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869A -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 Google Patents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869A
KR20080113869A KR1020070062839A KR20070062839A KR20080113869A KR 20080113869 A KR20080113869 A KR 20080113869A KR 1020070062839 A KR1020070062839 A KR 1020070062839A KR 20070062839 A KR20070062839 A KR 20070062839A KR 20080113869 A KR20080113869 A KR 2008011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support
fuel rod
gr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942B1 (ko
Inventor
이강희
김형규
윤경호
이영호
김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942B1/ko
Priority to US12/146,493 priority patent/US8243872B2/en
Publication of KR2008011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52Spacer grids formed of assembled intersecting strip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22Means to influence the coolant flow through or around the bundl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G21C3/356Spacer grids being provided with fuel element supporting members
    • G21C3/3563Supporting members formed only by deformations in the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 봉(Close-Spaced Nuclear Fuel Rods)에 적용할 수 있는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으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기 위한 이중 냉각 핵연료봉(Dual-Cooling Nuclear Fuel Rod)을 채택함으로써 핵연료봉의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이웃하는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종래의 지지격자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판재형상의 다수의 단위 격자판으로 조합된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위 격자판의 세로 중심선에서 부수로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좁은간격 배열, 이중 냉각, 핵연료봉, 지지격자체, 외팔보형 판스프링, 돌기형 지지부, 반실린더형 지지부

Description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 지지격자체{Spacer Grids having Shifted Supporting Locations for the Fuel Rods with Narrow Gap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의 단위격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중 냉각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돌기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돌기형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반실린더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실린더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실린더형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중 냉각 핵연료봉 11 : 소결체
12 : 내부 피복관 13 : 외부 피복관
20 : 지지격자체 21 : 단위 격자판
22 : 세로 중심선 23 : 지지부
25 : 외팔보형 판스프링 26 : 돌출부
27 : 연장부 30 : 돌기형 지지부
31 : 반실린더형 지지부 100 : 핵연료 집합체
110 : 핵연료봉 115 : 부수로
120 : 상단 고정체 130 : 하단 고정체
140 : 안내관 150 : 지지격자체
본 발명은 원자로 내에 장입되는 원전연료 집합체의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성능이 뛰어난 이중 냉각 핵연료봉을 도입함으로써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에 대응하여 핵연료봉의 중심선에서 부수로(sub channel) 방향으로 중심 이동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에 적용되는 지지격자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를 지지하는 지지격자체의 단위격자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핵연료봉 집합체(100) 는 핵연료봉(110)과 안내관(140)과 지지격자체(150)와 상단 고정체(120)와 하단 고정체(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핵연료봉(110)은 지르코늄 합금 피복관 내부에 실린더 형상의 우라늄 소결체가 포함되고, 이러한 우라늄 소결체의 핵분열 반응에 의하여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한편, 안내관(140)은 원자로 노심의 출력을 조절하고 핵분열 반응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어봉의 통로로 이용되며, 지지격자체(150)는 원자로 연료집합체의 구성부품 중 하나로 지지격자체의 각 격자에 있는 스프링(118) 및 딤플(119)이 연료봉(110)을 정해진 위치에 배열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스프링(118) 및 딤플(119)에서 스프링 힘이 너무 작을 경우 연료봉(110)을 정해진 위치에 배열할 수 없어 연료봉(110)의 지지건전성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으며, 너무 클 경우는 연료봉(110)을 지지격자체로 삽입할 때 과도한 마찰 저항력으로 인하여 연료봉(110)의 표면에 긁힘과 같은 흠이 발생할 수 있고, 원자로 운전 중 중성자 조사에 의한 연료봉(110)의 길이방향 성장을 적절히 수용할 수 없어서 연료봉(110)이 휘게 되는, 즉 연료봉(110)의 휨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연료봉(110)이 휘게 되면 인접한 연료봉(110)들과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되어 연료봉사이의 냉각수 유로(channel)를 좁게 하거나 차단하게 되고 이것은 연료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수로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연료봉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한 핵비등 이탈(DNB)의 발생가능성을 높여서 핵연료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주원인이 된다.
그리고, 상단 고정체(120)와 하단 고정체(130)는 노심 상·하부 구조물에 핵연료봉 집합체(10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하단 고정체(130)에는 노심 내부를 부유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장치(이물질여과기, 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격자체(150)는 통상 지르칼로이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핵연료봉(110)들을 지지하는 핵연료봉셀과 안내관(140)이 삽입되는 안내관셀들이 있으며, 핵연료봉셀은 2면에서 각 1개씩 총 2개의 격자 스프링(118)과 상기 스프링들의 상·하측에 위치하되, 나머지 2면에서 각 2개 씩 총 4개의 딤플(119)로 총 6개의 지지점에서 핵연료봉(110)을 지지하고 있다.
한편, 핵연료봉(110) 내부에는 실린더 형상의 이산화 우라늄 소결체가 장입되며, 냉각수는 4개의 핵연료봉(110)으로 둘러졌거나, 3개의 핵연료봉(110)과 1개의 안내관(140)으로 둘러싸인 부수로(sub channel, 115)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노심 하부에서 상부로 빠르게 유동한다.
여기서, 부수로(115)는 핵연료봉(110)들로 둘러싸인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측면이 개방되어 있어서 유체가 자유로이 이웃된 유로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 형상의 핵연료봉(110) 대신에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이 미국특허공보 제3,928,132호 및 제6,909,7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환형 구조를 갖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은 환형으로 형성되는 소 결체(11)와 상기 소결체(11)에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부 피복관(12)과 외주연에 구비되는 외부 피복관(13)으로 구성되며, 냉각수가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로도 흐를 수 있게 하여 이중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내부 표면 온도를 낮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중심 온도를 낮게 유지시킬 경우, 핵연료 중심 온도의 상승에 의한 연료 손상의 가능성이 낮아져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안전 여유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압 경수로형 노심에 구조적으로 양립하기 위해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은 핵연료 집합체(100) 내에서 안내관(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이유와 연료봉 외경의 증가로 인하여 핵연료봉 사이의 간극이 기존보다 상당히 좁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12×12 배열의 이중냉각 핵연료 후보 설계안에 따라 핵연료 집합체를 구성할 경우 핵연료봉 사이의 간극이 기존의 3.35 ㎜에서 약 1.24 ㎜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핵연료봉 사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해 지금까지 개발된 지지격자체를 그대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지지구조체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1.24㎜의 핵연료봉 사이의 간극에서 기존 지지격자체의 단위 격자판의 두께 0.475㎜를 빼고 다시 반으로 나누면 단위 격자판과 봉 사이의 간격이 약 0.383㎜밖에 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좁은 간격 내에서 기존의 판 스프링 같은 형상과 지지위치를 적용하여 기존의 지지구조체에서 가지는 스프링 강성과 수력적 특 성(주로 압력손실)을 갖는 스프링 설계는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핵연료봉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연소도 및 고출력을 얻을 수 있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채택함으로써 핵연료봉의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핵연료봉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좁은 간격에서도 핵연료봉의 지지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지지격자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판재형상의 다수의 단위 격자판으로 조합된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위 격자판의 세로 중심선에서 부수로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외팔보형 판스프링 형상으로 되거나, 반구 또는 타원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단위 격자판의 세로변을 따라 반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단위 격자판의 세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 격자판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팔보형 판스프링 형상의 지지부는 상기 단위 격자판에서 상기 핵연료 봉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핵연료봉의 외주연을 가능한 넓은 접촉면적으로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핵연료봉의 외주연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20)는 3×3 배열로 이루어진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것을 그 일례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격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외팔보형 판스프링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격자체(20)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소결체(11)와, 상기 소결체(11)의 내주연에 구비되는 내부 피복관(12)과, 상기 소결체(11)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외부 피복관(13)으로 구성되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경부와 접촉함으로써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지지부(23)를 구비하는 판재 형상의 다수의 단위 격자판(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지지부(23)는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 로(sub channel, 115)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주연을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부수로(115)는 4개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들로 둘러싸이거나, 3개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과 1개의 안내관(140)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냉각수가 상기 부수로(115)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3)는 외팔보형 판스프링(25) 형상으로 구비되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과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단위 격자판(21)에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6)와, 상기 돌출부(26)에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27)를 구비한다.
즉,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로(115) 중심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단위 격자판(21)을 'ㄷ'자 형태로 절개한 후에 절곡(bending) 작업을 통해 돌출부(26)와 연장부(27)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27)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과의 면접촉을 위해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외주연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26)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하되 상기 연장부(27)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스프링의 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23)는 단위 격자판(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씩 형 성되도록 하며, 전면에 형성된 지지부(23)와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23)는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한다. 즉, 전면에 형성된 지지부(23)는 전면에 구비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도록 하고,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23)는 배면에 구비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하나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둘러싼 4개의 단위 격자판(21)에 의해 모두 4곳에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지지부(23)를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전면과 배면에 선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인 간섭이나 스프링으로서의 기능 상실을 피할 수 있으며, 프레스 작업에 의해 지지부(23)를 형성할 때에 잔류 변형 및 잔류 응력으로 인한 방향성을 최소화하면서 상보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위 격자판(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외팔보형 판스프링(25) 형상의 지지부(23)는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하는 스프링으로서의 적정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지지격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은 돌기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돌기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돌기형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형상과 지지부(23)의 위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그 형상만이 상이하므로, 이하 지지부(23)의 형상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20)는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로(115) 중심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돌기형 지지부(30)를 구비하되, 상기 돌기형 지지부(30)는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단위 격자판(21)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반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돌기형 지지부(30)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배면에 하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돌출된 돌기형 지지부(30)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전면 및 배면에 각각 1개씩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프레스 작업에 의해 상기 돌기형 지지부(30)를 형성할 때에 잔류 변형 및 잔류 응력으로 인한 방향성을 최소화하면서 상보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나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둘러싼 4개의 단위 격자판(21)에 형성된 돌기형 지지부(30)에 의해 모두 4곳에서 핵연료봉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격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4는 반실린더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반 실린더형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격자체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반실린더형 지지부를 구비한 단위 격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의 형상 및 지지부(23)의 위치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그 형상만이 상이하므로, 이하 지지부(23)의 형상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지지격자체(20)는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로(115) 중심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반실린더형 지지부(31)를 구비하되, 단위 격자판(21)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프레스 작업에 의한 잔류 변형 및 잔류 응력으로 인한 방향성을 최소화하면서 상보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반실린더형 지지부(31)는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단위 격자판(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시켜 선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둘러싼 4개의 단위 격자판(21)에 각각 돌출된 반실린더형 지지부(31)에 의해 모두 4곳에서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로(115)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비된 지지부(23)를 구비한 지지격자체(20)에 의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이중 냉각 핵연료봉(10)을 지지함으로써, 좁은 간격임에도 불구하고 핵연료봉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구나, 핵연료 집합체(100) 내에서 안내관(140)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상단 고정체(120)와 하단 고정체(130)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핵연료 집합체(100)의 구성 부품들과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23)를 외팔보형 판스프링(25)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중 냉각 핵연료봉(10)과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냉각수의 유동에 의한 핵연료봉의 진동에 의한 프레팅(fretting) 마멸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구나, 본 발명은 유체를 수송하는 배관계통과 그 지지 구조물, 보일러 또는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일반 산업기기에서 가늘고 긴 봉 또는 관들이 좁은간격으로 배열될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형상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지지부(23)를 구비한 판재형상의 다수의 단위 격자판(21)으로 조합된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에서 부수로(115)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외팔보형 판스프링(25)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판스프링(25)은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형 판스프링(25)은 상기 단위 격자판(21)에서 상기 핵연료봉(1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6)와, 상기 돌출부(26)에서 상기 핵연료봉(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27)는 상기 핵연료봉(10)의 외주연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6)는 상기 연장부(27)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타원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세로변을 따라 반실린더 형상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10.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세로 중심선(22)을 기준으로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하나씩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11.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는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하나 씩 구비되고, 상기 단위 격자판(21)의 배면에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10)의 지지격자체.
KR1020070062839A 2007-06-26 2007-06-26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KR10089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839A KR100891942B1 (ko) 2007-06-26 2007-06-26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US12/146,493 US8243872B2 (en) 2007-06-26 2008-06-26 Spacer grid for close-spaced nuclear fuel r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839A KR100891942B1 (ko) 2007-06-26 2007-06-26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869A true KR20080113869A (ko) 2008-12-31
KR100891942B1 KR100891942B1 (ko) 2009-04-08

Family

ID=4037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839A KR100891942B1 (ko) 2007-06-26 2007-06-26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43872B2 (ko)
KR (1) KR100891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025B2 (en) 2010-09-15 2015-09-15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68B1 (ko) * 2009-01-07 2010-09-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이중냉각 분할 핵연료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판 지지체
CN102270511A (zh) * 2011-07-18 2011-12-07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压水堆双面冷却燃料棒的管形定位格架
CN109935365A (zh) * 2017-12-19 2019-06-25 中国原子能科学研究院 一种带圆管型栅元燃料组件定位格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7899A (en) * 1971-03-26 1977-02-15 Reactor Centrum Nederland Lattice construction
US4181571A (en) * 1977-09-09 1980-01-01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Nuclear reactor with fuel pin bracing grid
FR2514932B1 (fr) * 1981-10-16 1986-11-1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Grille d'espacement pour element combustible de reacteur nucleaire
US4897241A (en) * 1981-11-30 1990-01-30 Combustion Engineering, Inc. Anti-bow grid for nuclear fuel assembly
US5024810A (en) * 1989-05-22 1991-06-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Support grid with integral inclined waves
US5110539A (en) * 1990-12-07 1992-05-05 Combustion Engineering, Inc. Spacer grid assembly fixture
US5350161A (en) * 1991-02-26 1994-09-27 Combustion Engineering, Inc. Nuclear reactor grid strip cantilever spring with nonuniform material characteristics
US5307392A (en) * 1992-06-29 1994-04-26 Combustion Engineering, Inc. Energy dissipating outer strip for grid
US5307393A (en) * 1992-06-29 1994-04-26 Combustion Engineering, Inc. Split vane alternating swirl mixing grid
US5243635A (en) * 1992-09-25 1993-09-07 Combustion Engineering, Inc. Fuel rod capturing grid spring and arch
SE510816C2 (sv) * 1993-11-02 1999-06-28 Asea Atom Ab Spridare och bränslepatron för en kärnreaktor
US5434898A (en) * 1994-03-14 1995-07-18 Siemens Power Corporation Nuclear fuel assembly
US20080232537A1 (en) * 2007-03-19 2008-09-25 Adolfo Reparaz Nuclear fuel assembly with an advanced spacer gr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025B2 (en) 2010-09-15 2015-09-15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942B1 (ko) 2009-04-08
US20090052607A1 (en) 2009-02-26
US8243872B2 (en)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8749A2 (en)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US11942230B2 (en) Spacer grid using tubular cells
KR100967119B1 (ko) 내부격자의 교차영역에 삽입된 관형 스프링체를 구비한 지지격자체
JPH05341074A (ja) 沸騰水型原子炉中の燃料バンドル‐チャネル間クリアランスを最適にするスペーサバンド
EP2411984B1 (en) Nuclear fuel assembly with pivot dimpled grids
KR100891942B1 (ko)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핵연료봉의 이동된 지지점을 갖는지지격자체
US8275088B2 (en) Perforated plate support for dual-cooled segmented fuel rod
KR101002719B1 (ko) 접촉부에 홀을 구비한 지지격자 스프링
US8483349B2 (en) Spacer grid for dual-cooling nuclear fuel rods using intersectional support structures
KR100900917B1 (ko) 교차점 지지체를 이용한 이중냉각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US9136025B2 (en) Dual-cooled fuel rod's spacer grids with upper and lower cross-wavy-shape dimple
KR100999871B1 (ko) 내부격자의 교차영역에 삽입된 이동가능한 관형 스프링체를구비한 지지격자체
KR100961486B1 (ko) 단위 지지격자판과, 단위 지지격자체 및 핵연료봉지지격자체
KR101071287B1 (ko) 와이어 스프링형 지지격자체 내부구조
US8693612B2 (en) Unit spacer grid strap, unit spacer grid, and spacer grid for nuclear fuel rods
KR101071286B1 (ko) 내부 격자판의 교차영역에서 핵연료봉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가능한 탄성 지지판이 삽입된 지지격자체
KR101069846B1 (ko) 삽입형 충격 지지판과 이동가능한 탄성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격자체
KR20110011274A (ko) 내부 격자판의 교차영역에서 핵연료봉을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탄성 지지판과 삽입형 충격 지지판으로 구성된 지지격자체
KR101141295B1 (ko) 부착형 지지구조체를 갖는 원자력연료봉
KR100981669B1 (ko) 삽입형 곡면 스프링판을 구비한 지지격자체
JP2018526621A (ja) 地震/loca耐性のあるグリッドを有する原子燃料集合体
KR20230102869A (ko) 무교체 핵연료 집합체
KR820001372B1 (ko) 원자로용 공간격자 조립체의 지지장치
KR101062786B1 (ko) 핵연료봉의 지지격자체
JPS6367591A (ja) 高速増殖炉の燃料集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