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705A - 회전식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705A
KR20080104705A KR1020070051841A KR20070051841A KR20080104705A KR 20080104705 A KR20080104705 A KR 20080104705A KR 1020070051841 A KR1020070051841 A KR 1020070051841A KR 20070051841 A KR20070051841 A KR 20070051841A KR 20080104705 A KR20080104705 A KR 20080104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put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춘
Original Assignee
여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춘 filed Critical 여상춘
Priority to KR102007005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4705A/ko
Publication of KR2008010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는 기준점을 회전시키는 입력이 행해지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의 상기 기준점의 위치가 파악되는 감지부, 상기 입력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점을 회전시킴으로써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일정하게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 및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표시부의 영역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파악된 상기 기준점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을 알아내고, 상기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위치한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기기에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회전, 입력, 터치 휠, 터치 스크린, 조그 셔틀, 조그 다이얼

Description

회전식 입력장치{Rotating input devic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전화기의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음악 재생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개략도이다.
도 6c는 도 6b에서 도시된 삼각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 7c 및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입력부 210 : 제어부
211 : 감지부 212 : 분석부
220 : 영역정보부 221 : 표시부
222 : 저장부 230 : 송신부
본 발명은 회전식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식 입력장치를 회전시키는 중에 특정 지점에서 회전 방향을 바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러한 방향이 바뀌는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널리 모바일 기기가 보급되게 되었고,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대용량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모바일 기기에서 처리되는 정보의 양은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또한 커지는 추세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크기 또한 점점 박형화, 경량화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장치의 크기 또한 소형화하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으며, 이를 위하여 회전식 입력장치 등이 도입되어 왔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는 터치 휠(touch wheel)이나 다이얼(dial)과 같이 원형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식 입력장치(10)과 회전식 입력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며 회전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가 정의된 영역 정보부(11)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입력장치(10)에 구비된 기준점(도면 미도시)을 영역 정보부(11)의 0에 대응되는 위치(12)에서 2에 대응하는 위치(12)로 회전시킴으로써 2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전식 입력장치(10)에서는 회전식 입력장치(10)의 기준점을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 정보부(11)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특정한 데이터를 입력해왔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전화기의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전화기(14)의 상면에 회전식 입력장치인 다이얼(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다이얼(15)의 기준점(도면 미도시)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전화기(14)에 숫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DVD 플레이어(16)의 일측의 상면에 회전식 입력장치인 조그 셔틀(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그 셔틀(17)의 기준점(18)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DVD 플레이어(16)에 재생속도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가 구비된 음악 재생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라디오, CD(Compact Disc)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등의 음악 재생기기(19)의 일측면에 회전식 입력장치인 조그 다이얼(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그 다이얼(20)의 기준점(도면 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음악 재생기기(19)에 재생 음량, 라디오 채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10)에 의하면, 회전식 입력장치(10)의 기준점을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 정보부(11)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특정한 데이터를 입력해왔었다. 이러한 입력방식을 모바일 기기에 그대로 채용하게 되면, 모바일 기기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기준점을 위치시켜야 할 영역이 매우 협소하므로, 정교하게 기준점을 위치시키기 어려워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이 어렵게 된다. 또한, 기준점의 초기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특정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기준점이 더 많이 회전운동 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회전식 입력장치(1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식 입력장치를 회전시키는 중에 특정 지점에서 회전 방향을 바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러한 방향이 바뀌는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데에 그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전식 입력장치는 기준점을 회전시키는 입력이 행해지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의 상기 기준점의 위치가 파악되는 감지부, 상기 입력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점을 회전시킴으로써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일정하게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 및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표시부의 영역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파악된 상기 기준점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을 알아내고, 상기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위치한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기기에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는 입력부(200), 제어부(210), 영역정보부(220) 및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입력부(200)를 통하여 사용자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기준점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중에 특정 영역에서 기준점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00)는 터치 휠(touch wheel),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셔틀(jog shuttle) 또는 조그 다이얼(jog dial)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이러한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휠이란 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 등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말한다. 손가락을 일정거리만큼 계속 움직임에 따라 모바일 기기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다양한 메뉴와 목록이 스크롤된다.
터치 스크린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한다.
터치 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판넬(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판넬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터치판넬을 장착한 화면에 미리 나타낸 문자나 그림 정보를 손으로 접촉하면, 접촉한 화면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을 컴퓨터로 처리하도록 하여, 아주 쉽게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그 셔틀이란 재생속도 조작 또는 검색 등의 조작을 간단히 하기 위한 고리를 말한다. 예컨대, 조그 셔틀을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리면 정방향, 왼쪽으로 돌리면 반대 방향으로 재생되며, 조그 셔틀의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재생 속도도 이 에 비례한다.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재생화면을 보면서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조종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장치란,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스크롤 휠 장치를 말한다. 상기 다이얼을 사용자가 회전함에 따라 다양한 메뉴와 목록을 빠르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휠, 터치 스크린, 조그 셔틀 및 조그 다이얼이 구비된 입력부(200)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7a, 7b, 7c 및 7d의 설명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00)에서 입력된 회전식 입력장치의 기준점의 위치를 파악하는 감지부(211)와, 감지부(211)에서 파악된 기준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기준점의 회전방향을 알아낸 후 이러한 회전방향의 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려 한 표시부(221)의 특정 영역에 존재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분석부(212)를 포함한다.
영역정보부(220)에는 사용자가 회전식 입력장치를 회전시킴으로써 입력할 수 있는 정보와 그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이 표시되는 표시부(221)와 표시부(221)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정보와 그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22)를 포함한다. 입력할 수 있는 정보와 그 정보가 위치하는 영역은 사용자에 의하여 필요시에 설정되고 변경되거나, 제조사에 의하여 장치의 제조시에 설정된다.
표시부(221)는 회전식 입력기기의 주변에 위치하여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기기 표면, 터치 스크린 또는 조그 셔틀의 주변부가 이에 해당한다.
저장부(222)는 일정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ROM(Read Only Memer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현재 주목받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는 소비전력이 작고,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디램과 달리 전원이 끊기더라도 저장된 정보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의 입출력도 자유로워 디지털텔레비전·디지털캠코더·휴대전화·디지털카메라·개인휴대단말기(PDA)·게임기·MP3플레이어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송신부(230)에서는 분석부(212)에서 파악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작동시키려는 기기, 예컨대 핸드폰 또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여, 이러한 기기를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a에서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200)와 입력부(200)의 둘레에 표시부(221)가 도시되어 있으며, 회전식 입력장치의 기준점의 초기 위치는 표시부(221)의 0에 근접한 영역에 존재한다.
이러한 기준점은 회전식 입력장치가 얼마나 회전을 했고, 회전식 입력장치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특정한 영역을 말한다.
회전식 입력장치가 터치 휠이나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손가락의 일단이 터 치 휠 또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된 부분이 기준점에 해당한다.
회전식 입력장치가 조그 셔틀인 경우에는 조그 셔틀 상면에 형성된 홈이 기준점에 해당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홈에 손가락의 일단을 접촉시켜 조그 셔틀을 회전시킨다.
회전식 입력장치가 조그 다이얼인 경우에는 조그 다이얼의 상면과 손가락의 일단이 접촉된 부분이 기준점에 해당할 것이다.
회전식 입력장치의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준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도 3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식 이동수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표시부(221)의 2에 근접한 영역(300)에서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바꾸면, 회전식 입력장치의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된 것을 파악하고,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바뀌어진 입력부(200) 상의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음을 알아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점이 초기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표시부(221)의 2에 근접한 영역(30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변경되었고, 이 동안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회전방향이 바뀐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 응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저장부(222)에서 확인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부(230)에 전달하게 된다.
후술하는 도 6a, 6b 및 6c의 설명에서 분석부(212)에서 감지부(211)에서 파악된 기준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어떻게 기준점의 회전방향 변경을 알아내는 지에 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b에서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200)와 입력부(200)의 둘레에 표시부(221)가 도시되어 있으며, 회전식 입력장치의 기준점의 초기 위치는 표시부(221)의 6에 근접한 영역에 존재한다. 기준점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식 이동수단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표시부(221)의 4에 근접한 영역(310)에서 회전방향을 시계방향으로 바꾸면, 회전식 입력장치의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 변화에 관한 정보를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 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된 것을 파악하고,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바뀌어진 입력부(200) 상의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음을 알아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점이 초기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표시부(221)의 4에 근접한 영역(300)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변경되었고, 이 동안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회전방향이 바뀐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저장부(222)에서 확인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부(230)에 전달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준점이 초기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표시부(221)의 2에 근접한 영역(40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변경되었고, 이 동안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회전방향이 바뀐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저장부(222)에서 확인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부(23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입력부(200)에서 회전방향이 바뀐 부분과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400)의 정보는 0이 되며, 이 부분을 기준으로 나머지 정보(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새로이 설정되어 표시부(221)에 표시되고, 저장부(222)에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가 반시계방향으로 기준점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회전방향이 바뀌어 시계방향으로 기준점이 회전되게 되면, 회전방향이 바뀐 부분과 대응되는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송신부(230)에 전달되며, 이러한 영역의 정보가 0이 되고, 이 부분을 기준으로 나머지 정보(1부터 9까지의 숫자)가 새로이 설정되어 표시부(221)에 표시되고, 저장부(222)에 저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한 경우에 사용자는 회전식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등에 보다 쉽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입력장치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식 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는 알파벳을 모바일 기기 등에 입력할 수 있다.
기준점이 초기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표시부(221)의 2에 근접한 영역(40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방향이 변경되었고, 이 동안 감지부(211)에서는 이러한 기준점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위치변화를 분석하여 회전방향이 변경되었음을 파악하고, 회전방향이 바뀐 영역에 근접한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저장부(222)에서 확인한 후에,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송신부(23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00)에서 회전방향이 바뀐 부분과 근접한 표시부(221) 영역의 정보는 F가 되며, F가 송신부(230)에 전달되게 된다. 사용자가 반시계방향으로 기준점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회전방향이 바뀌어 시계방향으로 기준점이 회전되게 되면, 회전방향이 바뀐 부분과 대응되는 표시부(221)의 영역에 대응되는 정보가 송신부(230)에 전달되게 된다.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의 개략도이다.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0)는 원에 대응되며, 이러한 원의 중심(610)은 입력부(200)의 중심에 대응되고, 원의 중심(610)을 원점으로 한 2차원 좌표계를 가정하였을 때, 원과 Y축의 교점(620)은 입력부의 중심(200)에서 수직으로 가장 먼 입력부(200)의 일 부분에 대응되며, 원과 X축의 교점(630)은 입력부(200)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가장 먼 입력부(200)의 일 부분에 대응한다.
도 6b에서는 기준점에 대응되는 부분(64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서 원의 중심(610)과 기준점에 대응되는 부분(640)사이의 거리는 실제 입력부(200)의 중심과 입력부(200)의 중심에서 기준점까지의 거리이고, 입력부(200)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값은 항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6b에는 기준점에 대응되는 부분(640)을 지나는 X축에 평행한 직선과 Y축의 교점(650), 원의 중심(610) 및 기준점에 대응되는 부분(640)을 지나는 삼각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c는 도 6b에서 도시된 삼각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c에서 도시된 밑변(670)의 길이는 상기 교점(650)과 기준점까지의 거리이며, 삼각형의 빗변(680)의 길이는 원의 중심(610)과 기준점에 대응되는 부분(640)간의 거리이다.
빗변(680)의 길이는 회전식 입력장치가 형성된 기기의 생산 시에 정해지는 값으로서, 회전식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변화하지 않는다.
여기서 밑변(670)의 길이는 원의 중심(610)을 원점으로 한 2차원 좌표계에서 기준점의 x좌표의 절대값에 해당하며, 감지부(211)에서는 기준점의 위치를 x좌표 및/또는 y좌표로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도 6c에서 도시된 원의 중심(610)을 원점으로 한 2차원 좌표계의 Y축과 빗변(680)사이의 각도 θ는 다음의 수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07039153136-PAT00001
이러한 θ값의 변화추이를 파악하여 분석부(212)에서는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낸다. θ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거나, θ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증가한 경우에는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화한 것이다.
도 7a, 7b, 7c 및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는 입력부가 터치 휠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터치 휠(700)을 이용하여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자신이 입력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71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휠(700)을 통해 일정한 목록을 스크롤할 수도 있고, 스크롤하는 중에 일정한 데이터를 입력할수 도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7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11)에 해당하며, 터치 휠(700)로부터의 입력들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각기 해당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도 7b는 입력부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해주는 디스플레이 패널(750) 상에 터치 스크린(740)이 형성된 경우로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740)을 통해 일정한 목록을 스크롤할 수도 있고, 스크롤하는 중에 일정한 데이터를 바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740)은 디스플레이 패널(750)의 일 부분에만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750)의 전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일단이 디스플레이 패널(750)과 접촉하는 어느 부분에서도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7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11)에 해당하며, 터치 스크린(740)로부터의 입력들을 받아들이고, 이에 응답하여 각기 해당되는 데이터를 발생하여 분석부(212)에 전달한다.
도 7c는 입력부가 조그 셔틀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그 셔틀(800)은 일부분에 원형의 홈이 형성된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여기서 원형의 홈은 사용자가 조그 셔틀(800)을 동작시킬 때에 기준점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그 셔틀(800)의 밑면에는 샤프트(81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샤프트(810)는 다이얼판(820)과 하우징(830)을 결합시킨다.
다이얼판(820)은 조그 셔틀(800)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부분은 빛을 반사할 수 있고, 다른 부분은 빛을 반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얼판(820)은 조그 셔틀(800)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그 셔틀(800)과 일체를 이루어 회전한다.
하우징(830)은 다이얼판(830)의 하면에 위치하며, 조그 셔틀(800), 다이얼 판(820) 및 광학식 센서(840)를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830)은 조그 셔틀(800), 다이얼판(820) 및 광학식 센서(840)를 지지하고, 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학식 센서(840)는 하우징(830)에 수용되며, 회전식 입력장치가 조그 셔틀(800)인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11)에 해당한다.
다이얼판(820)에는 환상의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광학식 센서(840)에 대향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다. 광학식 센서(840)에 대향하는 반사판의 표면은 여러 개의 반사영역과 여러 개의 비반사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영역과 비반서영역은 반사판의 주변에 따라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광학식 센서(840)는 여러 개로 형성되어 있는데,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를 가진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식 센서(840)는 다이얼판(820)의 회전운동을 모니터하고, 서로 위상차이가 나는 신호(예컨대, 90°의 위상차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센서신호를 발생시킨다. 광학식 센서(840)는 이러한 위상차이가 나는 신호의 반사 여부를 파악하여 다이얼판(820)의 회전운동을 모니터하고, 또한 다이얼판(8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조그 셔틀(800)의 회전운동을 모니터한다.
도 7d는 입력부가 조그 다이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조그 다이얼(850)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조그 다이얼(850)의 회전운동은 조그 다이얼(850)의 하부에 형성된 기어(860)를 통하여 전달기어(870)에 전달된다. 전달기어(870)의 회전운동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조그 다이얼(850)을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회전식 입력장치의 회전 방향을 바꿈으로써, 이러한 방향이 바뀌는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가 입력되는 회전식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7)

  1. 기준점을 회전시키는 입력이 행해지며, 원형으로 형성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 상의 상기 기준점의 위치가 파악되는 감지부;
    상기 입력부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기준점을 회전시킴으로써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일정하게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 및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가 표시된 상기 표시부의 영역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파악된 상기 기준점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을 알아내고, 상기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에 가장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위치한 정보를 저장부에서 검색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에서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정보가 사용되는 기기에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회전식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터치 휠, 터치 스크린, 조그 셔틀, 조그 다이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회전식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하드디스크, 롬, 플래시 메모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회전식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는 0에서부터 9까지의 숫자인, 회전식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이 가능한 정보는 A에서부터 Z까지의 알파벳 또는 a에서부터 z까지의 알파벳인, 회전식 입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 변경 시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경되기 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과 가장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상기 0이 위치하게 되는, 회전식 입력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 변경 시에, 상기 표시부가 상기 기준점의 회전방향이 변경되기 전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변경된 상기 입력부 상의 영역과 가장 근접한 상기 표시부의 영역에 상기 A 또는 a가 위치하게 되는, 회전식 입력장치
KR1020070051841A 2007-05-29 2007-05-29 회전식 입력장치 KR20080104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41A KR20080104705A (ko) 2007-05-29 2007-05-29 회전식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841A KR20080104705A (ko) 2007-05-29 2007-05-29 회전식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705A true KR20080104705A (ko) 2008-12-03

Family

ID=4036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841A KR20080104705A (ko) 2007-05-29 2007-05-29 회전식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47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901B1 (en) * 2020-06-04 2023-12-27 BSH Hausgeräte GmbH Sensing device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901B1 (en) * 2020-06-04 2023-12-27 BSH Hausgeräte GmbH Sensing device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9340A1 (en) Omnidirectional gesture detection
JP5220710B2 (ja) 追加された機能を持つ移動可能なタッチパッド
US8558790B2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72757B2 (ja) 加速されたスクロールを行う装置
EP2917823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125461B2 (en)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7345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EP2823385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54256B2 (en) Sensor configurations of an input device that are switchable based on mode
TWI397844B (zh) 觸摸感應裝置和用於提供側觸摸板的方法
JP3143462U (ja) 切り替え可能な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および便利なタッチ操作機能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
EP1870800A1 (en) Touchpad including non-overlapping sensors
TW2008360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push buttons in a user input device
KR20070006477A (ko) 가변적 메뉴 배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524311A (ja) 近接性に基づく入力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164580B2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ptical masking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104705A (ko) 회전식 입력장치
KR20070030811A (ko)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탐색용 핸드-헬드 디바이스
KR2008007747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34374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맵의 3d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