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39A -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39A
KR20080109639A KR1020080054609A KR20080054609A KR20080109639A KR 20080109639 A KR20080109639 A KR 20080109639A KR 1020080054609 A KR1020080054609 A KR 1020080054609A KR 20080054609 A KR20080054609 A KR 20080054609A KR 20080109639 A KR20080109639 A KR 2008010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ttery
shopping mall
online shopping
w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Original Assignee
허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민 filed Critical 허민
Priority to KR102008005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639A/ko
Publication of KR2008010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쇼핑의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은 물품을 구매 결정한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온라인 쇼핑몰, 추첨, 당첨, 낙첨, 할인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LOT METHOD OF ONLINE SHOPPING MALL SYSTEM}
본 발명은 쇼핑의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의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화 및 용역의 판매는 판매시점에서는 판매자와 소비자가 상품이 되는 재화나 용역의 가치에 대한 합의를 하고 적절한 교환 수단(합의된 가치에 상응하는 물품이나 화폐)과 교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환은 수천 년의 인류 역사에서 일반화된 것이다.
한편, 인터넷이란 이러한 상품의 정보 및 거래의사/거래조건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가상의 공간으로서, 판매자나 소비자의 직접적인 대면이 필요 없는 공간이다. 이러한 인터넷에서 재화나 용역이 상품으로서 거래되고 교환되는 공간을 인터넷 쇼핑몰이라고 한다면, 상기 인터넷 쇼핑몰의 특징은 전시되는 상품의 공간적/시간적 제약이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일반 물품의 구매 시 상품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소매점을 이용하는 구매 행위는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즉, 물리적 공간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가 동일한 상품을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 가격이나 이에 상응하는 보상, 예를 들어 경품이나 다른 물적 보상으로 귀결된다.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소비자는 소비자가 전적으로 상품의 가격을 부담한다는 전제 아래에서 구매 및 판매행위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소비자는 객관적인 모든 조건이 동일하고 동일한 상품이면서 동일한 지불조건이면 저가의 상품을 제시한 쇼핑몰에서 구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쇼핑몰 운영자들은 동일한 조건 및 상품에 있어서 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거나 소비자의 접근 및 구매를 유도할 목적으로 경품 및 포상금 등 물적 보상을 제시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넷상에 상품을 전시하고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여 구매 결정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소비자에게 그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은 쿠폰 등을 통해서 물품에 대해 할인을 해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의 운영 방법으로는 사용자에게 쇼핑의 재미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또한,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 이상의 오락적인 요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첨을 통한 할인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쇼핑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추첨을 통한 할인이라는 쇼핑의 재미를 제공함으로써,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재미와 할인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첨에 낙첨되는 경우 낙첨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은, 물품을 구매 결정한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은,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과 연관된 쇼핑몰 페이지로,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당첨에 따라 이전에 작성된 낙첨 정보를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물품을 구매 결정한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하는 추첨부; 및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할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물품과 연관된 쇼핑몰 페이지로,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출부는 상기 사용자의 당첨에 따라 이전에 작성된 낙첨 정보를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결정 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하는 추첨부; 및 상기 실시된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할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상기 추첨에 의해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노출하는 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출부는 현재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이전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와 함께 쇼핑몰 페이지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추첨에 의해 현재의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이전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삭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첨부는 선정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결정 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쇼핑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추첨을 통한 할인이라는 쇼핑의 재미를 제공 함으로써,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재미와 할인이라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첨에 낙첨되는 경우 낙첨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통신망(130)을 통해 물품의 구매 결정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구매 결정과 관련된 신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20)에 표시된 쇼핑몰 페이지에서 '물품 구매 버튼'을 클릭함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일반적인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급 가능한 모든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회원 가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원 가입 후 로그 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회원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회 원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달리,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회원 가입 절차 없이도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간단한 정보(예: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의 입력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반면에,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첨에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 다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된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쇼핑몰 페이지에 노출한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쇼핑몰 페이지에 노출된 낙첨 정보를 보고서 상기 물품 구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에게 추첨을 통해 할인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들에게 쇼핑과 더불어 추첨이라고 하는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으로부터 웹페이지(쇼핑몰 페이지)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공받은 쇼핑몰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12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쇼핑몰 페이지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등의 쇼핑 행위를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컴퓨터를 비롯하여,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 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통신망(130)은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과 사용자 단말기(12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장치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acket Switched Data Network), X.25,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LAN(Local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TV(Cable TV) 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망(130)의 한 종류로서 이동 통신망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고정된 지점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하며,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망은 이동하며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전파를 중계하는 기지국(BS), 복수개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사이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gateway)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하며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전파를 중계하고, 육상 이동국과의 통신 또는 이동 중계국의 중계에 의한 통신을 하기 위해 육상에 개설하고 이동하지 않는 무선국이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 통신에서 기지국을 구성하는 시스템인 기지국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기지국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BSC)와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로 구분되는 데 기지국 제어기는 각종 유선망과의 접속 및 기지국 트랜시버 제어를 담당하고, 기지국 트랜시버는 이동국과의 무선 전송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속한 셀 반경에 해당하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와 연관된 복수의 기지국들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21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과 연계하는 쇼핑몰 사이트를 통해 물품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20)에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구매 결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결정이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20)의 화면상에 표시된 쇼핑몰 사이트 내의 페이지(이하, 쇼핑몰 페이지)에서 '물품 구매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 결정한 물품과 연관되는 페이지를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에 대한 선정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10명 당 1명씩 당첨될 수 있도록 추첨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당첨 확률을 20%로 선정하여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동일 물품에 대해 구매 결정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물품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별로 추첨을 나누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A'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가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이라 하고, '물품 B'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가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이라 가정한다. 이럴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물품 A'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들과 '물품 B'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들에 대해 별도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에 한해서 제1 추첨을 실시하고,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에 한해서 '제2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달리,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물품의 종류에 상관 없이, 물품 구매를 결정한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위의 예에서와 같을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 모두를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당첨'이 되는 경우, 단계(230)을 수행한다. 즉, 단계(230)에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당첨 사실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를 통해 알려주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해서 일정 금액 할인해주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과 연계된 쇼핑몰 사이트에서, 물품 A의 판매 가격이 10,000원인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추첨에 당첨되는 사용자에게 원래의 가격에서 1,000원을 할인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물품 A를 9,000원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당첨 사실을 알리는 문구(예: 당첨, 또는 축하합니다 등)를 포함하는 당첨 정보를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상기 당첨 사실을 알리지 않음으로써, 당첨에 대한 기대감을 떨어뜨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추첨 결과 목록은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추첨에 대한 결과, 특히 낙첨 사실을 알리는 문구(예: 꽝, 다음 기회에 등)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표시하여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첨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40)에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쇼핑몰 페이지에 노출된 낙첨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추첨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이전 사용자들의 낙첨 정보(들)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상에서 삭제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추첨에 의해 사용자가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낙첨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노출 정보를 상기 물품과 연관된 쇼핑몰 페이지로 노출할 수 있다(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추첨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정보를 상기 쇼핑몰 페이지에서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정보가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낙첨 정보 기록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추첨 결과 목록에는, 상기 낙첨 정보가 발생하기 전까지 어떠한 낙첨 정보도 표시되지 않게 된다(다만, 당첨 확률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단계(220)에서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낙첨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상기 물품과 연관된 쇼핑몰 페이지로 노출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이전의 낙첨 정보와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누적 기록된 낙첨 정보(들)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현재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이전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와 함께 쇼핑몰 페이지의 추첨 결과 목록에 표시하여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추첨 결과 목록을 통해 이전의 낙첨 정보를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는 사용자에게 노출함으로써, 상기 구매 결정과 관련하여 당첨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줄 수 있으며, 또한 쇼핑에 대한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쇼핑몰 페이지의 추첨 결과 목록에,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당첨 확률을 사용자의 구매 결정과 관련하여 노출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는 시점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또 달리,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물품에 대한 구매 결정과 관련하는 모든 시점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당첨 확률을 이전에 작성된 낙첨 정보(들)과 함께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당첨 확률의 노출을 통해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보다 높은 기대감을 심어줄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기대감으로 말 미암아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60)에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낙첨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추첨에 의한 낙첨 발생 시, 기존의 낙첨 횟수를 1회 증가시킬 수 있다(기존 낙첨 횟수 + 1). 이때, 상기 추첨에 의한 첫 번째 낙첨에 대해서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기존의 낙첨 횟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낙첨 횟수를 1회로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당첨에 의해 상기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된 낙첨 정보가 삭제된 이후의 첫 번째 낙첨에 대해서도,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현재의 낙첨 횟수를 1회로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인식된 낙첨 횟수 및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카운트된 낙첨 횟수를 반영하여 상기 당첨 확률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카운트된 낙첨 횟수가 5회이고, 상기 기존 당첨 확률이 10%인 상황에서, 사용자 A가 상기 물품 A를 구매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이러한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횟수를 상기 기존 당첨 확률에 반영하여, 당첨 확률을 20%로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20%)을 상기 물품 A에 대한 당첨 확률로서 지정하여 상기 사용자 A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당첨 확률(20%)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하여, 상기 물품 A에 대한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 A에게 보여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당첨 확률에 상기 낙첨 횟수가 반영됨에 따라, 상기 당첨 확률을 가변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당첨 확률은 고정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횟수와 관계 없이 고정된 당첨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에 있어서, 당첨 여부에 따른 추첨 결과 목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i)에는 '당첨 확률'과 '낙첨 정보'(310)가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당첨 확률은 10%로 표시되어 있으며, 낙첨 정보(310)는 사용자 A, B, C, D, E 모두 '꽝'(낙첨)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다음 구매 결정자를 사용자 F라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 F가 소정의 물품(예: MP3 플레이어)에 대한 구매 결정을 하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구매 결정한 사용자 F에 대해 추첨을 실시한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추첨 결과 목록 상단에 노출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F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된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 F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예: 가격 할인)을 제공하고, 도 3의 i)에 도시된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된 낙첨 정보들(310)을 모두 삭제 처리한다. 도 3의 ii)는 상기 당첨에 의해 낙첨 정보가 삭제된 추첨 결과 목록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3의 ii)에서 도면부호 320은 상기 낙첨 정보들이 삭제된 영역을 가리킨다.
이때,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정보 삭제 후에도, 상기 추첨에 대한 당첨 확률을 그대로 상기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낙첨 정보 삭제 전의 당첨 확률, 즉 상기 사용자 F에 대한 추첨 시의 당첨 확률을 상기 낙첨 정보가 삭제된 직후에 유지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도 3의 i)에서의 당첨 확률(10%)이 상기 낙첨 정보 삭제된 직후인 도 3의 ii)에서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상기 사용자 F에 대한 당첨 사실을 상기 당첨 확률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낙첨 또는/및 당첨 사실을 상기 당첨 확률에 반영함으로써, 낙첨 횟수가 증가하면 상기 당첨 확률을 향상 조정하고, 당첨 횟수가 증가하면 상기 당첨 확률을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에 의하면,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결정 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쇼핑의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추첨에 의해 낙첨되는 경우, 낙첨 정보를 노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방법(추첨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은 추첨부(410), 할인부(420), 노출부(430), 및 카운트부(440)를 포함한다.
추첨부(410)는 물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결정 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한다.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과 연계하는 쇼핑몰 사이트를 통해 물품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매 결정이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20)의 화면상에 표시된 쇼핑몰 사이트 내의 페이지(이하, 쇼핑몰 페이지)에서 '물품 구매 버튼'을 클릭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가 구매 결정한 물품과 연관되는 페이지를 가리킬 수 있다.
이때, 추첨부(410)는 상기 물품에 대한 선정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첨부(410)는 10명 당 1명씩 당첨될 수 있도록 추첨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당첨 확률을 20%로 선정하여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추첨부(410)는 동일 물품에 대해 구매 결정한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추첨부(410)는 물품의 종류에 따른 사용자별로 추첨을 나누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A'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가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이라 하고, '물품 B'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가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이라 가정한다. 이럴 경우, 추첨부(410)는 '물품 A'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들과 '물품 B'를 구매 결정한 사용자들에 대해 별도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추첨부(410)는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에 한해서 제1 추첨을 실시하고,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에 한해서 '제2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달리, 추첨부(410)는 물품의 종류에 상관 없이, 물품 구매를 결정한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위의 예에서와 같을 경우, 추첨부(410)는 '사용자 1', '사용자 2', '사용자 3', '사용자 11', '사용자 12', '사용자 13' 모두를 대상으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할인부(420)는 상기 실시된 추첨에 의해 '당첨'이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할인부(4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첨에 당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당첨 사실을 쇼핑몰 페이지를 통해 알려주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해서 일정 금액 할인해주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0)과 연계된 쇼핑몰 사이트에서, 물품 A의 판매 가격이 10,000원인 경우, 할인부(420)는 상기 추첨에 당첨되는 사용자에게 원래의 가격에서 1,000원을 할인하여,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물품 A를 9,000원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해준다.
노출부(430)는 실시된 추첨 결과, 상기 사용자가 낙첨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상기 물품과 연관된 쇼핑몰 페이지로 노출한다. 이를 위해, 노출부(430)는 상기 작성된 낙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이전의 낙첨 정보와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누적 기록된 낙첨 정보(들)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에 표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출부(430)는 현재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를 이전의 사용자에 대한 낙첨 정보와 함께 쇼핑몰 페이지의 추첨 결과 목록에 표시하여 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첨 결과 목록은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추첨에 대한 결과, 특히 낙첨 사실을 알리는 문구(예: 꽝, 다음 기회에 등)를 포함하는 낙첨 정보를 표시하여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430)는 상기 추첨 결과 목록을 통해 이전의 낙첨 정보를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는 사용자에게 노출함으로써, 상기 구매 결정과 관련하여 당첨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줄 수 있으며, 또한 쇼핑에 대한 재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출부(430)는 상기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부(4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을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노출부(430)는 상기 쇼핑몰 페이지의 추첨 결과 목록에,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을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노출부(430)는 상기 당첨 확률을 사용자의 구매 결정과 관련하여 노출할 수 있다.
즉, 노출부(4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기 전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물품을 구매 결정하는 시점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또 달리, 노출부(430)는 상기 물품에 대한 구매 결정과 관련하는 모든 시점에, 상기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노출부(430)는 상기 당첨 확률을 이전에 작성된 낙첨 정보(들)과 함께 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430)는 당첨 확률의 노출을 통해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보다 높은 기대감을 심어줄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기대감으로 말미암아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노출부(430)는 상기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상기 당첨 사실을 알리는 문구(예: 당첨, 또는 축하합니다 등)를 포함하는 당첨 정보를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상기 당첨 사실을 알리지 않음으로써, 당첨에 대한 기대감을 떨어뜨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노출부(430)는 상기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쇼핑몰 페이지에 노출된 낙첨 정보를 초기화할 수 있다. 즉, 노출부(430)는 상기 추첨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당첨되는 경우, 이전 사용자들의 낙첨 정보(들)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상에서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노출부(430)는 상기 낙첨 정보가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낙첨 정보 기록 영역을 초기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추첨 결과 목록에는, 상기 낙첨 정보가 발생하기 전까지 어떠한 낙첨 정보도 표시되지 않게 된다(다만, 당첨 확률은 표시될 수 있다).
카운트부(440)는 낙첨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즉, 카운트부(440)는 상기 추첨에 의한 낙첨 발생 시, 기존의 낙첨 횟수를 1회 증가시킬 수 있다(기존 낙첨 횟수 + 1). 이때, 상기 추첨에 의한 첫 번째 낙첨에 대해서는, 카운트부(440)는 기존의 낙첨 횟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낙첨 횟수를 1회로서 인식할 수 있 다. 또한, 당첨에 의해 상기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된 낙첨 정보가 삭제된 이후의 첫 번째 낙첨에 대해서도, 카운트부(440)는 현재의 낙첨 횟수를 1회로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추첨부(410)는 상기 인식된 낙첨 횟수 및 상기 물품에 대한 당첨 확률에 기초하여 상기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추첨부(410)는 상기 카운트된 낙첨 횟수를 반영하여 상기 당첨 확률을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부(430)는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카운트된 낙첨 횟수가 5회이고, 상기 기존 당첨 확률이 10%인 상황에서, 사용자 A가 상기 물품 A를 구매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이러한 경우, 추첨부(410)는 상기 낙첨 횟수를 상기 기존 당첨 확률에 반영하여, 당첨 확률을 20%로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당첨 확률(20%)을 상기 물품 A에 대한 당첨 확률로서 지정하여 상기 사용자 A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부(430)는 상기 당첨 확률(20%)을 상기 쇼핑몰 페이지 내 추첨 결과 목록에 노출하여, 상기 물품 A에 대한 당첨 확률을 상기 사용자 A에게 보여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당첨 확률에 상기 낙첨 횟수가 반영됨에 따라, 상기 당첨 확률을 가변적인 값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당첨 확률은 고정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추첨부(410)는 상기 낙첨 횟수와 관계 없이 고정된 당첨 확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첨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 의하면, 물품 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결정 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쇼핑의 재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품에 대한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첨에 의해 당첨되는 경우, 구매 결정한 물품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추첨에 의해 낙첨되는 경우, 낙첨 정보를 노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당첨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에 있어서, 당첨 여부에 따른 추첨 결과 목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120: 통신망
130: 사용자 단말기 410: 추첨부
420: 할인부 430: 노출부
440: 카운트부

Claims (1)

  1.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물품에 대한 구매 결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상기 수신된 구매 결정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추첨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에서, 상기 실시된 추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당첨 또는 낙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KR1020080054609A 2008-06-11 2008-06-11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KR20080109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09A KR20080109639A (ko) 2008-06-11 2008-06-11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09A KR20080109639A (ko) 2008-06-11 2008-06-11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151 Division 2007-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39A true KR20080109639A (ko) 2008-12-17

Family

ID=4036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09A KR20080109639A (ko) 2008-06-11 2008-06-11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6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15A1 (ko) * 2014-03-26 2015-10-01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이벤트 당첨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4896A (ko) * 2021-03-04 2022-09-14 남기원 예측 인센티브 노출을 통한 거래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15A1 (ko) * 2014-03-26 2015-10-01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이벤트 당첨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4896A (ko) * 2021-03-04 2022-09-14 남기원 예측 인센티브 노출을 통한 거래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kestraw et al. The mobile apps industry: A case study
KR10102062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묶음할인 상품 판매방법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US20150302486A1 (en) Multiple party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US20120129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Location-Based Gameplay
KR100787058B1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20417A1 (en) Method for providing favorite store management service in electronic commerce using interne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KR20090000118A (ko) 근거리통신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티켓판매 시스템 및 방법
CN101751637A (zh) 在网络游戏中进行真实商品交易的方法及其装置
US20110295684A1 (e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advertisements
Panis et al. Mobile commerce service scenarios and related business models
KR20080109639A (ko)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추첨 방법
KR100723065B1 (ko) 가위바위보 게임을 이용한 온라인/모바일 전자상거래 방법
KR1005224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및그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KR2016010294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1371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8017A (ko) 스마트 단말을 터치하는 사용자 패턴을 이용한 게임화된 광고 플랫폼 기반 경품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8114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0856827B1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1443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2066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hmed et al. Mobile commerce: gate way to successful business
KR20200109282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05874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Elkington et al. New Technology Briefing: M-commerce changes the marketing game
KR20120135169A (ko)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