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472A -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472A
KR20080101472A KR1020070048644A KR20070048644A KR20080101472A KR 20080101472 A KR20080101472 A KR 20080101472A KR 1020070048644 A KR1020070048644 A KR 1020070048644A KR 20070048644 A KR20070048644 A KR 20070048644A KR 20080101472 A KR20080101472 A KR 2008010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outer circumference
protrusio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472A/ko
Publication of KR2008010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체결부재의 설계 및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체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로 구성되어, 간편한 동작으로 암부재와 수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채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돌출부, 홈부, 가이드홈, 걸림돌기, 걸림홈

Description

체결부재{contrac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으로 구획한 돌출부의 확대도와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동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부재를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가이드홈 12,13:홈부
12a,13a:걸림홈 21,22:돌출부
21a,22a:걸림돌기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물체에 각각 형성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된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편한 동작으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부재는 볼트(1)와 너트(2)로 고정되어, 상호 체결하고자 하는 구성물에 볼트(1)를 삽입한 다음 너트(2)를 조이면 구성물이 볼트(1)의 두부와 너트(2) 사이에 일체적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부재는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계 및 제작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체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 되거나 체결의 자동화를 위하여 고가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결부재의 설계 및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체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물체에 각각 형성된 암부재와 수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와 홈부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재의 내주 또는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으로 구획한 돌출부의 확대도와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동설명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부재를 A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재(10)와 수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암부재(10)와 수부재(20)는 상호 체결하고자 하는 구성물에 형성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기 구성물의 도시를 생략하고 암부재(10)와 수부재(20)만 도시하여 표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암부재(10)의 내주에는 홈부(12,13)가 형성되고, 상기 수부재(20)의 외주에는 상기 홈부(12,13)에 삽입되는 돌출부(21,2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22)와 홈부(12,13)는 상기 암부재(10)와 상기 수부재(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부재(10)에는 상기 돌출부(21,22)를 상기 홈부(12,13)까지 안내하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홈부(12,13)와 상기 돌출부(21,22)는 각각 내주면 및 외주면이 도 5에 되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서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부(12,13)에는 걸림홈(12a,13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22)에는 상기 걸림홈(12a,13a)과 맞물리는 걸림돌기(21a,22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22) 및 홈부(12)는 후단부(22c)(12c)에서 선단부(22b)(12b) 를 향하여 점차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홈부(12)에 용이하게 삽입된 다음 회전되어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부재(20)의 외주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21,22)를 상기 암부재(10)의 내주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1)에 삽입시키면서 상기 수부재(20)를 상기 암부재(10)안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돌출부(22)의 하단이 상기 가이드홈(11)의 끝단에 위치했을 때, 상기 가이드홈(11)과 연통되어 있는 상기 홈부(12,13)에 상기 돌출부(21,22)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수부재(20)를 회전시킨다.
상기 돌출부(21,22)에 형성된 걸림돌기(21a,22a)가 상기 홈부(12,13)에 형성된 걸림홈(12a,13a)에 맞물리면 체결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는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로 구성되어 있어서 설계 및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체결시간도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서로 결합하고자 하는 물체에 각각 형성된 암부재 및 수부재와;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홈부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내주와 상기 수부재의 외주 중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재의 내주 또는 외주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홈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돌출부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돌출부는 각각 그 내주면 및 외주면이 수직방향으로부터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KR1020070048644A 2007-05-18 2007-05-18 체결부재 KR20080101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644A KR20080101472A (ko) 2007-05-18 2007-05-18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644A KR20080101472A (ko) 2007-05-18 2007-05-18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472A true KR20080101472A (ko) 2008-11-21

Family

ID=4028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644A KR20080101472A (ko) 2007-05-18 2007-05-18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4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10553990B2 (en) Overmolded adapter
US9737977B2 (en) Driver bit
KR101850986B1 (ko) 풀림 방지 너트
CN109891135B (zh) 剖分式密封圈压入用工具
US20170125941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80101472A (ko) 체결부재
US20150068785A1 (en) Electrical wire protective cover
KR20130037753A (ko) 레버 타입 커넥터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AU2019312230B2 (en) Pipe joint structure
JP201505378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固定部材及び固定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8101666A (ja) 継手及びホース締付固定方法
KR101891042B1 (ko)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JP6342256B2 (ja) クリップ
KR101775003B1 (ko) 플라스틱 강성 볼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1833123A1 (de) Buchsen-Stecker-Kupplungseinheit
KR102375241B1 (ko)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US20120148371A1 (en) Push rivet
KR102429531B1 (ko) 메일 커넥터
KR200443657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2017089179A (ja) 連結具、及び、セグメントの連結方法
KR101449036B1 (ko) 튜브 연결용 커넥터
KR20160104443A (ko) 가구용 풀림방지 볼트
KR101634375B1 (ko) 볼체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