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059A -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 Google Patents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059A
KR20080101059A KR1020070047264A KR20070047264A KR20080101059A KR 20080101059 A KR20080101059 A KR 20080101059A KR 1020070047264 A KR1020070047264 A KR 1020070047264A KR 20070047264 A KR20070047264 A KR 20070047264A KR 20080101059 A KR20080101059 A KR 2008010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um
unit
banknote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9611B1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70047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611B1/ko
Priority to PCT/KR2008/002719 priority patent/WO2008140275A1/en
Priority to EP08753515A priority patent/EP2153419A4/en
Priority to CN2008800020510A priority patent/CN101583978B/zh
Priority to US12/597,778 priority patent/US8548220B2/en
Publication of KR2008010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폐판독장치는 매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색상정보와 그 매체의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개별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개별색상정보는 상기 색상정보의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 정보의 순서크기를 참조하여 1차 판단하는 제 1차 판단부, 상기 제 1차 판단 후 상기 개별색상 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2차 판단하는 제 2차 판단부, 상기 제 2차 판단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3차 판단하는 제 3차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 일부분의 색상 및 크기정보를 검출하여 적은 데이터만으로 빠른시간 안에 지폐의 권종을 판단할 수 있고, 색상정보와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지폐권종을 판단하기에 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폐판독, 이미지센서, 크기정보, 색상정보

Description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kinds of banknote using color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폐판독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이미지센서에 의해 읽혀져야 할 지폐영역이 표시된 예시도.
도 3a, 도 3b는 도 2에 의해 획득된 지폐 (c), (d)영역의 색상정보 및 (b), (e)영역의 크기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폐판독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4에 의한 지폐 판독 방법 중, S400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상세순서도.
도 6은 도 4에 의한 지폐 판독 방법 중, S500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상세순서도.
도 7은 도 4에 의한 지폐 판독 방법 중, S600단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상세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폐판독장치 105 : 지폐투입구
110 : 저장부 120 : 검출부
130 : 판단부 131 : 제 1차 판단부 133 : 제 2차 판단부 135 : 제 3차 판단부 140 : 제어부 150 : 출력부
본 발명은 매체 권종 구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 일부분의 색상정보 및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는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 판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판독기는 입력되는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기 위해 입력된 지폐의 앞 뒷면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반사광 또는 투과광으로부터 색상을 감지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색상패턴방식을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크기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크기에 의해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크기센서를 이용하는 방식과,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지폐 내의 함유된 형광물질로부터 방사된 가시광선을 검출하여 지폐의 종류를 판단하는 자외선을 이용한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특정파장의 자외선 광원을 지폐에 방사하여 지폐의 형광물질에 의해 발광 되는 형광파장에 따른 판별방식도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색상패턴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입력되는 지폐의 권종 판단을 위해 지폐의 앞 뒷면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반사광 또는 투과광의 감지데이터로 지폐의 형태를 식별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기 때문에 적은 정보만으로는 권종 구분이 힘들고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형광파장과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식은 형광물질로부터 방사된 형광물질을 검출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수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크기센서를 이용하여 지폐를 판독하는 경우, 지폐 권종 판단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 소정 부분에 대한 정보만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지폐의 권종을 구분하는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판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폐의 소정 부분에 대한 색상정보와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지폐의 권종 구분의 정확도가 높은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판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폐인식장치는 매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색상정보와 그 매체의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개별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 정보의 순서크기를 참조하여 1차 판단하는 제 1차 판단부와; 상기 제 1차 판단 후 상기 개별색상 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2차 판단하는 제 2차 판단부; 그리고 상기 제 2차 판단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3차 판단하는 제 3차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색상정보와 그 매체의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개별색상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 정보의 순서크기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개별색상 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판단부를 제어하여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판단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참조하여 다음 판단부에 의해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색상 정보는,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 저장된 다수의 각 매체별 기준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일 먼저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는 비교대상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매체 권종을 임시판단하고, 상기 비교대상정보는, 상기 추출부 또는 검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임 이 바람직하다.
이때, 어느 하나의 판단부로부터 나온 판단결과는 다음 판단부의 판단을 위한 정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단부 중에서 두 개 판단부가 동시에 비교대상정보와 비교하여 매체 권종을 판단하고 상기 비교대상정보는, 상기 추출부 또는 검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인입되는 매체 소정부위의 색상정보 및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B)상기 색상정보로부터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에 따라 1차적으로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D)상기 1차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지폐의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2차적으로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E)상기 2차 판단결과에 따라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고 검출된 크기정보와 비교하여 매체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B)단계의 개별색상정보는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에 대한 순서정보가 기 저장된 매체별 순서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매체로 1차적으로 권종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순서정보가 기 저장된 매체별 순서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개별색상정보가 상기 1차 판단된 매체의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모든 개별색상정보가 상기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1차 판단결과와 동일한 매체로 2차 권종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개별색상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범위정보 이 외에 존재하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E)단계는 상기 2차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매체의 기 저장된 크기정보를 액세스하고,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와 기 저장된 크기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2차 판단결과와 동일한 매체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가 기 저장된 크기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a)인입되는 매체의 일부분에 대한 크기정보와 색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b)상기 검출된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인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에 대한 순서크기, 상기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 및 매체의 크기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를 기 저장된 매체의 기준정보와 순차적으로 비교 판단하여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어느 하나의 판단단계의 결과는 다음 판단단계를 위한 정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폐판독장치는 지폐 일부분의 색상 및 크기정보를 검출하여 적은 데이터만으로 빠른시간 안에 지폐의 권종을 판단할 수 있고, 색상정보와 크기정보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지폐 권종을 판단하기에 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폐판독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이미지센서에 의해 읽혀져야 할 지폐영역이 표시된 예시도이며, 도 3a, 도 3b는 도 2에 의해 획득된 지폐 (c), (d)영역의 색상정보 및 (b), (e)영역의 크기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폐판독장치 내에 지폐가 제공되었을 때, 그 지폐의 권종 판단 결과가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판독장치(100)는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기 위하여 지폐투입구(105)를 통해 지폐를 입력받는다.
상기 지폐투입구(105)를 통해 소정 권종의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 권종을 판단하기 위하여 지폐의 일부분에 대한 색상/크기정보를 취득하는 검출부(이하; 이미지센서라 함)가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상기 영상정보 취득시 지폐의 모든 부분이 아니고 일 부분의 색상/크기 정보만을 취득하여 권종 판단에 적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권종판단이 색상정보와 영상정보를 기초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c)와 (d) 영역에서 색상정보를 취득하고, 크기정보는 (b)와 (e)영역에서 정보를 취득하도록 한다. 상기 (b), (e)영역의 크기정보와 상기 (c), (d)영역의 색상정보를 취득하는 이유는 이의 영역을 이용하는 경우 지폐 판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매체(예컨대; 수표, 티켓, 증명서)를 판독하는 경우, 분할영역 및 분할영역의 개수를 각 매체별 색상과 크기정보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기 설정된 소정 부분(예컨대 ; 도 2에 도시된 (b), (c), (d), (e)부분)을 센싱하고, 이의 센싱결과를 전기적인 신호 즉, 디지털 수치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이미지센서(120)로는 CCD(coupled charge device)장치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된 색상정보를 액세스하여 동일한 색상을 추출하고 동일한 색상별로 합산된 개별색상정보(이하 ;R/G/B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1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125)는 분리된 R/G/B(RED/GREEN/BLUE)의 각 썸값(이하, RED SUM, GREEN SUM, BLUE SUM)을 구한다. 상기 추출부(125)는 연산된 각 썸값(RED SUM, GREEN SUM, BLUE SUM)을 순차적으로 비교한 뒤, 'RED SUM', 'GREEN SUM', 'BLUE SUM' 값의 크기에 따른 순서정보를 도출한다. 즉, 입력된 지폐가 R/G/B(RED/GREEN/BLUE) 중 어느 색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순서정보는 후술되는 제 1차 판단부(131)의 판단단계에서 사용된다. 상기 순서정보 도출단계는 후술되는 제 1차 판단부(131)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폐판독장치(100)에는 각 지폐 권종별(예컨대;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c), (d)와 동일한 영역의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 및 이의 범위정보 그리고 권종별 크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된 정보는 후술되는 판단부(130)에 의해 입력된 지폐로부터 추출한 정보와 비교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정보는 입력되는 매체별로 테이블화되어 정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110)에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이이피롬(EPROM), 플래쉬메모리, 외장형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취득된 R/G/B 크기에 따른 순서정보, 범위정보, 및 매체의 크기정보를 기 저장된 매체별 정보와 비교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판단부(130)는 상기 지폐의 (c), (d)영역에서 추출된 R/G/B 크기에 따른 순서정보에 의해 지폐의 권종을 1차 판단하는 제 1차 판단부(131)와, 상기 지폐의 (c), (d)영역에서 추출된 R/G/B정보의 각 범위정보에 의해 지폐의 권종을 2차 판단하는 제 2차 판단부(133), 그리고 상기 지폐의 (b), (e)영역에서 추출된 매체의 크기정보에 의해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제 3차 판단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c), (d)영역의 R/G/B의 순서정보를 액세스하고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매체별 R/G/B 크기 순서정보와 비교하여 입력된 지폐의 권종을 판단한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c), (d)영역의 R/G/B(RED/GREEN/BLUE) 순서정보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수신받은 순서정보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권종별 R/G/B(RED/GREEN/BLUE) 순서정보 중 매칭되는 것이 있는지 검색하고, 검색 결과 순서정보가 매칭되는 지폐가 있다면, 상기 매체로 임시적인 1차 판단을 한다.
아래에 기재된 [표 1]에는 상기 저장부(110)의 입력되는 매체별 각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있다.
[표 1]을 참조하여 1차적으로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제 1차 판단부(131)가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GREEN SUM > RED SUM > BLUE SUM '라는 순서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 R/G/B(RED/GREEN/BLUE) 포함양의 순서정보 중 ' GREEN SUM > RED SUM > BLUE SUM ' 에 대응하는 권종 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110)의 R/G/B 순서정보가 아래 기재된 표 1과 같은 경우,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저장된 만원권의 R/G/B 순서정보가 추출부(125)에 의해 도출된 순서정보와 매칭되기 때문에 1차적으로 지폐를 만원권이라 판단하고, 만약 이에 대응하는 값이 없다면 불량지폐로 판단한다.
[표 1]
만원권 green sum > red sum > blue sum
오천원권 red sum > green sum and green sum - blue sum < 임계값
천원권 red sum > green sum and green sum - blue sum > 임계값
한편, 입력되는 매체들의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와 같은 경우, R/G/B의 순서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매체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은바 이의 본 발명의 대안을 오천원권과 천원권의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예컨대, 상기 오천원권과 천원권의 R/G/B 순서정보는 ' RED SUM > GREEN SUM > BLUE SUM '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은 경우, R/G/B 순서정보가 동일한 각 권종별 GREEN SUM과 BLUE SUM의 차를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값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오천원권으로 판단하고,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천원권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R/G/B 순서정보가 동일한 경우, 입력되는 매체들을 구분하기 위해 R/G/B 중 연산대상, 연산방법 및 임계값이 각 매체별 R/G/B정보의 특성에 따라 변경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입력되는 두 매체의 각 R/G/B 순서정보가 동일할지라도 임계값이라는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와 입력된 지폐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입력되는 다양한 매체를 구분가능함이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R/G/B정보를 수신받고 각 R/G/B 정보가 기 저장된 해당 범위정보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상기 R/G/B정보가 모두 해당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면 1차 판단결과와 동일한 매체로 매체의 권종을 판단한다.
[표 2]
red 색상범위 green 색상범위 blue 색상범위
만원권 25 내지 30 45 내지 50 15 내지 20
오천원권 45 내지 50 25 내지 35 15 내지 30
천원권 55 내지 65 25 내지 35 5 내지 15
상기 저장부(110)에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가 [표 2]와 같이 저장된 것을 일 예로 들어 상기 제 2차 판단부(133)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상기 제 2차 판단부(133)가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로부터 입력된 지폐가 천원권 후보라는 판단결과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천원권 지폐의 R/G/B(RED/GREEN/BLUE) 포함양의 범위정보를 액세스한다.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원권 지폐의 R/G/B 범위정보는 RED 색상범위가 55 내지 65 이고, GREEN 색상범위가 25 내지 35 이고, BLUE 색상범위가 5내지 15 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연산된 각 R/G/B(RED/GREEN/BLUE)의 합산정보가 상기 범위정보 내에 포함되는지 판단하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면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생성한다. 그러나 각 R/G/B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범위 이외에 존재한다면 불량지폐로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제 1차 판단부(131)의 판단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권종의 각 R/G/B 범위정보에 따라 입력된 매체의 권종을 2차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지폐판독장치(100)는 상기 제 2차 판단부(13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지폐의 크기 정보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폐의 (b), (e) 영역인 크기정보를 비교하여 최종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제 3차 판단부(135)를 포함한다.
상세히 기술하자면, 상기 제 3차 판단부(135)가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로부터 입력된 지폐가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를 수신받으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지폐의 (b), (e) 영역 크기정보를 액세스하고, 또한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천원 지폐의 크기범위정보를 액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가 검출한 크기정보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크기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면 천원권 지폐라고 판단하고, 크기 범위정보 이 외에 존재한다면, 불량지폐로 판단한다.
상기 제 3차 판단부(135)가 지폐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것은 각 지폐 권종(예컨대;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의 크기가 다르고, 이의 상기 이미지센서(120)의 상기 (b) ,(e)영역의 센싱하여 디지털화한 수치정보가 각 지폐 권종별로 상이하게 구분 가능하기 때문에 지폐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 권종을 판단함이 가능하다.
상기 지폐판독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추출부(125), 제 1차 판단부(131), 제 2차 판단부(133), 제 3차 판단부(135)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어부(140)는 제 1차 판단부(131), 제 2차 판단부(133) 및 제 3차 판단부(135) 중 어느 둘 이상의 판단부만을 제어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제일 먼저 판단된 결과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권종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부(130)에 의한 지폐의 권종 판단결과 및 처리과정을 출력하는 출력부(150)가 구비된다. 출력부(150)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폐판독장치(100)가 입력된 매체를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중 어느 하나로 권종을 판단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 였지만, 이 외의 색상 및 크기가 다른 다양한 매체를 판단 가능함이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의 R/G/B 정보 및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지폐판독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지폐판독방법은 도 4와 각 판단과정을 상세 설명하고 있는 도5, 도6, 도7 중 대응하는 하나의 도면을 함께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폐판독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되는 매체가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중 어느 하나로 권종이 판단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지폐투입구(105)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면(S100),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투입된 지폐의 기 설정된 소정의 일부분을 센싱한다. 상기 기 설정된 소정의 일부분은 색상을 검출하기 위한 (c), (d)영역과, 지폐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b), (e)영역이다. 상기의 (c), (d)영역과 (b), (e)영역은 도 2의 예시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센서(120)는 입력되는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기 위하여 (c), (d)영역과 (b), (e)영역을 센싱한다(S200).
이후, 상기 추출부(125)는 상기 이미지센서(120)로부터 수신받은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을 추출하고 이의 합산정보인 개별색상정보(이하; R/G/B정보)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R/G/B의 합산정보 즉, RED SUM, GREEN SUM, BLUE SUM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순서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순서정보는 제 1차 판단단계에서 사용된 다.
이후, 상기 도출된 순서정보와 저장된 각 권종별 R/G/B(RED/GREEN/BLUE) 순서정보를 비교하여 1차적으로 입력된 지폐의 권종을 판단한다(S400).
상기 제 400 단계를 도 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추출부(125)는 'RED SUM' 값과 'GREEN SUM' 값이 동일한지 판단한다(S403). 상기 판단결과 'RED SUM' 값과 'GREEN SUM' 값이 동일하면 불량지폐로 판단하고(S404), 'RED SUM' 값과 'GREEN SUM' 값이 다르면 'RED SUM' 값과 'GREEN SUM' 값의 대소 판단을 수행한다(S405).
상기 'RED SUM' 값과 'GREEN SUM' 값의 대소 판단 수행 결과가 'GREEN SUM' 값이 큰 경우, 다시 'RED SUM' 값과 'BLUE SUM' 값의 대소 판단을 수행한다(S409).
상기 제 409 단계의 수행 결과 'RED SUM' 값이 'BLUE SUM'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상기 추출부(125)는 'GREEN SUM > RED SUM > BLUE SUM'라는 R/G/B의 순서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술한 바에 의해 도출된 순서정보 (즉, 'GREEN SUM > RED SUM > BLUE SUM')를 액세스하고 이에 대응되는 정보가 상기 저장부(110)에 존재하는지 검색하여 일차적으로 상기 지폐의 권종을 판단한다. 상기 저장부(110)에는 권종별 각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예컨대; 만원권 : GREEN SUM > RED SUM > BLUE SUM) 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종별 각 R/G/B 포함양의 순서정보는 앞선 [표 1]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표 1]을 참조하여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입력된 지폐가 1차적으로 '만 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생성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제 2차 판단부(133)에 송신한다(S415).
반면, 상기 추출부(125)가 제 405 단계에서 'RED SUM' 값이 'GREEN SUM' 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GREEN SUM - BLUE SUM'의 연산을 수행한다(S407). 'GREEN SUM - BLUE SUM'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인입된 매체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GREEN SUM - BLUE SUM' 결과값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red sum > green sum and green sum - blue sum > 임계값'이라는 순서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도출된 순서정보와 동일한 순서정보가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비교 결과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생성하고(S411), 반면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오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생성한다(S413).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로부터 생성된 결과값은 지폐 권종의 2차 판단을 위하여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로 송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입력된 지폐의 소정 부위에 대한 R/G/B의 순서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순서정보와 비교하고 1차적으로 '불량지폐' 또는 '천원권 후보' 또는 '오천원권 후보' 또는 '만원권 후보' 라는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이용하여 상기 제 1차 판단결과로부터 상기 R/G/B정보의 포함양의 크기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2차 판단하는 2차 판단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제 1차 판단부(131)의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각 지폐 권종별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를 액세스 하고,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도출된 각 R/G/B 정보가 상기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2차적으로 지폐의 권종을 판단한다(S500).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로부터 '천원권 후보' 또는 '오천원권 후보' 또는 '만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수신받는다(S501).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제 1차 판단부(131)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 2차 판단부(133)가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 값을 수신받은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차 판단부(133)가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로부터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수신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천원권 지폐의 R/G/B 포함양의 범위 정보를 액세스 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추출된 각 R/G/B 정보 즉, 상기 R/G/B의 개별적인 썸값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505).
이하 예시는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천원권 지폐의 R/G/B 범위정보는 <RED SUM : 55 내지 65, BLUE SUM : 25 내지 35, GREEN SUM : 5 내지 15 > 일 수 있고,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추출된 각 R/G/B의 합산정보는 < RED SUM : 56, BLUE SUM : 30, GREEN SUM : 12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는 상기 각 R/G/B 썸값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각 R/G/B 크기범위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천원권 후보'라는 2차 판단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차 판단부(133)가 상기 제 1차 판단부로부터 '오천원권 후보'라는 판단결과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오천원권의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를 액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부(125)에 의해 추출된 R/G/B 개별 합산정보가 기 저장된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507).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지폐의 각 R/G/B 합산정보 즉, 상기 개별적 썸값이 저장된 오천원권의 RGB 포함양의 범위정보 내에 존재한다면, '오천원권 후보' 라는 결과 값을 생성하고(S513), 상기 각 R/G/B 썸값 중 어느 하나라도 저장된 범위 이 외에 존재하는 경우 불량지폐로 판단한다(S509).
또 상기 제 2차 판단부(133)가 상기 제 1차 판단부(131)로부터 '만원권 후보'라는 판단결과를 수신받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만원권의 R/G/B 범위 정보와 상기 추출부(125)로부터 추출된 각 R/G/B 썸값을 비교한다(S508). 그리고 비교결과 추출된 R/G/B 썸값이 저장된 R/G/B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만원권 후보'로 판단하고(S515) 이 외의 경우 불량지폐로 판단한다(S509).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는 R/G/B 범위정보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지폐 권종 판단하고 이의 결과값을 상기 제 3차 판단부(135)에 송신한다(S517).
다음 도 7을 이용하여 상기 제 2차 판단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3차 판단하는 3차 판단과정을 설명한다(S60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3차 판단부(135)는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로부터 '천원권 후보', '오천원권 후보', '만원권 후보'라는 결과값 중 어느 하나의 결과값을 수신받을 수 있다(S601).
그리고 상기 제 3차 판단부(135)는 상기 이미지센서(120)가 상기 입력된 지폐의 크기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지폐의 경계선 부분을 센싱한 도 2의 (b), (e)영역의 센싱값을 엑세스한다.
우선, 상기 제 3차 판단부(135)가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로부터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수신받은 경우 , 상기 제 3차 판단부(135)는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액세스한 크기정보가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기 천원권 지폐의 크기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605).
상기 판단결과 상기 크기범위 내에 상기 센싱값이 존재한다면 최종적으로 천원권 지폐라고 판단하고(S611), 상기 크기범위 이 외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지폐를 불량지폐로 판단한다(S617).
상기 크기범위는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와 상기 저장된 크기정보가 동일하게 매칭되는 경우만을 허용하게 조작할 수도 있고, 소정의 오차를 허용하게 조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3차 판단부(135)가 상기 제 2차 판단부(133)로부터 '오 천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 3차 판단부(1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110)에 저장된 오천원권의 크기범위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과 비교한다(S607).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가 상기 크기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지폐의 권종을 오천원권이라고 최종 판단하고(S613), 이 외의 경우에는 상기 지폐를 불량 지폐로 판단한다(S617).
또 상기 제 2차 판단부로부터 '만원권 후보'라는 결과값을 수신받는 경우, 상기 제 3차 판단부(135)는 기 저장된 만원권의 크기범위정보를 액세스하고 상기 이미지센서가 검출한 크기를 나타내는 센싱값과 비교한다(S609). 상기 검출정보가 상기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지폐의 권종을 만원권이라고 최종 판단하고(S615), 이외의 경우 불량지폐로 판단한다(S617).
상기의 예에서는 입력되는 매체가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지폐로 판단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천원권, 오천원권과 같은 지폐뿐만 아니라, 수표, 티켓, 증명서와 같은 각종 매체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인식하는 매체인식장치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판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지폐판독장치는 지폐의 앞/뒷면의 정보가 불필요하고 지폐 일부분의 정보만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색상 패턴 방식이나 형광파장을 이용한 방식보다 시스템의 처리속도를 높이고 적은 데이터만으로 지폐의 권종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입력되는 지폐의 색상정보와 크기정보를 추출하여 이의 추출결과를 기 저정된 권종별 정보와 비교판단하여 권종을 판단하기 때문에 입력되는 매체를 판단함에 있어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매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색상정보와 그 매체의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를 참조하여 매체 권종을 1차 판단하는 제 1차 판단부와;
    상기 제 1차 판단 후 상기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2차 판단하는 제 2차 판단부; 그리고
    상기 제 2차 판단결과로부터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3차 판단하는 제 3차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2. 매체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색상정보와 그 매체의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그리고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의 권종을 판 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판단부를 제어하여 매체의 권종을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판단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참조하여 다음 판단부에 의해 매체 권종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색상정보는,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다수의 각 매체별 기준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판단부로부터 나온 판단결과는 다음 판단부의 판단을 위한 정보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제일 먼저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판단부는 비교대상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 교결과에 따라 매체 권종을 임시판단 하고;
    상기 비교대상정보는, 상기 추출부 또는 검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 중에서 두 개 판단부가 동시에 비교대상정보와 비교하여 매체 권종을 판단하고;
    상기 비교대상정보는, 상기 추출부 또는 검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비교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장치.
  8. (A)인입되는 매체 소정부위의 색상정보 및 크기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B)상기 색상정보로부터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에 따라 1차적으로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D)상기 1차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지폐의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를 참조하여 2차적으로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E)상기 2차 판단결과에 따라 매체의 크기정보를 참조하고 검출된 크기정보와 비교하여 매체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개별색상정보는,
    상기 색상정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의 순서크기에 대한 순서정보가 기 저장된 매체별 순서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매체로 1차적으로 권종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순서정보가 기 저장된 매체별 순서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개별색상정보가 상기 1차 판단된 매체의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모든 개별색상정보가 상기 범위정보 내에 존재하는 경우, 1차 판단결과와 동일한 매체로 2차 권종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 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개별색상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범위정보 이 외에 존재하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2차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매체의 기 저장된 크기정보를 액세스하고,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와 기 저장된 크기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2차 판단결과와 동일한 매체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크기정보가 기 저장된 크기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불량매체로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6. (a)인입되는 매체의 일부분에 대한 크기정보와 색상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b)상기 검출된 색상정보로부터 동일한 색상에 대한 합산정보인 개별색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c)상기 추출된 개별색상정보에 대한 순서크기, 상기 개별색상정보의 범위정보 및 매체의 크기정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정보를 기 저장된 매체의 기준정보와 순차적으로 비교 판단하여 매체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어느 하나의 판단단계의 결과는 다음 판단단계를 위한 정보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독방법.
KR1020070047264A 2007-05-15 2007-05-15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KR10087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64A KR100879611B1 (ko) 2007-05-15 2007-05-15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PCT/KR2008/002719 WO2008140275A1 (en) 2007-05-15 2008-05-15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EP08753515A EP2153419A4 (en) 2007-05-15 2008-05-15 DEVICE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DISTINCTION THEREWITH
CN2008800020510A CN101583978B (zh) 2007-05-15 2008-05-15 媒介识别装置及采用其区分媒介类型的方法
US12/597,778 US8548220B2 (en) 2007-05-15 2008-05-15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64A KR100879611B1 (ko) 2007-05-15 2007-05-15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59A true KR20080101059A (ko) 2008-11-21
KR100879611B1 KR100879611B1 (ko) 2009-01-21

Family

ID=4028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64A KR100879611B1 (ko) 2007-05-15 2007-05-15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9611B1 (ko)
CN (1) CN1015839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313B1 (ko) * 2011-09-15 2013-04-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와 방법
CN104463292B (zh) * 2013-09-16 2018-01-09 深圳市同盛绿色科技有限公司 光学识别方法及移动设备
CN107436294A (zh) * 2016-05-26 2017-12-05 镇江索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液体沉淀物颜色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8074325A (zh) * 2016-11-10 2018-05-2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币值检测方法及装置
JP6811140B2 (ja) * 2017-04-12 2021-01-13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及び紙葉類鑑別システム
CN107123187A (zh) * 2017-05-24 2017-09-0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钞票真伪检测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503A (ko) * 2003-07-16 2005-01-25 노희옥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KR100603184B1 (ko) * 2004-05-21 2006-08-11 노희옥 자외선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KR100613423B1 (ko) * 2004-08-30 2006-08-17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지폐 계수기
KR200394059Y1 (ko) 2005-05-24 2005-08-31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지폐 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3978A (zh) 2009-11-18
KR100879611B1 (ko) 2009-01-21
CN101583978B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7322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0879611B1 (ko) 지폐판독장치 및 이의 지폐판독방법
US8942461B2 (en) Method for a banknote detector device, and a banknote detector device
JP5213649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プログラム
KR101238292B1 (ko) 지엽류관리장치, 지엽류관리방법, 및 지엽류관리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14895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bank notes
CN1685373B (zh) 钞票的识别方法和识别装置
WO2010016144A1 (ja) 紙葉類管理システム、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管理装置、紙葉類管理方法及び紙葉類管理プログラム
EP3308140B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image capturing device for counterfeit article detection
JP2017004154A (ja) 紙幣処理装置
KR101707218B1 (ko) 스마트폰 연동형 위조지폐감별장치 및 방법
KR102213666B1 (ko) 지엽류 감별 장치, 및 지엽류 감별 시스템
KR101397722B1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JP2018110032A (ja) 単一のスロットを有する紙幣識別機に投入された紙幣の通貨及び額面単位を判別する方法及び関連装置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273720B1 (ko) 지폐 감별 장치
KR101385358B1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EP2153419A1 (en)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KR101740592B1 (ko) 세계지폐 인식방법
CN108986296B (zh) 介质安全性验证
JP2000030107A (ja) 有価証券を認識し又はテストする方法
CN107346575A (zh) 一种纸币或者票券的鉴伪方法
US104384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taining
RU24547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за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US8474592B2 (en) Currency discri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