 Hall IC가 될 수 있음) 인터럽트 값(Rising or Falling) 또는 상태값(High 또는 Low)을 변경시키고, 변경되는 인터럽트 값 또는 상태값의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스크롤링을 판단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는 비접촉식 스크롤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며, 도 2및 도 3을 통해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폴더형(Folder Type, Clam Shell Type) 휴대단말기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가 폴더형 휴대단말기일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하우징들(예를 들어, 본체부와 폴더부)을 연결하는 힌지에 구비된다. 이 때, 본 발 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는 여러 형태의 휴대단말기에 적용가능하다. 즉, 힌지를 필요로 하는 휴대단말기에는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히 듀얼 힌지(Dual Hinge)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쿼티폰)와 같이 여러 개의 힌지로 구성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하여 각 힌지마다 적용되거나 어느 하나의 힌지에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는 개략적으로 감지부(61) 및 다극착자 원형 마그넷(62)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는 힌지의 일부를 스크롤링시의 회전축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원통형 구조의 형상을 띄며, 그 내부에 다극착자 원형 마그넷(62)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 장치(60)가 상하방향으로 스크롤링되면, 도 2에 도시된 감지부(61)는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0)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60)는 하나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스크롤 장치(60)의 스크롤링이 감지되면,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모드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대기모드(Idle Mode)로써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닫히는 것이 될 수 있음) 또는 동작모드(Active Mode)로써 휴대단말기의 폴더가 열리는 것이 될 수 있음)로의 진입을 감지하는데, 이는 통상적은 홀 센서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크롤 장치의 스크롤링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힌지에 구비된 스크롤 장치의 스크롤링에 따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크롤부(60)의 스크롤링이 감지되면(S401), 제어부(10)는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모드를 확인하고(S402), 확인된 동작모드에서 스크롤링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403).
도 3의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크롤부(60)를 상하로 스크롤링하여 휴대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스크롤링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함에 있어서, 제어부(10)는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모드의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데, 휴대단말기로 입력되는 소리 또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에 스크롤링이 감지되면(동작모드가 호의 수신), 제어부(10)는 스크롤링에 따라 통화 볼륨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상의 촬영 중에 스크롤링이 감지되면(동작모드가 카메라의 촬영모드), 제어부(10)는 스크롤링에 따라 카메라의 줌잉(Zooming)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뉴를 표시하는 중에 스크롤링이 감지되면(동작모드가 메뉴의 표시모드), 제어부(10)는 스크롤링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의 글자크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동작 모드 이외에도, 제어부(10)는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모드의 종류에 따라 스크롤링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힌지에 스크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각 동작모드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각 하우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Hinge)와,
    상기 힌지에 구비된 스크롤부와,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소정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스크롤부의 스크롤링이 감지되면, 상기 스크롤링이 감지된 동작 모드의 종류 및 상기 감지된 스크롤링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이며, 상기 하우징은 각각 상기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이며, 상기 힌지는 상기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스크롤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크롤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부는,
    상기 원통형 구조의 내부에 다극착자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입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포함된 표시부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의 줌잉(Zooming)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KR1020070062930A 2007-06-26 2007-06-26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KR20080113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30A KR20080113910A (ko) 2007-06-26 2007-06-26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930A KR20080113910A (ko) 2007-06-26 2007-06-26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910A true KR20080113910A (ko) 2008-12-31

Family

ID=4037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930A KR20080113910A (ko) 2007-06-26 2007-06-26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39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117400A1 (ja) 携帯通信端末
JP2006109460A (ja) 環境光センサを有する電子機器
EP1876801A2 (en)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034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행 방법
US9160831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in wireless terminal with removable case
US733074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sensing camera operation mode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P1692771A2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KR20100082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5045580A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KR102114727B1 (ko) 가속도 센서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299273B2 (ja) 回転式携帯端末機
KR100795175B1 (ko)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91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JP3773208B2 (ja) 折り畳み式情報処理装置
KR100594000B1 (ko) 폴더의 오픈 방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113910A (ko)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장치
JP4480545B2 (ja) 携帯通信端末
JP4267024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2003319036A (ja) 移動通信装置
JP4480546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4112392A (ja) 携帯通信端末並びにそのキーの機能割り当て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KR10053987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회전키를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00766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200368659Y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JP3934121B2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