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203A -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203A
KR20080103203A KR1020070050212A KR20070050212A KR20080103203A KR 20080103203 A KR20080103203 A KR 20080103203A KR 1020070050212 A KR1020070050212 A KR 1020070050212A KR 20070050212 A KR20070050212 A KR 20070050212A KR 20080103203 A KR20080103203 A KR 2008010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film
meth
maleic anhydrid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477B1 (ko
Inventor
곽민한
박봉현
이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5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47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등방성 필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등방성 필름은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및 고무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다. 이러한 광학 등방성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등방성 필름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등방성 필름은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편광자의 광학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다양한 모드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등방성,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투명성, 내열성, 고무, 보호필름, 액정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광학 등방성 필름{A TRANSPARENT COMPOSITION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AN OPTICAL ISOTROPIC FILM PREPARED BY THE SAME}
도 1은 광학 등방성 필름을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통상적인 편광판의 일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 구조의 일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이형 보호필름 2 : 점착층
3 :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 4 : 편광자 보호필름
5 : 편광자 (PVA필름) 6 : 편광자 보호필름
7 : 편광필름용 보호필름 10: 액정
12: 분자배향 필름 14: 투명 전극
16: 유리 기판 18: 편광판
본 발명은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등방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 다 상세하게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는 투명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광학 등방성 필름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광학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설치한 기본 구성을 가지며, 구동회로의 전계 인가여부에 따라 액정 셀의 배향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편광판을 통해 나온 투과광의 특성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빛의 가시화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8)은 여러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편광자(5)의 양면에 이것의 보호막이 되는 편광자 보호필름(4,6)이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편광필름(4+5+6)의 한쪽 면에는 점착제를 통해 편광필름용 보호필름(7)이 부착되어 있고, 또 다른 한쪽 면에는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3)을 접착하고 그 위에 점착층(2)를 통해 이형 보호필름(1)이 부착되어 있다.
편광자(5)는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친수성 고분자에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흡착시키고, 연신 배향 시킨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5)의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편광자 보호필름(4,6)이 사용되며, 이때 보호필름은 편광자의 편광특성과 같은 광학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성 및 등방성이 요구되며, 내열성 및 점착제/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현재 편광자 보호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에는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환상올레핀계 고분자가 적용되고 있다.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3)은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선명한 화질 및 넓은 광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광학적으로 투명성 및 이방성을 갖고 있는 연신 필름 또는 액정이 코팅 배향된 필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광판 내의 편광자, 편광자 보호필름, 이형 보호필름,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 등은 상호 간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부착되어 있는데, 각 구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편광판의 광학특성 및 내구성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으로는 요구특성에 기초하여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환상올레핀계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면내의 위상차 값은 작지만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이 비교적 커, 외부 응력의 작용에 따른 위상차 값이 발현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분자사슬 구조 내에 친수성 작용기가 많아 투습율이 크게 되고, 이로 인해 내열/내습 조건에서 보호필름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편광자에서 요오드 이온의 해리가 발생하여 편광자의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온고습 시험 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변형 발생은 필름 내에 불균일한 광학적 이방성을 발현시키며, 그 결과 빛샘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1-343528호에서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에 소수성 가소제를 첨가하여 투습율을 제어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4-93906호에서는 투습율을 감소시키는 배리어 층을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는 투습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특히 배리어 층이 있는 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적용하는 경우 기존 편광판 가공공정에서 편광자와의 접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1-324616호에서는 내습열성이 우수한 환상올레핀계 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적용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으나, 환상올레핀계 필름의 극히 낮은 투습율은 편광판의 제조공정에서 편광판의 수분 건조를 어렵게 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투습율이 환상올레핀계 필름보다는 높고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보다는 낮은 소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재료들은 가격적으로도 고가인 문제점이 있어, 광학 등방성을 지니면서 내습열성이 우수한 저가 소재의 투명 필름이 필요하다.
투명성과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가 또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는 외부 충격에 약하여 부서지기 쉽고 낮은 내열성으로 인해 고온고습 조건에서 편광판의 편광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284882호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에 연질 아크릴계 수지 및 아크릴 고무 등을 첨가하여 아크릴계 필름의 유연성을 높였으며, 이로부터 편광자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조성으로 제조된 편광자 보호필름은 여전히 낮은 내열성(유리전이온도=113℃)을 보이며, 그로 인해 편광판의 내구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6-337493호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고자 말레이미드계 공단량체를 아크릴계 수지에 도입하였으며, 이로부터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고내열 투명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의 낮은 유연성 및 내충격성으로 인해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내열성 및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및 광학 등방성을 갖는, 상기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광학 등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와 편광자 상에 그것의 보호필름으로서 형성되는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스티렌 화합물 반복단위와 무수 말레산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화합물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및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내열성, 투명성 및 광학 등방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광학 등방성 필름, 이러한 광학 등방성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러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만으로 중합된 중합체뿐만 아니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중합가능한 불포화 단량체가 공중합된 공중합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maleic acid anhydride)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화합물 단량체 및 무수 말레산계 화합물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 산계 화합물 단량체가 공중합하여 형성되는 공중합체를 의미하며, 여기에서 스티렌계 화합물은 스티렌뿐만 아니라 치환된 스티렌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무수 말레산계 화합물은 무수 말레산뿐만 아니라 치환된 무수 말레산 화합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또한 이것은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계 화합물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 스티렌 화합물 반복단위와 무수 말레산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화합물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4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5 중량% 및 충격보강재로서 고무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이 제조된다.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고 그에 따라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충격보강재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투명 필름의 광학 등방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함량이 95 중량%를 초과하고 그에 따라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및 충격보강재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투명 필름의 내열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충격보강재인 고무는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투명성, 내충격성 및 광학 등방성을 제어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고무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광학 필름이 복굴절성(비등방성)을 나타낼 우려가 있 고 충분한 내충격성을 얻기가 어려우며, 고무 함량이 30 중량%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meth)acrylic acid methyl ester]를 단독으로 중합한 중합체이어도 좋고,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를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이 광학 등방성 필름의 투명성 및 내열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만으로 중합되어 형성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는, 예컨대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페닐 메타크릴레이트(phenyl methacrylate), 벤질 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hacrylate),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또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등과 같이,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6 -12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 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cyclohexyl acrylate), 페닐 아크릴레이트(phenyl acrylate), 벤질 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또는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등과 같이,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C6 -12 아릴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스티렌 또는 α-메틸 스티렌 등과 같이, C1 -4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및 예컨대 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cyclohexyl maleimide) 또는 페닐 말레이미드(phenyl maleimide) 등과 같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또는 C6 -12 아릴 말레이미드와 같은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부족한 내열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스티렌계 단량체와 무수말레산계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imidized) 무수말레산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로는 C1 -4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스티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α-methyl styrene), p-브로모 스티렌(p-bromo styrene), p-메틸 스티렌(r-methyl styrene), 및 p-클로로 스티렌(p-chloro styr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 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단량체 50 내지 96 중량%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 무수말레산 단량체 4 내지 50 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단량체 70 내지 90 중량%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 무수말레산 단량체 10 내지 30 중량%를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의 제조시 사용되는 무수말레산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 무수말레산 단량체의 양이 4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광학 등방성 필름의 내열성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학 등방성 필름의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재인 고무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계 공중합체로 구성된 2성분계 블렌드의 낮은 내충격성 및 광학 등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계,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스티렌(AES)계,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EPDM)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계, 스티렌-부타디엔(SB)계,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계,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공중합체, 염화 에틸렌(CPE)계 수지, 실리콘계 고무, 아크릴-실리콘계 고무, PBT계 탄성체, 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3성분계 투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광학 등방성 필름의 투과율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2성분계 투명 블렌드와 충격보강재인 고무의 굴절율 차이를 0.01 이내, 바람직하게는 0.005 이내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내후안정제 및 활제, 이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더 첨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에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에 있어, 편광자 보호필름의 내후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넓은 파장 범위에 대해 자외선 흡수능력을 갖도록 자외선 흡수제를 1종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2-(2H-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tetramethylbutyl))페놀(phenol), 2,4-디-t-부틸(butyl)-6-(5-클로로벤조트리아졸(chlorobenzotriazole)-2-일) 페놀(phenol) 등의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자외선 흡수제, 2-(4,6-디페닐(diphenyl)-1,3,5-트리아진(triazin)-2-일)-5-(헥실옥시(hexyloxy)) 페놀(phenol) 등의 트리아진(triazin)계 자외선 흡수제, 2-하이드록시(hydroxyl)-4-옥토시벤조페논(octoxybenzophenone) 등의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흡수제, p-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octylphenyl salicylate)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2,4-디-t-부틸페닐(butyl phenyl)-3,5-디-t-부틸(butyl)-4-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hydroxyl benzoate) 등의 벤조에이트(benzoate)계 광안정제나 비스(bis) (2,2,6,6-테트라메틸(tetramethyl)-4-피페리딜(piperidyl)) 세바케이트(sebaceate) 등의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제 등의 광안정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및 충격보강재인 고무로 구성된 3성분계 투명수지 조성물을 일반적인 필름의 제조 방법인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용액 캐스팅법 등에 의해 필름으로 가공하고,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연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무연신 필름 자체로 사용 가능하다. 특히 연신 공정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할 경우, 연신 공정은 필름의 광학 등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자유폭 연신 또는 정폭 연신 등의 일축 연신이나 축차 연신 또는 동시 연신 등의 이축 연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연신 공정은 3성분계 투명 수지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를 기준으로 했을 때 Tg-30oC 내지 Tg+30oC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Tg-10oC 내지 Tg+20oC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속도 및 연신율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신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롤 연신기 또는 텐더형 연신기와 같은 공지의 연신 장치를 비롯하여 고분자 필름의 연신을 행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우수한 광학 등방성, 내열성, 투명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에 있어서 광학 등방성의 정도는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로 각각 표시되는 면 방향의 위상차 값(Re)과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Re= (nx-ny) x d................(1)
Rth= (nz-ny) x d................(2)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nx는 파장 550 nm에서 측정되는 면 내의 저속 축(slow axis: x-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파장 550 nm에서 측정되는 면 내의 고속 축(fast axis: y-축) 방향의 굴절률을, 그리고 nz는 두께(z-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 및 2로 표시되는 Re와 Rth 가 0에 근접할수록 광학적 등방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편광자 보호필름 적용 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필름 두께가 3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과 면 방향의 위상차 값(Re)이 각각 바람직하게는 2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과 면 방향의 위상차 값(Re)이 20 nm 이상인 필름을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할 경우,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또한 광탄성계수의 절대치가 작은 것이 유리하며, 바람직하게는 10 x 10-12 m2/N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x 10-12 m2/N 이하여야 한다. 만약 광학 등방성 필름의 광탄성계수 절대치가 10 x 10-12 m2/N 이상인 경우, 고온 고습 조건에서 응력에 의한 광학 왜곡이 생기고 그로 인해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광탄성계수(c)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등방성의 고체에 가해진 응력(△F)에 대한 복굴절(△n) 발현 정도로 정의된다.
c=△n/△F..............(3)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1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유리전이온도가 105℃ 이하일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여 고온 고습 조건에서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그로 인해 편광필름의 편광 특성이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또한 400 내지 800 nm에서의 직진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9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탁도(haze)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직진 투과율 및 탁도가 각각 85% 미만, 2% 이상 일 경우 편광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며, 그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재질과의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폴리비닐 알코올 편광자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시 코로나 방전처리, 글로우 방전처리, 화염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및 코팅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표면 처리를 하여 사용하여도 투명성 및 등방성 등이 저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한 내열성 광학 등방성 필름을 폴리비닐 알코올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러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을 폴리비닐 알코올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러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광학 등방성 필름을 편광자의 보호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통상적인 편광판의 일 구체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의 일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광판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편광판(8)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편광자(5)의 양면에 그것의 보호막이 되는 편광자 보호필름(4,6)이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광학 등방성 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편광필름(4+5+6)의 한쪽 면에는 점착제를 통해 편광필름용 보호필름(7)이 부착되어 있고, 또 다른 한쪽 면에는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3)이 접착되고 그 위에 점착층(2)를 통해 이형 보호필름(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편광판(8)은 360° 전방향의 진동면을 가지고 있는 자연광을 일정 방향의 진동면을 가진 광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광은 흡수하여 편광된 빛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는 두 개의 분자배향 필름(12) 사이에 액정(10)이 배치된다. 각 분자배향 필름(12) 상에는 투명 전극(14)이 형성되고, 투명 전극(14) 상에는 유리 기판(16)이 형성되며, 유리 기판(16) 상에 편광판(18)이 형성된다. 이 때, 유리 기판은 유리와 특성이 유사한 고분자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분자 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편광판(18)으로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8)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때, 도 1에 도시된 편광판(8)의 이형 보호필름(1)은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측으로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상품명 HP202, LG MMA 제조) 75 중량% 및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상품명 Dylark 332, 무수말레인산 단량체 함량 15 중량%, NOVA Chemical 제조) 20 중량%, ABS계 충격보강재(코어-쉘 구조, 고무 함량 40%, LG화학 제조) 5%로 구성된 3성분계 수지 조성물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압출기(스크류 직경 27mm, L/D=48, Leistritz 제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을 건조시킨 후 T-다이를 포함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80㎛ 두께의 무연신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특성들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유리전이온도(Tg)
: 시차 주사 열량계(상품명 DSC 2010, TA instrument 제조)를 이용하여 10℃/분의 승온 속도로 측정하였다.
(2) 직진 투과율 및 탁도
: 직진 투과율 및 탁도는 투명성 평가를 위한 항목으로, 직진 투과율은 200 내지 900nm 파장 범위에 대해 측정하였고, 탁도는 투과율계(모델명 HR-100,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제조)로 측정하였다.
(3) 광학 등방성
: 아베(Abbe) 굴절계를 이용하여 굴절률(n)을 측정하고, 시료경사형 자동 복굴절계(모델명 KOBRA-21 ADH, 왕자 계측기기 제조)를 이용하여 면 방향의 위상차 값(Re)을 측정하고, 입사광과 필름면의 각도가 50o일 때의 위상차 값(R θ )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에 따라서 필름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Rth)을 구하였다.
Figure 112007037826490-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θ f는 내각(internal angle)이다.
(4) 광탄성계수
: 필름을 6cm×1cm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20℃, 60% 상대습도 조건에서 편광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필름의 양 끝 면을 지지대로 고정한 후, 하중 변화에 따른 복굴절을 측정하여 그 기울기로부터 광탄성계수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65 중량% 및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30 중량%, MBS계 충격보강재(core-shell 구조, rubber 함량 65%, LG화학 제조)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연신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무연신 압출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45 중량% 및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50 중량%, ABS계 충격보강재(core-shell 구조, rubber 함량 65%, LG화학 제조)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연신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무연신 압출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 및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20 중량%, ABS계 충격보강재 5 중량%로 구성된 3성분계 수지 조성 물)으로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한 후, 이를 염화 메틸렌 용매에 녹여 약 35%의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표면이 깨끗한 유리 판에 도포/건조하여 80㎛ 두께의 무연신 캐스팅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무연신 캐스팅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 및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20 중량%, ABS계 충격보강재 5 중량%로 구성된 3성분계 수지 조성물)으로 무연신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무연신 필름에 대하여 롤 연신기를 통해 117℃에서 30% 일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무연신 TAC 필름(두께 80㎛, 후지필름 제조)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 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연신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무연신 압출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79 중량%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21 중량%로 구성된 2성분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무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79 중량%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21 중량%로 구성된 2성분계 수지 조성물)으로 제조된 무연신 필름에 대하여, 롤 연신기를 통해 117℃에서 30% 일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특성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37826490-PAT0000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충격보강재인 고무로 구성되는 3성분계 투명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실시예 1 내지 5)은 모두 두께 방향 또는 면 방향의 위상차 값이 5 nm 이내로 매우 우수한 등방성을 보이며, 내열성 또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비교예 2)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성분계 투명 수지 조성물 내의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함량을 달리함으로써(실시예 1 내지 3),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광학 등방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필름 제조 방법을 압출 성형법과 용액 캐스팅법으로 달리한 결과(실시예 1과 4), 제조 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우수한 등방성을 보이며, 특히 캐스팅 필름이 압출 필름에 비해 다소 우수한 투명성을 나타냈다. 한편 필름의 연신 유무에 따른 광학 특성을 살펴본 결과(실시예 1과 5), 일축 연신 수행에 따른 광학 이방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광탄성계수 절대치가 약 2 x 10-12 N/m2로서 비교예 1의 TAC 필름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5의 광학 등방성 필름은 38℃에서의 투습율이 28 g/m2·day로서, 비극성의 환상올레핀계 필름보다는 높고 TAC 필름보다는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 편광판의 내습열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TAC 필름은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절대치가 큰 광학 이방성을 보이는 동시에 높은 광탄성계수 값을 나타냈다. 비교예 2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단독 필름은 광학 등방성은 우수하였으나, 취약한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2성분계 투명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무연신 압출 필름은 내열성은 우수한 반면 기계적 특성(내충격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상기 무연신 필름에 대한 일축 연신 결과(비교예 4) 광학 이방성이 발현되어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등방성 필름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광학 등방성 필름은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필름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7)

  1.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 내지 95 중량%, 스티렌 화합물 반복단위와 무수 말레산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화합물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4 내지 60 중량% 및 고무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함량은 50 내지 80 중량%이고, 상기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17 내지 35 중량%이며, 상기 고무의 함량은 3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만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50 내지 90 중량%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형성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 -12 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 -12 아릴 아크릴레이트, C1 -4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또는 C6 -12 아릴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50 내지 96 중량%와 무수 말레산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단량체 4 내지 50 중량%의 공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메틸스 티렌 및 p-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계,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스티렌(AES)계,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계, 스티렌-부타디엔(SB)계,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계,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공중합체, 염화 에틸렌(CPE)계 수지, 실리콘계 고무, 아크릴-실리콘계 고무, PBT계 탄성체, 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내후안정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및 활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115℃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2성분계 투명 블렌드와 상기 고무의 굴절율 차이가 0.0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12.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 내지 95 중량%, 스티렌 화합물 반복단위와 무수 말레산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화합물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 4 내지 60 중량% 및 고무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내열성 광학 등방성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이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두께가 3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인 경우 하기 수학식들로 표시되 는 면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들(Re 및 Rth)이 2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Re= (nx-ny) x d
    Rth= (nz-ny) x d
    상기 수학식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파장 550 nm에서 측정되는 면 내의 저속 축방향의 굴절률, 고속 축 방향의 굴절률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d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만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50 내지 90 중량%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형성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아크릴산,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 -12 아릴 메타크릴산,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 -12 아릴 아크릴산, C1 -4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 또는 지방족 C1 -12 알킬 또는 C6 -12 아릴 말레이미드 화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무수 말레산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50 내지 96 중량%와 무수 말레산 단량체 또는 이미드화 무수 말레산 단량체 4 내지 50 중량%의 공중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p-클로로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 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메타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MBS)계,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계,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스티렌(AES)계,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틸아크릴레이트(ASA)계,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계, 스티렌-부타디엔(SB)계, 스티렌-이소프렌계 고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계,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계, 에틸렌-비닐알코올(EVOH) 공중합체, 염화 에틸렌(CPE)계 수지, 실리콘계 고무, 아크릴-실리콘계 고무, PBT계 탄성체, PET계 탄성체 및 나일론계 탄성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와 상기 스티렌-무수말레인산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2성분계 투명 블렌드와 상기 고무의 굴절율 차이가 0.0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115℃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광학 등방성 필름.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의 광탄성계수가 10 x 10-12 m2/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이 400 내지 800 nm의 광 파장에서의 광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등방성 필름.
  25.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 필름의 최소한 한 면 상에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으로서 형성된 제1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학 등방성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은 상기 편광자의 양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편광판은 상기 광학 등방성 필름들 중 최소한 하나 상에 형성되는 위상차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27. 제25항에 따른 편광판을 적어도 1장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50212A 2007-05-23 2007-05-23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KR10104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12A KR101042477B1 (ko) 2007-05-23 2007-05-23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12A KR101042477B1 (ko) 2007-05-23 2007-05-23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203A true KR20080103203A (ko) 2008-11-27
KR101042477B1 KR101042477B1 (ko) 2011-06-16

Family

ID=4028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212A KR101042477B1 (ko) 2007-05-23 2007-05-23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4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920A2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127914B1 (ko) * 2009-01-06 2012-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19140B1 (ko) * 2009-12-28 2013-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액정화면 보호용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5512B1 (ko) * 2010-07-08 2013-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33B1 (ko) 2018-01-23 202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9235832A1 (ko) 2018-06-05 2019-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2339412B1 (ko) 2018-11-30 2021-12-16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적층체
KR102472996B1 (ko) 2019-09-16 2022-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32058A (ko)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207A (ja) * 1997-10-02 1999-04-20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積層樹脂板
KR100786495B1 (ko) * 2005-10-25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 광확산 수지 조성물
KR100786483B1 (ko) * 2005-10-25 2007-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확산 수지 조성물
KR20070113749A (ko) * 2006-05-26 2007-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9920A2 (ko) * 2009-01-06 2010-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0079920A3 (ko) * 2009-01-06 2010-09-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127914B1 (ko) * 2009-01-06 2012-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8399567B2 (en) 2009-01-06 2013-03-19 Lg Chem, Ltd.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219140B1 (ko) * 2009-12-28 2013-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가 우수한 액정화면 보호용 투명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15512B1 (ko) * 2010-07-08 2013-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트)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477B1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477B1 (ko)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광학 등방성 필름
KR101774056B1 (ko) 광학 필름, 편광자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091537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33050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KR10119098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US8928976B2 (en)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formed by using the same
US10240033B2 (en) Optic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4045893A (ja) 透明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2009139747A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00495087C (zh) 光学薄膜和图像显示装置
JP2002328233A (ja) 透明フィルム
KR101471228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KR20070113749A (ko)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7914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3083953A (ja) 光学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140221571A1 (en)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formed using the same
KR20140000431A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JP2008179813A (ja) 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
JP5463020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8871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42171A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2010185937A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WO2022044500A1 (ja) 偏光板、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3084837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WO2023084838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該位相差層付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