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806B1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3806B1 KR101463806B1 KR1020070062428A KR20070062428A KR101463806B1 KR 101463806 B1 KR101463806 B1 KR 101463806B1 KR 1020070062428 A KR1020070062428 A KR 1020070062428A KR 20070062428 A KR20070062428 A KR 20070062428A KR 101463806 B1 KR101463806 B1 KR 101463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isplay unit
- portable terminal
- disposed
- scro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색이나 조작이 편리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롤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과는 별도의 유용한 시각정보를 출력해줌과 아울러 기능의 실현이나 조절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환경을 개선한다.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outputs useful visual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display unit.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croll unit, And can be utilized as an input means for realizing or controlling functions, thereby improving the use environme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단면을 보인 단면 사시도,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FIG. 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7,
도 9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7;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10A to 10D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11A to 11C are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12A to 12E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탐색이나 조작이 편리하도록 장착되는 스크롤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상대방과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f being able to carry and store information by using a user,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make a voice or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or a function of storing data.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또는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에 복합적으로 탑재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or broadcasting. Such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a multimedia device by being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각종 기능의 구현과 부품들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개성에 따른 선택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도 제안된다.For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functions and the operation of parts, the portable terminal requires sufficient support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there has been a continui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a mobile terminal in terms of usage. Also,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asy to select according to personalities while being regarded as a portable article is also proposed.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전통적인 키패드의 경우 많은 양의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키를 반복적으로 누름 또는 터치 조작을 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keypad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a plurality of keys must be repeatedly pressed or touched to retrieve a large amount of contents.
이를 위하여, 회전조작을 통하여 빠르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 또는 접근할 수 있도록 창안된 스크롤 장치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For this purpos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a user provides a convenient use environment by applying a scroll device, which is designed to quickly search or access desired information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o a mobile terminal.
이러한 스크롤 장치의 중심에는 해당 항목을 선택하거나 실행시키기 위한 확인키가 배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확인키는 오로지 입력작용만을 담당하므로 단조로울 수 있는 단점이 있다.At the center of such a scroll device, an OK key for selecting or executing the item is placed. However, such a confirmation key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be monotone because it only takes an input ac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탐색이나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작부로 사용되는 스크롤 장치에 곁들여지는 조작부의 사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e environment for a user by enhancing the usability of a control unit attached to a scroll device used as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a mobile terminal or controlling funct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롤 장치의 중심에 조작을 위한 부분과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둠으로써 스크롤 장치의 사용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scroll device by providing a portion for operating and a means for outputting time information at the center of the scroll devic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시각정보를 다변화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하도록 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apt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to a multimedia environmen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바디; 단말기바디에 설 치되어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제1액츄에이터가 배치되며,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 및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isplay unit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and outputting first time information; At least one first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member, the scroll member being operated in a first mode;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and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 second mode and outputting second time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각 모드에 따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를 제1형태로 조작시키는 스크롤부; 및 상기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를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에 따른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for outputting first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mode of a terminal; At least one actuator disposed around the scroll unit to operate the terminal in the first mode; And a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for operating the terminal in the second mode and outputting second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d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nd an interface there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 스크롤부(130),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은 Z방향을 말하며, 상방은 Y방향을 말한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단말기 바디(101)의 상부에는 시스템의 알림음이나 통화음 등의 음향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The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모드에 따른 제1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키패드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을 보여 주거나, 단말기의 사용상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의 상태, 또는 카메라 장치의 뷰파인더가 될 수 있다.The
스크롤부(130)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스크롤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탐색이나 각종 기능의 조절을 위한 조작장치로 사용된다. The
스크롤부(130)를 조작시킬 수 있는 방식인 제1형태는 여러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하·좌·우 4방향의 키를 둘레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해당하는 키가 동작됨에 따라 그 방향으로 한 단위(單位)만큼 이동시키도록 하는 구현방식이 가능하다. 나아가, 스크롤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그 회전수단의 회전되는 방향이나 속도에 의하여 해당 항목으로 커서나 포인터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롤부(130)는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바디의 표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터치휠을 구비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터치휠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 manner in which the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되어 있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스크롤부(130)와 동일하거나 다른 제2형태로 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2형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조작하는 방식 등을 말한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변경가능한 제2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검색된 항목을 '선택(select)'하거나 '실행(enter)'을 할 수 있는 조작부(manipulator)로서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를 누르거나 터치를 함으로써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은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외측에는 스크롤부(13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102a)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102) 및, 커버(102)가 안착되며 커버(102)를 지지하는 프레임(103)이 구비된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스크롤부(130)는 단말기 바디(101)의 표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전휠(131)을 포함하고 있다. 스크롤부(130)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액츄에이터(1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액츄에이터(140)는 스위치부(136)와 회전감지부(132)를 포함한다.The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투광성의 윈도우(121)가 배치된다. 윈도우(121)는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2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
윈도우(121)의 하측에는 터치감지부(122), 돔시트(135), 인쇄기판(150), 지지부재(104), 디스플레이(123) 등이 차례로 적층되어 조립체를 이루고 있다.A
터치감지부(122)는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일측에 인쇄기판(150)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122a)이 포함되어 있다. 터치감 지부(122)는 투광성이 있는 전도성의 필름,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um-Tin Oxide;ITO)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The
터치감지부(122)는 윈도우(12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방식에 따라 압력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방식 등에 맞게 그 수는 조절될 수 있다. The
돔시트(135)는 접점(138)을 덮을 수 있는 금속돔(metal dome;137)이 수지시트(plastic sheet)에 부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접점(138)은 인쇄기판(150)의 관통홀(150a) 주위에 복수 개로 배치된다. 금속돔(137)과 접점(138)은 스크롤부(130)의 스위치부(136)를 이룬다.The
이에 따라 회전휠(131)을 누르면, 누른 부위에 대응되는 금속돔(137)이 눌리면서 접점(138) 사이를 연결시켜 통전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인쇄기판(150)의 관통홀(150a) 주위에는 회전휠(131)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32)가 구비된다. 도 2에 의하면, 회전감지부(132)는 회전휠(131)에 고정되어 회전휠(131)과 함께 회전되는 마그넷(133)과, 마그넷(133)의 회전자취 상에 배치되며 마그넷(133)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13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휠(131)이 회전되면, 마그넷(133)도 함께 회전되고, 자기센서(134)는 마그넷(133)의 자기장이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와지는 것을 감지하여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자기센서(134)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을 결정하고, 마 그넷(133)이 통과되는 횟수를 합하여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량을 결정하게 된다.A
이외에도 회전휠(131)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는 발광수단과 발광수단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rotation of the
스크롤부(130)의 중심에는 제2형태로 조작시킬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이 구비된다.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투광성의 윈도우(121)과 윈도우(1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122) 및, 터치감지부(122)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23)를 구비한다.A
도 2를 통하여 이와 같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쇄기판(150) 및 지지부재(104)의 내부에는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3)가 구비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일군(一群)의 발광다이오드(LE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2, a
디스플레이(123)로부터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는 회전휠(131)의 관통홀(131a)에 의하여 제한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The second tim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윈도우(121)에 가해지는 터치는 윈도우(121)의 내측에 배치되는 터치감지부(122)에 의하여 감지된다. 터치감지부(122)에 의하여 인식되는 제어명령은 제2시각정보에 의하여 지시되는 내용에 따라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의하여 조절되는 양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관한 것이면 터치신호는 그 양에 대한 'OK'로 작용할 수 있다. The touch applied to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스크롤부(130)는 단말기(100)에 저장되거나 보여주는 각종 리스트에 대한 탐색이나 조절기능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스크롤부(130)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롤부(130)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더불어 실행되고 있는 각 모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조작기능을 안내하기도 하고, 모드에 따른 명령 또는 입력작용을 담당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의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도 3에 의하면, 스크롤부(230)는 단말기 바디(201)의 표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며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터치휠(231)을 포함하고 있으며, 액츄에이터(240)는 터치휠(231)에 터치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부(232) 및 터치휠(23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터치휠의 누름에 의하여 동작되는 스위치부(236)를 포함하고 있다.3, the
이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휠(231)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로 손가락을 터치휠(231)을 따라 회전시키면 회전감지부(232)는 손가락의 접촉위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방향 이동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finger along the
터치휠(231)의 내부에는 투광성의 윈도우(221), 터치감지부(222), 디스플레이(223) 등으로 이루어진 제2디스플레이 유닛(220)이 구비된다. 따라서, 터치휠(231)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접촉부위의 회전이 있으면, 디스플레이(223)에 의하여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도 그에 맞게 변화된다.A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4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터치휠 또는 회전휠(331)의 주위에는 별도의 조작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360)는 커버(302)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키부(361)와, 각 키부(361)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치부(362)를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360)는 터치방식 또는 푸시방식에 의한 입력이 가능하다. 도 4에서 스위치부(362)는 키부(36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수단이 갖추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362)는 인쇄기판(35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a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의 조립 단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400)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430)와, 제2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배치되며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420)을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제2디스플레이 유닛(420)은 스크롤부(430)의 중심에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광성의 버튼(421) 및 버튼(421)의 일측에 구비되며 버튼(421)의 눌림에 따라 동작되는 스위치부(422)를 포함하고 있다.The
버튼(421)은 일측에 힌지 또는 피봇 축(426)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버튼(421)의 중심부는 내부의 디스플레이(423)의 화면이 보이도록 윈도우로서 작용하고 있다. The
이에 따라, 버튼(421)에 대해 푸시가 있는 경우, 그 모드에 맞는 명령이 수행된다. Accordingly, when there is a push to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의 전면 사시도이다.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500)는 제1바디(501)와, 제1바디(501)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505)를 포함한다. The
제1바디(501)가 제2바디(5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501)가 제2바디(5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in which the
휴대 단말기(5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5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제1바디(501)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프론트 케이스(506)와 리어 케이스(507)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제1바디(501),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506)에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 음향출력부(571), 제1영상입력부(572), 제1조작부(56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부(53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음향출력부(571)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영상입력부(572)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제1바디(501)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508)와 리어 케이스(509)가 제2바디(505)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의 하부에는 제1형태로 조작되는 스크롤부(530)가 구비된다. 스크롤부(530)의 중심에는 제2형태로 조작될 수 있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2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이 구비된다. 스크롤부(530)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들이 포함할 수 있다.The
제2바디(505),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508)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57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프론트 케이스(508) 또는 리어 케이스(509)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 부(576), 제1음향입력부(574), 외부 인터페이스(577)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내지 제3 조작부(560,573,576)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to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56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57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terms of functions, the
또한, 제3조작부(583)는 제1영상입력부(572)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Also, the
제1음향입력부(574)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휴대 단말기(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리어 케이스(509)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75)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57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
도 8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제2바디(505)의 리어 케이스(509)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583)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583)는 제1영상입력부(572)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572)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second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572)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583)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제2영상입력부(583)에 인접하게는 플래쉬(584)와 거울부(585)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584)는 제2영상입력부(58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585)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583)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리어 케이스(509)에는 제2음향출력부(58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부(582)는 제1음향출력부(571)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nd the second
리어 케이스(509)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581)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581)는 제2바디(505)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제1바디(501)의 리어 케이스(507) 측에는 제1바디(501)와 제2바디(5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580)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580)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505)의 프론트 케이스(508)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A portion of the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583) 등이 제2바디(5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583)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509)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501), 주로는 리어 케이스(507)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507)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5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583)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57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583)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500)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타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The
도 9는 도 7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7. FIG.
도시된 본 발명의 일예는 무선통신 모듈(591), 제1 내지 제3조작부(560,573,576), 영상입력부(572,583), 음향입력부(574),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 음향출력부(571,582), 센싱유닛(596), 외부 인터페이스(577), 방송수신 모듈(595), 메모리(594), 전원공급부(575), 제어부(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제어부(5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스크롤부(53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무선통신 모듈(5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59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592)를 포함한다.The
제1 내지 제3조작부(560,573,57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90)에 제공한다. 조작부(560,573,576)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된다.The first to
영상입력부(572,583)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으로 출력된다. 아울러 영상입력부(572,583)를 조작을 위한 기능 예를 들어, 줌인/줌아웃, 밝기/농도, 색상 등이 스크롤부(530)에 의하여 조절되는 경우 해당되는 시각적 그래픽 또는 숫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을 통하여 제2시각정보 형태로 출력된다.The
영상입력부(572,583)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9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59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음향입력부(57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9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574)에서 입력되는 음향신호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의하여 그 강약을 볼 수 있도록 시각화될 수 있다.The
음향입력부(57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은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 유 닛(510)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의하여 보여주는 단말기(500)의 모드 또는 각 상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제어부(590)가 동시에 처리하고 있는 작업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출력함으로써 멀티 태스킹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음향출력부(571,58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The
또한, 음향출력부(571,582)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부(571,582)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Also, the
음향출력부(571,582)에 의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는 스크롤부(130)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조절되는 사운드의 크기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에 의하여 다양하게 시각화될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은 현재 음향출력부(571,582)에 적용되고 있는 음량의 크기를 나타내는가 하면, 각 주파수별로 출력되고 있는 음량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주는 이퀄라이저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magnitude of the sound output by the
센싱유닛(59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5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공급부(575)의 전원 공급 여부, 외부 인터페이스(577)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센싱유닛(596)에 의하여 센싱되는 각종 신호 또는 정보의 입력상태 또는 출력상태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The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57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외부 인터페이스(577)와의 접속에 의하여 송수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The
메모리(594)는 제어부(5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5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이 출력될 수 있는 제2시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5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방송수신 모듈(5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출력부(571,582), 제1디스플레이 유닛(51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5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방송수신 모드에 돌입하기 위한 안내, 수신전파의 신호의 세기, 채널의 안내, 음량의 조절 등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며, 스크롤부(530)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The
전원공급부(575)는 제어부(5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75)의 잔여 전원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52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The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600)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10A to 10D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제1시각정보는 휴대 단말기(600)가 실행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610a)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이 때 스크롤부(630)는 메뉴에 대한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스크롤부(630)를 조작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620b)를 조작시킬 스크롤부(630)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된 메뉴의 실행은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에 대하여 터치 또는 푸시 동작을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2디스플레이 유 닛(620)은 메뉴의 실행을 나타내는 'OK'표지(620a)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10A, the first tim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을 통하여 출력하는 제2시각정보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에서 출력되는 모드를 식별시키는 아이콘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tim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은 그에 대한 제1시각정보(610b)를 보여주며,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아이콘(620b)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B, when a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e
아울러,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방으로부터 문자가 보내어져 왔을 때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 및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그에 대한 메시지 수신상태를 아이콘 형태(610c, 620d)로 보여줄 수 있다.10C, when a character is sent from the other party, the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문자메시지, 사진, 또는 동영상을 보내는 모드에서는 제1디스플레이 유닛(610)은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제1시각정보(610d)를 보여주며, 제2디스플레이 유닛(620)은 제2시각정보(620d)를 보여준다.10D, the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휴대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음악감상을 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11A to 11C are front views showing operation state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figures, the case where music listening is performed using the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을 통하여 출력하는 제2시각정보는 스크롤부(730)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거나 조절될 수 있는 화면(video), 음향(audio) 또는 방송 등의 상태량에 대한 수치 또는 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tim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예를 들어, 도 11A는 음악파일(MP3, wav 파일 등)을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로딩하는 경우이다. 제1디스플레이 유닛(710)을 통하여 안내 또는 설명(710a)을 보여주는 한편,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에서는 플레이어가 로딩중임을 그래픽(720a)에 의하여 보여주고 있다.For example, FIG. 11A shows a case of loading a player for playing a music file (MP3, wav file, etc.). Shows a guide or
도 11B는 선택된 곡에 대한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 유닛(710)을 통하여 보여주는 한편, 그 곡에 대한 플레이버튼 또는 정지버튼(720c)을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에 할당한 경우이다. 이때 제2디스플레이 유닛(720)은 스크롤부(730)에 의하여 동작 가능한 기능을 그 위치와 함께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능표지(720b)를 출력할 수 있다.11B shows a case wher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 is displayed through the
도 11C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면서 음량을 조절하는 경우, 제2디스플레이 유닛(120)을 통하여 그 음량을 그래픽(720d)에 의하여 보여 주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11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volume is regenerated through the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800)의 조작상태를 보인 전면도이다. 12A to 12E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1시각정보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을 통하여 출력되는 제2시각정보는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상태 또는 스크롤부(830)의 해당 위치에 근접하여 배치되며 스크롤부(830)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irst tim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즉, 도 12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멀티미디어 파일(810a)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을 통하여 리스트 업되면,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서는 스크롤부(830)를 통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820b)가 출력된다. 아 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자체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OK' 표지(820a)를 출력한다.12A, when the
도 12A의 상태에서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 'OK'입력이 발생하면,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에서는 선곡된 멀티미디어 파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810b)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도 12B).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스크롤부(830)를 통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820b) 및, 원하는 항목에 대한 플레이 또는 정지 표지(820c)를 출력한다.When 'OK' is input to the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에 대한 촉각적 입력이 있으면, 선곡된 곡은 플레이를 시작하게 되고,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은 선곡된 곡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형태로 출력한다(도 12C). 아울러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은 파일의 이동이나 빠른 플레이 등을 지시하는 스크롤부(830)의 해당 입력위치를 지시하는 표지(820d)를 출력할 수 있다.If there is a tactile input to the
도 1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곡된 곡의 가사(810d)는 스크롤부(830) 또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820)의 입력을 통하여 제1디스플레이 유닛(810)으로 출력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and its user interfac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And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스크롤부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디스플레이 유닛과는 별도의 유용한 시각정보를 출력해줌과 아울러 기능의 실현이나 조절을 위한 입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play uni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croll unit outputs useful visual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environment.
이들은 스크롤 장치가 갖는 빠른 탐색과 액세스 및 보다 빨리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전달성이 있는 제2디스플레이 유닛의 장점들을 살린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효용성이 높다.They are very useful in multimedia environments in that they take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with fast retrieval and access of the scroll device and information transfer that can be recognized faster.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 2007-06-25 | 2007-06-25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DE102007050177A DE102007050177B4 (en) | 2007-06-12 | 2007-10-19 | Input device, with such a equipped mobi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TW096145217A TWI354916B (en) | 2007-06-12 | 2007-11-28 |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
US12/098,872 US8358278B2 (en) | 2007-06-12 | 2008-04-07 |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face thereof |
MX2008007638A MX2008007638A (en) | 2007-06-12 | 2008-06-11 |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fa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 2007-06-25 | 2007-06-25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3667A KR20080113667A (en) | 2008-12-31 |
KR101463806B1 true KR101463806B1 (en) | 2014-11-20 |
Family
ID=4037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2428A KR101463806B1 (en) | 2007-06-12 | 2007-06-25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38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9646B1 (en) * | 2010-02-11 | 2016-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KR101521690B1 (en) * | 2010-05-17 | 2015-05-19 | 켈시-헤이즈 컴파니 | Control dial method and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9906A (en) * | 2003-05-08 | 2006-02-0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A mobile telephone having a rotator input device |
KR20060011170A (en) * | 2004-07-29 | 2006-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key inpu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at |
-
2007
- 2007-06-25 KR KR1020070062428A patent/KR10146380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9906A (en) * | 2003-05-08 | 2006-02-01 | 노키아 코포레이션 | A mobile telephone having a rotator input device |
KR20060011170A (en) * | 2004-07-29 | 2006-0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key input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13667A (en) | 2008-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56062B2 (en) | Mobile terminal | |
US8280446B2 (en) |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 |
US9167059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8467833B2 (en) | Mobile terminal | |
US20110014956A1 (en) | Watch type mobile terminal | |
US8358278B2 (en) |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user interface thereof | |
JP5727209B2 (en) | Portable terminal | |
CN104427129B (en) | The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obile terminal | |
US20050250562A1 (en) | Hand-held, mobile personal computing device/phone | |
CN1792080A (en) | Keypa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090073901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398171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463806B1 (en) |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 |
KR101610206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57355B1 (en) | Mobile terminal and web brows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2010012580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437972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200724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39813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17081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09872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1347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51361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74437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415767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