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201A -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 Google Patents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201A
KR20080105201A KR1020070052456A KR20070052456A KR20080105201A KR 20080105201 A KR20080105201 A KR 20080105201A KR 1020070052456 A KR1020070052456 A KR 1020070052456A KR 20070052456 A KR20070052456 A KR 20070052456A KR 20080105201 A KR20080105201 A KR 2008010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ring
container
main body
hoo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407B1 (ko
Inventor
권시중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이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이지캡 filed Critical (주)베스트이지캡
Priority to KR102007005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407B1/ko
Priority to PCT/KR2008/002985 priority patent/WO2008147104A1/en
Priority to CN200880022639A priority patent/CN101720297A/zh
Priority to CA002692228A priority patent/CA2692228A1/en
Priority to AU2008257967A priority patent/AU2008257967A1/en
Priority to RU2010100947/12A priority patent/RU2010100947A/ru
Priority to JP2010510209A priority patent/JP2010527865A/ja
Priority to EP08765955A priority patent/EP2158134A1/en
Publication of KR2008010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4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 개방시에 본체로부터 마개가 이탈되지 않아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마개를 잡아주지 않아도 공회전이 방지되어 직접 음용 또는 내용물 토출시에 마개가 사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내용물이 마개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둥이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본체의 주둥이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는 마개 자체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통하여 본체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한 걸고리링이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마개 개방시 마개의 공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고리링이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링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링과 링 파지부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ANTI MISSING STOPPER CONTAINER WITH ANTI-IDL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순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마개 구성도
도 12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도
도 13은 종래기술의 일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10: 본체 11: 주둥이 13: 링 파지부
131: 걸림턱 a: 결속테 b: 요홈
c: 돌조 d: 홈 s: 나사부
t: 경사부 30: 마개 33: 연결부
331: 절첩선 35: 걸고리링 351: 미끄럼방지 요철
본 발명은 마개 분실방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개 개방시에 본체로부터 마개가 이탈되지 않아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마개를 잡아주지 않아도 공회전이 방지되어 직접 음용 또는 내용물 토출시에 마개가 사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내용물이 마개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나 우유와 같은 식음료를 비롯하여 오일, 도료, 화학제품 등의 액상물질을 보관하는 용기는 어느 것이나 주둥이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주둥이를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주둥이에 대한 마개의 개폐착탈은 나사결합식 또는 탄성을 갖는 걸림단을 이용하는 가압식이 보통이다.
그리고, 용기의 규모가 커지거나 기밀을 강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수지재 내부캡이 부여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용기는 내용물 덜어내기 등으로 마개를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주둥이를 열어두었다가 재결합하는 일이 반복되며, 이때 마개는 실내 바닥 등 지면에 내려놓게 되고 이에 따라 주위환경을 복잡하게 만들고 이물질로 마개가 오염될 뿐만 아니라 마개를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용기의 마개 분실은 용기에 담겨지는 내용물을 오염시키고 누출시킬 염려가 있으며, 특히 휘발성 화학제품의 경우에는 화재발생의 위험까지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종래기술(100)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30)에 걸고리링(135)이 연결부(133)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링(135)이 용기 본체(110)의 주둥이(111)에 끼워지는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주둥이(111) 개방시 마개(130)가 연결부(133) 및 걸고리링(135)에 의하여 본체에 취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마개가 분실될 염려가 없는 편의성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30) 자체에 연결부(133) 및 걸고리링(135)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고리링은 본체에 공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열려진 마개는 내용물 토출시 자중에 의하여 주둥이 외연을 타고 걸고리링(135)이 회전 이동되어 하방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주둥이에 입을 대고 내용물을 직접 마실 경우에는 마개가 사용자의 입이나 턱에 걸려 불쾌감을 줄뿐만 아니라 거추장스럽고 다른 용기에 부을 경우에 는 흘러내리는 내용물이 마개를 거치게 되어 지저분하게 만들고 토출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마개에 내용물이 묻지 않도록 한 손으로 마개를 잡고 있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 개방시에 본체로부터 마개가 이탈되지 않아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마개를 잡아주지 않아도 공회전이 방지되어 직접 음용 또는 내용물 토출시에 마개가 사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내용물이 마개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는
주둥이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와 본체의 주둥이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는 마개 자체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통하여 본체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한 걸고리링이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마개 개방시 마개의 공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상 기 걸고리링이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링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링과 링 파지부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 생략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순차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1)는 주둥이(11)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0)와 본체의 주둥이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30)는 마개 자체(31)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33)를 통하여 본체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한 걸고리링(35)이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마개(30) 개방시 마개의 공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고리링(35)이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링 파지부(13)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링(35)과 링 파지부(13)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구조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마개의 걸고리링(35)과 본체의 걸림턱(131)에 상호 대응하여 일측에는 결속테(a)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결속테(131)가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요홈(b)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요철결합구조를 위하여 본체(10)에는 걸림턱(131)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도6,7참조).
상기 결속테(a)와 요홈(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착탈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링(35)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압입 탈착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링(35)이 하방에서 상향하여 압입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어도 무방하며 이 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31)과 걸고리링(35) 간에 상호 대응하는 돌조(c)와 홈(d)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지재로된 상기 걸고리링(35)을 링 파지부(13)에 압입시키면 수지재 재질의 탄력 특성에 의하여 요홈(b)에 결속테(a) 또는 홈(d)에 돌조(c)가 안착되는 요철결합이 이루어지고 걸고리링(35)이 회전이 방지되도록 결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본체의 링 파지부(13)와 마개의 걸고리링(35)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는 나사부(s)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링 파지부(13)와 걸고리링(35)이 나사결합으로 착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본체의 링 파지부(13)와 마개의 걸고리링(35)에 상호 대응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t)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걸고리링(35)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요철(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걸고리링(35) 착탈 조작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톱니형태 또는 널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3)는 절첩선(331)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마개(30)의 크기가 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3)가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3)는 걸고리링(35)으로부터 마개를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광하협형태의 연결부(33)는 마개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1)의 사용방법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본체 주둥이(11)에 마개(30)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마개의 걸고리링(35)은 본체의 걸림턱(131) 등에 의하여 본체(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되 상기 링 파지부(13)에서는 이탈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위치된다(도 4의 '가' 참조).
따라서 마개(30)의 회전개방 동작을 간섭하지 않는다.
그리고 마개(30) 개방 직후의 걸고리링(35)은 회전이 자유로우므로(도 4의 '나' 참조) 이 상태에서 용기를 기울일 경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마개의 자중에 의한 공회전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 단계에서 상기 걸고리링(35)을 링파지부(13)에 압입 결속시킴으로써 걸고리링(35)은 공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것이다(도 4의 '다' 참조).
걸고리링(35)의 압입 결속은 상호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걸고리링(35)과 링파지부(13)의 탄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마개(30)를 다시 잠글 시에는 상기 걸고리링(35)을 링 파지부(1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밀어주어 결속을 해제하여 마개의 잠금 회전동작을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마개(30) 개방시 걸고리링(35)이 용기 본체(10)측에 고정되어 회전이 방지되므로 마개(30)가 본체(10)의 어느 일측으로 고정되는 배치방향성을 갖어 마개(30)를 열고 내용물 토출시 마개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공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절첩선(331)을 이용하여 연결부(33)가 절곡되어 마개(30)가 젖혀진 상태로 배치방향이 고정됨으로써 마개를 잡아주지 않아도 예컨대 사용자가 음료병 등의 용기에 입을 직접 대고 직접 음용시 마개가 얼굴에 닿을 염려가 없으며 다른 용기에 덜어낼 때에도 내용물을 마개에 묻히지 않아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개(30)가 홑겹으로 된 일반 마개는 물론이고 다양한 형태의 마개에 두루 적용됨은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는 마개 개방시에 본체로부터 마개가 이탈되지 않아 분실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짐과 아울러 마개를 잡아주지 않아도 공회전이 방지되어 직접 음용 또는 내용물 토출시에 마개가 사용자의 얼굴에 닿거나 내용물이 마개로 흘러내릴 염려가 없으므로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되고 오염이 방지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둥이(11)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0)와 본체의 주둥이에 착탈되어 용기를 개폐하는 마개(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개(30)는 마개 자체(31)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33)를 통하여 본체로부터 이탈방지를 위한 걸고리링(35)이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마개(30) 개방시 마개의 공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걸고리링(35)이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링 파지부(13)가 구비되며,
    상기 걸고리링(35)과 링 파지부(13)는 상호 대응하는 요철결합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마개의 걸고리링(35)과 본체의 걸림턱(131)에 상호 대응하여 일측에는 결속테(a)가 돌출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결속테가 탄력적으로 착탈되는 요홈(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본체의 링 파지부(13)와 마개의 걸고리링(35)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는 나사부(s)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구조는 본체의 링 파지부(13)와 마개의 걸고리링(35)에 상호 대응하여 경사형성되는 경사부(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링(35)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요철(351) 또는 걸림편(35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3)는 절첩선(3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3)는 걸고리링(35)으로부터 마개를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1020070052456A 2007-05-30 2007-05-30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10087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56A KR100874407B1 (ko) 2007-05-30 2007-05-30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PCT/KR2008/002985 WO2008147104A1 (en) 2007-05-30 2008-05-28 Anti missing stopper container with anti-idle function
CN200880022639A CN101720297A (zh) 2007-05-30 2008-05-28 具有防空转作用的防丢失的台阶式容器
CA002692228A CA2692228A1 (en) 2007-05-30 2008-05-28 Anti missing stopper container with anti-idle function
AU2008257967A AU2008257967A1 (en) 2007-05-30 2008-05-28 Anti missing stopper container with anti-idle function
RU2010100947/12A RU2010100947A (ru) 2007-05-30 2008-05-28 Емкость с функцие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тери и свободного проворачивания крышки
JP2010510209A JP2010527865A (ja) 2007-05-30 2008-05-28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EP08765955A EP2158134A1 (en) 2007-05-30 2008-05-28 Anti missing stopper container with anti-idl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456A KR100874407B1 (ko) 2007-05-30 2007-05-30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01A true KR20080105201A (ko) 2008-12-04
KR100874407B1 KR100874407B1 (ko) 2008-12-17

Family

ID=403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456A KR100874407B1 (ko) 2007-05-30 2007-05-30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255Y1 (ko) 2018-01-18 2019-01-03 주식회사 휴메이저 분실 방지형 용기의 캡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7859U (ko) * 1975-04-12 1976-1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407B1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TWI540083B (zh) 具有可防止上蓋被移除之閂鎖機構之飲料容器
CA2929176C (en) Cap for a receptacle such as a bottle
KR100872159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CN109835599B (zh) 用于饮料容器的盖
RU2481259C2 (ru) Нажимно-вытяжной затвор для емкости для питья
KR100855086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KR100880006B1 (ko) 마개가 버팀지지되는 용기
KR100942642B1 (ko) 용기의 공회전방지 마개
KR20060043778A (ko) 마개 분실방지 용기
JP2010527865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KR100874407B1 (ko)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마개 분실방지 용기
EP3766797A1 (en) Stopper for container with easy opening and retention of the cap once opened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JP7199372B2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クロージャ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KR20080009250A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45674Y1 (ko) 안전마개
KR100839542B1 (ko)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용기
KR20060040650A (ko)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JPH11240552A (ja) 飲料用容器のふた
KR200396097Y1 (ko) 용기의 기밀구조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