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7019A - A condenser - Google Patents

A cond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7019A
KR20080107019A KR1020070054778A KR20070054778A KR20080107019A KR 20080107019 A KR20080107019 A KR 20080107019A KR 1020070054778 A KR1020070054778 A KR 1020070054778A KR 20070054778 A KR20070054778 A KR 20070054778A KR 20080107019 A KR20080107019 A KR 2008010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tank
heat exchange
condenser
exchange medium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홍규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7019A/en
Publication of KR2008010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A condenser is provided to be minimized by removing parts protruded for forming inlet and outlet pipes but forming the pipes by inserting into header tanks. An inlet pipe(20) and an outlet pipe(30) connected respectively to a pair of header tanks(1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s resp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응축기{A Condenser}Condenser {A Condenser}

도 1은 종래의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denser.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의 상측 평면도.2 is a top plan view of the condense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응축기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er shown in FIG. 3;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응축기의 열교환매체 흐름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 exchange medium flow of the condenser shown in FIG.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헤더탱크 11 : 플랜지10: header tank 11: flange

12 : 열교환매체유통홀 13 : 볼트삽입홀12: heat exchange medium distribution hole 13: bolt insertion hole

20 : 입구파이프 20: inlet pipe

30 : 출구파이프30: outlet pipe

40 : 배플40: baffle

50 : 튜브50: tube

60 : 핀60: pin

70 : 기액분리기70: gas-liquid separator

80 : 본 발명의 응축기80: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1~A7 : 응축기 내부의 각 영역A1 ~ A7: Each area inside the condenser

본 발명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헤더탱크 내로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소형화가 가능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킨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ar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 can be miniaturized and improved assemblability.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실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할 경우에는 냉방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여 실내로 방출할 경우에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열교환기는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열교환매체를 압축하는 압축기,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 열교환매체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로 구성된다. A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absorbs heat from one side and releases heat to the other between two environments with a difference in temperature. If a heat exchanger absorbs heat from the room and emits it to the outside, it is a cooling system. In this case it will act as a heating system. Basically, the heat exchanger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that absorbs heat from the surrounding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 condenser that releases heat to the surroundings, and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heat exchange medium.

냉각장치에서는, 액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주변에서 기화열만큼의 열량을 흡수하여 기화되는 증발기에 의해 실제 냉각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유입되는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는 압축기에서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압축된 기체 상태의 열교환매체가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화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액화열이 방출되며, 상기 액화된 열교환매체가 다시 팽창밸브를 통과함으로써 저온 및 저압의 습포화 증기 상태가 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하게 되어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In the cooling device, an actual cooling action is caused by an evaporator in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e liquid state absorbs the amount of heat as vaporized heat from the surroundings and vaporizes. 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e gas state flow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is compressed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and liquefied heat is released to the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liquefying the compressed gas heat exchange medium through the condenser. As the medium passe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again, it becomes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wetted vapor state, and then flows into the evaporator to evaporate to form a cycl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에서는 고온ㆍ고압의 기체 상태인 열교환매체가 유입되어 열교환에 의해 액화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응축된 후 배출되며, 종래의 응축기를 도 1에 도시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denser, a heat exchange medium in a gaseous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lows in, is discharged after being condensed in a liquid state while releasing liquefied heat by heat exchange, and is shown in FIG.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18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10); 상기 헤더탱크(1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120) 및 출구파이프(130); 상기 헤더탱크(11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140); 상기 헤더탱크(110) 사이에 복수개 구비되는 튜브(150); 상기 튜브(15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160); 및 상기 헤더탱크(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여 기상 냉매는 상단으로, 액상 냉매는 하단으로 보내어 최종적으로는 기액분리기에서 액상 냉매만을 포집함으로써 과냉각을 유도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condenser 180 shown in FIG. 1 includes a pair of header tanks 11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let pipe 120 and an outlet pipe 130 formed in the header tank 110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in or out; A baffle 140 provided inside the header tank 110 to adjust a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 plurality of tubes 150 provided between the header tanks 110; A plurality of fins 160 stacked between the tubes 150; And a gas-liquid separator 1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10 to separate the gas-phase heat exchange medium from the liquid-phase heat exchange medium. It is designed to induce subcooling by collecting only the liquid refrigerant in the gas-liquid separator.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응축기는 과냉각이 발생함에 의해 열교환매체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 condenser as shown in FIG. 1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urther lower the enthalpy of the heat exchange medium by the supercooling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그러나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응축기는 내부로 열교환매체를 유입하는 입구파이프와 배출하는 출구파이프가 상기 헤더탱크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플렌지에 의해 고정되므로 상기 응축기 헤더탱크의 외측으로 일정영역 돌출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However, the condenser as shown in FIG. 1 protrudes a certain region to the outside of the condenser header tank because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for introduc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and fixed by a flange. To form a defined area.

상기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응축기(180)의 상측 평면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응축기(180)는 상기 입구파이프(120) 및 출구파이프(130)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응축기(180)의 길이방향으로 α만큼 돌출되고, 상기 응축기(180)의 폭방향으로 β만큼 돌출되어 실제 응축기(180)의 폭 이상 돌출되므로 상기 입구파이프(120) 및 출구파이프(130)는 응축기(180)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2 is a top plan view of the condenser 180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condenser 180 includes the inlet pipe 120 and the outlet pipe 130 to provide the condenser 180. Protrude as long as α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 as β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denser 180 to protrude more than the width of the actual condenser 180, so that the inlet pipe 120 and the outlet pipe 130 are condenser 180 It will act as an obstacle to miniaturization.

상기 응축기에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플렌지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더 필요하게 되어 그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며, 상기 입구파이프, 출구파이프, 및 플렌지 등에 의해 돌출된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 공조장치 내부에 상기 응축기를 조립하기 위한 그 만큼의 공간이 더 소요되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form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in the condenser,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flange is further required, and the structure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air conditioning is performed when an area protruded by the inlet pipe, the outlet pipe, and the flange is 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s much space for assembling the condenser inside the apparatus, and the assemblability is reduced.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 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돌출형성되는 경우에는 운반 시에 충격에 의한 변형이 쉽게 유발될 수 있고, 변형이 발생된다 할지라도 그 검출이 어려워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protruded as shown in FIG. 1, deformation due to impact can be easily induced during transportation, and even if deformation occurs, the detection is difficult, thereby lowering productivity. There is this.

더욱이 세계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차량 내 부품의 경량화ㆍ컴팩트화ㆍ고성능화가 진행되는 현재 기술적 추세에 따라 상기 응축기 역시 소형화를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Furthermore, in order to satisfy various preferences of users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ical trend that light weight, compactness, and high performance of components in vehicles are progressed, research for miniaturization of the condenser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길이를 갖는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가 헤더탱크 내부에 삽 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의 형성을 위해 돌출된 부분을 삭제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inlet pipe and outlet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 to form the inlet pipe and outlet pipe. It is to provide a condenser that can be miniaturized by eliminating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40); 상기 헤더탱크(10) 사이에 복수개 구비되는 튜브(50); 상기 튜브(5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60); 및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80)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각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ir of header tank 10 is formed side by side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An inlet pipe 20 and an outlet pipe 30 formed in the header tank 10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in or out; A baffle (40) provided inside the header tank (10) to control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 plurality of tubes 50 provided between the header tanks 10; A plurality of fins 60 stacked between the tubes 50; And a gas-liquid separator 7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o separate the gas phase heat exchange medium and the liquid phase heat exchange medium, wherein the condenser 80 is the inlet pipe 20. And outlet pipe 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ach of the header tank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배플(40)은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ffle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is fixed to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또,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각각 상측과 하측의 튜브(50)를 통해 상기 배플(40)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고 타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되어 상기 기액분리기(70)를 통과된 후, 다시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출구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80 is a heat exchange medium introduced into the header tank 10 through the inlet pipe 20 along the flow path formed by the baffle 4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tubes 50, respectively. After moving and flowing into the other header tank 10 and passing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70, it is again moved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30.

아울러,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어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분기되는 제 1 영역(A1)을 거치며, 상측으로 분기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 1 영역(A1)의 상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2 영역(A2), 상기 제 2 영역(A2)의 상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3 영역(A3)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되고, 하측으로 분기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 1 영역(A1)의 하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4 영역(A4), 상기 제 4 영역(A4)의 하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5 영역(A5)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되며, 각각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된 열교환매체는 다시 상기 제 5 영역(A5)의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6 영역(A6), 및 상기 제 6 영역(A6)의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7 영역(A7)을 거쳐 상기 출구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80 is a heat exchange medium introduced into one header tank 10 through the inlet pipe 20 is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to branch to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The second area A2 is moved 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rea A1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area A1 to be formed. The heat exchange medium which is mov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70 through the third region A3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2 and branched downward. The fourth region A4 is moved 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1, and the tube 5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A4. It is mov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70 via a fifth region A5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70, respectively. The transferred heat exchange medium is further moved to the sixth region A6, which is moved 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formed under the fifth region A5, and below the sixth region A6.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outlet pipe 30 through the seventh region (A7) that is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formed tube (50).

또,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헤더탱크(10) 일측에 상기 입구파이프(20) 또는 출구파이프(30)와 연결되어 열교환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매체유통홀(12) 및 볼트삽입홀(13)이 형성된 플랜지(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denser 80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0 or the outlet pipe 30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he heat exchange medium through-hole 12 and the bolt insertion hole 13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is circul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flange 11 is further provid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응축기(8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응축기(80)를 나타낸 사시도로,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40); 상기 헤더탱크(10) 사이에 복수개 구비되는 튜브(50); 상기 튜브(5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60); 및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80)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각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header tank 10 formed side by sid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let pipe 20 and an outlet pipe 30 formed in the header tank 10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in or out; A baffle (40) provided inside the header tank (10) to control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 plurality of tubes 50 provided between the header tanks 10; A plurality of fins 60 stacked between the tubes 50; And a gas-liquid separator 7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o separate the gas phase heat exchange medium and the liquid phase heat exchange medium, wherein the condenser 80 is the inlet pipe 20. And outlet pipe 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each of the header tank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응축기(80)의 분해사시도로, 상기 입구파이프(20)가 일측 헤더탱크(10)에 상기 출구파이프(30)가 타측 헤더탱크(10)에 삽입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denser 80 shown in FIG. 3, wherein the inlet pipe 20 is inserted into one header tank 10 and the outlet pipe 30 is inserted into the other header tank 10. Indicated.

즉,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상기 헤더탱크(10)에 각각 삽입 형성되어 특정 부분까지 열교환매체를 안내한다.That is, in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 10 to guide the heat exchange medium to a specific portion.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각각 헤더탱크(10)에 삽입 형성된 경우, 상기 입구파이프(20) 내측의 공간을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입되고 상기 입구파이프(20) 외측의 헤더탱크(10)가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며, 상기 출구파이프(30) 내측의 공간을 통해 열교환매체가 배출되고 상기 출구파이 프(30) 외측의 공간을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When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 10, the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inlet pipe 20, the header tank outside the inlet pipe 20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through the space formed by 10, the heat exchange medium is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inside the outlet pipe 30, and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through the space outside the outlet pipe 30. To form.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상기 헤더탱크(10)에 삽입되어 형성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열교환매체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위해 헤더탱크(10)의 영역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는 종래의 응축기(80)가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영역과 비교하면 총 길이 및 폭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종래의 응축기를 도시한 도 2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를 구비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α만큼, 폭방향으로 β만큼의 영역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serting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into the header tank 10, thus providing a space that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 medium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The area of the header tank 10 can be increased for this purpose, but the total length and width of the conventional condenser 80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area where the condenser 80 protrudes to form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Will be reduced. Compared with FIG. 2, which shows a conventional condenser,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deletes an area by α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β in the width direction to provide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It becomes possible.

실제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종래의 응축기(80)와 비교하여 폭의 길이를 50%이상 줄일 수 있어 생산 공정에서의 적입율이 증가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tually, the 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ength of the width by more than 50%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denser 80 can increase the loading rate in the production proces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the inlet pipe 20 ) And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outlet pipe 30 is unnecessary, which can reduce the material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삽입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는 배플(40)은 기존의 형상을 그대로 따르며,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삽입된 부분에 형성되는 배플(40)은 내부에 중공된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ffle 40 formed in the region in which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are not inserted follows an existing shape, The baffle 40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are inserted has a hollow area formed therein and is fitted to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It is done.

또한,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헤더탱크(10) 일측에 플랜지(11)가 더 구비되어 상기 입구파이프(20) 또는 출구파이프(30)의 연결 및 공조케이스 내에서 상기 응축기(80)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enser 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ange 11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he assembly of the condenser 80 in the connection and air conditioning case of the inlet pipe 20 or outlet pipe 30. This can be made easier.

상기 플랜지(11)는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탱크(10)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입구파이프(20) 또는 출구파이프(30)와 연결되어 열교환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매체유통홀(12) 및 상기 열교환매체유통홀(1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볼트삽입홀(13)이 형성된다.3 and 4, the flange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0 or the outlet pipe 30 to exchange heat exchange medium. A bolt insertion hole 1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edium flow hole 12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hole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응축기(80)는 상기 배플(40)이 형성되는 위치,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열교환매체 흐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입구파이프(2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는 각각 상측과 하측의 튜브(50)를 통해 상기 배플(40)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고 타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되어 상기 기액분리기(70)를 통과된 후, 다시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출구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denser 8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variety of heat exchange medium flow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baffle 40 is formed, the length of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the inlet pipe 20 The heat exchange medium introduced in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is moved along the flow path formed by the baffle 4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tubes 50, respectively, and flows into the other header tank 10 to the gas-liquid separator. After passing through the 70, it is preferably moved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lower 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30).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응축기(80)의 열교환매체 흐름 개략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압축기에 의해 고온ㆍ고압으로 압축된 기상의 열교환매체는 일측 헤더탱크(10)의 입구파이프(20)로 유입되며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플(40)에 의해 형성된 제 1 영역(A1)에서는 상기 헤더탱크(10)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①의 흐름을 따라 타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이 일어나게 되므로 기상과 액상의 열교환매체가 혼재되어 있으며, 분자운동이 활발하고 밀도가 낮은 기상의 열교환매체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점성이 높고 질량과 밀도가 큰 액상의 열교환매체는 중력 방향인 하측으로 이동된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of the condenser 80 shown in FIG. 3, the heat exchange medium of the gaseous phase com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by a compressor is an inlet pipe 20 of one header tank 10. In the first region A1 formed by the baffle 40 provided in the header tank 10 and mov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eader tank 10, the other header tank 10 is moved along the flow of ①. Flows into). In this process, condensation occurs due to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of the gas phase and the liquid phase is mixed,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of the gaseous phase with low molecular density is moved to the upper side, and has relatively high viscosity and mass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having a high density of liquid is mov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즉, 상기 제 1 영역(A1)의 상측 영역인 제 2 영역(A2)은 기상이 더 많이 포함된 열교환매체가 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영역(A1)의 하측 영역인 제 4 영역(A4)은 액상이 더 많이 포함된 열교환매체가 ②'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영역(A2)으로 흘러간 열교환매체는 제 3 영역(A3)의 ③ 방향으로 흐르면서 재응축이 일어나게 되며, 응축에 의해 액상이 된 열교환매체는 ④ 방향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70)로 모이게 된다. 제 4 영역(A4)으로 흘러간 열교환매체는 제 5 영역(A5)의 ③' 방향으로 흐르면서 역시 재응축이 일어나게 되며, ④' 방향을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70)로 모인다.That is, in the second region A2, which is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A1, the heat exchange medium containing more gaseous phase is moved in the direction ②, and the fourth region A4, which is the low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A1, is moved. ) Is the heat exchange medium containing more liquid is moved in the direction ② '.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o the second area A2 flows in direction ③ of the third area A3 to cause recondensation,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that becomes liquid by condensation is collec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70 along the direction ④. .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to the fourth region A4 flows in the direction ③ 'of the fifth region A5, and recondensation occurs, and is collec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70 along the direction ④'.

상기 기액분리기(70)로 모여진 액상이 대부분인 열교환매체는 제 6 영역(A6)의 ⑤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제 7 영역(A7)의 ⑥ 방향을 따라 상기 출구파이프(30)의 단부가 형성된 타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되어 ⑦ 방향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The heat exchange medium having most of the liquid collect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70 moves along the direction ⑤ of the sixth region A6, and the other side of which the end of the outlet pipe 30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⑥ of the seventh region A7. It flows into the header tank 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direction ⑦.

상기 제 6 영역(A6)과 제 7 영역(A7)은 상기 기액분리기(70)로 모여진 대부분의 액상 열교환매체가 상기 ⑤방향과, ⑥방향을 따라 흘러가면서 과냉각(subcooling)이 이루어지게 되어 열교환매체의 엔탈피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sixth region A6 and the seventh region A7, most of the liquid heat exchange medium gathered in the gas-liquid separator 70 flows along the ⑤ direction and the ⑥ direction, whereby subcool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further lower the enthalpy of the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축기는 입구파이프 및 출구파이프를 헤더탱크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운반 및 조립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d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inserted into the header tank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of, thereby simplifying the production, miniaturization, and carrying and assembling.

Claims (5)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헤더탱크(10); 상기 헤더탱크(10)에 형성되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배플(40); 상기 헤더탱크(10) 사이에 복수개 구비되는 튜브(50); 상기 튜브(50) 사이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핀(60); 및 상기 헤더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기상 열교환매체와 액상 열교환매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응축기(80)에 있어서, A pair of header tanks 1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let pipe 20 and an outlet pipe 30 formed in the header tank 10 to allow the heat exchange medium to flow in or out; A baffle (40) provided inside the header tank (10) to control the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 plurality of tubes 50 provided between the header tanks 10; A plurality of fins 60 stacked between the tubes 50; And a gas-liquid separator (7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o separate a gas phase heat exchange medium and a liquid heat exchange medium. 상기 응축기(80)는 The condenser 80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가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각 상기 헤더탱크(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each of the cond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eader tank (1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플(40)은 상기 입구파이프(20) 및 출구파이프(30)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The baffle (40) is cond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fitted to the inlet pipe (20) and the outlet pipe (3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각각 상측과 하측의 튜브(50)를 통해 상기 배플(40)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따라 이동되고 타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되어 상기 기액분리기(70)를 통과된 후, 다시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출구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 The condenser 80 is a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through the inlet pipe 20 is moved along the flow path formed by the baffle 4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tubes 50, respectively. Condenser,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header tank (10) and passed through the gas-liquid separator (70), then moved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lower 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30).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입구파이프(2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유입된 열교환매체가 상기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어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분기되는 제 1 영역(A1)을 거치며, The condenser 80 is a heat exchange medium introduced into one header tank 10 through the inlet pipe 20 is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to branch to the upper and lower, respectively Go through area A1, 상측으로 분기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 1 영역(A1)의 상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2 영역(A2), 상기 제 2 영역(A2)의 상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3 영역(A3)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되고, The heat exchange medium branched upwardly is moved to the second header A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A2 through the tube 5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1. It is mov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70 through the third region (A3) that is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formed tube 50, 하측으로 분기된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 1 영역(A1)의 하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4 영역(A4), 상기 제 4 영역(A4)의 하부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5 영역(A5)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되며, The heat exchange medium branched to the lower side is a fourth region A4 and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region A4 that are moved to the header tank 10 on one side through the tube 5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A1. It is mov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70 via a fifth region A5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the formed tube 50, 각각 상기 기액분리기(70)로 이동된 열교환매체는 다시 상기 제 5 영역(A5) 의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일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6 영역(A6), 및 상기 제 6 영역(A6)의 하측에 형성된 튜브(50)를 통해 타측 헤더탱크(10)로 이동되는 제 7 영역(A7)을 거쳐 상기 출구파이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Each of the heat exchange mediums moved to the gas-liquid separator 70 is moved to the one side header tank 10 through the tube 50 formed under the fifth area A5, and the sixth area A6 is moved. The condens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30) through the seventh region (A7) that is moved to the other header tank (10) through a tube (50) formed below the six region (A6).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응축기(80)는 상기 헤더탱크(10) 일측에 상기 입구파이프(20) 또는 출구파이프(30)와 연결되어 열교환매체가 유통되는 열교환매체유통홀(12) 및 볼트삽입홀(13)이 형성된 플랜지(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The condenser 80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0 or the outlet pipe 30 on one side of the header tank 10 to form a heat exchange medium distribution hole 12 and a bolt insertion hole 13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is circulated. Cond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11) is further provided.
KR1020070054778A 2007-06-05 2007-06-05 A condenser KR20080107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78A KR20080107019A (en) 2007-06-05 2007-06-05 A cond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778A KR20080107019A (en) 2007-06-05 2007-06-05 A cond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019A true KR20080107019A (en) 2008-12-10

Family

ID=4036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778A KR20080107019A (en) 2007-06-05 2007-06-05 A cond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70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62B1 (en) * 2009-07-01 2012-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Cond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62B1 (en) * 2009-07-01 2012-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Cond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611B1 (en) Accumulator combined with internal heat exchanger of air conditioner
CN105402964A (en) Gas-liquid separator, refrigerating circulating device with gas-liquid separator and refrigerating system
JP2004353936A (en) Heat exchanger and liquid receiver-integrated condenser
JP4032548B2 (en) Receiver integrated refrigerant condenser
KR101248786B1 (en) Condenser
JP2001235255A (en) Condenser
KR101674030B1 (en) Condenser
CN115014003B (en) Regenerator, refrigerating system and refrigerating equipment
KR101280622B1 (en) Condenser
KR20090045473A (en) A condenser
KR102011278B1 (en) Condenser
KR20080107019A (en) A condenser
CN205425554U (en) Vapour and liquid separator and have its refrigerating cycle device, refrigerating system
CN104220824B (en) Condenser by drier receiver integration
CN105423663A (en) Gas-liquid separator, refrigeration cycle device with same, and refrigeration system with same
CN205227952U (en) Vapour and liquid separator and have its refrigerating cycle device, refrigerating system
KR101291035B1 (en) A Condenser having Multiple Gas-Liquid Separators
KR100882525B1 (en) High Pressure Refrigerants System
CN205425555U (en) Vapour and liquid separator and have its refrigerating cycle device, refrigerating system
JPH06341736A (en) Refrigerant condenser
KR102200300B1 (en) A condenser
KR20120111634A (en) Condenser
KR101371525B1 (en) Condenser
KR102210246B1 (en) Condenser and cooling module
KR101674118B1 (en) Subcool Cond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