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679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679A
KR20080102679A KR20070049405A KR20070049405A KR20080102679A KR 20080102679 A KR20080102679 A KR 20080102679A KR 20070049405 A KR20070049405 A KR 20070049405A KR 20070049405 A KR20070049405 A KR 20070049405A KR 20080102679 A KR20080102679 A KR 2008010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quid crystal
light
emitting diod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163B1 (ko
Inventor
김형동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163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1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으로서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 하부커버;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 일렬로 배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 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확산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 발광다이오드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E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하부커버 및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202,302,402:발광다이오드 어레이
102a,202a,302a,402a:발광다이오드 103,203,303,403:인쇄회로기판
104,204,304,404:하부커버 104a,204a,304a,404a: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
105,205,305,405 : 확산부재 205c,405c:체결홈
105a,205a,305a,405a:출광면 105b,205b,305b,405b:입광면
106,206:제 1 반사부재 116,216:제 2 반사부재 316,416 :반사부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으로서 구비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어진 다수의 제어용 스위칭 소자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상부기판인 컬러필터(color filter)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기판이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는 액정층이 충진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주사신호 및 화상정보를 공급하여 액정패널을 동작시키는 액정패널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 )이나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에 비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소자이므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를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는 선광원과 점광원이 있다. 대표적인 선광원은 냉음극 형광램프(CCFL :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며, 대표적인 점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다.
종래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램프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 박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소비전력, 무게, 휘도 등에서 유리한 발광다이오드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으로 채택한 액정표시장치가 늘어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부커버 및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 상기 액정패널(1)의 하부에 위치하여 액정패널(1)에 광을 공급하는 발광다이오드(2); 상기 발광다이오드(2)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 상기 인쇄회로기판(3)이 수납된 하부커버(4); 상기 발광다이오드(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도광판(9); 상기 도광판(9)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9)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변환한 후에 액정패널(1) 방향으로 안내 하는 광학시트(7);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가 교대로 배치된다. 여기서,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가 개별적으로 인쇄회로기판(3)에 실장되거나,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가 그룹을 이루어 하나의 소자 형태로 인쇄회로기판(3)에 실장된다. 또한, 최근에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가 고안되어,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2)가 인쇄회로기판(3)에 실장되기도 한다.
즉, 상기 여러 가지 종류의 발광다이오드(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도광판(9)과 광학시트(7)를 거치면서 순도가 높고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액정패널(1)로 공급된다.
하지만, 상기 발광다이오드(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도광판(9) 내부에서 충분히 혼합되지 않아서 액정표시장치의 사용자에게 색 혼합 불균일 혹은 휘점의 형태로 관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두꺼운 두께의 도광판을 구비하거나 도광판과 발광다이오드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등의 방법이 고안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 박형화의 근래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발광다이오드(2)가 실장된 상기 인쇄회로기판(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3)은 나사 등의 수단을 통해 하부커버에 고정된다. 즉, 도 2의 A영역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과 하부 커버(4)에 마련된 체결홀에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이 하부커버에 체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정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3)과 하부커버(4)에 마련된 다수 개의 체결홀에 나사를 체결해야하므로 조립시간이 길어져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제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이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이 최대화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 하부커버;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 일렬로 배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확산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100)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3); 상기 인쇄회로기판(103)이 수납된 하부커버(104);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105); 일렬로 배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105)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10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105)는 상기 제 1 반사부재(106)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커버(104)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106)와 확산부재(105)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패널(101)은 컬러필터 기판인 제 1 기판 (101a)및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인 제 2 기판(102b)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기판(101a)과 제 2 기판(101b)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는 액정패널(1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패널(101)에 광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의 광원으로서 구비되는 발광다이오드(102a)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02a)로서, 인쇄회로기판(103)에 교대로 배치되어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이 확산부재(105)와 제 1 및 제 2 반사부재(106,116)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서 혼합됨으로써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 광학시트(107)를 거쳐서 액정패널(101)로 공급되는 특징을 갖는다.
두 번째는, 첫 번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02a)이지만,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세 개가 하나의 소자로 형성됨으로써 이 소자 내에서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이 혼합되어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105)와 제 1 및 제 2 반사부재(106,116)가 이루는 공간 내부에서 균일한 백색 면광원으로 변환된 후 광학시트(107)를 거쳐서 액정 패널로 공급되는 특징을 갖는다.
세 번째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02a)로서, 상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발광다이오드(102a)의 경우처럼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혼합하는 것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액정표시장치 광원의 광학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102a)는 상기 세 가지 종류의 발광다이오드(102a)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른 종류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다이오드(102a)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103) 상에 일렬로 배열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03)에 일렬로 배열된 발광다이오드(102a)의 묶음을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라 칭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발광다이오드(102a)는 다수 개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03)은 하부커버(104)의 내부에 구비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03)은 각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마다 하나씩 대응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03)은 일렬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마다 하나씩 대응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3)은 다수 열의 발광다이오드 어레 이(102)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3)의 상면에는 제 2 반사부재(116)가 도포 또는 부착되는데, 이러한 제 2 반사부재(116)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반사되어 확산부재(105) 또는 제 1 반사부재(106)로 향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부재(105)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03)의 상부마다 각각 마련되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a)의 상부를 덮는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105)는 제 1 반사부재(106)의 상부에 위치하며, 확산부재(105)의 일부는 제 1 반사부재(106)의 상면 또는 측면에 닿는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105)는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한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105) 배면의 끝단이 상기 제 1 반사부재(106)의 끝단에 닿아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상부를 덮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산부재(105)는 측면 또는 상면이 제 1 반사부재(106)에 닿아서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상부를 덮는 등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105)의 형상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03)과 평행한 판 형상인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서 상기 확산부재(105)의 형상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105)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등과 같이 공기보다 굴절률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확산부재(105)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반사부재(106)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가 일렬로 배열된 인쇄회로기판(103)의 상면의 끝단 또는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확산부재(105)의 배면의 끝단 또는 측면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반사부재(106)는 인쇄회로기판(103)에 일렬로 배열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의 측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반사부재(106)는 인쇄회로기판(103)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데, 이는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효율적인 혼합을 도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계하여 적용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104)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103), 확산부재(105) 및 제 1 반사부재(106)를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이 구비되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의 일부를 감싸 는 형상을 가지며, 탄성을 갖는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상기 하부커버(104)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발광다이오드(102a)를 기준으로 서로 전후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쌍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이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과 체결되었을 때 제 1 반사부재(106)의 측면와 맞닿는 부분은 제 1 반사부재(106)의 외부면이 인쇄회로기판(103)의 상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106)의 측면과 맞닿지 않는 부분은 쌍을 이루고 있는 맞은 편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에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쌍을 이루어 형성된 다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의 상부에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을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이 이루는 공간을 향해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체결한다.
이로써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이 하부커버(104)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탄성을 가지므로, 제 1 반사부 재(106) 및 확산부재(1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이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에 체결되는 과정 동안에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03),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의 폭에 의해 외부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이 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3),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가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며, 이로써 인쇄회로기판(103)을 비롯하여 제 1 반사부재(106) 및 확산부재(105)가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에 단단히 체결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부재(105), 제 1 반사부재(106) 및 제 2 반사부재(116)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혼합되어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재(106)의 출광면(106a)을 통해 확산부재(105)의 외부로 출사하기 전까지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전체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되는 것이 아니며, 발광다이오드(102a) 자신이 실장된 해당 인쇄회로기판(103)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액정패널(10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진행하는 광도 존재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1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 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입사할 때의 입사각이 임계각 이하인 광과 임계각 이상인 광이 존재한다. 여기서, 임계각은 광의 전반사가 가능한 입사각의 최소값이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에서 확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임계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확산부재(105)의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105a)을 통해 출사하며, 확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전반사된다. 이와 같이 확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전반사된 광은 제 1 반사부재(106)와 제 2 반사부재(116)로 진행하게 되면 반사되고 확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으로 입사하게 되면 전반사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 후 상기 광이 확산부재(105)의 입광면(105b)에 임계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에는 확산부재(105)의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105a)을 통해 확산부재(105)의 외부로 출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부재(105)와 제 1 반사부재(106)와 제 2 반사부재(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수 번 전반사 됨으로써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개별 발광다이오드(102a)인 경우에는 확산부재(105)와 제 1 반사부재(106)와 제 2 반사부재(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순수한 백색의 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1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02a) 세 개를 패키지로 한 하나의 소자인 경우에는 확산부 재(105)와 제 1 반사부재(106)와 제 2 반사부재(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더욱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1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02a)가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102a)인 경우에는 확산부재(105)와 제 1 반사부재(106)와 제 2 반사부재(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휘점이 존재하지 않는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1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확산부재(105) 및 제 1 반사부재(106)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104a)을 구비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공정 시에 확산부재(105) 및 제 1 반사부재(106)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103)의 체결을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확산부재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201); 상기 액정패널(201)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201)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03);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이 수납된 하부커버(204);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205); 일렬로 배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205)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206);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20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반사부재(206)의 상부 끝단까지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커버(204)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206)와 확산부재(205)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204a)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의 상면에는 제 2 반사부재(2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205)의 상부에는 광학시트(207)가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부재(205)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03)의 상부마다 각각 마련되며, 이러한 확산부 재(205)는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한다.
상기 확산부재(205)는 각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마다 형성된 제 1 반사부재(206)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확산부재(205)는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를 이루는 발광다이오드(202a)에 대응되는 체결홈(205c)이 마련되어 발광다이오드(202a)와 체결되며, 상기 체결홈(205c)을 제외한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206)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체결되는 막대 형상이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205)에 마련된 체결홈(205c)이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의 크기와 동일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와 체결되었을 때 일체를 이루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체결홈(205c)은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a)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03)의 상면에 평행한 평면인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205)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등과 같이 공기보다 굴절률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을 통해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하기 전까지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전체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되는 것이 아니며, 발광다이오드(202a) 자신이 실장된 해당 인쇄회로기판(203)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된다.
상기 확산부재(205)의 체결홀(205c)과 발광다이오드(202a) 사이에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대부분은 확산부재(205)의 입광면(205b)을 통해 내부로 입사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로부터 방출된 후 확산부재(205)로 입사한 광 중에서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에 임계각 이하의 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되고,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에 임계각 이상의 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출광면(205a)에 전반사되며, 제 1 반사부재(206)로 진행하는 광은 반사부재(206)의 면에 반사된다. 이와 같이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에 전반사되거나 제 1 반사부재(206)의 면에 반사된 광은 확산부재(205)의 내부에서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에 전반사되거나 제 1 및 제 2 반사부재(206,216)의 면에 반사되는 과정이 반복되며, 확산부재(205)의 출광면(205a)에 대하여 임계각 이하의 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2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부재(205)의 내부에서 수 번 전반사 됨으로써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개별 발광다이오드인 경우에는 확산부재의 내부에서 순수한 백색의 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세 개를 패키지로 한 하나의 소자인 경우에는 확산부재(205)의 내부에서 더욱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202a)가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인 경우에는 확산부재(205)의 내부에서 휘점이 존재하지 않는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2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확산부재(205) 및 제 1 반사부재(206)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2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204a)을 구비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공정 시에 확산부재(205) 및 제 1 반사부재(206)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203)의 체결을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301); 상기 액정패널(301)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301)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303); 상기 인쇄회로기판(303)이 수납된 하부커버(304);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305)는 입광면(305b)과 출광면(305a)이 마련되며, 상기 입광면(305b)과 출광면(305a)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커버(304)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확산부재(305)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304a)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03)의 상부에는 반사부재(3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305)의 상부에는 광학시트(307)가 구 비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부재(305)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303)마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각각 마련되며, 이러한 확산부재(305)는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한다.
상기 확산부재(30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303)의 일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303)의 타 측면으로 연장됨으로써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측부 및 상부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측부 및 상부를 덮는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305)가 인쇄회로기판(303)의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303)의 타 측면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측부 및 상부를 덮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이 확산부재(305)는 인쇄회로기판(303)의 상면의 일 끝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303)의 상면의 타 끝단으로 연장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의 측부 및 상부를 덮는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과 출광면(305a) 모두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과 출광면(305a) 중에 어느 하나만 곡률을 가지는 등 다양 한 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305)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등과 같이 공기보다 굴절률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재(305)의 출광면(305a)을 통해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하기 전까지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전체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되는 것이 아니며, 발광다이오드(302a) 자신이 실장된 해당 인쇄회로기판(303)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액정패널(30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진행하는 광도 존재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에 대하여 임계각보다 작은 각을 가지고 진행하는 각과 입광면(305b)에 대하여 임계각보다 큰 각을 가지고 진행하는 각이 존재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에서 확산부재(305) 의 입광면(305b)에 임계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확산부재(305)의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305a)을 통해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하며,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에 임계각 이상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입광면(305b)에 전반사된다. 이와 같이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에 전반사된 광은 반사부재(316)로 진행하게 되면 반사되고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에 임계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전반사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 후 상기 광이 확산부재(305)의 입광면(305b)에 임계각 이하의 입사각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에는 확산부재(305)의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305a)을 통해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3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부재(305)와 반사부재(3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수 번 전반사 됨으로써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개별 발광다이오드인 경우에는 확산부재(305)와 반사부재(3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순수한 백색의 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세 개를 패키지로 한 하나의 소자인 경우에는 확산부재(305)와 반사부재(3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더욱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302a)가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302a)인 경우에는 확산부재(305)와 반사부재(3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휘점이 존재하지 않는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3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확산부재(305)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3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304a)을 구비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공정 시에 확산부재(3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303)의 체결을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마지막으로,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액정표시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401); 상기 액정패널(401)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401)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3); 상기 인쇄회로기판(403)이 수납된 하부커버(404);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 상을 가지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부재(40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3)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입광면(405b)과 출광면(405a)이 마련되며, 상기 출광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하부커버(404)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확산부재(405)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404a)이 구비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403)의 상부에는 반사부재(4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405)의 상부에는 광학시트(407)가 구비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산부재(405)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403)마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각각 마련되며, 이러한 확산부재(405)는 해당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한다.
상기 확산부재(40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3)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입광면(405b)과 출광면(405a)이 마련되며, 상기 출광면(405a)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405)의 출광면(405a)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출광면(405a)을 비롯하여 입광면(405b) 또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에서는 상기 확산부재(405)에 마련된 체결홈(405c)이 상 기 발광다이오드(402a)의 크기와 동일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와 체결되었을 때 일체를 이루는 것을 그 예로 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체결홈(405c)은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산부재(405)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등과 같이 공기보다 굴절률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재(405)의 출광면(405b)을 통해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하기 전까지는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된 전체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되는 것이 아니며, 발광다이오드(402a) 자신이 실장된 해당 인쇄회로기판(403)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혼합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액정패널(401)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진행하는 광도 존재한다. 또한,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확 산부재(405)의 입광면(405b)에 대하여 임계각보다 작은 각을 가지고 진행하는 각과 입광면(405a)에 대하여 임계각보다 큰 각을 가지고 진행하는 각이 존재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에서 확산부재(405)의 입광면(405b)에 임계각 이하의 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확산부재(405)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405a)을 통해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하며, 확산부재(405)의 입광면(405b)에 임계각 이상의 각으로 진행하는 광은 입광면(405b)에 전반사된다. 이와 같이 확산부재(405)의 입광면(405b)에 전반사된 광은 반사부재(416)로 진행하게 되면 반사되고 확산부재(405)의 입광면(405b) 임계각 이하의 각으로 진행하게 되면 전반사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 후 상기 광이 확산부재(405)의 입광면(405b)에 임계각 이하의 각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에는 확산부재(405)의 내부로 입사한 후 출광면(405a)을 통해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4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부재(405)와 반사부재(4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수 번 전반사 됨으로써 광이 효율적으로 혼합된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개별 발광다이오드인 경우에는 확산부재(405)와 반사부재(4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순수한 백색의 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가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세 개를 패키지로 한 하나의 소자인 경우에는 확산부재(405)와 반사부재(4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더욱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 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402a)가 백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402a)인 경우에는 확산부재(405)와 반사부재(416)가 이루는 공간 내에서 휘점이 존재하지 않는 균일한 백색광으로 변환된 후에 확산부재(405)의 외부로 출사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확산부재(405)를 구비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402a)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404a)을 구비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공정 시에 확산부재(405)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403)의 체결을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혼합률을 높여서 균일한 백색광을 만들어내므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의 조립시에 확산부재와 조립된 인쇄회로기판을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을 사용해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 하부커버;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
    일렬로 배열된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 1 반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반사부재와 확산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은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제 1 반사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반사부재의 상부 끝단까지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제 2 반사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반사부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 및 제 1 반사부재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의 하부에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액정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가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된 하부커버;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혼합하는 확산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확산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고정수단은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입광면과 출광면이 마련되며,
    상기 입광면과 출광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타 측면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의 일 끝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의 타 끝단으로 연장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입광면과 출광면이 마련되며,
    상기 출광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체결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재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 PET(poly ethylene terephtalate), PS(poly stylene), AS(acrylonitrile styrene copolymer), MS(meta stylene), PMP(polymethylpentene), PC(poly carbon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반사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로 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049405A 2007-05-21 2007-05-21 액정표시장치 KR10134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05A KR101347163B1 (ko) 2007-05-21 2007-05-21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05A KR101347163B1 (ko) 2007-05-21 2007-05-21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79A true KR20080102679A (ko) 2008-11-26
KR101347163B1 KR101347163B1 (ko) 2014-01-03

Family

ID=4028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05A KR101347163B1 (ko) 2007-05-21 2007-05-21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0859A1 (zh) * 2014-01-03 2015-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396B1 (ko) * 2003-12-30 2010-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60028053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139891B1 (ko) * 2005-01-31 2012-04-27 렌슬러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소자
KR20060124831A (ko) * 2005-05-26 2006-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0859A1 (zh) * 2014-01-03 2015-07-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163B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640C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KR10077422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JP5085864B2 (ja)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及びそれを採用した液晶表示装置
US7322721B2 (en) Side emitting device,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s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the backlight unit
US78848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a light guide plat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light control patterns
US7862221B2 (en) Optical lens, optical package having the sam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60078267A1 (en) Light illumina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43696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101224376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70147089A1 (en) Backlight module and lcd having same
US8240865B2 (en)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029915A1 (en) Light-generating unit,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140063846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edge-lit type backlight module
JP2008060061A (ja) 中空式面照明装置
EP1881364A1 (en) Light source having enhanced mixing
JP2004342587A (ja)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8002380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7903199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light-mixing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EP2500625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7463315B2 (en) Light coupling structure on light guide plate in a backlight module
US20040151006A1 (en) Backlight device for light emitting diode
EP2172699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30063773A (ko) 백라이트 유닛,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US20080068864A1 (en) Backlight module
KR100664373B1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채택한 백라이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