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698A -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698A
KR20080100698A KR1020070046704A KR20070046704A KR20080100698A KR 20080100698 A KR20080100698 A KR 20080100698A KR 1020070046704 A KR1020070046704 A KR 1020070046704A KR 20070046704 A KR20070046704 A KR 20070046704A KR 20080100698 A KR20080100698 A KR 2008010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panels
panels
pane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035B1 (ko
Inventor
성대군
Original Assignee
인타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타스(주) filed Critical 인타스(주)
Priority to KR1020070046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03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ll stud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the same information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을 사용한 판서 시에, 하나의 패널로부터 다른 패널로 옮김에 있어서, 두 패널들 간에서의 이동이 중단 없이 이루어지는 이어쓰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칠판, 플로팅 메뉴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ELECTRONIC BOARD SYSTEM WHICH USE A PLURAL NUMBER OF DISPLAY PANEL AND US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제어장치
200 : 그래픽 카드 210 : 제어부
220 : 입력부 230 : 저장부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 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칠판, 화이트보드 등(이하 칠판이라 통칭한다)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정보 전달 수단이다. 칠판 상에 필기하는 것을 판서라고 한다. 칠판은 판서를 위한 수단(예를 들어, 분필, 펜 등)과 판서된 것을 지울 수 있는 제거 수단의 사용을 통해 반복적인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칠판은,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 시의 정보 전달,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공지 정보의 전달 등을 위한 정보 표시 수단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칠판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자칠판이라 불리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최초의 전자칠판은, PC(Personal Computer)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PC에 입력된 정보를 PC에 연결된 전자칠판용 패널 상에 영사하는 형태로 제안되었다. 즉, 최초의 전자칠판은 전통적인 칠판의 기능을 수행하기보다는, 기존의 칠판을 보조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자칠판 기술 역시 전통적인 전자 칠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해 왔다. 즉, 현재의 전자칠판은, 전통적인 칠판과 마찬가지로, 전자칠판 패널 상에서의 판서가 가능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전자 칠판 기술의 발전은, 센서를 사용한 터치 패널 기술과 함께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전자칠판용 패널의 소재에 있어서도, 프로젝션 타입의 전자칠판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크린 패널보다 밝고 선명한 PDP 패널, LCD 패널 등이 사용되고 있다. PDP 패널이나 LCD 패널의 채용 역시 기술의 발전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패널의 면적은 넓어지고, 패널의 가격은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자칠판은, 다수를 상대로 하여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정보의 용이한 전달을 위해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대화면의 패널이 요구된다. 그런데, PDP 패널이나 LCD 패널 등은, 화면의 증가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산술급수적이 아닌 기하급수적의 양상을 띠고 있다. 즉, 전자칠판의 기능을 충분히 만족시키기 위한 대화면의 패널을 채용하는 경우, 시스템 구축을 위해 높은 가격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낮은 가격으로 전자칠판의 면적이 넓은 전자칠판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격이 낮고 전자칠판의 면적이 넓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상기 디스플레 이 패널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는 좌표인식 센서군과, 상기 좌표인식 센서군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 상에서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 또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이 제어 입력인지 판서 입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판단 결과 및 해당 입력 내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패널들에 대한 판서 모드 선택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판서 모드가 선택된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상에서 입력이 발생하는 순간 해당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판서 입력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판서 모드가 선택된 패널 상에 제어 입력을 위한 좌표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제어 입력을 위한 좌표영역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입력을 제어 입력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좌표인식 센서군을 통해, 판서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이 감지된 패널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좌표인식 센서군으로부터 상기 감지된 입력의 시작점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인식된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 하고,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을 해당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서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최초의 입력이 감지되는 순간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키고, 감지된 입력의 좌표를 해당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패널을 사용하여 판서를 하다가 다른 패널로 옮겨서 판서를 하는 경우, 두 번째 패널에서의 판서의 시작이 첫 번째 패널에서의 판서의 종료 후에, 두 번째 패널에서 판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시간적 또는 기능적 단절 없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들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0)들 모두를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장치(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00)들 각각은, 입력수단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고, 출력수단으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표시되는 컨트롤 바(control bar), 프로그램 아이콘, 그 표시 위치가 패널 상에서 자유로이 변화될 수 있는 플로팅 메뉴(floating menu) 등의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을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서 모드가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서의 입력은, 입력된 궤적과 동일한 출력이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판서 모드, 준비된 자료들을 보여주는 프레젠테이션 모드 등, 여러 가지의 기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선택 등의 제어는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제어장치(11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들을 통한 입출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들 상에서의 입력을 좌표로써 인식하며, 각 입력의 좌표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장치(110)가 수행하는 제어는, 제어장치(110) 자신의 제어일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들에 대한 제어일수도 있다. 제어장치(110)는 감지된 입력의 좌표가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어 있는 좌표의 영역 내에 포함되는 좌표인 경우 해당 입력을 제어 입력이라고 판단하고, 감지된 입력의 좌표가 제어 인터페이스의 영역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입력을 판서 입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감지되는 입력이 판서 입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이 판서 모드로 선 택되어 있는 경우로 제한된다.
엄밀히 말해, 디스플레이 패널(100)들을 통한 입력은, 패널 자체를 통해서라기보다는 좌표인식 센서군(群)(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좌표인식 센서군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며, 각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 발생을 감지 및 감지한 입력의 좌표를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제어장치(110)에 제공한다. 이때, 좌표인식 센서군은 감지한 입력 및 인식한 좌표 값을, 해당 입력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정보와 함께 제어장치(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군을 구성하는 센서로는, 압전 센서, 광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압전 센서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입력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광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의 거리가 기준치보다 작은 위치에서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들 센서들은 각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입력의 좌표를 인식하고, 그 감지 및 인식의 결과를 제어장치(110)에 제공한다.
압전 센서는 압력이 감지된 위치의 좌표를 감지함으로써 입력의 좌표를 인식하고, 광센서는 광(光)의 조사(照射)를 통해 입력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광센서에도 적외선을 이용하거나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등의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외에도 다양한 센서들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패널의 표면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패널 표면과의 접촉이 필수적인 압전 센서보다는 광센서가 채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제어장치(110)는, 그래픽 카드(200), 제어부(210), 입력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픽 카드(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들 각각과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한 입출력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그래픽 카드(200)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구비된 좌표인식 센서군으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제어부(210)에 출력하고,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받은 표시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가 표시되어야 할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그래픽 카드(2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좌표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가 제어용 데이터인지 판서용 데이터인지 판단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그래픽 카드(2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의 좌표가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좌표 영역 내에 포함되면 해당 데이터를 제어용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그래픽 카드(20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의 좌표가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좌표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를 판서용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사용자와 제어장치(110)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입력부(220)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들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들을 통해 판서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에서의 이어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어쓰기는 하나의 패널을 사용하여 판서를 하던 사용자가 다른 패널로 옮겨서 판서를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옮겨 간 패널에서의 판서를 위해 해당 패널을 입력의 감지가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시키거나 판서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 선택 등의 과정 없이 판서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전의 패널 상에서의 판서의 종료 후에 즉시 이동 후의 패널 상에서의 판서를 시작할 수 있다. 이어쓰기 기능은, 판서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패널들 간에서의 이동 시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어쓰기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제어용 인터페이스의 좌표 영역 내의 입력은 제어 입력으로 판단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쓰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활성화, 기능 선택 등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단절 없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여 판서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어쓰기 기능은 판서 수행 시에 서로 다른 패널 간에서의 이동이 수시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에서는 상당히 유용한 기능이다.
이하 전술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에 대응하는 운용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 템을 운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흐름도이다.
도 3은 제어장치(110)를 주체로 하여 작성된 도면이다. 도 3의 300단계에서 제어장치는, 판서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발생한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장치는, 좌표인식 센서군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302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입력이 감지된 패널을 활성화시킨다. 304단계에서 제어장치는, 감지된 입력의 시작점의 좌표를 인식한다. 좌표 인식 역시 좌표인식 센서군을 통해 이루어진다.
306단계에서 제어장치는,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은 컨트롤 바, 프로그램 아이콘, 플로팅 메뉴 등의 제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306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는 해당 입력의 연속적인 궤적을 표현하는 좌표를 인식한다(308). 제 310단계에서 제어장치는, 308단계에서 인식된 좌표를 해당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한다. 한편, 306단계의 판단 결과 입력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가 기 설정된 영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장치는 해당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312단계에서 제어장치는, 감지되고 있던 입력의 궤적이 단절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궤적의 단절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장치는, 308단계 및 310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한편, 궤적의 단절이 발생하면 제어장치는,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314).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입력이 감 지되면, 제어장치는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시킨다(316). 한편,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새로운 입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 새로운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장치는 해당 입력의 감지 시작점의 좌표를 인식하는 304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하나의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을 구현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에서의 단절 없는 이어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 간에서의 이어쓰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 이루어진 전자칠판 시스템에서의 판서 시에, 하나의 초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판서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패널에서 다른 패널로 연속적인 이어쓰기를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 발생 여부 및 발생한 입력의 좌표를 감지하는 좌표인식 센서군; 및
    상기 좌표인식 센서군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 상에서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 또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이 제어 입력인지 판서 입력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판단 결과 및 해당 입력 내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패널들에 대한 판서 모드 선택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판서 모드가 선택된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상에서 입력이 발생하는 순간 해당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판서 입력으로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판서 모드가 선택된 패널 상에 제어 입력을 위한 좌표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좌표 상에서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입력을 제어 입력이라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3.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좌표인식 센서군을 통해, 판서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입력이 감지된 패널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좌표인식 센서군으로부터 상기 감지된 입력의 시작점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인식된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인식된 입력 좌표가 기 설정된 좌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입력을 해당 입력이 감지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20070046704A 2007-05-14 2007-05-14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KR100899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04A KR100899035B1 (ko) 2007-05-14 2007-05-14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04A KR100899035B1 (ko) 2007-05-14 2007-05-14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98A true KR20080100698A (ko) 2008-11-19
KR100899035B1 KR100899035B1 (ko) 2009-05-21

Family

ID=4028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04A KR100899035B1 (ko) 2007-05-14 2007-05-14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0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658A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전자칠판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포인팅 디바이스
KR20140034521A (ko)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KR101404812B1 (ko) * 2012-12-12 2014-06-12 한국산업은행 전자칠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290B2 (ja) * 1997-06-26 2002-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ペン入力装置及びペン入力方法及びペン入力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10067801A (ko) * 2001-03-28 2001-07-13 이흥성 전자 칠판을 이용한 강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6658A (ko) * 2011-09-06 201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전자칠판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포인팅 디바이스
KR20140034521A (ko)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디스플레이장치
KR101404812B1 (ko) * 2012-12-12 2014-06-12 한국산업은행 전자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035B1 (ko)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307B2 (en) Handwritt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US94543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windows
TWI581179B (zh) 用於呼叫電子手寫或書寫界面之系統、方法和電腦可讀媒體
US20120188285A1 (en) Enhanced pointing interface
JP2009064209A (ja) 情報表示装置
US10747425B2 (en) Touch operation input device, touch oper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US201202495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5247468A (zh) 可编程显示器及其画面操作处理程序
WO2012169189A1 (ja)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KR100899035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사용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및그 운용방법
JP2009116727A (ja) 画像入力表示装置
EP2712433B1 (en) User interface for drawing with electronic devices
KR20140089778A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9157448A (ja) 手書き情報入力表示システム
JP6087602B2 (ja) 電子黒板
JP2004110439A (ja) 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278703A (ja) 情報入力装置及び電子黒板システム
JP6475883B2 (ja) タッチ入力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73680B2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JP20082342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H07110739A (ja) ペン型情報入力装置
JP2019061728A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入力表示方法
JP2019148918A (ja) 入力表示装置、入力表示方法および入力表示プログラム
JPH04130518A (ja) 情報処理装置
KR20160059079A (ko) 터치 압력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