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421A - 공구 - Google Patents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421A
KR20080100421A KR1020087017657A KR20087017657A KR20080100421A KR 20080100421 A KR20080100421 A KR 20080100421A KR 1020087017657 A KR1020087017657 A KR 1020087017657A KR 20087017657 A KR20087017657 A KR 20087017657A KR 20080100421 A KR20080100421 A KR 20080100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ed
cutting
insert
plane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470B1 (ko
Inventor
켄트 비올
Original Assignee
쎄코 툴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코 툴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쎄코 툴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8010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41Specially shaped plate-like cutting inserts, i.e. length greater or equal to width,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ickness
    • B23B27/145Specially shaped plate-like cutting inserts, i.e. length greater or equal to width,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ic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61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B2200/123Side or flank surfaces cur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B2200/202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with curved cutting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B2200/205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with cutting edge having a wav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5/00Details of general geometric configurations
    • B23B2265/16Ellipt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절삭 공구, 더 구체적으로는 조정된 절삭날을 갖는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절삭 인서트 (25) 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 여유면 (37) 을 포함한다. 가상 여유면은 인서트의 정상면 (39) 의 가상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한다. 제 1 가상 절삭날 (41) 은 가상 여유면 (37) 보다 위에 위치된다. 제 1 가상 절삭날 (41)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 (39) 의 평면에 위치된다. 조정된 여유면 (45) 은 가상 여유면 (37) 과 상이하고 정상면 (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한다. 조정된 절삭날 (47) 은 조정된 여유면 (45) 보다 위에 있고, 조정된 절삭날 (47) 상의 적어도 일부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은 정상면 (39) 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다. 정상면 (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의 프로파일은 제 1 가상 절삭날 (41) 의 프로파일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구{TOOL}
본 발명은 절삭 인서트를 갖는 절삭 공구, 더 자세하게는 조정된 절삭날을 갖는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밀링, 선삭, 보링, 분단 (parting), 홈 가공 (grooving), 나사 가공 (threading), 및 드릴링과 같은 기계가공 작업용 공구는 종종 하나 이상의 교체 가능한 절삭 인서트를 고정하는 공구 홀더를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는 통상적으로 초경합금과 같이 공구 홀더보다 더욱더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절삭 인서트는 납땜, 또는 현재 더 통상적으로는 나사 또는 클램핑 장치를 통한 클램핑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공구 홀더에 고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절삭 인서트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한 타원형 또는 원형 프로파일을 갖고 일반적으로 작업물에서 반원 또는 타원형 홈을 절삭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직선 프로파일을 갖고 일반적으로 작업물에서 V-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홈을 절삭하도록 설계된다. 작업물에 더 예리한 절삭날을 주기 위한 것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인서트는 종종 정상면과 측면 사이의 절삭날에서 90°미만인 웨지각 (wedge angle) 으로 설계된다. 또한, 인서트는 작업물에 원하는 각의 좁은 웨지각을 갖는 절삭날을 주기 위한 것과 같이 정상면의 평면이 작업물과 수직이 되지 않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절삭날 아래에, 측면이 절삭날이 작업물을 절삭한 이후에 작업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측면은 정상면의 평면에 대해 0 이 아닌 여유각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을 따라 볼 때 일반적으로 원형 프로파일을 갖는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절두원추형 (frustoconical) 이고 정상면보다 더 작은 바닥면을 갖는다.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등과 같은 다각형인 인서트가 또한 여유각을 주기 위해 정상면보다 바닥면에서 더 작을 수 있다.
절삭날이 인서트의 상부면의 가상 평면에 대해 변하도록, 예컨대 절삭날이 커브가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또한 일반적이다. 이는 칩 형성 또는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또는 다른 이유를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절삭날의 곡률이 기계가공 작업의 어떠한 양태에 대해 요구될 수 있지만, 0 이 아닌 여유각 때문에, 절삭날의 커브는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을 따라 볼 때의 인서트의 프로파일의 형상을 변경한다. 이는 원치않는 기계가공된 형상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반경을 갖는 코너 또는 충분한 정사각형을 형성하지 못할 수도 있고 또는 작업물에 형성되는 원치않는 리지 및 홈을 야기할 수 있다.
도시를 위해 일반적으로 원형 인서트 (C25) 및 정사각형 에지 인서트 (S25) 를 나타내는 도 6A ~ 6C 및 7A ~ 7C 에서 보이듯이, 절삭날 (C47 및 S47) 아래에 있는 여유면 (C45 및 S45) 은 인서트의 정상 평면 (CP 및 SP) 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 (α) 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삭날이 정상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절삭날은 절삭날이 정상 평면에 대한 수선에 대해 축선 방 향으로 가장 높은 최외점으로부터 줄어든다. 예컨대, 원형 인서트 (C25) 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듯이, 절삭날 (C47) 은 절삭날이 가장 높이 있는 최외 직경 (DO) 으로부터 절삭날이 가장 낮게 있는 가장 안쪽 직경 (DI) 으로 줄어든다. DI 에서의 절삭날의 위치는 DO 에서의 절삭날의 위치와 거리 (Δ) 만큼 상이하다. 인서트의 바닥의 직경 (db) 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으로 볼 때의 절삭날 (C47 및 S47) 의 프로파일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이 아니며, 이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는 절삭 공구와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 여유면으로서 이 인서트의 정상면의 가상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가상 여유면과 이 가상 여유면 보다 위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로서, 제 1 가상 절삭날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의 평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을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는 또한 가상 여유면과 상이하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조정된 여유면, 및 이 조정된 여유면 보다 위에 있는 조정된 절삭날로서, 조정된 절삭날 상의 적어도 일부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은 정상면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조정된 절삭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 여유면으로서 이 인서트의 정상면의 가상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가상 여유면, 이 가상 여유면 보다 위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로서, 제 1 가상 절삭날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의 평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을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는 또한 가상 여유면과 상이하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조정된 여유면, 및 이 조정된 여유면 보다 위에 있는 조정된 절삭날로서, 조정된 절삭날 상의 적어도 일부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은 정상면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조정된 절삭날을 포함한다. 절삭 공구는 또한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와 인서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면을 포함하는 공구 홀더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구 홀더 내의 절삭 인서트의 바닥도이다.
도 2A ~ 2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제 1 측면도 및 제 2 측면도이다.
도 3A ~ 3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제 1 측면도 및 제 2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바닥 개략도이 다.
도 6A ~ 6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제 1 측면도 및 제 2 측면도이다.
도 7A ~ 7C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제 1 측면도 및 제 2 측면도이다.
공구 홀더 (23) 와 절삭 인서트 (25) 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21) 가 도 1 에 나타나 있다. 공구는 밀링, 선삭, 보링, 분단, 홈 가공, 나사 가공 및 드릴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계가공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공구 홀더 (23) 는 인서트 (25)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27) 와 인서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크로스-해치로 나타냄) 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접합면 (29) 을 포함한다. 인서트 (25) 는 예컨대, 참조로서 통합되는, U.S. 특허 No. 6,764,257 에 기재된 것과 같이 인서트 내의 구멍 (H) 을 통과하여 뻗어 있고 공구 홀더 내의 나사선이 있는 구멍 (도시되지 않음) 에 일치하는 나사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또는 예컨대, 참조로서 통합되는 U.S. 특허 No. 6,168,357 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공구 홀더의 필수 요소인 클램핑 암에 의해, 또는 예컨대, 참조로서 통합되는 U.S. 특허 No. 6,702,528 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공구 홀더에 부착된 클램핑 암과 같은 어떠한 종래 방법으로 오목부 (27) 에 고정될 수 있다. 인서트 (25) 의 바닥 지지면 (33) 과 공구 홀더 (23) 의 대응하는 바닥 접합면 (35) 에는 서로에 대해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인서트와 공구 홀더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 해, 예컨대 참조로서 통합되는 U.S. 특허 No. 6,146,060 에 기재된 것과 같이 예컨대 홈과 리지 (ridge) (도시되지 않음) 의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인서트 (25) 는 공구 홀더 (23) 에 대해 인덱서블하게 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도시된 인서트의 형상은 본 발명의 특징을 도시하기 위해 통상적인 인서트의 형상에 대하여 과장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A ~ 도 2C 의 인서트 (125) 와 관련하여 보이는 것과 같이,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인 가상의 여유면 (137) 을 포함한다. 하지만, 도 3A ~ 3C 의 인서트 (225) 와 관련하여 보이는 것과 같이,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의 여유면 (237) 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는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인 여유면과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여유면 (도시되지 않음) 의 어떠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 은 오목부가 제공된 또는 돌출부가 제공된 여유면, 또는 소위 "헬리컬" 표면의 경우와 같이 곡률을 갖는 여유면을 제외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 은 단면이 타원형인 형상과 같이 단면이 원형인 형상 이외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을 뜻하고, 오목부가 제공된 또는 돌출부가 제공된 여유면, 또는 곡률을 갖는 여유면을 제외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또한,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며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은 편평하고 평면 또는 절두원추형인 부분만을 갖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 의 정의에 포함된다.
인서트 (125) 와 인서트 (225) 에 있어서, 가상 여유면 (137 및 237) 은 각 각 인서트의 각각의 정상면 (139 및 239) 의 가상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과 0 이 아닌 각 (α) 을 형성한다. 정상면 (139 및 239) 의 평면 (P) 은 어떠한 원하는 위치에도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평면 (P) 은 중심 구멍을 갖는 인서트의 중심 구멍을 통과하는 축선과 같은 인서트의 어떠한 축선과 수직일 것이고, 정상면의 최상점은 이 평면에 놓일 것이다. 하지만, 평면은 정상면 상의 최상점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게다가, 평면 (P) 이 정상면의 평면인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여기서 설명되지만, 뒤집어짐으로써 인덱서블한 어떤 종류의 인서트와 같이, 평면 (P) 은 동일하게 바닥면의 평면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가상 절삭날 (141 및 241) 은 각각 가상 여유면 (137 및 237) 보다 위에 위치된다. 제 1 가상 절삭날 (141 및 241) 은 보통 가상 여유면 (137 및 237) 의 정상 에지 (143 및 243) 를 규정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 1 가상 절삭날 (141 및 241)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 (139 및 239) 의 평면 (P) 에 위치된다.
조정된 여유면 (145 및 245) 은 가상 여유면과 상이하고 또한 정상면 (139 및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과 0 이 아닌 각 (α) 을 형성한다. 조정된 절삭날 (147 및 247) 은 조정된 여유면 (145 및 245) 보다 위에 위치되고, 조정된 여유면의 정상 에지 (149 및 249) 를 규정할 수 있는데,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조정된 절삭날 (147 및 247) 상의 적어도 일부의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이 정상면 (139 및 239) 의 평면 (P) 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된 다. 조정된 여유면 (145 및 245) 의 형상은 조정된 절삭날 (147 및 247) 상의 점이 정상면 (139 및 239) 의 평면 (P) 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 (T) 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의 프로파일이 각각 제 1 가상 절삭날 (141 및 241) 의 프로파일에 대응하도록 조정된다. 조정된 절삭날 (147 및 247) 의 프로파일이 가상 절삭날 (141 및 241) 과 각각 정렬될 수 있고, 즉 매치될 수 있지만, 프로파일은 대신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지만, 상이한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또는 상이한 치수를 가짐으로써 상이할 수 있다. 조정된 여유면 (145 및 245) 은 이를 얻기 위해 재료가 첨가되거나 가상의 여유면 (137 및 237) 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으로 조절된다.
도 3A ~ 3C 에 보이는 절삭 인서트 (225) 에 있어서, 조정된 여유면 (245)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서트의 둘레 주위에 뻗어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의 전체 둘레의 주위에 뻗어 있다. 절삭 인서트 (225) 에 있어서, 정상면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247)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정의한다. 도 3A ~ 3 C 의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상면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247) 의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으로 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이 원이 될 필요는 없다.
인서트는 조정된 여유면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인서트의 둘레의 주위에 뻗어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형상의 조합일 수 있다. 예컨대, 도 2A ~ 2C 에 보이는 인서트 (125) 에 있어서, 조정된 여유면 (145) 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인서 트의 둘레의 주위에 뻗어 있다. 인서트 (125) 에 있어서, 정상면 (1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147)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되어있다. 도 1 에 나타낸 인서트 (25) 에 있어서, 조정된 여유면 (45) 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인서트의 둘레의 주위에 뻗어 있고 정상면 (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되어있다. 게다가, 도 1 의 인서트 (25) 에 있어서, 다수의 이러한 조정된 여유면 (45) 과 조정된 절삭날 (47) 이 있어서 인서트는 삼각형, 사각형, 정사각형 (도 1 과 같이), 8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다. 조정된 여유면 (45) 사이의 여유면 (51) 은 조정된 여유면의 방식으로 조정되거나 또는 조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인서트 상의 상이한 조정된 여유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일 수 있다.
도 1 ~ 도 3C 에서 볼 수 있듯이,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의 바닥 에지 (53, 153, 253) 가 인서트 (25, 125, 225) 의 바닥면 (33, 133, 233) 까지 뻗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도 2B ~ 2C 및 도 3B ~ 3C 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조정된 여유면 (145, 245) 의 바닥 에지 (153', 253') 는 인서트 (125, 225) 의 바닥면 (133, 233) 보다 축선 방향으로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원한다면, 바닥 에지 (153', 253') 와 바닥면 (133, 233) 사이의 영역 (155, 255) 은 바닥 인서트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공구 홀더에 대해 인서트를 지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2A 및 3A 에서 보이듯이,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257) 은 가상 여유면 (37, 137, 237) 보다 위에 위치되고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상의 모든 점은 제 2 가상 절삭날 상에 대응하는 점을 갖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제 2 가상 절삭날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의 프로파일과 상이하게 되도록 제 2 가상 절삭날 상의 점들과 같이 정상면의 평면 (P) 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된다.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257) 은 통상적으로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보다 더 짧기 때문에, 제 2 가상 절삭날과 조정된 절삭날 상의 모든 점이 1 대 1 로 대응할 필요는 없다.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정상면의 평면 (P) 에 평행하게 취해진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의 평면 단면의 프로파일이 비록 크기와 같은, 어떤 점에서 상이할 수 있지만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형상이 유사하고 서로에 대해 180° 로 배향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257) 의 프로파일에 역으로 대응한다.
절삭날의 곡률이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여유면을 갖는 인서트의 프로파일의 형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가 도 3A ~ 3C 에 나타낸 원형 인서트 (225) 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원형 절삭 인서트 (225) 에 있어서, 가상 절삭날 (241) 의 직경 (D) 은 조정된 절삭날 (247) 의 직경과 동일하다. 제 2 가상 절삭날 (257) 의 직경은 제 2 가상 절삭날이 제 1 가상 절삭날 (241) 과 동일한 높이인 직경 (D) 과 제 2 가상 절삭날이 제 1 가상 절삭날보다 더 낮은 다른 직경 (D1) 사이에서 변한다. 조정된 여유면 (245) 을 형성하도록 가상 여유면 (237) 을 조정함으로써, 정상면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을 따라 본 조정된 절삭날 (247) 의 프로파일의 직경은 도 3A 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가상 절삭날 (241) 의 프로파일에 대응하거나 또는 일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하지만, 조정된 여유면 (245) 이 정상면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에 대해 일정한 여유각을 형성하도록 조정된다면, 정상면 (239) 의 평면 (P) 에 대한 수선 (T) 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여유면의 형상은 제 2 가상 절삭날 (257) 의 형상에 역으로 대응할 것이다.
도 1, 도 2B ~ 2C 및 도 3B ~ 3C 에서 보이듯이,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131, 231) 은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즉 조정된 여유면의 경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조정된 여유면은 단일 위치 또는 복수의 상이한 인덱스 된 위치에서 인서트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131, 231) 은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는 조정된 여유면의 경계의 내측에 있을 수 있다. 도 1, 도 2B ~ 2C 및 도 3B ~ 3C 에서 보이듯이,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131, 231) 은 또한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즉 여유면은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하고, 즉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체는 조정된 여유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조정된 여유면 (445) 의 바닥 에지 (453) 아래에 있는 6 개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431) 을 나타내는 도 4 에서 보이듯이,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은 조정된 여유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이 조정된 여유면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있는 경우에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조정된 여유면 (545) 의 바닥 에지 (553) 아래에 있는 6 개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531) 을 나타내는 도 5 에서 보이듯이,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은 조정된 여유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돌출될 수 있다. 이는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이 조정된 여유면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있는 경우에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도 4 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431) 은 바닥 에지 (453') 를 갖는 조정된 여유면 (445) 에 대해 부분적으로 오목하게 될 수 있고 또한 조정된 여유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함하는" 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개방적인 것으로 다른 구성, 재료 또는 작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할 수 있는" 또는 "일 수 있는" 과 같은 용어의 사용은 개방적인 것이고 구성, 재료 또는 작용은 필수적인 것은 아님을 뜻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서 구성, 재료, 또는 작용이 필수적인 것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구성, 재료, 또는 동작이 현재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된다는 점에서, 이들은 그 자체로서 확인된다.
본 출원이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스웨덴 특허 출원 No. 0600338-8 의 명세서가 여기서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항에 설명된 것과 같이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동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절삭 인서트 (25, 125, 225) 로서, 상기 인서트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 여유면 (37, 137, 237) 으로서, 상기 인서트의 정상면 (39, 139, 239) 의 가상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가상 여유면,
    상기 가상 여유면 (37, 137, 237) 보다 위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로서,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
    상기 가상 여유면 (37, 137, 237) 과 상이하고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및
    상기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보다 위에 있는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로서,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상의 적어도 일부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은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고,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의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조정된 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여유면 (245) 은 인서트 (225) 의 전체 둘레의 주위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247)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인서트 (25, 125, 225) 의 둘레의 주위에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147)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147) 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은 인서트의 바닥면 (33, 133, 233) 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은 인서트의 바닥면 (33, 133, 233) 의 축선 방향으로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절삭 인서트는 상기 가상 여유면 (37, 137, 237) 보다 위에 있는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257) 을 포함하며,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상의 모든 점은 제 2 가상 절삭날 상에 대응하는 점을 갖고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157) 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 (37, 137, 237) 의 프로파일과 상이하게 되도록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되며,
    정상면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평행하게 취해진 단면인,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의 평면 단면의 프로파일이 제 2 가상 절삭날 (57, 157, 257) 의 프로파일에 역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245) 의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실질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245) 의 프로파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5, 145)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직선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5, 145) 의 프로파일은 다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5, 145) 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5, 145) 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 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5, 145, 245) 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의 프로파일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25, 125, 225) 는 적어도 하나의 밀링, 선삭, 보링, 분단, 홈 가공, 나사 가공 및 드릴링 인서트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18. 인서트 (25, 125, 225) 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 (27) 와 인서트 상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431, 531) 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면 (29) 을 포함하는 공구 홀더 (23) 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로서,
    상기 절삭 공구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평면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절두원추형인 가상 여유면 (37, 137, 237) 으로서 상기 인서트의 정상면 (39, 139, 239) 의 가상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가상 여유면, 상기 가상 여유면 (37, 137, 237) 보다 위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로서,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상의 모든 점은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상 절삭날, 상기 가상 여유면 (37, 137, 237) 과 상이하고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과 0 이 아닌 각을 형성하는 조정된 여유면 (45, 145, 245), 및 상기 조정된 여유면 (37, 137, 237) 보다 위에 있는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로서,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상의 적어도 일부 하지만 모든 점보다는 더 적은 점은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고, 정상면 (39, 139, 239) 의 평면에 대한 수선의 방향에서 본 조정된 절삭날 (47, 147, 247) 의 프로파일이 제 1 가상 절삭날 (41, 141, 241) 의 프로파일과 대응하는 조정된 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은 조정된 여유면 (45) 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0. 제 18 항에 있어서, 다수의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이 조정된 여유면 (45)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의 적어도 일부는 조정된 여유면 (45) 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모든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31) 은 조정된 여유면 (45) 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431) 은 조정된 여유면 (445) 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4. 제 19 항에 있어서,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431', 531) 은 조정된 여유면 (445, 545) 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인서트 지지 표면 (431') 은 조정된 여유면 (445) 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KR1020087017657A 2006-02-15 2007-01-09 절삭 공구 KR101444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600338-8 2006-02-15
SE0600338A SE0600338L (sv) 2006-02-15 2006-02-15 Verktyg
PCT/SE2007/050004 WO2007094722A1 (en) 2006-02-15 2007-01-09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421A true KR20080100421A (ko) 2008-11-18
KR101444470B1 KR101444470B1 (ko) 2014-09-24

Family

ID=3836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57A KR101444470B1 (ko) 2006-02-15 2007-01-09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64425B1 (ko)
EP (1) EP1986805A4 (ko)
KR (1) KR101444470B1 (ko)
CN (1) CN101384389B (ko)
CZ (1) CZ2008480A3 (ko)
SE (1) SE0600338L (ko)
WO (1) WO2007094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3740B4 (de) * 2006-05-18 2017-05-11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Schneideinsatz und Werkzeug, bestehend aus Werkzeughalter und Schneideinsatz
IL192785A0 (en) * 2007-10-22 2009-02-11 Gershon Harif Cutting tool with protrus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2455172B1 (en) 2010-11-19 2013-01-16 SECO TOOLS AB (publ) Cutting insert with evolutive wedge or clearance angle and toolholder using such a cutting insert
EP2855060A2 (en) 2012-05-24 2015-04-08 Gershon System Ltd. Method for designing a cutting edge of a cutting tool, cutting tools comprising the same, and cutting elements with multiple such cutting portions
WO2015040615A1 (en) 2013-09-17 2015-03-26 Gershon System Ltd. Cutting element and a method of cutting using the same
US10183333B2 (en) * 2016-02-03 2019-01-22 Iscar, Ltd. Circular cutting insert having non-circular peripheral edge
US10646927B2 (en) 2018-02-19 2020-05-12 Iscar, Ltd. Round double-sided cutting insert having a peripheral surface provided with protruding indexing latches, insert holder therefor and cutting tool
JP6744599B1 (ja) * 2019-03-01 2020-08-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7351B (de) * 1986-04-14 1989-01-10 Plansee Metallwerk Schneideinsatz zur spanabhebenden bearbeitung
SE454060B (sv) * 1986-08-15 1988-03-28 Sandvik Ab Spanavskiljande verktyg
JPH0715207U (ja) * 1993-08-04 1995-03-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IL109054A (en) * 1994-03-21 1998-07-15 Iscar Ltd Cutting insert
US5647263A (en) * 1994-03-29 1997-07-15 Timberjack, Inc. Saw tooth attack face and edge structure
IL123685A (en) * 1998-03-16 2001-09-13 Iscar Ltd Modular cutting tool dispenser
US6238133B1 (en) 1998-10-20 2001-05-29 Kennametal Pc Inc. Anti-rotation mounting mechanism for round cutting insert
US6769844B2 (en) * 2001-01-10 2004-08-03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04893B2 (en) * 2001-07-27 2003-08-12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with wiper
DE10138896A1 (de) * 2001-08-08 2003-02-20 Sandvik Ab Schneideinsatz zum Fräsen und Fräswerkzeug
JP3775321B2 (ja) * 2002-03-20 2006-05-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8480A3 (cs) 2009-12-16
EP1986805A4 (en) 2017-06-21
SE0600338L (sv) 2007-08-16
US20070189863A1 (en) 2007-08-16
CN101384389B (zh) 2011-09-07
EP1986805A1 (en) 2008-11-05
WO2007094722A1 (en) 2007-08-23
KR101444470B1 (ko) 2014-09-24
CN101384389A (zh) 2009-03-11
US7264425B1 (en) 200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116B1 (ko) 절삭 인서트, 절삭 공구, 심 및 방법
JP5076438B2 (ja) インサート式切削工具及びインサート式切削工具におけるインサートの固定方法
KR100901470B1 (ko) 코너 리세스부를 지니는 절삭 인서트
KR100650099B1 (ko) 접선 절삭 삽입체 및 삽입체 홀더
KR20080100421A (ko) 공구
US7021871B2 (en) Indexable milling insert
KR100707945B1 (ko) 다양한 형상의 인서트를 사용하는 밀링 커터
KR100914829B1 (ko) 금속 절삭 공구
JP6365363B2 (ja) 切削インサート、切削インサート群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WO2011046045A1 (ja) 切削インサート
JPWO2008062825A1 (ja) 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及びインサート
KR20180063116A (ko) 선삭 인서트
JP6966329B2 (ja) 菱形のインサート及び支持座を備えたアセンブリ、並びに菱形の可逆切削インサート
JP5079690B2 (ja) カッティングインサート
JP487697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JP6528781B2 (ja)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WO2015137508A1 (ja)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JP2016187836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KR20090128410A (ko) 절삭 인서트, 절삭 공구, 및 기계가공 방법
JP2015229235A (ja) 刃先交換式切削工具ホルダ
KR20240017816A (ko) 절삭 인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조립체
WO2017068011A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