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90A -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90A
KR20080109690A KR1020080105260A KR20080105260A KR20080109690A KR 20080109690 A KR20080109690 A KR 20080109690A KR 1020080105260 A KR1020080105260 A KR 1020080105260A KR 20080105260 A KR20080105260 A KR 20080105260A KR 20080109690 A KR20080109690 A KR 2008010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mit power
adjustment
value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135B1 (ko
Inventor
빠트릭 블랑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08010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이 조정 기간과 함께 상기 기지국 각각으로 시그널링되고, 상기 각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상기 조정 기간에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상기 기준 전송 전력으로 조정한다.
Figure P1020080105260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무선 액세스 서브 시스템, UMTS 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이동국

Description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A METHOD OF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BASE STATIONS TRANSMITTING IN MACRO-DIVERSIT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으로 알려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DMA 기술은 소위, "제3세대" 시스템에서, 특히 유니버설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목적 중 하나는 성능을 증가시키는 즉, 구체적으로는 용량을 증가 및/또는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통으로 사용된 기술은 폐쇄 루프 전력 제어로 알려진 기술이다.
폐쇄 루프 전력 제어의 목적은, 기지국과 이동국 간의 각 링크에 대한 타겟 값에 가능한 근접하도록, 링크를 통한 전송 품질을 대표하는 어떠한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것이다(상기 파라미터는 신호 대 간섭 비(SIR)일 수 있음). 예를 들어, 다운 링크(즉,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에서, 이동국은 이동국에 의해 측정된 SIR과 타겟 SIR 값 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지국에 전력 제어 커맨드를 전 송한다.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에서 보다 효과적이기 위해서, 이러한 전력 제어 커맨드가 매우 자주 전송된다. 예를 들자면, 전송된 정보가 프레임-프레임 그 자체는 시간 슬롯으로 이루어짐-으로 구성되어 있는 UMTS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전력 제어 커맨드는 각 시간 슬롯에서 전송된다. 타겟 값 그 자체는 서비스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른 제어 루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루프는 이전 루프가 "내부" 루프라 불리는 것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외부" 루프로 불린다.
CDMA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기술은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 혹은 "소프트" 핸드오버로 알려진 기술로서, "소프트" 핸드오버에서는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된다. 이동국에 의해 (특히, "레이크(rake)"형 수신기를 사용해서)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신호들을 처리하고 결합하기 위해 적절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이동국이 단일 기지국에만 어느 한 순간에 접속되는 "하드" 핸드 오버 기술과는 달리, 수신시에서의 성능을 향상하고, 셀들 간의 전달 동안 호출을 놓칠(lost)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을 사용할 때, 다운 링크 방향에서의 내부 전력 제어 루프는, 이동국이 접속되어 있는 각 기지국으로 어느 한 순간에 동일한 전력 제어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이다.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을 사용할 때,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히 시스템의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동국이 서로에 대해 접속되는 다양한 기지국의 전송 전력 레벨을 조정하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제어 기지국에 서비스하는 UMTS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상기 기지국 각각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tn 순간의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각 기지국에 대해 tn+1 순간의 전송용으로 사용될 전력을 결정한다. 유리하게는, 동일한 전송 전력이 다양한 기지국에 대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결정될 때, 전송 전력 값(들)(또한 기준 전송 전력(값)이라 불림)은 그 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기준 전송 전력에 대하여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응답하는, 다양한 기지국으로 시그널링된다.
또한, 공보 WO 99/31819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동기 순간(모든 기지국에 대해 동일함)에 각 기지국에 기준 전송 전력을 동시에 통지하여, 다양한 기지국들 간에 전송 전력을 조정하게 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초기 기준 전송 전력값은, 이동국이 이동함에 따라, 그 이동국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세트(또한, "활성" 세트로도 불림)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 추가 또는 제거될 때마다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초기 구조(scheme)로부터의 이동(drift)이 발생한 경우, 특히 내부 전력 제어 루프 내에서 전력 제어 커맨드 전송 에러가 발생하여 주어진 전력 제어 커맨드가 액티브 세트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더 이상 전송되지 않게 됨으로써, 다양한 전송 전력이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조정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송 전력값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공보 WO 99/31819는, 갱신된 기준 전송 전력값을 동시에, 기준 전송 전력값이 갱신될 때마다 각 기지국에 동기 순간을 통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해결 방안은 특히, 기지국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간의 인터페이스(또한, UMTS에서 "Iub"로서 공지되고 있음)에서 상호 교환된 시그널링의 양을 상당히 증가시켜서,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못하게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상이한 접근 방법에 기초하는 것이다.
제1 양상에서는,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은 조정 기간과 함께 상기 기지국 각각에 시그널링되고,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조정 기간에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상기 기준 전송 전력으로 주기적으로 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전송 전력에 대해 갱신된 값을 비교적 빈번하게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고, 최근에 시그널링된 기준 전송 전력값에 대한 조정이 수행되므로 그 값이 최근값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더라도, 규칙적인 조정만 행해지면 된다. 이러한 조정으로부터 시작하여, 내부 전력 제어 루프는 그러한 최근값들로부터 어떠한 차분이 발생하더라도 비교적 신속하게 보상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필요한 시그널링의 양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조정은 미리 정해진 순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따라서, 동기 순간을 전송할 필요없이, 다양한 기지국들에 의한 조정에 대한 동기화가 성취되며, 요구되는 시그널링의 양의 절약도 그에 따라 증가한다.
특히, 전송된 정보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번호가 부여된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 기간은 프레임의 개수 N으로서 표현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순간은 번호 n(modulo N)이 부여된 프레임에 대응한다 (0 ≤n ≤N).
유리하게는, 갱신된 조정 기간의 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검증 주기가 적절한 정도로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으므로, 즉 더욱 또는 덜 빈번하게 조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에 따라, 필요한 융통성을 달성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갱신된 기준 전송 전력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 기간과 함께 상기 기지국 각각에 대한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시그널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도 제공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갱신된 조정 기간값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갱신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시그널링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다이버시티로 전송될 때의 기 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조정 기간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조정 기간에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상기 기준 전송 전력값으로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기준 전송 전력에 대해 갱신된 값을 비교적 빈번하게 시그널링할 필요가 없고, 최근에 시그널링된 기준 전송 전력값에 대해 조정이 수행되어 그 값이 최근값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더라도, 규칙적인 조정만 행해지면 된다. 이러한 조정으로부터 시작하여, 내부 전력 제어 루프는 그러한 최근값들로부터 어떠한 차분이 발생하더라도 비교적 신속하게 보상을 할 수 있고, 그 결과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서도, 필요한 시그널링의 양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그 자체가 기지국(UMTS에서 "B 노드"로 공지됨)을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서브 시스템 및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장비(UMTS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즉 RNC로 공지됨)를 포함한다. B 노드 및 RNC를 포함하는 이 시스템은 UMTS 지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로도 지칭된다. UTRAN은 먼저 이동국[UMTS에서 사용자 장비(UE)로서 지칭됨]과 통신한 후 네트워크 및 스위칭 서브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통신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매크로 다이버시티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두 개의 B 노드에 연결된 UE 기기(appliance)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B 노 드에서 전송된 전력은 시스템 성능이 최적화되도록 서로 조정되고, 이러한 조정은 "Iub"로 불리는 RNC와 B 노드간의 인터페이스에서 시그널링이 이루어져서 교환된다.
본 발명의 방법 중 하나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RNC는 다운 링크 방향 전력 제어 메시지 M을 각 B노드에 전송한다. 이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기준 전력값 Pref 및 조정 기간 Period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B 노드 각각은 기준 전송 전력으로서 주어진 값으로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주기적으로 조정하고, 지정된 조정 주기에서 이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UMTS에서는, B 노드와 UE 기기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정보가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은 10ms 동안 지속되고 15개의 타임 슬롯 기준 IT0 내지 IT14를 갖는다. 각각의 프레임은 프레임 번호를 갖고, 프레임은 연속하여 증가되는 번호순에 의해 넘버링된다.
예를 들어, 조정 기간은 프레임 번호 N으로서 표현된다. 예를 들어, N이 4이면, 매 4 프레임마다 조정이 행해진다.
예를 들어, 소정의 순간에서 조정이 행해지고, 이 소정의 순간들은 상기 기간만큼 서로 떨어져있고, 예를 들어, n(modulo N)으로 넘버링된 각 프레임에 대하여 조정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0 ≤n < N이다. 예를 들어, n(modulo N)이 0이면, 0으로 넘버링된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n(modulo N)으로 넘버링된 각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타임 슬롯, 예컨대 타임 슬롯 IT0 동안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다음의 타임 슬롯 IT1 내지 IT14동안, 각각의 B 노드는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적용시에, UE에 의해 전송이 이루어질 때 다운 링크-방향의 전력 제어 명령을 제공한다.
수신된 메시지 M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값 Pref 및 Period는, 이 값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값이 새로이 갱신될 때까지 사용하기 위해 각각의 B 노드에 저장된다.
이러한 갱신을 행하기 위해, RNC는 각종 B 노드에 의해 보고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 현재의 조정 기간의 조정 이전의 순간 전송 전력; 및/또는
- 선행 조정 기간 동안 사용된 평균 전송 전력
에 따라 변화한다.
RNC는 조정 기간을 갱신하기 위해, 각각의 B 노드에 의해 보고되는 그 순간의 전송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순간 전력들 간의 차이가 높으면, RNC는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n(modulo N)으로 넘버링된 프레임에서 조정을 행하는 상기 예에서는, 조정 이전의 순간 전송 전력이, 예를 들어, 프레임 번호 n-1 (modulo N)에서, 타임 슬롯 IT14의 순간 전송 전력일 수 있다.
RNC는 기준 전송 전력 값을 갱신하기 위해, 각각의 B 노드에 의해 보고된 평 균 전송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의 평균(또는 최대 또는 최소)을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값과 가장 최근의 시그널링된 값 간의 차이가 너무 크면, 갱신된 기준 전력값을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기지국(또는 UMTS 등의 시스템에서의 B 노드)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의 발명에 따라 제공되어야만 할 수단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따라서, RNC는,
- 매크로 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각종 B 노드에 의해 보고된 전송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1;
먼저, 보고된 전송 전력에 응답하여, 각종 B 노드에 대한 기준 전송 전력값 Pref을 결정하고, 다음으로 조정 기간 값 Period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2; 및
각종 B 노드에 다운 링크-방향 전력 제어 메시지 M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3 -상기 메시지는 이런 방식으로 결정된 값 Pref 및 Period를 포함함-
을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B 노드는
- 전송기 수단(5)에 의해 전송된 전송 전력값을 RNC에 보고하는 수단(4)과,
- RNC로부터 다운 링크-방향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술된 원리를 적용하여 전송기 수단(5)의 전송 전력을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의 함수로서 조정하는 수단(6)
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수단들은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함께 동작하는데, 이들이 구현되는 특정 방법은 당해 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겐 어려운 것이 아니며, 그러한 수단들은 그 자체의 기능 외에는 본 명세서에 더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3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와 B 노드로 이루어진 극도의 도식적인 표현으로,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만을 도시하였으며, 전송 및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되는 방법 또는 프로토콜에 관한 상세한 사항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고, 이는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전형적인 원칙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상술한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특히, UMTS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B 노드는 서빙 RNC(SRNC)와 직접 통신할 필요가 없이 "드리프트(drift)" RNC(DRNC)라고 알려진 다른 RNC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그널링은 RNC와 B 노드 간의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RNC들 간의 인터페이스에도 적용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UMTS에서 Iub 및 Iur로서 칭해진다.
도 1은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기지국(또는 UMTS와 같은 시스템의 B 노드)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어야 하는 수단의 유형을 도시하는 블록도.

Claims (13)

  1.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diversity)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 기간과 함께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이 상기 기지국 각각으로 시그널링되고, 상기 기지국 각각은 상기 조정 기간마다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상기 기준 전송 전력으로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조정은 소정의 순간에 수행되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되는 정보는 연속적인 오름차순으로 넘버링(numbering)된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 기간은 프레임의 수(N)로 표현되며, 상기 소정의 순간은 프레임 번호 n (modulo N) - 여기서, 0 ≤ n < N - 에 대응하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간에 대한 갱신된 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갱신된 기준 전송 전력값이 시그널링될 수 있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6.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있어서,
    조정 기간과 함께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7. 제6항에 있어서, 갱신된 조정 기간값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8. 제6항에 있어서,
    갱신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9.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될 때의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조정 기간과 함께 전송되는, 상기 조정을 위한 기준 전송 전력값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조정 기간에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상기 기준 전송 전력값으로 주기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조정을 소정의 순간에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정보는 연속적인 오름차순으로 넘버링(numbering)된 프레임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조정 기간은 프레임의 수(N)로 표현되며, 상기 소정의 순간은 프레임 번호 n (modulo N) - 여기서, 0 ≤ n < N - 에 대응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n" 번호의 프레임 각각에서, 소정의 타임 슬롯 동안 상기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은, "n" 번호의 프레임 각각에서 소정의 타임 슬롯 동안 수행되는 전송 전력 조정 방법.
KR1020080105260A 2000-05-17 2008-10-27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KR101194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6316A FR2809252B1 (fr) 2000-05-17 2000-05-17 Procede d'ajustement de puissance d'emission par des stations de base transmettant en macro-diversite
FR0006316 2000-05-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09A Division KR20010105252A (ko) 2000-05-17 2001-05-17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조정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982A Division KR20100092416A (ko) 2000-05-17 2010-07-30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90A true KR20080109690A (ko) 2008-12-17
KR101194135B1 KR101194135B1 (ko) 2012-10-25

Family

ID=885033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09A KR20010105252A (ko) 2000-05-17 2001-05-17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조정하는 방법
KR1020080105260A KR101194135B1 (ko) 2000-05-17 2008-10-27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KR1020100073982A KR20100092416A (ko) 2000-05-17 2010-07-30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009A KR20010105252A (ko) 2000-05-17 2001-05-17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조정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982A KR20100092416A (ko) 2000-05-17 2010-07-30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11326B2 (ko)
EP (1) EP1156595B1 (ko)
JP (1) JP4551025B2 (ko)
KR (3) KR20010105252A (ko)
CN (1) CN1324195A (ko)
AT (1) ATE416518T1 (ko)
DE (1) DE60136770D1 (ko)
ES (1) ES2317881T3 (ko)
FR (1) FR2809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5975B1 (en) * 1999-04-22 2003-02-04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forward power control during soft handoff
US6850771B2 (en) * 2002-06-24 2005-02-0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JP4305341B2 (ja) * 2004-09-09 2009-07-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基地局、無線基地局制御装置、送信電力制御方法
US20060223447A1 (en) * 2005-03-31 2006-10-05 Ali Masoomzadeh-Fard Adaptive down bias to power changes for controlling random walk
WO2007045120A1 (fr) * 2005-10-18 2007-04-26 Zte Corporation PROCEDE DESTINE A COMMANDER UN MODE DE MACRODIVERSITE EN FONCTION DE LA DIFFERENCE D’EXIGENCES DE QoS DE L’UTILISATEUR
US20080247366A1 (en) * 2006-09-26 2008-10-09 Ulrico Celentano Forced silencing of transmitting device
WO2015169192A1 (zh) * 2014-05-04 2015-11-12 丘炎卫 支持平面媒体产品与互联网联接的ptp交互关联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3990A (en) * 1984-06-25 1986-09-23 At&T Bell Laboratories Radiotelephone transmission power control
JP3323424B2 (ja) * 1996-07-29 2002-09-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下り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6396867B1 (en) * 1997-04-25 2002-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power control
TW396686B (en) * 1997-06-06 2000-07-01 Ericsson Telefon Ab L M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US6104933A (en) 1997-06-23 2000-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base stations in macro diversity radio systems
US6708041B1 (en) * 1997-12-15 2004-03-16 Telefonaktiebolaget Lm (Publ) Base station transmit power control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US6154659A (en) * 1997-12-24 2000-11-28 Nortel Networks Limited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DE69925800T2 (de) * 1998-02-19 2006-05-04 Qualcomm, Inc., San Dieg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aximieren der ruhezeit unter benützung eines schnellanrufskanals
FI114060B (fi) * 1998-04-03 2004-07-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et tehon säätöön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6008694A (en) 1998-07-10 1999-12-28 National Scientific Corp. Distributed amplifier and method therefor
EP0977370B1 (en) * 1998-07-28 2005-10-05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 systems
US6512925B1 (en) * 1998-12-03 2003-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while in soft handoff
EP1058407A1 (de) * 1999-04-01 2000-12-06 Alcatel Sendeleistungskorrektur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EP1063787A1 (en) * 1999-06-18 2000-12-27 Alcatel Operating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6473624B1 (en) * 2000-03-21 2002-10-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a reference power level for diversity handover base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09252B1 (fr) 2003-10-03
EP1156595B1 (fr) 2008-12-03
DE60136770D1 (de) 2009-01-15
ES2317881T3 (es) 2009-05-01
EP1156595A1 (fr) 2001-11-21
US7711326B2 (en) 2010-05-04
JP4551025B2 (ja) 2010-09-22
KR20010105252A (ko) 2001-11-28
FR2809252A1 (fr) 2001-11-23
CN1324195A (zh) 2001-11-28
KR101194135B1 (ko) 2012-10-25
KR20100092416A (ko) 2010-08-20
JP2002016547A (ja) 2002-01-18
ATE416518T1 (de) 2008-12-15
US20020002057A1 (en) 200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9785B1 (en) Adaptive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P1260034B1 (en) Downlink transmit power synchronization during diversity communication with a mobile station
US6341225B1 (en)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power control
RU2214069C2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базовых станций во время макроразнесения
KR101194135B1 (ko)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전송되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
EP1048130B1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WO1999000914A1 (en) Asymmetric forward power control in a cdma communication network
JP2006512829A (ja) Cdma−tddシステムの移動局用の電力制御
JP2007053780A (ja) パワー制御を用いて、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性能を改善する方法
US6873626B2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preferably used for the system and method
EP1045528B1 (en) A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AU2523000A (en) A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s of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ower control algorithm
JP3325019B2 (ja) ディレー制御方法
US6636746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DMA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during soft handoff
US674474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fin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station
KR101136666B1 (ko)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방법 및 장치
GB2454865A (en) Power control in a femtocell device
JP2001352290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時期の調整方法
MXPA99011142A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KR20060098858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외부루프 전력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630

Effective date: 2012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