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491A -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 Google Patents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491A
KR20080113491A KR1020070062027A KR20070062027A KR20080113491A KR 20080113491 A KR20080113491 A KR 20080113491A KR 1020070062027 A KR1020070062027 A KR 1020070062027A KR 20070062027 A KR20070062027 A KR 20070062027A KR 20080113491 A KR20080113491 A KR 2008011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erminal
optical
optical sign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1508B1 (ko
Inventor
변재오
서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to KR1020070062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508B1/ko
Priority to US12/516,932 priority patent/US8254784B2/en
Priority to PCT/KR2007/005783 priority patent/WO2009001993A1/en
Publication of KR2008011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3WDM arrangements
    • H04J14/0305WDM arrangements in e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 Waveleng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입 잠김형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모두 출력하는 주입 광원으로부터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하나의 광 단자로 모두 수신하여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중앙 기지국 측의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원격 노드 측의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한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WDM-PON

Description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LIGHT SOURCE DISTRIBUTOR FOR USE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형 광섬유 파장 결합/분리기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 Waveleng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입 잠김형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는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고유의 파장을 이용하여 초고속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를 해당 가입자만 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우수하고, 각 가입자 별로 별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용량의 확대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DFB-LD(Distributed Feedback-Laser Diode) 소자를 사용하여 중앙 기지국(CO: Central Office)과 가입자 장치(subscriber terminal)들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WDM-PON을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DFB-LD 소자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복잡한 온도 제어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가의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에 비간섭성 광원을 주입하여 파장 잠김을 유도하고, 그것에 의해 WDM 광신호를 구현하는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이용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더 넓은 전송 대역 폭을 위해서 는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에 주입 광원을 인가하고 RSOA의 전류를 변조시켜, 파장 고정된 광신호를 얻어 WDM 신호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FP-LD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의 개략적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는 중앙 기지국(110)과 가입자 장치(130), 중앙 기지국(110)과 각각의 가입자 장치(130)를 연결하는 원격 노드(120) 및 광 케이블(140)을 포함한다.
중앙 기지국(110)은 A 대역 주입 광원(111), B 대역 주입 광원(112), 광원 분배기(113),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 및 송/수신기(115)를 포함한다.
원격 노드(120)는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를 포함하고, 광 가입자 장치(130)는 송/수신기(131)를 포함한다.
A 대역 주입 광원(111)은 하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A 대역 광신호를 위한 주입 광원으로 제공하며,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된다. A 대역 주입 광원(111)은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113)로 제공한다.
B 대역 주입 광원(112)은 상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B 대역 광신호를 위한 주입 광원으로 제공하며, A 대역 주입 광원(111)과 마찬가지로 주로 비간섭성 광원이 사용된다. B 대역 주입 광원(112)은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 기(113)로 전달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A 대역 주입 광원(111)으로부터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전달받아 원격 노드(120)와 연결된 광 케이블(140)로 전송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B 대역 주입 광원(112)으로부터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 케이블(140)을 통해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전달받아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달한다.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A 대역 광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중앙 기지국의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주입시킨다.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는,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 Arrayed Waveguide Grating)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115)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Fabry Perot Laser Diode)가 사용되며, 각 가입자들에게 전송할 하향 광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가 출력된다.
송/수신기(115)의 수신기는 가입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전달 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B 대역 광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가입자 장치(130)의 송/수신기(131)로 주입시킨다.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121)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가 사용되며, 중앙 기지국으로 전송할 상향 광신호를 생성한다.
자세하게는, 송/수신기(121)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B 대역 광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가 출력된다.
송/수신기(131)의 수신기는 중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A 대역 주입 광원(111)을 입력으로 받아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의 공 통 단자로 출력하고, B 대역 주입 광원(112)을 입력으로 받아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원격 노드(120)로 향하는 광 케이블(140)로 출력하고, 중앙 기지국(110)의 송/수신기(115)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하향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광케이블(140)로 전송하고, 가입자 장치(130)의 송/수신기(131)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상향 광신호를 최저의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의 공통 단자로 전송할 수 있는 광원 분배기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주입 광원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에게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 Waveleng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에 사용되는 광원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A 대역 주입 광원을 입력으로 받아 중앙 기지국의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출력하고, B 대역 주입 광원을 입력으로 받아 원격 노드 측 광 케이블로 출력하고, 중앙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하향 광신호를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가입자 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상향 광신호를 중앙 기지국의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할 수 있는 광원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입 광원은 A와 B대역 각각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A/B 파장 영역이 C/L 밴드와 같이 두 파장 밴드가 가까이 존재하는 경우에 보다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하나의 주입광원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하나의 모듈에서 A/B 대역이 동시에 출력되는 주입 광원에 최적화된 광원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WDM-PON: Waveleng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의 광원 분배기는 주입 광원으로부터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하나의 단자로 함께 수신하여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중앙 기지국 측의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지역 분배 노드 측의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상기 주입 광원으로부터 하나의 단자로 함께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투과시키고,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반사시키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A 대역 단자 또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는 상기 A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출력되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A 대역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B 대역 단자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1번 단자, 2번 단자 및 3번 단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1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2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2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3번 단자로 출력하는 제 1 광 서큘레이터 및 제 2 광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1번 단자는 상기 주입 광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3번 단자는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1번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3번 단자는 상기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의 B 대역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A 대역 단자 또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는 상기 A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출력되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와, 1번 단자, 2번 단자, 3번 단자 및 4번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1번 단자로 입력된 광원은 상기 2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2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3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3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4번 단자로 출력하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번 단자는 상기 주입 광원과 연결되고,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3번 단자는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4번 단자는 상기 B 대역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A 대역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로는 용융형 광섬유 파장 결합/분리기가 사용될 수 있고, 박막형 필터를 일정한 각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킨 3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박막형 필터를 광신호 경로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2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원 분배기(200)는 제 1 광 서큘레이터(Circulator, 210),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230) 및 제 2 광 서큘레이터(240)를 포함한다.
주입 광원(700)은 하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A 대역 광신호와 상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B 대역 광신호의 생성을 위한 주입 광원을 모두 생성하며,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되며 설계에 따라서는 간섭성(coherent) 광원도 사용되어 진다. 주입 광원(700)은 A 대역과 B 대역의 광신호를 광원 분배기(200)의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1번 단자로 출력한다.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1번 단자는 주입 광원(700)과 연결되고, 2번 단자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와 연결되며, 3번 단자는 제 2 광 서큘 레이터(240)의 1번 단자와 연결된다.
제 1 광 서큘레이터(210)는 1번 단자를 통해 주입 광원(700)으로부터 A 대역 광신호와 B 대역 광신호를 수신하여 2번 단자와 연결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로 전달한다. 또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로부터 반사된 B 대역 광신호를 2번 단자로 입력 받아 3번 단자로 출력하여, 제 2 광 서큘레이터(240)의 1번 단자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광 서큘레이터(210)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를 2번 단자로 입력 받아 3번 단자로 출력하여, 제 2 광 서큘레이터(240)의 1번 단자로 전달한다.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는 A 대역 광신호는 투과시키고, B 대역 광신호는 반사시킨다. 따라서,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2번 단자로부터 A대역과 B 대역의 광신호를 전달 받아, A 대역 광신호를 투과시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의 A 대역 단자로 전달하고, B 대역 광신호를 반사시켜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2번 단자로 전달한다.
또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를 투과시켜,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2번 단자로 전달한다.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는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A 대역 단자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와 연결되고, B 대역 단자는 제 2 광 서큘레이터(240)의 3번 단자와 연결되며, 공통 대 역 단자는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미도시)와 연결된다.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는 A 대역 단자 또는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를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하고,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를 A 대역 단자로 출력하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를 B 대역 단자로 출력한다.
따라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는 A 대역 단자를 통해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로부터 A 대역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된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는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를 공통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와 연결된 A 대역 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는 제 2 광 서큘레이터(240)의 3번 단자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B 대역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된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한다.
제 2 광 서큘레이터(240)의 1번 단자는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3번 단자와 연결되고, 2번 단자는 원격 노드(미도시)로 향하는 광 케이블과 연결되며, 3번 단자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의 B 대역 단자와 연결된다.
제 2 광 서큘레이터(240)는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3번 단자로부터 출력된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1번 단자로 입력 받아 2번 단자로 출력하여, 원격 노드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광 서큘레이터(240)는 제 1 광 서큘레이터(210)의 3번 단자로부터 출력된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를 1번 단자로 입력 받아 2번 단자로 출력하여, 원격 노드로 전달한다.
또한, 제 2 광 서큘레이터(240)는 원격 노드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2번 단자로 입력 받아 3번 단자로 출력하여,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의 B 대역 단자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및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모두 생성하는 하나의 주입 광원(700)과, 2개의 3 단자 광 서큘레이터(210, 240),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220) 및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230)를 사용하여,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갖는 주입 잠김형 WDM-PON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주입 광원(700)으로부터 생성된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하고, 동일한 주입 광원(700)으로부터 생성된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원격 노드로 향하는 광 케이블로 출력하고, 중앙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하향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가입자 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상향 광신호를 최저의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원 분배기(300)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 및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를 포함한다.
주입 광원(800)은 하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A 대역 광신호와 상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B 대역 광신호의 생성을 위한 주입 광원을 모두 생성하며,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되며 설계에 따라서는 간섭성(coherent) 광원도 사용되어 진다. 주입 광원(800)은 A 대역과 B 대역의 주입 광신호를 광원 분배기(300)의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의 1번 단자로 출력한다.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의 1번 단자는 주입 광원(800)과 연결되고, 2번 단자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와 연결되며, 3번 단자는 원격 노드(미도시)로 연결되며, 4번 단자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의 B 대역 단자로 연결된다.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는 주입 광원(800)으로부터 생성된 A 대역 주입 광신호와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1번 단자로 입력 받고, 2번 단자로 출력하여,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로 전달한다.
또한,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로부터 반사된 B 대역 주입 광신호 또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로부터 투과된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를 2번 단자로 입력 받고 3번 단자로 출력하여, 원격 노드로 전달한다.
또한,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는 원격 노드로부터 전달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3번 단자로 입력 받고 4번 단자로 출력하여,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의 B 대역 단자로 전달한다.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는 A 대역 광신호는 투과시키고, B 대역 광신호는 반사시킨다. 따라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20)의 2번 단자로부터 A 대역과 B 대역의 주입 광신호를 전달 받아,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투과시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의 A 대역 단자로 전달하고,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반사시켜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20)의 2번 단자로 전달한다.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는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A 대역 단자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와 연결되고, B 대역 단자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의 4번 단자와 연결되며, 공통 대역 단자는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미도시)와 연결된다.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는 A 대역 단자 또는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를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하고,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를 A 대역 단자로 출력하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를 B 대역 단자로 출력한다.
따라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로부터 전달된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A 대역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달한다.
또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는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공통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A 대역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로 전달한다.
또한,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의 4번 단자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B 대역 단자를 통해 수신하여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및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모두 생성하는 하나의 주입 광원(800)과, 1개의 4 단자 광 서큘레이터(310),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320) 및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 (330)를 사용하여,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갖는 주입 잠김형 WDM-PON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주입 광원(800)으로부터 생성된 A 대역 주입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출력하고, 동일한 주입 광원(800)으로부터 생성된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원격 노드로 향하는 광 케이블로 출력하고, 중앙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하향 광신호를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가입자 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상향 광신호를 최저의 손실을 가지고 중앙 기지국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의 공통 단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형 광섬유 파장 결합/분리기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4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용융형 광섬유 파장 결합/분리기(411)는 A 대역과 B 대역이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일반적으로 수십 nm 이상)에 두 파장 대역을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해 저가로 구현 가능한 장치이다. 이러한 소자는 일반적으로 3개의 광학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림과 같이 공통 대역 단자(412), A 대역 단자(413), B 대역 단자(4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자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포트를 지니는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41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면과 같이 B 대역 단자(414)의 일단에 반사 거울(415)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반사 거울(415)은 B 대역 단자(414)의 광섬유의 끝단을 반사 코팅 처리해서 구현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상용 반사 거울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A 대역 광신호가 통과되는 경우는 두 가지의 경로를 지난다.
1. 공통(A/B) 대역 → A 대역
2. A 대역 → 공통(A/B) 대역
B 대역 광신호가 반사되는 경우는 공통(A/B)대역 → B 대역 → 반사 거울 → B 대역 → 공통(A/B) 대역 과 같이 하나의 광 경로를 지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단자 박막형 필터를 사용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의 구조 및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단자 박막형 필터를 사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510)를 도시한 도면이다.
A 대역과 B대역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경우(일반적으로 수 nm)에 두 파장 대역을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박막형 필터(512, thin film filter)를 사용한다. 이러한 3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511)는 일반적으로 박막형 필터(512)를 도면과 같이 일정한 각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켜 3개의 광학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대역 단자(513), A 대역 단자(514), B 대역 단자(515)를 포함한다.
이러한 소자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포트를 지니는 A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510)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대역 단자(515)의 일단에 반사 거울(516)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반사 거울(516)은 B 대역 단자(515)의 광섬유의 끝단을 반사 코팅 처리하거나, 일반적인 광 페룰의 끝단을 반사 코팅하여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상용 반사 거울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A 대역 광신호가 통과되는 경우는 두 가지의 경로를 지난다.
1. 공통(A/B) 대역 → A 대역
2. A 대역 → 공통(A/B) 대역
B 대역 광신호가 반사되는 경우는 공통(A/B) 대역 → B 대역 → 반사 거울 → B 대역 → 공통(A/B) 대역과 같이 하나의 광 경로를 지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자 박막형 필 터를 이용한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의 구조 및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자 박막형 필터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6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박막형 필터(611)를 이용한 A 대역 투과/B 대역 반사 필터(610)는 박막형 필터(611)를 입사각에 수직으로 위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단자를 지니는 필터가 되며, 이러한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반사 거울이 필요가 없게 되며, 또한 3 단자 소자에 비해 그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A 대역 광신호가 통과되는 경우는 두 가지의 경로를 지난다.
1. 1번 단자 → 박막형 필터 → 2번 단자
2. 2번 단자 → 박막형 필터 → 1번 단자
B 대역 광신호가 반사되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의 경로를 지난다.
1. 1번 단자 → 박막형 필터 → 1번 단자
2. 2번 단자 → 박막형 필터 → 2번 단자
전술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입 광원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에게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광원 분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분배기는 최저의 광학 손실을 가지고, A 대역 주입 광원을 입력으로 받아 중앙 기지국의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출력하고, B 대역 주입 광원을 입력으로 받아 원격 노드 측 광 케이블로 출력하고, 중앙 기지국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하향 광신호를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가입자 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출력된 상향 광신호를 중앙 기지국의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A/B 파장 영역이 C/L 밴드와 같이 두 파장 밴드가 가까이 존재하는 경우 보다 저렴하고 크기가 작은 하나의 주입광원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이러한 하나의 모듈에서 A/B 대역이 동시에 출력되는 주입 광원에 최적화된 광원 분배기를 제공하여 보다 저렴하고 해당 주입 광원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Claims (8)

  1.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WDM-PON: Waveleng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에 있어서,
    상기 광원 분배기는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모두 출력하는 주입 광원으로부터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하나의 광 단자로 모두 수신하여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중앙 기지국 측의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원격 노드 측의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전송하는 광원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광원으로부터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 및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A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투과시키고, 상기 B 대역 주입 광신호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로 반사시키는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광원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A 대역 단자 또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는 상기 A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출력되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A 대역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B 대역 단자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는 광원 분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1번 단자, 2번 단자 및 3번 단자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1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2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2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3번 단자로 출력하는 제 1 광 서큘레이터 및 제 2 광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1번 단자는 상기 주입 광원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3번 단자는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1번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광 서큘레이터의 상기 3번 단자는 상기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의 B 대역 단자와 연결되는 광원 분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A 대역 단자, B 대역 단자 및 공통 대역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A 대역 단자 또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A 대역 광신호는 상기 A 대역 단자로 출력되고, 상기 공통 대역 단자로 입력된 B 대역 광신호는 상기 B 대역 단자로 출력되는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와,
    1번 단자, 2번 단자, 3번 단자 및 4번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1번 단자로 입력된 광원은 상기 2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2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3번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3번 단자로 입력된 광신호는 상기 4번 단자로 출력하는 4 단자 광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1번 단자는 상기 주입 광원과 연결되고, 상기 2번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3번 단자는 제 2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고, 상기 4번 단자는 상기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의 B 대역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의 A 대역 단자는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A/B 대역 파장 분리 및 결합기의 공통 대역 단자는 상기 제 1 광 다중/역다중화기와 연결되는 광원 분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는 용융형 광섬유 파장 결합/분리기를 포함하는 광원 분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는 박막형 필터를 일정한 각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킨 3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분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대역 투과 및 B 대역 반사 필터는 박막형 필터를 광신호 경로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2 단자 박막형 필터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 분배기.
KR1020070062027A 2007-06-25 2007-06-25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KR10090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27A KR100901508B1 (ko) 2007-06-25 2007-06-25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US12/516,932 US8254784B2 (en) 2007-06-25 2007-11-16 Light source distributor for use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PCT/KR2007/005783 WO2009001993A1 (en) 2007-06-25 2007-11-16 Light source distributor for use i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passive optica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027A KR100901508B1 (ko) 2007-06-25 2007-06-25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491A true KR20080113491A (ko) 2008-12-31
KR100901508B1 KR100901508B1 (ko) 2009-06-08

Family

ID=4018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027A KR100901508B1 (ko) 2007-06-25 2007-06-25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54784B2 (ko)
KR (1) KR100901508B1 (ko)
WO (1) WO200900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119B2 (en) * 2008-03-31 2014-01-28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Remote node for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10153842B2 (en) * 2017-02-21 2018-12-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mulating rogue optical network unit behavior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WO2021043424A1 (en) * 2019-09-06 2021-03-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cal node and optical transceiver for auto tuning of operational wavelengt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636A (ja) * 1995-01-25 1996-08-09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光通信システム
KR100496710B1 (ko) * 2002-01-21 2005-06-28 노베라옵틱스코리아 주식회사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광원을 이용한 양방향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KR100469736B1 (ko) * 2002-11-21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파장 레이징 광원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장치
KR100575983B1 (ko) * 2003-08-23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파장 광송신기와 이를 이용한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시스템
US20060045525A1 (en) * 2004-08-28 2006-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access network of wavelength division method an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KR100584418B1 (ko) * 2004-12-01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 망
KR100724937B1 (ko) * 2005-02-04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 망
KR100698766B1 (ko) * 2005-09-07 2007-03-23 한국과학기술원 파장분할 다중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 망 시스템에 사용되는장애 위치 감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장분할 다중방식수동형 광 가입자 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4784B2 (en) 2012-08-28
WO2009001993A1 (en) 2008-12-31
US20100119232A1 (en) 2010-05-13
KR100901508B1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3422B2 (en) Optical network unit, wavelength splitter, and optical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ystem
JP4029074B2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受動型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eldman et al. An evaluation of architectures incorporat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for broad-band fiber access
US8494366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external seed light source
US20100266283A1 (en) Wdm pon with distribution via cyclic array waveguide grating
US83963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optical link using a single optical carrier and colorless demodulation and detection of optical frequency shift keyed data
US200602396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increase wavelength channels in a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passive-optical-network
US9432122B2 (en) Optical networking unit (ONU) packaging
US7596319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20060008202A1 (en) Light source apparatus for WDM optical communication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639115B2 (en) Time and wavelength-shifted dynamic bidirectional system
WO2008019612A1 (fr) Source de lumière commune, système de réseau optique passif à multiplexage par répartition en longueur d&#39;onde et procédé permettant au système de partager la source de lumière
US20100129077A1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dual array waveguide filter for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50074240A1 (en)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ing wavelength-seeded light source
US20100021164A1 (en) Wdm pon rf/video broadcast overlay
US9020358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ssion equipment
CN103314542B (zh) 用于接收光输入信号并且传送光输出信号的方法和装置
US20070189772A1 (en) Hybri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9698567B2 (en) Wavelength-selectable laser device providing spatially-selectable wavelength(S)
US7486890B2 (en)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47785A1 (en)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allocating wavelength band
US20060177223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KR100901508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원 분배기
US20050259988A1 (en) Bi-directional optical access network
EP2408125B1 (en) Optical transmitter for wdm passive optica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