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667A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667A
KR20080113667A KR1020070062428A KR20070062428A KR20080113667A KR 20080113667 A KR20080113667 A KR 20080113667A KR 1020070062428 A KR1020070062428 A KR 1020070062428A KR 20070062428 A KR20070062428 A KR 20070062428A KR 20080113667 A KR20080113667 A KR 20080113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oll
display unit
disposed
visu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3806B1 (en
Inventor
안병진
성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806B1/en
Priority to DE102007050177A priority patent/DE102007050177B4/en
Priority to TW096145217A priority patent/TWI354916B/en
Priority to US12/098,872 priority patent/US8358278B2/en
Priority to MX2008007638A priority patent/MX2008007638A/en
Publication of KR2008011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croll apparatus for being mounted so that manipulate be convenient and a user interface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scroll apparatus by including a unit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 first display unit(110) is installed on a terminal body and outputs visual information. A scroll part(130) includes one or more first actuator and is operated in a first type. A second display unit(120) outputs second visual information and is formed in a second type to operate. The second display unit is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scroll par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Mobile terminal and its user interface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을 보인 단면 사시도,3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6 is an assembly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도 9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of FIG. 7;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10A to 10D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11A to 11C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12A to 12E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탐색이나 조작이 편리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롤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crolling device which is mounted for convenient navigation or manipulation, and a user interface thereof.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상대방과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making a voice or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storing data, and the like.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또는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에 복합적으로 탑재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를 구현하기도 한다.As functions are diversified, portable terminals may have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receiving a game, or broadcasting. Such functions are sometimes incorporated in a portable terminal to implement a multimedia device.

각종 기능의 구현과 부품들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개성에 따른 선택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도 제안된다.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and operate components, portable terminals require sufficient support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a portable terminal in terms of use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considered to be a personal portable product,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selected according to individuality is also proposed.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전통적인 키패드의 경우 많은 양의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키를 반복적으로 누름 또는 터치 조작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keypad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it is inconvenient because a plurality of keys must be repeatedly pressed or touched in order to retrieve a large amount of content.

이를 위하여, 회전조작을 통하여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 또는 접근할 수 있도록 창안된 스크롤 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To this end,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a user is provided with a convenient user environment by applying a scroll device, which is designed to quickly search or access desired information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o a portable terminal.

이러한 스크롤 장치의 중심에는 해당 항목을 선택하거나 실행시키기 위한 확인키가 배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확인키는 오로지 입력작용만을 담당하므로 단조로울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the center of the scroll device, a confirmation key for selecting or executing the corresponding item may be disposed. However, this confirmation key is only responsible for the input operation has a disadvantage that can be monotonous.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탐색이나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작부로 사용되는 스크롤 장치에 곁들여지는 조작부의 사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object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r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operation unit along with the scroll device used as a control unit for the navigation or adjustment of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롤 장치의 중심에 조작을 위한 부분과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둠으로써 스크롤 장치의 사용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scroll apparatus by providing a portion for manipulation and a means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in the center of the scroll apparatu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시각정보를 다변화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suitable for a multimedia environment by diversifying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바디; 단말기바디에 설 치되어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액츄에이터가 배치되며,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 및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body; A first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and outputting first visual information; At least one first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unit, the scroll unit being operated in a first form;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and configured to be manipulated in a second form and outputting second visual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각 모드에 따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를 제1형태로 조작시키는 스크롤부; 및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를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에 따른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unit for outputting first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terminal; At least one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unit for manipulating the terminal in a first form;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in a second form and output second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d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te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 스크롤부(130),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은 Z방향을 말하며, 상방은 Y방향을 말한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body 101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device,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scroll unit 13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10 ar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The display unit 120 is installed. Here, the front refers to the Z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refers to the Y direction.

단말기 바디(101)의 상부에는 시스템의 알림음이나 통화음 등의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101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unit 171 for outputting sound information, such as a notification sound or a call sound of the system.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모드에 따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키패드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을 보여 주거나,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의 상태, 또는 카메라 장치의 뷰파인더가 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configured to output first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mode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is, it may be a content input through the keypad device, a visual state of use of the terminal, a state of the multimedia being played, or a viewfinder of the camera device.

스크롤부(130)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스크롤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탐색이나 각종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작장치로 사용된다. The scroll unit 130 is formed below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the first form. The scroll unit 130 is used as an operation device for searching or adjus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스크롤부(130)를 조작시킬 수 있는 방식인 제1형태는 여러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하·좌·우 4방향의 키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해당하는 키가 동작됨에 따라 그 방향으로 한 단위(單位)만큼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현방식이 가능하다. 나아가, 스크롤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그 회전수단의 회전되는 방향이나 속도에 의하여 해당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롤부(130)는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바디의 표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터치휠을 구비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터치휠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orm, which is a manner in which the scroll unit 130 can be manipulated, is possible in various embodiments. For example, by arranging keys in four direction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the corresponding key is moved by one unit in the direction as the key is operated is possible. 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the scroll unit 130 includes a means that can be substantially rotated, and can quickly move a cursor or a pointer to a corresponding item by a direction or speed of rotation of the rotation means. In addition, the scroll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having a touch wheel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touched the touch wheel.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되어 있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스크롤부(130)와 동일하거나 다른 제2형태로 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형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조작하는 방식 등을 말한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변경가능한 제2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검색된 항목을 '선택(select)'하거나 '실행(enter)'을 할 수 있는 조작부(manipulator)로서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를 누르거나 터치를 함으로써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 second display unit 120 for outputting second visual informa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130.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operable in a second form that is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croll unit 130. Here, the second form refers to a method of operating by pressing or touching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second display unit 120 can output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that can be changed and an operation unit that can 'select' or 'enter' the item searched by the scroll unit 130 ( manipulator). In addition, a function that can be operated by pressing or touching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외측에는 스크롤부(13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10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102) 및, 커버(102)가 안착되며 커버(102)를 지지하는 프레임(103)이 구비된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FIG. 1. Referring to FIG. 2, a cover 102 having an installation hole 102a for installing the scroll unit 130 and a cover 102 ar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101 to support the cover 102. The frame 103 is provided.

스크롤부(130)는 단말기 바디(101)의 표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휠(131)을 포함하고 있다. 스크롤부(130)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액츄에이터(1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액츄에이터(140)는 스위치부(136)와 회전감지부(132)를 포함한다.The scroll unit 130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101 and includes a rotating wheel 131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scroll unit 130 includes an actuator 140 operated in a first form, and the first actuator 140 includes a switch unit 136 and a rotation sensing unit 132.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투광성의 윈도우(121)가 배치된다. 윈도우(121)는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2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ve window 12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130. The window 121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123 installed therein may be viewed.

윈도우(121)의 하측에는 터치감지부(122), 돔시트(135), 인쇄기판(150), 지지부재(104), 디스플레이(123)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체를 이루고 있다.The touch sensing unit 122, the dome sheet 135, the printed board 150, the support member 104, the display 123, and the like are sequentially stacked below the window 121 to form an assembly.

터치감지부(122)는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일측에 인쇄기판(150)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122a)이 포함되어 있다. 터치감 지부(122)는 투광성이 있는 전도성의 필름,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um-Tin Oxide;ITO)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The touch sensing unit 122 may detect a touch applied to the window 121 and includes a portion 122a for connecting to the printed board 150 at one side. The touch sensing unit 122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ssive conductive film, for example, an indium tin oxide (ITO) or carbon nanotube (CNT) in a thin film form. .

터치감지부(122)는 윈도우(12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방식에 따라 압력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방식 등에 맞게 그 수는 조절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unit 12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window 121, and according to the touch method, the touch sensing unit 122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 resistive method or a capacitive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The number can be adjusted.

돔시트(135)는 접점(138)을 덮을 수 있는 금속돔(metal dome;137)이 수지시트(plastic sheet)에 부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접점(138)은 인쇄기판(150)의 관통홀(150a) 주위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 금속돔(137)과 접점(138)은 스크롤부(130)의 스위치부(136)를 이룬다.The dome sheet 135 has a shape in which a metal dome 137 that can cover the contact 138 is attached to a plastic sheet. A plurality of contacts 138 are disposed around the through hole 150a of the printed board 150. The metal dome 137 and the contact 138 form the switch unit 136 of the scroll unit 130.

이에 따라 회전휠(131)을 누르면, 누른 부위에 대응되는 금속돔(137)이 눌리면서 접점(138) 사이를 연결시켜 통전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rotary wheel 131 is pressed, the metal dome 137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portion is pressed and connected to the contacts 138 to be energized, thereby generating an input signal.

인쇄기판(150)의 관통홀(150a) 주위에는 회전휠(131)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32)가 구비된다. 도 2에 의하면, 회전감지부(132)는 회전휠(131)에 고정되어 회전휠(131)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넷(133)과, 마그넷(133)의 회전자취 상에 배치되며 마그넷(133)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1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휠(131)이 회전되면, 마그넷(133)도 함께 회전되고, 자기센서(134)는 마그넷(133)의 자기장이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와지는 것을 감지하여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자기센서(134)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마 그넷(133)이 통과되는 횟수를 합하여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량을 결정하게 된다.Around the through hole 150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50, a rotation sensing unit 132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rotation wheel 131 is provided. Referring to FIG. 2, the rotation detecting unit 132 is fixed to the rotation wheel 131 and is disposed on the magnet 133 tha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wheel 131, and the magnet 133 rotates on the trace of the magnet 133. It may be composed of a magnetic sensor 134 for detecting a magnetic field of the. Accordingly, when the rotation wheel 131 is rotated, the magnet 133 is also rotated, and the magnetic sensor 134 detects that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133 is far or near and transmits it. The portable terminal 100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agnetic sensor 134, and determines the movement amount of the cursor or the pointer by adding up the number of times the magnet 133 passes.

이외에도 회전휠(131)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는 발광수단과 발광수단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wheel 131 may be achieved by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ans.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된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투광성의 윈도우(121)과 윈도우(1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22) 및, 터치감지부(122)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3)를 구비한다.A second display unit 1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130 to be manipulated in a second form and outputs second visual informa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disposed within the light-transmissive window 121 and the window 121 and detects a touch applied to the window 121 and the touch sensing unit 122 of the touch sensing unit 122. And a display 123 disposed therein.

도 2를 통하여 이와 같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쇄기판(150) 및 지지부재(104)의 내부에는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3)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일군(一群)의 발광다이오드(LE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in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50 and the support member 104 is provided with a display 123 for outputting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The display 123 may be formed by an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group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or the like.

디스플레이(123)로부터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는 회전휠(131)의 관통홀(131a)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123 is limitedly output to the user by the through hole 131a of the rotating wheel 131.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는 윈도우(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터치감지부(122)에 의하여 감지된다. 터치감지부(122)에 의하여 인식되는 제어명령은 제2시각정보에 의하여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의하여 조절되는 양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관한 것이면 터치신호는 그 양에 대한 'OK'로 작용할 수 있다. The touch applied to the window 121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unit 122 disposed inside the window 121. The control command recognized by the touch sensing unit 122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tent indicated by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amount controll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s to audio or video, the touch signal may act as an 'OK' for the amoun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크롤부(130)는 단말기(100)에 저장되거나 보여주는 각종 리스트에 대한 탐색이나 조절기능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스크롤부(1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롤부(130)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더불어 실행되고 있는 각 모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조작기능을 안내하기도 하고, 모드에 따른 명령 또는 입력작용을 담당할 수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scroll unit 130 facilitates a search or adjustment function for various lists stored or shown in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130, the usability of the scroll unit 130 may be improved, and each mode being executed together with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visually displayed. It may show or guide the operation function that can be adjusted by the scroll unit 130, it may be responsible for the command or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의하면, 스크롤부(230)는 단말기 바디(201)의 표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터치휠(2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액츄에이터(240)는 터치휠(231)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232) 및 터치휠(23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터치휠의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부(236)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croll unit 230 includes a touch wheel 231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201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actuator 240 touches the touch wheel 231. Rotation sensing unit 232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and the switch unit 236 is disposed in a plurality of plac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uch wheel 231 is operated by pressing the touch wheel.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휠(231)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로 손가락을 터치휠(231)을 따라 회전시키면 회전감지부(232)는 손가락의 접촉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방향 이동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finger along the touch wheel 231 while the user makes contact with the finger on the touch wheel 231, the rotation detecting unit 232 detects a change i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and recognizes it as a direction movement signal. .

터치휠(231)의 내부에는 투광성의 윈도우(221), 터치감지부(222), 디스플레이(223) 등으로 이루어진 제2디스플레이 유닛(220)이 구비된다. 따라서, 터치휠(231)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이 있으면, 디스플레이(223)에 의하여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도 그에 맞게 변화된다.Inside the touch wheel 231, a second display unit 220 including a transmissive window 221, a touch sensing unit 222, a display 223, and the like is provided. Therefore, when there is a rota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touch wheel 231,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output by the display 223 is also changed accordingly.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4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4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터치휠 또는 회전휠(331)의 주위에는 별도의 조작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360)는 커버(302)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키부(361)와, 각 키부(3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부(362)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360)는 터치방식 또는 푸시방식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다. 도 4에서 스위치부(362)는 키부(36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수단이 갖추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362)는 인쇄기판(35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a separate operation unit 360 may be provided around the touch wheel or the rotation wheel 331. The operation unit 3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parts 361 provided in the cover 302, and a switch part 362 disposed inside each of the key parts 361. The operation unit 360 may be input by a touch method or a push method. In FIG. 4, the switch unit 362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ouch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key unit 361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switch 362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50.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400)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430)와, 제2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배치되며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420)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ortable terminal 400 includes a scroll unit 430 operated in a first form, and a second display unit 420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operate in a second form and outputting second visual information. ) Is included.

제2디스플레이 유닛(420)은 스크롤부(430)의 중심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광성의 버튼(421) 및 버튼(421)의 일측에 구비되며 버튼(421)의 눌림에 따라 동작되는 스위치부(422)를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4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tton 421 and the light-transmitting button 421 tha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croll portion 430 and the switch 421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of the button 421 ( 422).

버튼(422)은 일측에 힌지 또는 피봇 축(42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버튼(422)의 중심부는 내부의 디스플레이(423)의 화면이 보이도록 윈도우로서 작용하고 있다. The button 422 is supported by a hinge or pivot axis 426 on one side, and the center of the button 422 acts as a window so that the screen of the display 423 is visible.

이에 따라, 버튼(421)에 대해 푸시가 있는 경우, 그 모드에 맞는 명령이 수행된다. Accordingly, when there is a push on the button 421,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de is per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의 전면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500)는 제1바디(501)와, 제1바디(501)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505)를 포함한다. The mobile terminal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501 and a second body 505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501.

제1바디(501)가 제2바디(5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501)가 제2바디(5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501 is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body 505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ody 501 may be a second body 505. The exposed stat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N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5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Although the mobile terminal 5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a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5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바디(5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501 is formed by the front case 506 and the rear case 507.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506 and the rear case 507.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506 and the rear case 507.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501),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506)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 음향출력부(571), 제1영상입력부(572), 제1조작부(5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부(53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501, specifically, the front case 506 has a first display unit 510, an audio output unit 571, a first image input unit 572, a first manipulation unit 560, and The scroll unit 53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5200 may be disposed, respectively.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first display unit 5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unit 51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음향출력부(571)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57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제1영상입력부(572)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제1바디(501)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508)와 리어 케이스(509)가 제2바디(505)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Like the first body 501, the front case 508 and the rear case 509 may form a case of the second body 505.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의 하부에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530)가 구비된다. 스크롤부(530)의 중심에는 제2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이 구비된다. 스크롤부(530)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들이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510 is provided with a scroll unit 530 operated in the first form. A second display unit 5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530 to be manipulated in a second form and outputs second visual information. The scroll unit 53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520 may include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제2바디(505),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508)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57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573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05, specifically, the front case 508.

프론트 케이스(508) 또는 리어 케이스(509)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 부(576), 제1음향입력부(574), 외부 인터페이스(577)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576, the first sound input unit 574, and the external interface 577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508 and the rear case 509.

제1 내지 제3 조작부(560,573,576)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560, 573, and 576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that can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a touch pad, a wheel that rotates keys, a jog method,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56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57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operation unit 560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573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조작부(583)는 제1영상입력부(572)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anipulation unit 583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제1음향입력부(57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input unit 57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microphon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external interface 577 is a passage that enables the mobil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external interface 577 may be wired or wirelessly, and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 wireless Lan port) or the like,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500. The external interface 577 may be a card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리어 케이스(509)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75)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57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rear case 509 side, a power supply unit 575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575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for example, as a rechargeable battery.

도 8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제2바디(505)의 리어 케이스(509)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58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583)는 제1영상입력부(572)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572)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second image input unit 583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ase 509 of the second body 505.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may be a camera hav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and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572)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58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has a low pixel so that it is easy to take a picture of a user's face and transmit it to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immediately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not transmitted in many cases.

제2영상입력부(58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584)와 거울부(585)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584)는 제2영상입력부(58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585)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58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flash 584 and the mirror unit 585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The flash 584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The mirror unit 585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user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리어 케이스(509)에는 제2음향출력부(58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부(582)는 제1음향출력부(57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582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rear case 509.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582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571,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리어 케이스(509)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581)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581)는 제2바디(5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rear case 509, an antenna 581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or the like. The antenna 58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505.

제1바디(501)의 리어 케이스(507) 측에는 제1바디(501)와 제2바디(5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580)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580)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505)의 프론트 케이스(508)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580 that slidably couples the first body 501 and the second body 505 to the rear case 507 side of the first body 501 is disposed.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58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case 508 side of the second body 505, and thus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drawing.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583) 등이 제2바디(5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583)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509)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501), 주로는 리어 케이스(507)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507)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5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583)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57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583)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is disposed on the second body 505,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in the rear case 509 such as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may be mounted to the first body 501, mainly the rear case 507. .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s) disposed on the rear case 507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505.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572 may be rotatably formed so that the image capturing direction o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583 may be taken.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portable terminal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 type shown in FIG. 7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wing type, and the like.

도 9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7.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591), 제1 내지 제3조작부(560,573,576), 영상입력부(572,583), 음향입력부(574),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 음향출력부(571,582), 센싱유닛(596), 외부 인터페이스(577), 방송수신 모듈(595), 메모리(594), 전원공급부(575), 제어부(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91, first to third manipulators 560, 573 and 576, image input units 572 and 583, sound input unit 574, first display unit 510 and sound output unit 571 and 582. And a sensing unit 596, an external interface 577,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595, a memory 594, a power supply unit 575, and a controller 590.

제어부(5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크롤부(53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5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normal function control, the controller 59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scroll unit 53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520 to implement a user interfa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통신 모듈(5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59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59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91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For examp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90, a transmission unit 593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ext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and modulates and transmi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the received signal. 592).

제1 내지 제3조작부(560,573,57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90)에 제공한다. 조작부(560,573,576)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된다.The first to third manipulators 560, 573, and 576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to provide the controller 590 with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560, 573, 576 are composed of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ive), and the like.

영상입력부(572,583)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으로 출력된다. 아울러 영상입력부(572,583)를 조작을 위한 기능 예를 들어, 줌인/줌아웃, 밝기/농도, 색상 등이 스크롤부(530)에 의하여 조절되는 경우 해당되는 시각적 그래픽 또는 숫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을 통하여 제2시각정보 형태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572 and 583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imag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displayable on the first display unit 510 and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510. In addition, when a function for manipulating the image input units 572 and 583, for example, zoom-in / zoom-out, brightness / concentration, color, and the like is adjusted by the scroll unit 530, the corresponding visual graphic or number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520 Through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form is output.

영상입력부(572,583)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9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59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572 and 583 are stored in the memory 594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9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91.

음향입력부(57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574)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의하여 그 강약을 볼 수 있도록 시각화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574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91 in the call mode, and then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ing mode, th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594.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sound input unit 574 may be visualiz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o view the strength and weakness.

음향입력부(57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574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 유 닛(51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의하여 보여주는 단말기(500)의 모드 또는 각 상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제어부(590)가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작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출력함으로써 멀티 태스킹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unit 51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 unit 590 outpu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outputs the capture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90. When the first display unit 51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first display unit 510 is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Modes or states of the terminal 500 shown by the first display unit 510 may be visually shown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520 may implement a multitasking function by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tasks that the control unit 590 processes at the same time.

음향출력부(571,58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may receive sound data or memory 594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9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9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nd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tored sound data is converted and outpu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출력부(571,582)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571,582)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음향출력부(571,582)에 의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는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조절되는 사운드의 크기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의하여 다양하게 시각화될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현재 음향출력부(571,582)에 적용되고 있는 음량의 크기를 나타내는가 하면, 각 주파수별로 출력되고 있는 음량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주는 이퀄라이저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may be adjusted by the scroll unit 130, and the size of the adjusted sound may be variously visualized by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at is, the second display unit 520 may function as an equalizer that shows the volume of the volume currently being applied to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and graphically shows the volume output for each frequency.

센싱유닛(5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5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공급부(575)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페이스(577)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센싱유닛(596)에 의하여 센싱되는 각종 신호 또는 정보의 입력상태 또는 출력상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596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s sensed and the sensing resul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59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575 is powered, whether the external interface 577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 input state or an output state of various signals or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596 may be output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외부 인터페이스(577)와의 접속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The external interface 577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by us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eg,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mobile terminal.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external devices. The external interface 577 receives data or pow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with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device. Information or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interface 577 may be visually shown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메모리(594)는 제어부(5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5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이 출력될 수 있는 제2시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5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memory 59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590, and provides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In addition, the memory 594 may store second visual information that may be output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mory 594 includes generally known concepts such as hard disks,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5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출력부(571,582),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5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드에 돌입하기 위한 안내, 수신전파의 신호의 세기, 채널의 안내, 음량의 조절 등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스크롤부(530)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95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broadcast data format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571 and 582 and the first display unit 510,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590. .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95 receives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broadcast (for example, an EPG (electric program guide), a channel list, etc.). The broadcast data and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59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594. The guide to enter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radio wave, the guide of the channel, the volume control can be visually shown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and can be manipulated by the scroll unit 530. have.

전원공급부(575)는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75)의 잔여 전원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75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9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575 may be visually output by the second display unit 520.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600)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10A to 10D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제1시각정보는 휴대 단말기(600)가 실행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610a)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 때 스크롤부(630)는 메뉴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스크롤부(630)를 조작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620b)를 조작시킬 스크롤부(630)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된 메뉴의 실행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에 대하여 터치 또는 푸시 동작을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디스플레이 유 닛(620)은 메뉴의 실행을 나타내는 'OK'표지(620a)를 출력한다.As illustrated in FIG. 10A, the first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610 may visually show a selectable list 610a that the portable terminal 600 can execute. In this case, the scroll unit 63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pointer with respect to the menu.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620 may display and display the mark 620b that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croll unit 630 can be opera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croll unit 630 to be operated. Execution of the selected menu is possible by performing a touch or push operation on the second display unit 620. To this end, the second display unit 620 outputs an 'OK' sign 620a indicating execution of the menu.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을 통하여 출력하는 제2시각정보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모드를 식별시키는 아이콘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620 may be an icon for identifying a mod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610.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은 그에 대한 제1시각정보(610b)를 보여주며,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아이콘(620b)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B,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first display unit 610 shows the first visual information 610b therefor, and the second display unit 620 displays the call. The received state can be shown in the form of an icon 620b.

아울러,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문자가 보내어져 왔을 때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그에 대한 메시지 수신상태를 아이콘 형태(610c, 620d)로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C, when a text has been sent from the other party, the first display unit 6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620 may show message reception states thereof in the form of icons 610c and 620d. have.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문자메시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보내는 모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제1시각정보(610d)를 보여주며,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제2시각정보(620d)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 10D, in the mode of sending a text message, a photo, or a video, the first display unit 610 shows the first visual information 610d indicating that it is transmitting, and the second display unit 620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620d is shown.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휴대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음악감상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11A to 11C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drawings, a case of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mobile terminal 700 is taken as an example.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을 통하여 출력하는 제2시각정보는 스크롤부(730)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거나 조절될 수 있는 화면(video), 음향(audio) 또는 방송 등의 상태량에 대한 수치 또는 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720 is a numerical value or graphic for a state amount such as a video, audio, or broadcast, which can be selected or adjusted by manipulation of the scroll unit 730. It may also include.

예를 들어, 도 11A는 음악파일(MP3, wav 파일 등)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로딩하는 경우이다. 제1디스플레이 유닛(710)을 통하여 안내 또는 설명(710a)을 보여주는 한편,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에서는 플레이어가 로딩중임을 그래픽(720a)에 의하여 보여주고 있다.For example, Fig. 11A shows a case of loading a player for playing music files (MP3, wav files, etc.). While the guide or description 710a is shown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710, the graphic 720a shows that the player is loading in the second display unit 720.

도 11B는 선택된 곡에 대한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 유닛(710)을 통하여 보여주는 한편, 그 곡에 대한 플레이버튼 또는 정지버튼(720c)을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에 할당한 경우이다. 이때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은 스크롤부(730)에 의하여 동작 가능한 기능을 그 위치와 함께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표지(720b)를 출력할 수 있다.FIG. 11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selected song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710, and a play button or a stop button 720c for the song is assign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720. 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unit 720 may output a function mark 720b that visually shows a function operable by the scroll unit 730 with its position.

도 11C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면서 음량을 조절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하여 그 음량을 그래픽(720d)에 의하여 보여 주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11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volume is adjusted while playing the multimedia file, and the volume is shown by the graphic 720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20.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800)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12A to 12E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800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1시각정보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상태 또는 스크롤부(830)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스크롤부(83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irst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8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In addition,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820 is disposed in proximity to the playback state of the selected content or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croll unit 830 and includes an item that can be adjusted by the scroll unit 830. can do.

즉, 도 12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810a)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을 통하여 리스트 업되면,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서는 스크롤부(830)를 통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820b)가 출력된다. 아 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자체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OK' 표지(820a)를 출력한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2A, when the multimedia file 810a is listed up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810, the second display unit 820 may move the pointer through the scroll unit 830. The front cover 820b indicating the direction is output.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820 outputs an 'OK' mark 820a to receive its own input.

도 12A의 상태에서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 'OK'입력이 발생하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에서는 선곡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810b)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도 12B).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스크롤부(830)를 통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820b) 및, 원하는 항목에 대한 플레이 또는 정지 표지(820c)를 출력한다.In the state of FIG. 12A, when the 'OK' input is generat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820, the first display unit 810 may output more detailed information 810b about the selected multimedia file (FIG. 12B). ).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820 outputs a mark 820b indica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pointer can be moved through the scroll unit 830, and a play or stop mark 820c for a desired item.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 대한 촉각적 입력이 있으면, 선곡된 곡은 플레이를 시작하게 되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은 선곡된 곡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형태로 출력한다(도 12C).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파일의 이동이나 빠른 플레이 등을 지시하는 스크롤부(830)의 해당 입력위치를 지시하는 표지(820d)를 출력할 수 있다.If there is a tactile input to the second display unit 820, the selected song starts playing, and the first display unit 810 output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ong in the form of text, a picture, or a video. (FIG. 12C).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820 may output a front cover 820d indicating a corresponding input position of the scroll unit 830 for moving a file or playing a file quickly.

도 1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곡된 곡의 가사(810d)는 스크롤부(830) 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의 입력을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으로 출력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2D, the lyrics 810d of the selected song may be out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810 through an input of the scroll unit 830 or the second display unit 820.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and its user interface may not be limited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in whole or in part in various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과는 별도의 유용한 시각정보를 출력해줌과 아울러 기능의 실현이나 조절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interface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outputs useful visual information separate from the first display unit, and also realizes or adjusts functions. Since it can be used as an input means for the use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이들은 스크롤 장치가 갖는 빠른 탐색과 액세스 및 보다 빨리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전달성이 있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점들을 살린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효용성이 높다.They are useful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 that they take advantage of the second display unit, which has fast navigation and access and faster information transfer that scroll devices have.

Claims (16)

단말기바디;Terminal body; 상기 단말기바디에 설치되어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A first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and outputting first visual information;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액츄에이터가 배치되며,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 및At least one first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unit, the scroll unit being operated in a first form; And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and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 second form and outputting second visu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크롤부는 단말기바디의 표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휠을 포함하고,The scroll unit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includes a rotating wheel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the hole,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The first actuator is, 상기 회전휠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1회전감지부; 및A first rota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rotation of the rotating wheel; And 상기 터치휠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휠의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1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first switch unit dispos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uch wheel and operated by pressing the rotating whe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otation detection unit, 상기 회전휠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휠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넷; 및A magnet fixed to the rotary wheel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ry wheel; And 상기 마그넷의 회전자취 상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magnetic sensor disposed on a rotating trace of the magnet and sensing a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스위치부 및 자기센서는 인쇄기판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And the first switch unit and the magnetic sensor are mounted on a printed boar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인쇄기판에는 상기 회전휠의 외측 부위에 가해지는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제2스위치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rinted board further comprises a second switch unit for detecting an input signal appli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rotary whee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2스위치부는 터치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second switch uni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perated in a touch man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크롤부는 단말기바디의 표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터치휠을 포함하고,The scroll unit is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includes a touch wheel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상기 제1액츄에이터는,The first actuator is, 상기 터치휠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회전감지부; 및A second rotation detecting unit detecting a rotation of a contact portion of a finger touched by the touch wheel; And 상기 터치휠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휠의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는 제3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nd a third switch unit dispos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uch wheel and operated by pressing the touch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윈도우;A translucent window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croll portion; 상기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A touch sensing unit disposed inside the window and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window; And 상기 터치감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disposed inside the touch sensing uni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터치감지부는 전도성의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touch sensing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a conductive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 유닛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광성의 버튼;A translucent button installed in a center of the scroll unit to be pushable; 상기 버튼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의 눌림에 따라 동작되는 제4스위치부; 및A fourth switch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utton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button; And 상기 버튼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 disposed inside the butt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버튼의 일단은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4스위치부를 누를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One end of the button is rotatably supported by a hinge, the other end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o be able to press the fourth switch. 단말기의 각 모드에 따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및A first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first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mode of the terminal; And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를 제1형태로 조작시키는 스크롤부; 및At least one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unit for manipulating the terminal in a first form; And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를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에 따른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in a second form and to output second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d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시각정보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출력되는 모드를 식별시키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includes an icon for identifying a mode outpu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시각정보는 상기 스크롤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거나 조절될 수 있는 화면(video), 음향(audio) 또는 방송 등의 상태량에 대한 수치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includes a numerical value or a graphic for a state amount of a video, audio, or broadcast, which can be selected or adjusted by manipulation of the scroll uni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시각정보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를 포함하고,The first visual information includes a selectable list, 상기 제2시각정보는 조작되어야 하는 상기 스크롤부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리스트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croll unit to be manipulated, and includes a direction mark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with respect to the lis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시각정보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The first visu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to be played back, 상기 제2시각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상태 또는 상기 스크롤부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스크롤부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아이템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nd the second visual information is arranged in proximity to a playback state of the content or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scroll unit, and includes an item which can be adjusted by the scroll unit.
KR1020070062428A 2007-06-12 2007-06-25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KR1014638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2007-06-25 2007-06-25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DE102007050177A DE102007050177B4 (en) 2007-06-12 2007-10-19 Input device, with such a equipped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TW096145217A TWI354916B (en) 2007-06-12 2007-11-28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12/098,872 US8358278B2 (en) 2007-06-12 2008-04-07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face thereof
MX2008007638A MX2008007638A (en) 2007-06-12 2008-06-11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fa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2007-06-25 2007-06-25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67A true KR20080113667A (en) 2008-12-31
KR101463806B1 KR101463806B1 (en) 2014-11-20

Family

ID=4037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2007-06-12 2007-06-25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80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en)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O2011146362A3 (en) * 2010-05-17 2012-01-19 Kelsey-Hayes Company Control dial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5081B2 (en) * 2003-05-08 2008-07-01 Nokia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having a rotator input device
KR100698139B1 (en) * 2004-07-29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and Key Inputing Device thereof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090A (en) * 2010-02-11 201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O2011146362A3 (en) * 2010-05-17 2012-01-19 Kelsey-Hayes Company Control dial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806B1 (en)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05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3909B1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8044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JP5727209B2 (en) Portable terminal
US9001151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during a video c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8043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250562A1 (en) Hand-held, mobile personal computing device/phone
KR102043150B1 (en) Mobile terminal
KR20090046618A (en) Portable terminal
KR20070070105A (en) Input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using method of contents data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KR20090073901A (en) Portable terminal
KR101398171B1 (en) Mobile terminal
KR101463806B1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JP2007202124A (en)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ing input unit, and content data brows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device
KR20100128441A (en) Method for dispalying menu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007242B1 (en) Mobile terminal
KR10153769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21477A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88983A (en) Portable terminal
KR101398137B1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34659A (en) Portable terminal
KR20090024457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KR10141347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13617B1 (en) Portable terminal
KR20150067919A (en) Mobile terminal and rear input unit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