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440A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440A
KR20080102440A KR1020070028736A KR20070028736A KR20080102440A KR 20080102440 A KR20080102440 A KR 20080102440A KR 1020070028736 A KR1020070028736 A KR 1020070028736A KR 20070028736 A KR20070028736 A KR 20070028736A KR 20080102440 A KR20080102440 A KR 2008010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questionnaire
netizen
computer
netiz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종휘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02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2440A/en
Publication of KR2008010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44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recording medium readable to a computer, a method for obtaining a netizen feedback about DA including one or more image recording medium, and a apparatus therefore are provided to improve a form, a design, and contents by allowing an advertiser to obtain objective and accurate netizen feedback. One or more question concerning the DA is provided. A response about one or more question is stored. One or more question selects a selecting unit for offering the arranged feedback offer which is adjacent to DA. One or more question comprises the question about the email address of a responder.

Description

DA에 대한 네티즌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애드 피드백 설문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A and 1B illustrate an ad feedback questionnaire p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애드 피드백 설문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ad feedback questionnaire p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네티즌들의 DA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obtaining feedback of DAs of netiz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티즌의 피드백 제공을 위한 선택 수단이 DA와 인접하여 배치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b page in which a selection means for providing feedback of a netizen is arranged adjacent to a D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티즌에게 표시되는 DA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설문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estionnaire page for obtaining DA feedback displayed to netize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 homepage operator server

220: 광고주 컴퓨터220: advertiser computer

230: 사용자 컴퓨터230: your computer

본 발명은 웹페이지상의 DA(Display Advertisement)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웹페이지상의 DA에 대하여 네티즌들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네티즌들이 DA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때에 보다 자세하게 DA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s' response (feedback) to Display Advertisement (DA) on a web pag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netizens to send feedback in real time to the DA on a webpage, and allows the netizens to observe the image of the DA in more detail when providing feedback to the DA. A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feedback can be provided.

인터넷 기반 시설이 급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컴퓨터 사용자들은 여러 포털 사이트를 비롯한 인터넷 웹 사이트의 여러 페이지로부터 뉴스, 경제 정보, 생활 정보, 상품 정보 등을 비롯한 거의 모든 종류의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향유하게 되었다. 즉, 컴퓨터 사용자들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마치 도시에 사람들이 모여 살듯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때로는 웹페이지를 통해 타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람들의 생활 양태를 빗대어, 하우번(Hauben)은 도시에 모여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citizen'(시민) 대신에, 인터넷에 모여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의 'netizen'(네티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하우번이 일찍이 지적한 대로 인터넷 기반의 급속한 확장에 따라 네티즌들은 인터넷 웹 사이트를 생활의 중심으 로 삼게 되었다.With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infrastructure, computer users have acquired and enjoyed almost all kinds of information including news, economic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etc. from various pages of Internet websites including portal sites. . In other words, computer users use their computers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ey can access the Internet as if people live in a city, acquire information provided by web pages, and sometimes provide information to others through web pages. . In light of these people's lifestyles, Hauben uses the term netizen instead of citizens, who live in cities, instead of citizens. It was. As Hauburn pointed out earlier, the rapid expansion of the Internet base has made netizens the center of their lives.

이러한 네티즌들은 소비 주체이기도 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자연스럽게 웹페이지의 특정 코너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광고인 DA를 고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DA의 대표적인 예로는 웹페이지의 하나의 코너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그래픽 이미지로 광고 효과를 거두는 배너 광고가 있다.Because these netizens are also consumers, companies naturally came up with DA, a commercial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 particular corner of a web pag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DA is a banner advertisement that has an advertising effect with a graphic image fixedly attached to one corner of a web page.

인기 있는 (즉, 1일 평균 방문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의 최초 페이지에 배치되는 경우, DA가 네티즌들에게 노출되는 빈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한 광고량은 대부분의 기존 매체의 광고물의 그것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그러나, 실제 DA를 웹페이지에 배치하여 일정 기간 동안 상품 광고를 한 후, 해당 상품의 매출량 증감 등을 측정하는 방식의 결과론적인 조사 기법 외에, DA가 그에 접하는 네티즌들에게 상품에 관하여 실제로 어떠한 인상을 갖게 하는지, DA의 표현 형식(예를 들면, DA 이미지가 고정 이미지인가 영역이 확장되는 이미지인가 등에 따라 결정되는 표현 형식), 디자인(예를 들면, 이미지, 애니메이션, 그래픽 요소) 및 내용[예를 들면, 상품(혹은 서비스)에 관한 설명, 광고 카피] 등에 대하여 네티즌들이 갖고 있는 의견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조사하는 기법에 관하여는 보고된 것이 많지 않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기법 중 종래에 알려진 것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When placed on the first page of a popular (i.e., average daily visitors) website, the volume of ads can be much larger than that of most traditional media, considering how often and how often DA is exposed to netizens. have. However, in addition to the consequent research technique of placing the actual DA on a web page and advertising the produ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measur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ales volume of the product, the DA makes a real impression on the product to the netizens. The representation format (eg, the representation format determined by whether the DA image is a fixed image or an image in which the area is expanded), the design (e.g., image, animation, graphic element) and the content [for example, For example, there are not many reports on techniques for directly investigating what opinions netizens have about products (or services), advertising copy],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we will look at those known in the art.

먼저, DA에 대한 네티즌들의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DA에 대한 의견을 직접 전화 통화나 이메일 수신을 통하여 청취하는 VOC(Voice of the Customer) 채널이 있다. 여기서, VOC 채널이란, 네티즌들이 이용 중이던 웹 사이 트에 표시된 DA에 대한 의견을 웹 사이트 운영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해당 웹 사이트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채널을 말한다. 그러나, VOC 채널은 그 속성상 네티즌들이 웹 사이트에서 직접 전화번호나 이메일 어드레스를 찾아야만 하는 불편을 초래하므로, 네티즌들의 적극적인 피드백 제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First, the prior art for obtaining netizens' feedback on the DA is the Voice of the Customer (VOC) channel that listens to the opinion of the DA through direct telephone calls or email reception. Here, the VOC channel refers to a channel that communicates by using a phone number or an e-mail address displayed on a web site so that netizens can notify the web site operator of the opinion on the DA displayed on the web site being used. However, the VOC channel is inconvenient for netizens to find phone numbers or e-mail addresses directly on the website, so it was difficult to expect active feedback from netizens.

DA에 대한 네티즌들의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다른 종래 기술로는 외국의 웹 사이트인 www.aol.comwww.msn.com에서 제공하는 '애드 피드백'(Ad feedback)이 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for obtaining netizens' feedback on DA is' Ad feedback 'provided by foreign websites www.aol.com and www.msn.com .

먼저,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여, AOL의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배너 광고에 대한 애드 피드백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a 및 1b는 AOL의 홈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애드 피드백 설문 페이지를 도시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A to FIG. 1B, the configuration of ad feedback for a banner advertisement provided on an AOL homepage will be described. 1A and 1B show an Ad Feedback Questionnaire page included in the homepage of AOL.

AOL의 홈페이지에서는 배너 광고의 하단에 'Ad feedback'이라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가 배치된다. 즉, 배너 광고를 경험한 네티즌은 배너 광고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클릭함으로써,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고 피드백 접수를 위한 설문 페이지를 쉽사리 열 수 있다. 여기에서는, 광고를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는지 여부, 광고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 다른 온라인 광고의 형식에 비교했을 때 형식이 좋았는지 여부, 광고에의 클릭 여부, 다른 온라인 광고와 비교했을 때에 AOL 광고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 AOL 가입자인지 여부 및 피드백 제공자의 성별에 관한 설문이 네티즌에게 제시된다. 또한, 이 페이지에는 광고가 피드백 제공자와 연관된 것이었는지, 광고가 지나치게 해당 광고 를 볼 것을 강요했는지, 광고의 애니메이션이나 동적 효과가 매력적이었는지, 광고가 컴퓨터 스크린의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는 않았는지, 광고의 이미지 또는 그래픽이 매력적이었는지, 광고가 이해하기 어려웠는지, 광고가 다른 온라인 광고와는 차별성이 있었는지 등과 같은 광고의 형식, 디자인 및 내용에 관한 설문도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설문은 일부 문항에 대하여는 객관식 응답이 가능하고, 일부 문항에 대하여는 주관식 응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OL's homepage places a hypertext script called 'Ad feedback' at the bottom of the banner ad. That is, a netizen who has experienced a banner advertisement can easily open a questionnaire page for receiving advertisement feedback as shown in FIGS. 1A and 1B by clicking on a hypertext script disposed adjacent to the banner advertisement. Here, you can see whether the ad has been visually experienced,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d, whether it has been well-formed when compared to the format of other online ads, whether or not the ad has been clicked on, or when compared to other online ads. Questionnaires are asked about how satisfied they are, whether they are AOL subscribers, and the gender of the feedback provider. In addition, the page contain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ad was associated with a feedback provider, whether the ad was forced to view the ad excessively, whether the ad's animation or dynamic effects were attractive, did the ad take up too much space on the computer screen, Also included are questions about the format, design, and content of the ad, such as whether the image or graphic of is attractive, whether the ad wa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whether the ad was different from other online ads. As shown in FIGS. 1A and 1B, each question is configured to enable a multiple choice response to some questions and a multiple choice response to some questions.

다음으로, 도 1c를 참조하여, MSN의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배너 광고에 대한 애드 피드백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c는 MSN 홈페이지의 애드 피드백 설문 페이지를 도시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 1c, looks at the configuration of the advertising feedback for banner advertising provided on the homepage of MSN. 1C shows an Ad Feedback Questionnaire page on the MSN homepage.

MSN의 홈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애드 피드백의 구성도 AOL의 홈페이지에 포함되어 있는 애드 피드백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즉, 도 1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MSN의 홈페이지에서도 'Ad feedback'이라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클릭하면, 광고 피드백을 위한 설문 페이지가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광고 경험자가 광고에 대한 코멘트를 적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광고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 광고의 형식, 광고의 피드백 제공자와의 연관성, 광고 내 메시지의 명확성, 광고에의 클릭 여부, 광고된 상품에 대한 흥미 유발 여부, 광고로부터 받은 영향의 정도, 광고가 피드백 제공자가 MSN에 대해 갖고 있는 견해에 미친 영향의 정도 및 MSN 홈페이지에의 방문 빈도 등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SN의 애드 피드백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 대하여 객관식 응답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composition of ad feedback included in MSN's homepage i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ad feedback included in AOL's homepage. That is, referring to FIG. 1C, when a hypertext script called 'Ad feedback' is clicked on the MSN homepage, a questionnaire page for advertisement feedback is displayed. Here, the ad experience allows the user to write a comment about the ad,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d, the format of the ad, the relevance of the ad's feedback provider, the clarity of the message in the ad, the click on the ad, the advertised product It is possible to provide feedback about whether the user is interested in, the degree of influence received from the advertisement, the degree of influence the advertisement has had on the feedback provider's view of MSN, and the frequency of visits to the MSN homepage. MSN's ad-feedback only allows multiple choice answers for most questions.

이상과 같은, 종래의 광고 피드백 획득을 위한 설문 조사의 결과는 각 홈페이지의 운영자 서버로 전송되어 소정의 기억 장치에 기록되고, 기록된 결과는 광고 피드백 분석 보고서의 형태로 광고주에게 보고되어 광고의 형식, 디자인 및 내용 등에 대한 개선에 이용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네티즌은 배너 광고 등 DA의 하단에 배치된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자발적으로 클릭함으로써 광고에 대한 다각적인 설문에 응할 수 있고, 이러한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이용하여 광고주는 네티즌들의 취향에 보다 영합하는 (따라서, 보다 광고 효과가 큰) DA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survey for acquiring the advertisement feedback are transmitted to the operator server of each homepage and record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device, and the recorded results are reported to the advertiser in the form of an advertisement feedback analysis report to format the advertisement. It is used to improve the design, content, etc.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netizens can respond to various surveys about advertisements by spontaneously clicking on hypertext scripts placed at the bottom of DA such as banner advertisements. It is possible to develop DAs that are more in line with tastes (and therefore more effective in advertising).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애드 피드백에서는, 네티즌이 'Ad feedback'이라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클릭하면, 인터넷 브라우저가 배너 광고를 표시하는 페이지에서 설문 제시 페이지로 무조건적으로 포워딩되었다. 따라서, 네티즌은 이전 페이지에서 시각적으로 경험한 배너 광고에 대한 기억에만 의존하여 해당 배너 광고에 대한 설문에 응답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d feedback as described above, when a netizen clicks on a hypertext script called 'Ad feedback', the Internet browser unconditionally forwards from the page displaying the banner advertisement to the questionnaire presentation page. Therefore, netizens have no choice but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about the banner advertisement by relying on the memory of the banner advertisement visually experienced on the previous pag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티즌이 DA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DA에 대한 설문에 응할 때에 설문 대상인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설문과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네티즌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DA에 대하여 파악하고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techniqu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etizens more objectively and accurately to DA by displaying an image with a questionnaire tha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questionable DA when the netizen responds to the questionnaire to provide feedback about the DA. Its purpose is to be able to answer the questionnai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DA에 대한 네티즌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은, DA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설문이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for a DA including at least one image includes providing at least one questionnaire for the DA and storing a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questionnaire. And at least one questionnaire is provided with a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A.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DA에 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는, DA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과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n apparatus for obtaining feedback relating to a DA comprising at least one image comprises docum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ocument comprising at least one questionnaire for the DA and an imag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DA. It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네티즌들의 DA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obtaining feedback of DAs of netiz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는 광고주 컴퓨터(220)로부터 전송된 DA의 그래픽 이미지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DA가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지만, DA는 플래시 이미지 또는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광고 동영상일 수도 있다. 수신된 DA는,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에 포함되어 있는, 웹 문서가 소정 웹 컨텐츠를 포함하여 생성되도록 하는 웹 컨텐츠 업로더(Uploader)(미도시됨)에 의해 웹 문서에 포함된다. 그 후,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는 생성된 웹 문서를, 네티즌의 요구에 의해, 네티즌 컴퓨터(230)로 전송한 다. 이로써 네티즌은 컴퓨터(230)의 웹 브라우저(미도시됨)를 통해 표시되는 웹 문서상의 DA를 경험할 수 있다.First,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receives a graphical image of the DA sent from the advertiser computer 220.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DA is implemented as a graphic image. However, the DA may be a flash image or an advertisement video streamed from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The received DA is included in the web document by a web content uploader (not shown) included in the home page operator server 210 to allow the web document to be generated including the predetermined web content. Thereafter, the home page operator server 210 transmits the generated web document to the netizen computer 230 at the request of the netizen. This allows the netizen to experience the DA on the web document displayed via the web browser (not shown) of the computer 230.

DA를 경험한 네티즌은, DA 피드백 제공을 위하여, 웹 브라우저상에서 DA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클릭할 수 있다.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 외에도, DA 피드백 제공을 위한 네티즌 선택 수단(즉, DA에 관한 설문을 표시시키는 수단)으로는 버튼, 체크박스 기타 다른 URL 선택 수단이 있을 수 있다. 네티즌의 선택에 따라, 웹 브라우저는 네티즌의 DA 피드백 획득을 위한 설문 페이지를 표시한다. 네티즌이 표시된 설문에 대하여 객관식 또는 주관식으로 응답하면 이는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의 기억 장치(미도시됨)에 기록된다[이러한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의 기억 장치는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와 통신하는 원격 기억 장치일 수도 있다].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는 네티즌이 제공한 설문 응답을 기억 장치에 저장한 후, 광고주에게 네티즌 피드백에 관하여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를 생성한다. 생성된 보고서는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로부터 광고주 컴퓨터(220)로 전송되어 광고주에 의해 활용된다.A netizen who has experienced a DA can click on a hypertext script placed adjacent to the DA on a web browser to provide DA feedback. In addition to the hypertext scripts, the netizens selection means for providing DA feedback (ie, means for displaying a questionnaire about the DA) may include buttons, checkboxes and other URL sel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netizen's choice, the web browser displays a questionnaire page for netizen's DA feedback. When the netizen responds to the displayed question in a multiple choice or subjective manner, it is recorded in a storage device (not shown) of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the storage device of this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communicates with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May be a remote storage device.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stores the questionnaire response provided by the netizen in the storage device, and then generates a report for reporting the netizen feedback to the advertiser. The generated report is transmitted from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to the advertiser computer 220 and used by the advertiser.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티즌의 피드백 제공을 위한 선택 수단이 DA와 인접하여 배치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DA("최고의 아웃백에 도전한다"라는 광고 카피를 포함함)의 우하단에 네티즌 피드백의 획득을 위한 설문 페이지를 표시시키기 위한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이 광고를 어떻게 보셨나요?"라는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네티즌은 이 하이퍼텍스트 스크립트를 클릭함으로써 후술할 도 4의 설문 페 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b page in which a selection means for providing feedback of a netizen is arranged adjacent to a D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hypertext script ("How did you see this advertisement") for displaying a questionnaire page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at the bottom right of the DA (including the ad copy "challenge the best outback"). You can see that the hypertext script is called. The netizen can click on this hypertext script to go to the questionnaire page of FIG. 4 to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티즌에게 표시되는 DA 피드백 획득을 위한 설문 페이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설문 페이지에는 DA에 대한 클릭 여부, DA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DA의 형식, 디자인 및 내용에 대한 의견, DA로 인하여 대상 상품에 관심이 유발되었는지 여부, 해당 홈페이지의 DA에 대한 의견, 피드백 제공자의 성별, 연령대 및 이메일 어드레스를 묻는 설문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설문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5점 척도에 따른 객관식 응답이 가능하도록 기재되어 있고, 일부는 주관식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estionnaire page for obtaining DA feedback displayed to netiz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questionnaire page shown in FIG. 4, whether or not the user clicks on the DA, overall opinion on the DA, opinion on the form, design and contents of the DA, whether the DA caused interest in the target product, and opinion on the DA of the corresponding homepage It can be seen that the questionnaire includes questions about the gender, age group and email address of the feedback provider. As illustrated in FIG. 4, some of the questionnaires are written to enable multiple-choice answers on a five-point scale, and some of them may be answered in a short answer.

도 4의 설문의 유형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설문 1) 및 2)는 대상 DA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설문이다.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DA가 얼마나 많이 네티즌의 클릭을 유도하였는가와 DA에 대하여 네티즌이 받는 전반적인 인상을 알 수 있다. 또한, 설문 3) 및 4)는 네티즌이 DA의 표현 형식, 디자인, 광고 카피 등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묻고, DA로 인하여 네티즌이 대상 상품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여부를 묻는, DA에 관한 세부적 사항에 관한 설문이다. 설문 5)는 네티즌이 홈페이지 운영자가 수행하는 DA 표시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갖고 있는 의견을 수렴하는, DA 표시 서비스 운영에 참고하기 위한 설문이다. 또한, 설문 6) 및 7)은 피드백 제공자의 인적 사항에 관한 설문이고, 설문 8)은 추후 심화된 광고 효과 측정의 대상이 되는 온라인 패널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를 갖는 피드백 제공자의 이메일 연락처를 묻는 설문이다.The type of questionnaire of FIG. 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of all, the surveys 1) and 2) are questions regarding the general matters of the subject DA. In response, we can see how many DA's attracted netizens' clicks and the overall impression that netizens have on DA. In addition, the surveys 3) and 4) specifically ask how netizens evaluate the contents of DA expression, design, advertisement copy, etc., and ask DA whether netizens are interested in the target product. Questionnaire about the details. The questionnaire 5) is a questionnaire for 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the DA display service that collects the general opinions of the DA display service performed by the homepage operator. In addition, the surveys 6) and 7) are questions about the feedback provid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urvey 8) asks the e-mail contacts of the feedback provid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online panel which will be further measured for the advertisement effect. to be.

도 4의 설문 페이지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DA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며 보다 정확한 설문 응답을 이끌어 내기 위해, 페이지의 우상단에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물론 설문 페이지상에서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그리고, 도 4에서는 배너 광고인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설문 페이지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DA가 배너 광고가 아니라 연속된 이미지의 흐름인 플래시나 동영상과 같은 일련의 이미지의 집합인 경우에는, 설문 페이지에 표시되는 것도 DA와 마찬가지로 이미지의 집합일 수 있다. 즉, 네티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문 페이지의 설문에 응답함으로써 DA 피드백을 제공할 때에, 설문 페이지에 설문 내용과 함께 표시되는 DA의 듀플리킷(duplicate)을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DA의 듀플리킷은 홈페이지 운영자 서버(210)에서 설문 페이지(웹 문서)에 포함되어 생성된다.It is noteworthy in the questionnaire page of FIG. 4 that an imag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DA is disposed at the top right of the page in order to elicit a more objective and more accurate questionnaire response to the DA. Of cours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DA is disposed on the survey page. In FIG. 4, although the same image as that of the DA, which is a banner advertisement, is disposed on the survey page, when the DA is not a banner advertisement, but a set of images such as a flash or a video, which is a continuous flow of imag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questionnaire page may be a set of images like the DA. That is, the netizen may refer to a duplicate of the DA displayed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content on the questionnaire page when providing the DA feedback by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of the questionnaire page as shown in FIG. 4. Duplexes of these DAs are generated by being included in a questionnaire page (web document) in the homepage operator server 21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본 발명에 따르면, 네티즌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DA에 대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설문 응답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 is achieved that netizens provide more objective and accurate question responses to DAs displayed on web pages.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주가 DA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보다 정확한 네티즌 피드백을 제공 받아 DA를 형식, 디자인, 내용면에서 다각도로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r is provided with more objective and more accurate netizen feedback on the DA,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A in a variety of forms, designs, and contents.

본 발명에 따르면, 홈페이지 운영자가 광고주로 하여금 네티즌에게 보다 많 이 어필할 수 있는 DA 상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고, 네티즌으로 하여금 보다 경험자 친화적으로 개선된 DA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고주는 물론이고 네티즌의 해당 홈페이지에 대한 로열티(loyalty)를 보다 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page operator can allow advertisers to develop DA products that can appeal more to netizens, and enable netizens to experience improved DAs that are more experienced. The effect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loyalty of the homepage is achieved.

Claims (6)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DA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A method for obtaining feedback for a DA comprising at least one image,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DA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t least one questionnaire for the DA,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응답을 저장하는 단계Storing a response to the at least one survey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은 상기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와 함께 제공되는 방법.The at least one questionnaire is provided with a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은 상기 DA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피드백 제공을 위한 선택 수단을 선택함으로써 제공되는 방법.Wherein the at least one questionnaire is provided adjacent to the DA, by selecting selection means for providing feedba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은 상기 DA의 형식, 디자인 및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설문을 포함하는 방법.The at least one questionnaire comprises a questionnaire about at least one of the format, design and content of the D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은 응답자의 이메일 어드레스에 관한 설문을 포함하 는 방법.The at least one survey comprises a survey regarding an email address of a respondent.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DA에 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obtaining feedback regarding a DA comprising at least one image, the apparatus comprising: 상기 DA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과 상기 D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문서를 생성하는 문서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And document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ocument comprising at least one questionnaire for the DA and a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A.
KR1020070028736A 2007-03-23 2007-03-23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KR200801024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36A KR20080102440A (en) 2007-03-23 2007-03-23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36A KR20080102440A (en) 2007-03-23 2007-03-23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40A true KR20080102440A (en) 2008-11-26

Family

ID=4028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736A KR20080102440A (en) 2007-03-23 2007-03-23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24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07A1 (en) * 2013-06-26 2014-12-31 (주)대한에이앤씨 Si image reaction investigation system and investig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07A1 (en) * 2013-06-26 2014-12-31 (주)대한에이앤씨 Si image reaction investigation system and investigation method thereof
CN105339967A (en) * 2013-06-26 2016-02-17 大韩艾恩希有限公司 Si image reaction investigation system and investig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ögberg et al. Gamified in-store mobile marketing: The mixed effect of gamified point-of-purchase advertising
Luna-Nevarez et al. Consumer attitudes toward social network advertising
US200800863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Advertisements
Tan et al. The antecedents of effectiveness interactive advertising in the social media
US20080281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according to business and consumer relevance
CN103544282B (en) A kind of information-pushing method and device
Maronick The role of the Internet in survey research: Guidelines for researchers and experts.
Martín‐Santana et al. The effectiveness of web ads: rectangle vs contextual banners
Brown The use of banner advertisements with pull-down menus: A copy testing approach
US201401084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online surveys using a client survey application
Erickson Descriptive research design
Su et al. The impact of formats and interactive modes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ements
Drossos et al. Advertising on the internet: perceptions of advertising agencies and marketing managers
Dahlen Learning the web: internet user experience and response to web marketing in Sweden
Wang et al. My deal expires soon: Can time restriction and exclusivity induce clickthrough in hospitality promotional offers?
Kuneinen Study on banner advertisement type and shape effect on clickthrough-rate and conversion
US201000306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on
KR20080102440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netizen feedback on display advertisements
Ashraf et al. Impact of YouTube advertising on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Chatterjee Beyond CPMs and clickthroughs: Understanding consumer interaction with web advertising
Coursaris et al. Exploring antecedents of SMS–based mobile advertising perceptions
Hough et al. Investigating consumer behavioural intention to utilise digital signage
JP2011113193A (en) Information collection/provision device
Uusitalo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in Telecom Operator Business: A Customer Service Perspective
US2011023177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software service access via toolbar us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