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288A -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 - Google Patents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288A
KR20080113288A KR1020087028271A KR20087028271A KR20080113288A KR 20080113288 A KR20080113288 A KR 20080113288A KR 1020087028271 A KR1020087028271 A KR 1020087028271A KR 20087028271 A KR20087028271 A KR 20087028271A KR 20080113288 A KR20080113288 A KR 2008011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grid
water
fluidized bed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297B1 (ko
Inventor
펜티 란키넨
Original Assignee
포스터 휠러 에너지아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터 휠러 에너지아 오와이 filed Critical 포스터 휠러 에너지아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08011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6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7/70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water into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22B29/061Construction of tube walls
    • F22B29/062Construction of tube walls involving vertically-disposed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15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for boilers of the water tube type
    • F22B31/003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for boilers of the water tube type with tubes surrounding the bed or with water tube wall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 F22B37/141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involving vertically-disposed water tubes, e.g. walls built-up from vertica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18Details; Accessories
    • F23C10/20Inlets for fluidisation air, e.g. grids; Bott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유동층 보일러, 바람직하게는 드롭 레그(drop leg)와 다수의 수평 입구 헤더(inlet header)를 포함하고,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초임계(supercritical) 관류설비(once-through-unit; OTU) 보일러에 대한 것이며, 입구 헤더들은 보일러 고로(furnace)의 전방 벽의 길이에 상당하며, 유동층 보일러의 고로의 아래에 배치되고, 입구 헤더들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200mm 이상이고, 이에 의해 고로의 전방 벽 및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이 상기 입구 헤더들에 직접 연결되고 각각의 입구 헤더들은 입구 헤더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를 통해서만 드롭 레그와 유체가 통한다. 입구 헤더들은 바람직하게는 고로의 전방 벽과 후방 벽의 아래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 벽 챔버 및 후방 벽 챔버와, 바람직하게는 윈드 박스(wind box) 내에서, 그리드(grid)의 중간 부분 아래에 배치되는 그리드 챔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1 부분이 전방 벽 챔버와 후방 벽 챔버에 각각 직접 연결되고,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제 2 부분은 고로 그리드(furnace grid)에 평행한 그리드 튜브들로서 연장하고, 그리드 챔버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BOILER WATER CYCLE OF A FLUIDIZED BED REACTOR AND A FLUIDIZED BED REACTOR WITH SUCH BOILER WATER CYCLE}
본 발명은, 유동층 보일러(FB boiler)의 보일러 물 사이클 및 청구범위 제 1 항의 도입부에 따른 것과 같은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보일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관류(once-through) 원리로 작동하는 400MWe 초임계 순환 유동층 보일러(CFB)의 보일러 물 사이클에 대한 것이다.
FB 보일러들에서, 임의의 열적 발전 보일러들에서와 같이, 예열된 입구 물의 증발, 즉, 끓음은 주로 보일러 고로의 외벽들의 물 튜브 패널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증발될 물은 드럼 보일러의 스팀 드럼(steam drum)으로부터 또는 관류 시설 보일러의 물을 위한 예열 표면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드롭 레그(drop leg)에 의해 보일러의 하부 부분으로 대부분 안내된다. 드롭 레그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입구 덕트들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물이 고로 아래에 배치된 입구 헤더들에 도입되고, 이 입구 헤더들은 고로 벽들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결국 고로의 외벽들의 물 튜브 패널들의 물 튜브들은 물 튜브들의 물을 가열하고 증발시키도록 입구 헤더들에 연결된다. 외벽들의 물 튜브들은 상단부로부터 출구 헤더들과 배관(piping)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수증기가 물 분리 및 과열(super heating)하게 된다.
물 튜브 패널의 물 튜브들에서 물이 균일하게 분포됨을 보장할 수 있도록, 드롭 레그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입구 덕트들에 연결되고, 이들은 일단부로부터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입구 헤더들의 전체 길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다수의 입구 덕트들을 갖는, 관류 시설 보일러들은 예를 들어, 특허 명세서 US 4,290,389호, US 3,399,656호 및 US 3,369,526호에 공개되어 있다. US 4,183,330호는 고로의 벽 튜브들에 물을 도입하는 환형 입구 헤더에 스팀 드럼의 드롭 레그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입구 라인을 갖는 FB 보일러의 일례를 공개한다.
드롭 레그는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바닥 레벨의 외측에서 끝나거나 또는 그 하부 부분이 수평으로 선회하여, 보일러 벽들 중의 하나 아래에서와 같이 연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벽에 연결된 입구 헤더의 입구 덕트들은 비교적 짧을 수 있다. 특히, 2개의 드롭 레그가 있을 때,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더 긴 측벽들, 달리 말해 전방 벽 및 후방 벽, 또는 다르게는 더 짧은 측벽들 아래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보일러 물 사이클들은 이와 같이 작동하는 해결방안들이지만, 대형 보일러들에서 이들은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보일러 물 사이클은 고로의 하부 그리드가 증발 튜브들에 의해서도 냉각될 때 특히 복잡해지고 그리드의 대형 사이즈 때문에, 하나 이상의 입구 헤더들이 그리드의 중심 부분 아래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게 하는 것이 유익하고, 드럼 보일러들에서는 필요하다. 특히 유동층 보일러들에서, 소위 그리드 챔버의 입구 덕트들의 배치는 문제가 있는데, 왜냐하면 유동 공기를 위한 입구 챔버, 소위 윈드 박스(wind box)도 그리드 아래에서 유동층 보일러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윈드 박스가 균일한 공기 분포의 관점에서 유익한, 하나의 대형, 분할되지 않은 구조로 배치되기 원한다면, 그리드 챔버가 일반적으로 윈드 박스 내측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입구 덕트가 윈드 박스를 통해 연장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물 사이클을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물 사이클을 포함하는,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하부 부분의 개략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튜브들의 하부 부분의 개략 상세도.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에 관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키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관류 원리로 작동하는 초임계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보일러 물 사이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보일러가 제공되고, 이들의 특유한 특징들은 장치의 독립항들의 특징 부분에 소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은 드롭 레그와, 보일러 고로의 전방 벽의 길이에 상당하며 유동층 보일러의 고로 아래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입구 헤더들과, 전방 벽 및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패널들을 포함하고,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은 입구 헤더들에 직접 연결되고 각각의 입구 헤더는 입구 헤더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에 의해서만 드롭 레그와 유체가 통한다.
유동층 보일러의 고로는 일반적으로 수평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고로의 전방 및 후방 벽은 일반적으로 고로의 긴 벽들로 불린다. 고로의 더 짧은 측벽들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냉각될 수도 있지만, 고로의 더 짧은 벽들로의 물의 공급이 다수의 입구 덕트들을 사용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특히 고로의 더 길거나 짧은 벽들의 길이들이 비교적 서로 가까울 때 논의되는 제 3의 대안은 고로의 더 짧은 벽들이 본 발명에 따라 냉각되고 더 긴 벽들은 종래의 방식으로 냉각되는 것이다.
각각의 입구 헤더가 본 발명에 따른 드롭 레그와, 바람직하게는 단 하나의 드롭 레그와만, 입구 헤더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에 의해서만, 유체가 통할 때, 다수의 입구 덕트들로 인한 복잡함이 회피된다. 입구 헤더의 단부에 연결하는 것은 이에 관해 입구 덕트가 입구 헤더에 평행하게 그 단부에 바로 연결되거나 또는 입구 덕트가 입구 헤더의 측벽에 연결되지만 실질적으로 그 제 1 단부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유동 가스의 균질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되지 않은 윈드 박스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형 순환 유동층 보일러들에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것의 제조는 종래기수의 다수의 입구 라인들에 의해 심하게 방해를 받는다.
자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치의 단점은 입구 헤더들의 내경들이 입구 헤더의 먼쪽 단부로의 충분한 보일러 물 유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입구 헤더들의 필요 사이즈는 공급될 물의 양에 의존하지만,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구 헤더들의 내경은 200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mm 이상이다. 이와 같이 큰 입구 헤더들은 비용을 증가시키지만,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형 FB 보일러들에서, 특히 그 출력이 400MWe 이상인 초임계 관류 CFB 보일러들에서, 보일러 물을 위한 입구 헤더들에 대한 상술한 매우 단순한 배치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함을 놀랍게도 목격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물 사이클이 초임계 관류 사이클일 때, 특히 간단하고 유익한 배치가 제공되며, 단 하나의 드롭 레그가 있을 때, 이에 의해 입구 헤더들 각각이 단 하나의 공통의 드롭 레그와 유체가 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 따라, 입구 헤더들은 고로의 전방 벽 아래에 배치되는 전방 벽 챔버와, 고로의 후방 벽 아래에 배치되는 후방 벽 챔버와, 고로 그리드(furnace grid)의 중앙 부분 아래의 하나 이상의 소위, 그리드 챔버를 포함한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고로의 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1 부분이 전방 벽 챔버에 직접 연결되고, 따라서, 고로의 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1 부분이 후방 벽 챔버에 직접 연결된다. 이 배치에 따라, 전방 벽 및 후방 벽의 물 튜브 패널의 물 튜브들의 전부가 상술한 전방 벽 챔버 및 후방 벽 챔버에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전방 벽 및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제 2 부분이 그리드 챔버에 고로 그리드에 평행한 그리드 튜브들로서 연장한다. 이 배치를 사용하여도, 모든 그리드 튜브들에 보일러 물의 균일한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드 챔버들은 바람직하게는 윈드 박스 내에서 고로 그리드 아래에 배치된다.
그리드 튜브들의 강도 요구조건들이 전방 벽들 및 후방 벽들의 물 튜브들의 요구조건들보다 높기 때문에, 그리고 유동 공기를 위한 노즐들에 대한 그리드 튜브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리드 튜브들은 일반적으로 벽들의 물 튜브들보다 큰 직경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그리드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 또는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상술한 제 2 부분의 물 튜브에 특수한 피팅(fitting)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대형 보일러들에서 2개의 그리드 챔버들을 갖는 것이 유익하며, 이에 의해 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2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리드 챔버에 연결되고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2 부분이 제 2 그리드 챔버에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부분의 물 튜브들은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 및 후방 벽에서 교번하고(alternate),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전방 벽의 모든 2번째 물 튜브가 전방 벽 챔버와 연결되고 이들 중 나머지는 제 1 그리드 챔버에 연결된다.
대형 입구 헤더들의 중요한 부가적인 장점은 이들이 고로의 하부 부분의 지지 구조물로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다른 지지 구조물들의 개수를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특히 대형 FB 보일러들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그리드 챔버가 그 일부를 형성할 때, 그리드의 중심 부분의 지지부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1은 고로(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CFB 보일러(10)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는 자연 순환 보일러, 달리 말해 드럼 보일러일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 1에 예시한 초임계 관류 시설 보일러이다. 고로의 수평 단면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바닥, 천장 및 측벽들에 의해 한정되고, 이들 중 하나의 긴 측벽, 소위 전방 벽(14)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고로를 한정하는 벽들은 종래에는 물 튜브 벽 구조로서, 달리 말해 그 사이에 가스가 새지 않게 연결된 물 튜브(16)들과 핀(fin)들로 제조되었다. 물 튜브들과 핀들은 물 튜브 패널(18)들을 형성하고, 이들은 물을 끓이는데, 즉, 예열된 공급수를 수증기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소위 윈드 박스(20)가 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그리고 유동층의 유동화를 위한 1차 가스, 일반적으로 공기를 고로에 공급하기 위해 고로 아래에 배치된다. 입구 수단, 연소 가스(flue gas) 및 바닥의 재를 위한 배출 채널 및 입자 분리기들과 이에 관련한 복귀 덕트들과 같은, CFB 보일러의 다른 종래의 부분들도 고로에 연결된다. 단순함을 위해, 본 발명에 무관한, 이러한 세부사항들은 도 1에 공개하지 않았다.
물 예열면들, 소위 절탄기(economizer)들로부터 오는 예열된 공급수(22)와, 수증기 분리기(24)로부터 복귀할 수 있는 액체가 드롭 레그(26)에 의해 고로 바닥의 레벨로 가고, 이로부터 입구 덕트(28)들에 의해 보일러의 측벽들의 증발기 튜브들의 입구 헤더(30)들로 분포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다수의 입구 덕트가 입구 헤더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등간격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각각의 입구 헤더(30)가 입구 헤더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28)에 의해서만 드롭 레그(26)와 유체가 통하게 연결되는 것은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구 헤더(30)들의 직경은 자연히 충분해야 하고, 종래 기술 배치에서보다 상당히 커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구 헤더들의 내경은 바람직하게는 200m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mm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구 배관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고, 고로의 하부 부분에 연결되는 장치들의 위치를 방해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넓은 분할되지 않은 윈드 박스(20)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입구 헤더(30)들로부터의 물은 물 튜브 패널(18)들로 가서 증발하고 수증기로서 출구 헤더(32)들에 간다. 보일러가 소위 드럼 보일러이면, 패널들에서 물과 수증기를 위로 보내는 힘은 드럼의 드롭 레그 내의 액체 기둥의 무게이다. 결국 보일러가 소위 강제 순환 보일러이면, 특히, 소위 초임계 관류 보일러이면, 구동력은 물 사이클의 펌프(도 1에 도시안함)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이다. 출구 헤더(32)들로부터의, 아직 약간의 액체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가 채집기 튜브(34; collector tube)에 의해 물 및 수증기 분리 장치(24)로 간다. 수증기는 수증기 배관(36)에서 예를 들어, 연소 가스 채널에 배치되는 과열기들로 계속 간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보일러의 고로(12)의 하부 부분의 개략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2는 고로(12)의 물 튜브 패널들 및 윈드 박스(20)로 형성되는, 전방 벽(14) 및 후방 벽(38)을 도시한다. 또한, 도 2는 그리드 튜브(42)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동 가스 노즐(40)들을 갖는 윈드 박스(2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전방 벽(14)과 후방 벽(38)의 물 튜브들의 제 1 부분의 연장부(44, 46)는 전방 벽 챔버(48)와 후방 벽 챔버(50)에 각각 직접 연결된다. 전방 벽 챔버(48)와 후방 벽 챔버(50)는 둘다 챔버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에 의해서만 드롭 레그에 도 1에 도시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다른 어떠한 입구 덕트도 입구 헤더들에 연결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라, 고로(12)의 각각의 단면은 고로(12)의 하부 부분에 다른 장치를 연결하는 것을 방해하는 입구 헤더들의 입구 덕트들이 없다는 점에서 간단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윈드 박스(20)에 배치되는 2개의 다른 입구 헤더들, 소위 제 1 및 제 2 그리드 챔버(52,54)가 있다. 그리드 튜브(42)들은 그리드 챔버들에 연결되고, 이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전방 벽(14) 또는 후방 벽(38)의 물 튜브에 연결된다. 그리드 챔버(52,54)도 챔버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에 의해서만 드롭 레드에 도 1에 예시한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분할되지 않은 윈드 박스를 형성하는데 방해하는 그리드 챔버(52,54)들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는 입구 덕트들이 없다. 보일러 벽들의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그리드 챔버(52,54)들이 그리드 챔버를 상당히 보강시키므로 다른 지지 구조물들에 대한 필요를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튜브들의 하부 부분의 세부사항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이 도면은 전방 벽 챔버(48), 제 1 그리드 챔버(52) 및 이에 연결된 물 튜브들을 도시한다. 자연히, 이 도면은 제 2 그리드 챔버와 후방 벽 챔버에 연결된 물 튜브들도 상응하여 예시한다. 도 2에 관해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 튜브들은 바람직하게는 그리드 단면의 중심 부분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그리드에 평행한 그리드 튜브(42)들의 실질적으로 수평인 부분이 그리드의 전체 길이의 거의 절반이다.
제 1 그리드 챔버(52)에 연결된 그리드 튜브(42)들은 그리드 챔버로부터 먼저 일정한 정도로 상방향으로 연장한 다음에 전방 벽(14)을 향해 그리드에 평행하게 선회하며, 여기서 이들이 다시 상방향으로 선회한다. 그리드 튜브들의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고로 벽의 물 튜브(54,54')들의 직경보다 크므로, 그리드 튜브들은 바람직하게는 고로 벽의 물 튜브(54')들에 피팅 부재(56)들에 의해 연결된다. 유익하게는, 고로의 모든 2번째 튜브들이 소위, 물 튜브들의 제 1 부분(54)에 속하고, 그 연장부(44)들이 전방 벽 챔버(48)에 직접 연결되고 나머지 튜브들이 소위 제 2 부분(54')에 속하고, 이는 피팅 부재(56)들에 의해 그리드 튜브(42)들에 그리고 이를 통해 제 1 그리드 챔버(52)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몇몇 예시적인 배치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이러한 배치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주어진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특허 청구범위 및 그 안에 주어진 정의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동층 보일러(FB boiler)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Claims (13)

  1. 유동층 보일러(fluidized bed boiler)의 보일러 물 사이클(boiler water cycle)로서,
    드롭 레그(drop leg)와, 실질적으로 보일러 고로(furnace)의 전방 벽의 길이이고 상기 유동층 보일러의 상기 고로 아래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입구 헤더(inlet header)와,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이 상기 입구 헤더들에 직접 연결되는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패널들을 포함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에 있어서,
    각각의 입구 헤더들은 입구 헤더들의 단부에 연결된 입구 덕트(inlet duct)에 의해서만 드롭 레그와 유체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물 사이클은 초임계 관류 사이클(supercritical once-through cyc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구 헤더는 하나의 드롭 레그에만 유체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구 헤더는 공통 드롭 레그와 유체가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5. 제 4항에 있어서, 입구 헤더들은 상기 고로의 전방 벽 아래의 전방 벽 챔버와, 상기 고로의 후방 벽 아래에 배치되는 후방 벽 챔버와, 고로 그리드(furnace grid)의 중심 부분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그리드 챔버(grid chamb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1 부분은 상기 전방 벽 챔버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1 부분은 후방 벽 챔버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제 2 부분은 상기 그리드 챔버에 연결된 그리드 튜브들로서 상기 고로 그리드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직경은 상기 그리드 튜브들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제 2 부분의 각각의 물 튜브는 피팅 부재(fitting member)에 의해 상기 그리드 튜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헤더들은 2개의 그리드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그리드 챔버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벽의 물 튜브들의 연장부들의 제 2 부분은 제 2 그리드 챔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헤더들의 내경은 2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헤더들의 내경은 30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챔버들은 상기 유동층 보일러의 윈드 박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챔버들은 상기 그리드의 지지 요소들로 작용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보일러 물 사이클.
  13. 유동층 보일러로서,
    상기 보일러는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일러 물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
KR1020087028271A 2006-05-19 2007-05-21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 KR101165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60494 2006-05-19
FI20060494A FI121826B (fi) 2006-05-19 2006-05-19 Leijupetikattilan keittovesipiiri
PCT/FI2007/050285 WO2007135240A2 (en) 2006-05-19 2007-05-21 Boiler water cycle of a fluidized bed reactor and a fluidized bed reactor with such boiler water 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288A true KR20080113288A (ko) 2008-12-29
KR101165297B1 KR101165297B1 (ko) 2012-07-23

Family

ID=3653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271A KR101165297B1 (ko) 2006-05-19 2007-05-21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012050A1 (ko)
EP (1) EP2021692B1 (ko)
JP (1) JP4920082B2 (ko)
KR (1) KR101165297B1 (ko)
CN (1) CN101449101A (ko)
AU (1) AU2007253232B2 (ko)
FI (1) FI121826B (ko)
PL (1) PL2021692T3 (ko)
RU (1) RU2396486C1 (ko)
WO (1) WO2007135240A2 (ko)
ZA (1) ZA200808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1923A (zh) * 2010-03-02 2010-06-30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锅炉布风板
DE102015217228A1 (de) 2015-09-09 2017-03-09 Thyssenkrupp Ag Kühler zum Kühlen von heißem Schüttgut
RU185159U1 (ru) * 2018-08-21 2018-11-22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авченко Паровой котел с топкой взвешенного слоя (твс)
DE102018215406A1 (de) 2018-09-11 2020-03-12 Thyssenkrupp Ag Kühler zum Kühlen von heißem Schüttgut
BE1027674B1 (de) 2019-10-14 2021-05-10 Thyssenkrupp Ind Solutions Ag Kühler zum Kühlen von Schüttgut mit einer Stufe
BE1027670B1 (de) 2019-10-14 2021-05-12 Thyssenkrupp Ind Solutions Ag Kühler zum Kühlen von Schüttgu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526A (en) * 1966-02-14 1968-02-20 Riley Stoker Corp Supercritical pressure boiler
US3399656A (en) * 1967-01-19 1968-09-03 Electrodyne Res Corp Circulation system for a steam generator
US3665893A (en) * 1970-12-29 1972-05-30 Babcock & Wilcox Co Vapor generator tube arrangement
US3863606A (en) * 1973-07-25 1975-02-04 Us Environment Vapo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fluidized beds
US4183330A (en) * 1977-12-28 1980-01-15 Foster Wheeler Development Corporation Fast fluidized bed steam generator
US4290389A (en) * 1979-09-21 1981-09-22 Combustion Engineering, Inc. Once through sliding pressure steam generator
CH652190A5 (de) * 1981-04-23 1985-10-31 Sulzer Ag Dampferzeuger mit wirbelschichtfeuerung.
GB2111403B (en) * 1981-12-15 1986-09-03 William Benedict Johnson Fluidized bed combus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arrying out fluidized bed combustion
US4449482A (en) * 1982-04-28 1984-05-22 Dorr-Oliver Incorporated Fluidized bed boilers
DE3511877A1 (de) * 1985-04-01 1986-10-02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Durchlaufdampferzeuger
US4833330A (en) * 1987-11-03 1989-05-23 Gatan Inc. Anticontaminator fo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FI89535C (fi) * 1991-04-11 1997-07-22 Tampella Power Oy Foerbraenningsanlaeggning
US5474034A (en) * 1993-10-08 1995-12-12 Pyropower Corporation Supercritical steam pressurized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US5666801A (en) * 1995-09-01 1997-09-16 Rohrer; John W. Combined cycle power plant with integrated CFB devolatilizer and CFB boiler
FI970438A0 (fi) * 1996-12-19 1997-02-03 Kvaerner Pulping Oy Foerfarande i panna, saerskilt i sodapanna
JPH10213306A (ja) * 1997-01-30 1998-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循環形ボイラの降水管構造
FI118977B (fi) * 1999-01-21 2008-05-30 Metso Power Oy Menetelmä leijukattilan palkkiarinan yhteydessä ja palkkiarina
US7587996B2 (en) * 2006-06-07 2009-09-15 Babcock & Wilcox Power Generation Group, Inc. Circulation system for sliding pressure steam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21692B1 (en) 2012-12-19
AU2007253232A1 (en) 2007-11-29
FI20060494A (fi) 2007-11-20
AU2007253232B2 (en) 2010-09-09
KR101165297B1 (ko) 2012-07-23
EP2021692A2 (en) 2009-02-11
FI121826B (fi) 2011-04-29
FI20060494A0 (fi) 2006-05-19
CN101449101A (zh) 2009-06-03
US20100012050A1 (en) 2010-01-21
RU2396486C1 (ru) 2010-08-10
PL2021692T3 (pl) 2013-11-29
WO2007135240A2 (en) 2007-11-29
JP4920082B2 (ja) 2012-04-18
ZA200808398B (en) 2009-07-29
WO2007135240A3 (en) 2008-03-13
JP2009537782A (ja)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7089B2 (en) A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for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nd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a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JP5739021B2 (ja) 高温固体流用の2つの外部熱交換器を有する循環流動床ボイラ
KR101165297B1 (ko) 유동층 반응기의 보일러 물 사이클과 이러한 보일러 물 사이클을 갖는 유동층 반응기
JP4549868B2 (ja) 廃熱ボイラ
US8281752B2 (en) Package boiler having steam generating units in tandem
US10634339B2 (en) Once-through vertical tubed supercritical evaporator coil for an HRSG
US9267678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ITRM950141A1 (it) Perfezionamento nelle caldaie e generatori di vapore a singolo attraversamento, con tubi e nervature singole e multiple.
JP4302740B2 (ja) 排気ガス・プレナムを有する流動床反応炉システム
DK2324287T3 (en) FLOW STEAM GENERATOR
JPS5836244B2 (ja) 蒸気発生装置のためのガス通過スクリ−ン構成体
US20110203536A1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CN102483228A (zh) 直流式蒸发器
US6715450B1 (en) Fossil-fuel fired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JPS6014241B2 (ja) 変圧ボイラ
JP2875001B2 (ja) 上昇流れ/下降流れ加熱管型循環システム
US8851023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KR20110128850A (ko) 연속 흐름식 증발기
JPS6042361B2 (ja) 炉壁を構成する旋条付内孔型流体管のためにクロスオ−バ−回路を使用した可変圧型蒸気発生装置
JP2023532168A (ja) 火力蒸気発生器における垂直煙道ガス通路の側壁を支持する装置および方法
FI123092B2 (fi) Soodakattila ja menetelmä mustalipeän polttamiseksi
JP2023552273A (ja) 循環流動床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