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890A -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113890A KR20080113890A KR1020070062878A KR20070062878A KR20080113890A KR 20080113890 A KR20080113890 A KR 20080113890A KR 1020070062878 A KR1020070062878 A KR 1020070062878A KR 20070062878 A KR20070062878 A KR 20070062878A KR 20080113890 A KR20080113890 A KR 20080113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spatial
- acoustic
- point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34 acoustic noi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s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40—Visual indication of stereophonic sound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하는 단계에서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분석하는 음향 분석 단계를 포함하여 공간 디자인 과정에서 재질 스타일을 고려하여 정확한 음향 분석을 하여 음향 성능이 최적화된 건축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간, 디자인, 음향
Descrip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라이브러리에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라이브러리에 이동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컴포넌트에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XML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음향 특성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공간 음향 분석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여 렌더링된 재질 스타일에 따른 음향분석이 가능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다 나은 생활 환경의 추구라는 의식이 보편화되면서 주거 공간 및 각종 문화 생활 관련 공간에서의 바람직한 실내 음 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건축에 있어서 요구하는 음향 조건은 청취 목적에 맞는 건축공간에서 바람직한 음을 청취하고 연주하는데 가장 좋은 음향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간의 활용도에 따라 건축물이 요구하는 실내 음 환경 조건은 다양하며, 음향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공간(예컨대, 강의실, 교회, 극장 또는 각종 공연장 등)에서는 그 목적에 부합하는 건축 공간 설계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음향학은 건물에서 소리가 효과적으로 울려 모든 사람들이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게 하고 시끄러운 소리는 막는 방안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실내에서의 대화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강당에서의 강연을 명료하게 청취할 수 있으며 또한 음악을 기분 좋게 감상할 수 있도록 실내음향 소음 진동의 제어 등에 관하여 연구를 말한다.
기존의 음향설계라 하면 전기음향분야에서 대부분을 담당하였으나, 건축물 내 음향이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되면서 건축과 함께 연계되어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인 건축 공간 음향 분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공간의 디자인을 완성하고 완성된 공간에 기초하여 음향 분석을 한다. 예컨대, 거실의 공간 음향 분석시 사용자는 거실 공간의 디자인을 완성한 후, 음원을 배치하여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을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음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다.
첫째, 공간 디자인 및 음향 분석이 이원화되어 있다. 즉, 상기 음향 분석은 상기 공간 디자인이 모두 완성된 다음에 이루어지므로 공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 상기 음향 분석 결과가 반영될 수 없다.
둘째, 일반적인 공간 디자인 및 음향 분석 방법은 일반인들에게 어려운 실정이다. 즉, 비전문가들이 다양한 공간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3차원 공간을 모델링하고 모델링된 3차원 공간을 바탕으로 음향을 분석하는 것은 음향 분석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고는 어려운 실정이다.
셋째, 정확한 음향 분석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은 개별적인 재질 스타일을 갖고 있는데, 일반적인 공간 디자인 및 음향 분석은 상기 재질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공간 디자인 및 음향 분석에 의하면 상기 재질 스타일을 고려한 정확한 음향분석을 도출해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공간 디자인 과정에 음향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음향 성능이 최적화된 건축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소정의 기능에 따라 분류된 라이브러리 및 음향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재질 스타일을 고려한 정확한 음향분석을 할 수 있는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상기 공간 컴포넌트에 렌더링하는 렌더링 단계; 및 상기 렌더링 단계에 의하여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하는 음향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특성은, 상기 제1 수신 음향의 크기, 잔향 시간, 확산, 반사,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는, 상기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공간 구성요소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간 구성요소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의 이동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기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음향 특성과 상기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음원 및 수음점의 배치 지점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공간 음향 분석기는 공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및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라이브러리; 및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상기 공간 컴포넌트에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하는 음향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부는,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상기 공간 컴포넌트에 렌더링하는 공간 모델링 모듈; 및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에 의해서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 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상기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하는 음향 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특성은, 상기 수음점에 도달한 상기 음향의 크기, 잔향 시간, 확산, 반사,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을 상기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 및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을 이동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 및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부는,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음향 특성과 상기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음원 및 수음점의 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음향 분석기는, 상기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공간과 상기 제1 음향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기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라이브러리에 이동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라이브러리에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컴포넌트에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XML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음향 특성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공간 음향 분석기(10)는 라이브러리(20), 음향 분석부(3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음향 분석기(10)는 일반적인 PC, 또는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하며,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브러리(20)와 음향 분석부(30) 각각은 H/W 및/ 또는 S/W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간 음향 분석기(10)는 사용자 컴퓨터에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음향 분석기(10)는 서버-클라이언트의 통신방식에서 서버에 구현되어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생된 음향분석요 청에 응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음향특성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20)는 공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및/또는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한다.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는 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은 다양한 종류의 마감재들, 가전제품, 가구, 인테리어 기구등 공간을 구성하는 어떠한 물건도 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20)는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과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을 공간 유형에 따라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같이 공간 유형에 따라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그 기능과 사용자에 따라 공간을 주거 공간, 공공 공간, 업무 공간, 위생 공간, 교육 공간, 상업 공간, 및 특수 공간 등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들 각각을 용도에 따라 상세분류(예컨대, 주거공간의 경우, 거실(Living room)과 홈 씨어터(Home theater)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상세분류된 공간들 각각을 구성할 수 있는 공간 컴포넌트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상세분류된 "거실"을 구성하는 소파 세트(sofa set), TV, 또는 장식장 등을 상기 "거실"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제2 분류된 "홈 씨어터" 공간을 구성하는 스피커 세트(speaker set), tv 또는 스크린(screen), 또는 의자들(chairs) 등을 상기 상세분류된 "홈 씨어터" 공간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을 이동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은 도 3에 도시된 같이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을 이동가능 여부에 따라 고정적 요소(Fixed components)와 비 고정적 요소(Unfixed components)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고정적 요소로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을 그 기능에 따라 구조적 요소(Structural components)인지 또는 장식적 요소(Decorative components)인지 분류하여 공간 컴포넌트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Floor)"이라는 공간 컴포넌트는 공간 설계 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고정적 요소로 분류되고 일반적으로 장식적인 요소로는 쓰이지 않으므로 구조적 요소로 분류된다.
또한, "조명기기(Lighting)"이라는 공간 컴포넌트는 공간 설계 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고정적 요소로 분류되고 일반적으로 장식적인 요소로는 쓰이므로 장식적 요소로 분류된다.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이 분류되는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은 공간의 유형 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의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므로, 공간 모델링 모듈(32)에 의한 모델링 작업 수행시 공간 컴포넌트의 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24)은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한다.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은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의 재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컨대, 나무(wood), 콘크리트, 가죽, 실크, 플라스틱, 비닐, 또는 유리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부(30)는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공간(예컨대, 가상 사이버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상기 공간 컴포넌트에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 또는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부(30)는 공간 모델링 모듈(32)과 음향 분석모듈(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과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H/W 및/ 또는 S/W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 질 스타일을 렌더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도 5와 같이 홈 씨어터(Home theater) 공간의 모델링을 하는 경우,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22)에 분류되어 저장된 공간 컴포넌트들(예컨대, 고정적 요소로 분류된 컴포넌트인 바닥(Floor), 벽(Wall), 천장(Ceiling), 계단(Stair), 기둥(Column), 문(Door), 및 창문(Window) 및 비고정적 요소로 분류된 컴포넌트인 가구(Furniture), 홈 씨어터 장비(Equipment), 테이블(Accessory), 및 기반(base) 등)을 추출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24)에 저장된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재질 스타일을 선택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기초하여 공간 컴포넌트들 및/ 또는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재질 스타일을 선택하여 렌더링할 수 있는데 상기 XML은 다음의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
<object(즉, 공간컴포넌트)> 공간컴포넌트의 코드, 재질스타일
예컨대,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도 4와 도 5의 <Floor>FL0024_A.mtl</Floor>)에 기초하여 상기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24)로부터 FL0024_A에 해당하는 재질 스타일(예컨대, 나무(wood))를 바닥(Floor)에 렌더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XML(도 4와 도 5의 <Wall>WA0003_C.mtl</Wall>)에 기초하여 상기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24)로부터 WA0003_C에 해당하는 재질 스타일(예컨대, 콘크리트)를 벽(Wall)에 렌더링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32)에 의해서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수음점 각각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상기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 또는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 각각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이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 각각을 임의로 배치하여 상기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음향 특성은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컴포넌트들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의 재질 스타일을 고려한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검출된 정보로서, 상기 수음점에 도달한 상기 음향의 크기, 잔향(reververation) 시간, 확산(diffusion), 반사(reflection),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sound pressure level)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Ray Tracing 방법 또는 Pyramid Tracing 방법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원이 TV("A"지점)이고, 수음점이 쇼파("B") 지점인 경우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상기 TV에서 발생된 음원의 음선(音線)을 추적하고 추적된 음선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의 크기에 수음점에 도달한 제1 수신 음향의 크기(예컨대, N(N은 실수)데시벨(db)), 확산경로, 반사경로,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1 음향 특성로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음원 및 상기 수음점 각각은 복수 개로 지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음원 및 상기 수음점 각각이 복수 개로 지정되는 경우,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복수의 수음점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음향 특성과 상기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음원 및 수음점의 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음향 특성은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컴포넌트들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의 재질 스타일을 고려한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검출된 정보로서,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한 상기 음향의 크기, 잔향 시간, 확산(diffusion), 반사,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음원인 TV를 "C"지점, 수음점을 "D" 지점으로 재배치하여 상기 TV에서 발생된 음원의 음선(音線)을 추적하고 추 적된 음선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의 크기에 수음점(즉, "D" 지점)에 도달한 제2 수신 음향의 크기, 확산경로, 반사경로,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2 음향 특성로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제1 음향 특성과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여, 최적의 음향특성을 갖는 음원 및 수음점의 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상기 제1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재배치되기 전의 음원과 재배치되기 전의 수음점의 제1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을 복수의 등급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등급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의 제2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을 상기 복수의 등급들 중에서 어느 다른 하나의 등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제1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이 제2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보다 높은 경우 재배치되기 전의 음원과 재배치되기 전의 수음점을 최적의 음향특성을 갖는 음원 및 수음점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은 제1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이 제2 배치지점에 대한 음향 평가등급보다 낮은 경우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을 최적의 음향특성을 갖는 음원 및 수음점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분석모듈(34)에 의해서 분석되는 제1 음향 특성, 제2 음향 특성, 및 상기 제1 음향 특성과 상기 제2 음향 특성에 기초한 최적의 음향특성을 갖는 음원 및 수음점은 모두 공간을 구성하는 공간 컴포넌트들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 컴포 넌트들 각각의 재질 스타일을 고려한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검출된 정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음향분석시 재질 스타일을 고려하여 정확한 음향분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플랫폼은 Grapic User Interface(GUI)의 일 예로써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공간 모델링 모듈(32)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상기 공간 컴포넌트에 렌더링한다(S10).
음향 분석모듈(34)은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한다(S12).
음향 분석모듈(34)은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음향 특성과 상기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최적화된 음원 및 수음점의 배치 지점을 검출한다(S14).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가 계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공간 디자인 과정에 음향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음향 성능이 최적화된 건축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소정의 기능에 따라 분류된 라이브러리 및 음향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 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 음향분석시 재질 스타일을 고려하여 정확한 음향분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는 단계; 및상기 렌더링하는 단계에서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분석하는 음향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특성은,상기 제1 수신 음향의 크기, 잔향 시간, 확산, 반사,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는,상기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공간 구성요소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간 구성요소에 상응하는 공간 음향 분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의 이동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된 컴포넌트인 공간 음향 분석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음향 분석 방법은,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1 음향 특성과 분석된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또는 상기 재배치된 음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원의 배치지점을 최적화된 음원 배치지점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수음점, 또는 상기 재배치된 수음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음점의 배치지점을 최적화된 수음점의 배치지점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 방법.
-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공간을 구성하는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및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라이브러리; 및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 간 컴포넌트를 공간에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음원과 상기 음원에서 발생된 음향이 수신되는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하는 음향 분석부를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분석부는,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를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 컴포넌트에 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재질 스타일을렌더링하는 공간 모델링 모듈; 및상기 공간 모델링 모듈에 의해서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에 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배치하고 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상기 제1 수신 음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음향 특성을 검출하는 음향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특성은,상기 수음점에 도달한 상기 음향의 크기, 잔향 시간, 확산, 반사, 회절, 공명, 중첩, 또는 음압에 대한 정보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간 음 향 분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을 상기 공간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저장하는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 및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상기 다수의 공간 컴포넌트들 각각의 이동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분류하고 분류된 공간 컴포넌트들을 저장하는 공간 컴포넌트 저장모듈; 및상기 다수의 재질 스타일들을 저장하는 재질 스타일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분석부는,상기 음원과 상기 수음점을 재배치하고 재배치된 음원과 재배치된 수음점에 도달하는 제2 수신음향에 기초하여 제2 음향 특성를 분석하고 분석된 제1 음향 특성과 분석된 제2 음향 특성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원, 또는 상기 재배치된 음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원의 배치지점을 최적화된 음원 배치지점으로서 출력하고, 상기 수음점, 또는 상기 재배치된 수음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음점 의 배치지점을 최적화된 수음점의 배치지점으로서 출력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음향 분석기는,상기 렌더링된 공간 컴포넌트에 의해서 생성된 상기 공간과 상기 제1 음향 분석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공간 음향 분석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878A KR100902874B1 (ko) | 2007-06-26 | 2007-06-26 |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878A KR100902874B1 (ko) | 2007-06-26 | 2007-06-26 |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3890A true KR20080113890A (ko) | 2008-12-31 |
KR100902874B1 KR100902874B1 (ko) | 2009-06-16 |
Family
ID=4037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2878A KR100902874B1 (ko) | 2007-06-26 | 2007-06-26 |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0287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54511A (zh) * | 2012-08-31 | 2017-12-08 | 杜比实验室特许公司 | 用于使声音从观看屏幕或显示表面反射的扬声器 |
KR102199591B1 (ko) * | 2020-04-02 | 2021-01-07 | 주식회사 제이렙 | 증강 현실 기반의 전기 음향과 건축 음향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
US11240617B2 (en) | 2020-04-02 | 2022-02-01 | Jlab Corporation | Augmented reality based simulation apparatus for integrated electrical and architectural acoustic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34979A (en) * | 2000-03-09 | 2004-02-19 | Be4 Ltd |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ree-dimensional hearing |
JP2002354598A (ja) | 2001-05-25 | 2002-12-06 | Daikin Ind Ltd | 音声空間情報付加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
JP2005252467A (ja) * | 2004-03-02 | 2005-09-15 | Sony Corp | 音響再生方法、音響再生装置および記録メディア |
KR100792006B1 (ko) * | 2005-06-14 | 2008-01-04 | 광주과학기술원 | 가상현실에서의 음향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 |
-
2007
- 2007-06-26 KR KR1020070062878A patent/KR1009028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54511A (zh) * | 2012-08-31 | 2017-12-08 | 杜比实验室特许公司 | 用于使声音从观看屏幕或显示表面反射的扬声器 |
US11277703B2 (en) | 2012-08-31 | 2022-03-15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Speaker for reflecting sound off viewing screen or display surface |
CN107454511B (zh) * | 2012-08-31 | 2024-04-05 | 杜比实验室特许公司 | 用于使声音从观看屏幕或显示表面反射的扬声器 |
KR102199591B1 (ko) * | 2020-04-02 | 2021-01-07 | 주식회사 제이렙 | 증강 현실 기반의 전기 음향과 건축 음향 통합 시뮬레이션 장치 |
US11240617B2 (en) | 2020-04-02 | 2022-02-01 | Jlab Corporation | Augmented reality based simulation apparatus for integrated electrical and architectural acoustic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02874B1 (ko) | 2009-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195644A1 (en) | Structural element for sound field estimation and production | |
Cabrera et al. | Critical methodological assessment of the distraction distance used for evaluating room acoustic quality of open-plan offices | |
KR100902874B1 (ko) | 재질 스타일에 기초한 공간 음향 분석기 및 그 방법 | |
Katz et al. | Exploring cultural heritage through acoustic digital reconstructions | |
Morales et al. | Receiver placement for speech enhancement using sound propagation optimization | |
Tronchin et al. | The sound diffusion in Italian Opera Houses: some examples | |
KR20200095778A (ko) | 재질 스타일을 기반으로한 공간 음향 분석기와 방법 | |
Fratoni et al. | Acoustic comfort in a worship space made of cross-laminated timber | |
Wang et al. | Sound propagation between two adjacent rectangular workstations in an open-plan office—part I: mathematical modeling | |
Azevedo et al. | Auralization as an architectural design tool | |
Peng | Feasibility of subjective speech intelligibility assessment based on auralization | |
Yilmazer et al. | Auditory environment in the museums: The case of erimtan archaeology and arts museum | |
Schröder et al. | Through the hourglass: A faithful audiovisual reconstruction of the old montreux casino | |
Siebein | Understanding classroom acoustic solutions | |
Pyper et al. | Room acoustics criteria and measurements of lobbies and atria for various building types | |
Quinn-Vawter | Evaluation of Sabine's formula on the prediction and control of reverberant noise in a modern LEED Platinum certified research building | |
Henke | An Exploration of Architectural Acoustics and Design in Commercial Recording Studios | |
JP7152931B2 (ja) | 音体感方法及び音体感システム | |
Vilkaitis et al. | Room acoustics and virtual reality: An implementation of auralisation and 360 degree image techniques to create virtual representations of spaces | |
JPH11327568A (ja) | 室内音場体験装置及び方法 | |
Bloemen | Extracting absorption coefficients from a room impulse response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ith domain adaptation | |
Wang | Augmented Reality in Room Acoustics: A Simulation Tool for Mobile Devices with Auditory Feedback | |
Vitale et al. | Acoustic experiences for cultural heritage sites: a pilot experiment on spontaneous visitors’ interest | |
Fratoni et al. | Acoustic analysis of a well-preserved Renaissance music space: The Odeo Cornaro in Padua | |
Siebein et al. | The Soundscape of Thea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