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682A -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682A
KR20080101682A KR1020080041450A KR20080041450A KR20080101682A KR 20080101682 A KR20080101682 A KR 20080101682A KR 1020080041450 A KR1020080041450 A KR 1020080041450A KR 20080041450 A KR20080041450 A KR 20080041450A KR 20080101682 A KR20080101682 A KR 2008010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ating liquid
mask pack
cotton fabric
function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대섭
Original Assignee
소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대섭 filed Critical 소대섭
Publication of KR2008010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수분증발에 따라 수축되는 각종 기능성 물질을 제1순면원단에 도포하고, 상기 수축력을 이용하여 피부에 마사지 효과를 구현하여 피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을 완화하는 동시에 피부를 자극하여 자연 콜라겐이 분비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에 관련되며, 두께 0.3 ∼ 0.4 mm의 제1순면원단 상에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함유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수축되는 기능성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셀로판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셀로판지가 결합된 제1순면원단에 8 ∼ 12 mm 간격으로 직경 2 ∼ 4 mm인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기능성 물질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기능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수축 및 팽창력을 피부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렇게 물리적인 자극이 피부에 가해짐으로써 피부에서 자연 콜라겐이 분비되도록 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황토, 곡물, 구근식물, 마스크팩, 셀로판지

Description

마스크팩{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수분증발에 따라 수축되는 각종 기능성 물질을 제1순면원단에 도포하고, 상기 수축력을 이용하여 피부에 마사지 효과를 구현하여 피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을 완화하는 동시에 피부를 자극하여 자연 콜라겐이 분비되도록 하는 마스크팩에 관련된다.
아름답고 건강한 외모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부응하여 성형, 운동, 피부관리 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피부관리의 한 방법으로 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팩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합성물질 또는 천연물질이나 그 추출물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합성물질보다는 천연물질을 이용하는 팩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이며, 천연물질 역시 별도로 추출된 물질을 함유한 제품보다는 천연물질 자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팩들이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상기와 같이 팩에 적용되는 천연물질들 가운데 오랜 기간 동안 애용되어 왔 던 황토는 그 성분물질을 추출하여 팩에 함유시키기가 어려워 분말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물과 반죽을 하여 얼굴에 바른 후 물로 씻어내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거시 주변이 황토물로 인하여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 형태의 황토팩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었으나, 황토의 고유한 특징상 건조가 심하게 될 경우 황토층 자체가 갈라지며 기재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시에는 황토에 함유된 유기성분들이 부패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들 때문에 마스크팩 형태로 제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37455호에서 황토마스크팩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종래의 마스크팩 제품들은 대부분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피부속으로 흡수시키는데에 그 목적이 있었을 뿐, 피부에 물리적인 마사지 효과를 부과할 수 있도록 강한 수축력을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피부를 수축시키거나 팽창시킬 경우 이러한 자극에 의하여 피부에서는 합성물질이 아닌 자연산 콜라겐이 분비된다는 사실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연산 콜라겐은 각종 합성법으로 제조되는 콜라겐보다 인체에 부작용없이 전달되어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미칠 수 있음에도, 이러한 자연산 콜라겐의 분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은 종래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특허출원 발명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마사지 효과를 강화하고 자연 콜라겐 분비를 촉진하여 주름완화기능을 향상시킨 마스크팩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한 후 수분증발에 따라 강한 수축작용이 발생되고, 이러한 수축작용이 피부에 전달되어 마사지 효과를 구현하는 동시에, 자연 콜라겐 분비를 촉진할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스크팩은,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에 있어서, 두께 0.3 ∼ 0.4 mm의 제1순면원단 상에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함유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수축되는 기능성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셀로판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셀로판지가 결합된 제1순면원단에 8 ∼ 12 mm 간격으로 직경 2 ∼ 4 mm인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두께 0.3 ∼ 0.4 mm의 제1순면원단 상에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함유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수축되는 기능성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코팅액이 4 ∼ 6mm의 간격으로 직경 6 ∼ 8 mm인 점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개 도포되며,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셀로판지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순면원단에는 제1코팅액이 도포된 후에 콜라겐이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두께 0.3 ∼ 0.4mm인 제2순면원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순면원단에는 율무, 녹두, 팥, 현미, 보리, 검은깨, 들깨, 콩, 감초, 쑥, 녹차, 삼백초, 민들레, 어성초, 알로에, 토사자, 나팔꽃씨, 복숭아씨, 당귀, 표고, 백봉령, 백강잠, 도라지, 메밀, 은행, 숯, 쌀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진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2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셀로판지는 제2코팅액이 도포된 제2순면원단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로 황토, 머드 및 백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황토, 머드 및 백토 대신 찹쌀, 밀 등의 곡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이나, 감자 또는 고구마 등 구근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팩은 기능성 물질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기능 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수축 및 팽창력을 피부에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렇게 물리적인 자극이 피부에 가해짐으로써 피부에서 자연 콜라겐이 분비되도록 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제1순면원단(30)에 기능성 물질이 물과 혼합되어 형성되는 제1코팅액이 도포되어 제1코팅액 도포부(10)가 형성되고, 그 위에 셀로판지(50)가 결합된 후 소정의 간격으로 구멍(20)이 타공되어 마스크팩(100)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1순면원단(30) 대신 일반적인 마스크팩(100)의 기재층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초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마스크팩(100)의 주원료가 되는 기능성 물질들이 수분을 함유한 상태에서 건조되면서 강하게 수축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모공수축기능 및 피부 맛사지 기능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신축성이 뛰어난 순면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기능성 물질들과 기재층과의 결합에 있어서도 그물망 조직이 보다 굵고 튼튼하다는 점에서 순면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에 수축효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순면원단(30)의 두께는 0.3 ∼ 0.4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황토, 머드 및 백토 등의 토질 성분이나, 찹쌀, 밀 등의 곡물 또는 감자, 고구마 등의 구근식물의 분말을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토질성분의 경우 피부 깊숙이 묻어있는 중금속을 제거하고 특히 황토에 함유되어 있는 카타리제 효모균이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나 과산화질을 환원, 분해 또는 해독함으로써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건강하고 탄력 있는 고운 피부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다량의 음이온을 피부에 공급하여 피부를 정화하고, 모공을 확장시킴으로서 피지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곡물성분의 경우 대부분 다수의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의 독을 해독하고 피부의 염증을 가라앉히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지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유익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구근식물성분은 자외선으로 인하여 안면 피부에 저준위 화상이 형성된 경우 화상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완화하고, 피부미백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물질들은 고유의 특성 외에도 수분 증발에 따라 각각의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수축된다는 공통점들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축 특성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팩(100)에 적용된 것이다. 즉,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면서 입자간의 결합강도가 수분증발에 따라 강하게 결합되며 입자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등 수축력이 뛰어난 물질들은 대부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마스크팩 (10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성 물질들을 제1순면원단(30)과 결합시키고, 완성된 마스크팩(100)을 피부에 부착할 경우 소정의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해초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접착제로서 찹쌀풀이나 밀가루풀, 또는 올리브유 등의 식물성 기름 및 꿀이나 조청, 물엿 등과 같은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찹쌀풀이나 밀가루풀은 건조시 경직성이 너무 높아서 마스크팩(100)을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없으며, 올리브유 등의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면 조직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100) 사용시 황토성분이 수분을 매개로 하여 피부로 흡수되는것을 방해하므로 적합하지 않고, 꿀이나 조청, 물엿 등은 해초에 비하여 원가가 10배 이상 높아 적합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100)에서는 황토를 제1순면원단(3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해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토질, 곡물 또는 구근식물을 해초와 혼합한 이후 물과 1:1의 비율로 교반하게 되는데, 제1코팅액의 용매로서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여 장기간 보관할 경우 기능성 물질에 포함된 유기물들이 부패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살균기능이 있는 은나노입자가 함유된 은나노수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때 은나노입자는 많을수록 살균기능이 높지만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소량만 사용하여 적절한 유통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매의 양을 용질의 1∼3배로 할 수 있지만, 용매의 양이 적을 경우 코팅의 균질성이 저하되며 용매의 양이 많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져 생산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용 질의 양의 1배에 해당하는 은나노수를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토질성분을 사용할 경우에는 단순히 물과 혼합하여 교반하면 되지만, 곡물이나 구근식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점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80∼9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 확대단면도로서,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30) 상부면에 셀로판지(50)가 결합된 후 타공된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셀로판지(50)는 제1코팅액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멍(20)의 직경이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또는 구멍(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기능성 물질에서 발생한 수축력이나 이렇게 발생된 수축력의 피부전달이 적절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구멍(20) 사이의 간격은 8 ∼ 12 mm 정도로 하고, 구멍(20)의 직경은 2 ∼ 4 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팩(200)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제1코팅액 자체가 점 형상을 이루도록 제1순면원단(30)에 도포되어 다수개의 점형부(40)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경우에도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1순면원단(30) 전체에 제1코팅액이 도포된 이후 타공된 경우와 유사하게 수축에 의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점형부(40)의 형상이나 간격은 전술한 도 1의 예에서와 반대로 점형부(40)의 직경이 약 6 ∼8 mm 정도가 되고, 점형부(40) 사이의 간격이 약 4 ∼ 6 mm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200)을 형성할 경우 점형부(40) 를 형성한 이후에 콜라겐을 추가로 도포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때, 콜라겐을 먼저 도포한 이후에 제1코팅액을 도포할 경우 콜라겐이 갖는 이형성으로 인하여 제1코팅액이 제1순면원단(30)에 견고하게 흡수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1코팅액 도포 이후 콜라겐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일부절개 확대단면도로서, 상기 도 2에서 예시한 바와는 달리, 점형상으로 제1코팅액이 도포된 이후에 셀로판지(50)가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팩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개 확대단면도로써, 셀로판지-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 - 제2코팅액이 도포된 제2순면원단-셀로판지 형태로 적층된 상태에서 타공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제1순면원단에 도포되는 제1코팅액의 성분에 따라 피부에 직접 접촉되면 너무 강력한 자극으로 인해 피부가 상기되는 등의 피부트러블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마스크팩을 최초 형태에서 과도하게 신장시킬 경우 피부 착용 후 건조과정에서 제1코팅액에 함유된 성분의 찌꺼기들이 피부에 남아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이러한 찌꺼기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시 세안을 할 경우 미처 피부내로 스며들지 못한 유익한 성분들이 찌꺼기들과 함께 제거되어 마스크팩 효과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도면에서 예시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 상에 제2순면원단을 다시 결합시켜 제1코팅액에 함유된 성분이 직접 피부에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부트러블을 방지하고, 제1코팅액에 함유된 성분이 건조되더라도 피부상에 잔존하지 않고 깔끔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순면원단은 제1순면원단에 도포된 제1코팅액에 함유된 해초성분에 의하여 적절한 결합력으로 결합되는데, 마스크팩 사용시에는 제2순면원단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제2순면원단에서도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이 도포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접착성분으로써 기존과 같이 해초가 사용되었고, 그 외에 피부에 직접 접촉되더라도 피부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고, 건조 후에도 찌꺼기가 피부에 남지 않을 수 있으면서도 피부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물질들을 제2코팅액의 성분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코팅액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들로써, 율무, 녹두, 팥, 현미, 보리, 검은깨, 들깨, 콩, 감초, 쑥, 녹차, 삼백초, 민들레, 어성초, 알로에, 토사자, 나팔꽃씨, 복숭아씨, 당귀, 표고, 백봉령, 백강잠, 도라지, 메밀, 은행, 숯, 쌀겨를 열거하였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물질들의 기능성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율무는 무기질과 다양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기미, 주근깨, 거친 피부, 여드름, 사마귀, 거무스름한 피부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녹두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어주며 모공수축, 피부세정, 보습효과 등의 기능이 있으며, 팥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보습효과가 뛰어나 건조한 피부에 좋고 주근깨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있고, 현미는 화장독으로 쓰린 피부를 달래주고 여드름으로 붉어진 피부의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으며, 보리는 화장독이나 알레 르기성 피부의 붉은 기를 다스려 막힌 혈행을 풀어주는데 효과적이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데에도 좋다.
검은깨는 영양이 결핍된 피부를 다스리는데 빼놓을 수 없는 천연 미용재료중의 하나로써, 노화방지에도 효과적이고, 들깨는 주근깨와 기미, 여드름 흉터 등을 완화시키고, 자외선으로 인하여 피부화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콩은 단백질 및 각종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매끄럽고 윤기있게 한다.
감초는 천연 항생제 역할을 하며 해독작용, 여드름, 피부염, 습진, 땀띠 등을 치료하는 기능이 있고, 쑥은 항균, 소염, 해열작용으로 햇볕에 탄 얼굴, 여드름, 습진에 효과가 있다.
녹차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여드름 진정효과 및 각질제거효과가 있다.
삼백초는 칼리움염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루틴, 아미노산 당류 등의 성분은 모세혈관을 튼튼히 하며 피부를 촉촉하게 한다.
민들레는 비타민P와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붉은 피부에 효과적이다.
어성초는 염증치료, 세포재생촉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드름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알로에는 미백효과가 뛰어나고 기미, 잡티를 제거해주며 피부재생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토사자는 피부 노화방지 및 기미치료효과가 있으며, 나팔꽃씨와 복숭아씨는 기미치료, 미백효과 등이 있다.
당귀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탄력성 증가, 표고는 기미, 주근깨 치료효과, 백봉령은 주근깨 치료, 보습, 미백효과, 백강잠은 보습 및 노화예방, 도라지는 미백효과, 메밀은 각질제거, 은행은 피부혈액 속 노폐물 제거, 숯은 피부정화기능, 쌀겨는 피부미백과 각질제거 및 보습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5에서는 순면원단에 코팅액이 도포되어 순면원단 전체 두께에 코팅액이 고르게 함침된 모습을 예시하고 있으나, 코팅액 도포 속도 및 건조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 순면원단 내부로 침투되는 코팅액의 양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순면원단 상부면에 코팅액이 독자적으로 이루는 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팩(300)을 예시한 것으로서, 얼굴 전체에 씌우지 않고 뺨이나 볼, 목, 턱주위 등 특정 부분에 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2 형태로 제1코팅액을 점 형상으로 도포하는 경우에도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유사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절개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절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스크팩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상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제1코팅액 도포부
20 : 구멍
30 : 제1순면원단
40 : 점형부
50 : 셀로판지 60 : 제2코팅액 도포부
100, 200 : 마스크팩
300 : 팩

Claims (7)

  1.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에 있어서,
    두께 0.3 ∼ 0.4 mm의 제1순면원단 상에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함유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수축되는 기능성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셀로판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되고 셀로판지가 결합된 제1순면원단에 8 ∼ 12 mm 간격으로 직경 2 ∼ 4 mm인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2.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에 있어서,
    두께 0.3 ∼ 0.4 mm 제1순면원단 상에 피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함유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수축되는 기능성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1코팅액이 4 ∼ 6mm의 간격으로 직경 6 ∼ 8 mm인 점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개 도포되며,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셀로판지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면원단에 제1코팅액이 도포된 후에 콜라겐이 균일하게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액이 도포된 제1순면원단의 상부면에는 두께 0.3 ∼ 0.4 mm인 제2순면원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2순면원단에는 율무, 녹두, 팥, 현미, 보리, 검은깨, 들깨, 콩, 감초, 쑥, 녹차, 삼백초, 민들레, 어성초, 알로에, 토사자, 나팔꽃씨, 복숭아씨, 당귀, 표고, 백봉령, 백강잠, 도라지, 메밀, 은행, 숯, 쌀겨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진 물질이 물과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제2코팅액이 도포되고,
    상기 셀로판지는 제2코팅액이 도포된 제2순면원단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황토, 머드 및 백토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곡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구근식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선택되는 물질을 입도 300 ∼ 500 ㎛로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말 80 ∼ 90 wt%와 해초 10 ∼ 20 wt%를 혼합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KR1020080041450A 2007-05-17 2008-05-02 마스크팩 KR200801016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30 2007-05-17
KR20070048330 2007-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682A true KR20080101682A (ko) 2008-11-21

Family

ID=402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450A KR20080101682A (ko) 2007-05-17 2008-05-02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6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70024794A (ko) 2015-08-26 2017-03-08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미강 추출 기름과 황토를 이용한 마스크 팩과 그 제조방법
CN110302128A (zh) * 2019-08-20 2019-10-08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富含天然产物提取成分的美白抗敏舒缓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70024794A (ko) 2015-08-26 2017-03-08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미강 추출 기름과 황토를 이용한 마스크 팩과 그 제조방법
CN110302128A (zh) * 2019-08-20 2019-10-08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富含天然产物提取成分的美白抗敏舒缓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5870A (zh) 中药美容面膜
CN101966142B (zh) 一种中药美容养颜面膜粉
KR20120033377A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화장료
CN102258453B (zh) 一种天然美发美肤护理剂及其使用方法
CN104800144A (zh) 一种中药白芨面膜粉及其制备方法
CN102949330B (zh) 一种中药美容面膜粉及其制备方法
KR101031911B1 (ko)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8192A (ko) 복합 기능 황토 한지 얼굴 미용 마스크 시트 팩
KR101400308B1 (ko) 한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1682A (ko) 마스크팩
KR20060106310A (ko) 약재를 이용한 미백효능과 피부개선효능을 가진한방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168796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2091007A (zh) 中药敷面泥
KR100621676B1 (ko) 클렌징 바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79702A (ko) 황토 함유 미용 조성물
KR100878365B1 (ko) 천연 한방 미용팩
CN100404018C (zh) 凹凸棒中药保湿面膜粉
KR100860761B1 (ko) 청국장 샴푸 및 그 제조방법
CN106389286A (zh) 一种具有美容和抗菌作用的超临界蜂胶酊剂配方及工艺
RU2252016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кожи, чувствительной к стрессовым факторам
JP4079908B2 (ja) 化粧用パック
KR100549547B1 (ko) 황토 미용팩 조성물
KR101865553B1 (ko) 마스크팩 키트
CN103830142A (zh) 一种滋养美白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20050093961A (ko) 피부미용 팩 엑기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