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601A -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601A
KR20080099601A KR1020070045355A KR20070045355A KR20080099601A KR 20080099601 A KR20080099601 A KR 20080099601A KR 1020070045355 A KR1020070045355 A KR 1020070045355A KR 20070045355 A KR20070045355 A KR 20070045355A KR 20080099601 A KR20080099601 A KR 20080099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ls
direct link
frame
qsta
radio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교
허지영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601A/ko
Publication of KR2008009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두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 방법에서는 우선, 다이렉트 링크 셋업(Direct Link Setup, DLS) 비활성 타이머(Inactive Timer)를 갖는 다이렉트 링크를 제1 무선국(Station)과 제2 무선국 사이에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무선국이 일시중지 상태로 진입하거나 또는 프레임 전송 경로를 전환하려는 의도를 알려주는 알림 프레임을 제2 무선국으로 전송하는데, 상기한 알림 프레임은 제1 타임아웃값의 시간 동안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제1 무선국과 제2 무선국 사이에 프레임의 전송이 없더라도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이렉트 링크의 해제 방지 기능은, 상기한 알림 메시지에 의하여 제1 타임아웃값이 보다 큰 값인 제2 타임아웃값으로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IEEE 802.11, WLAN, 다이렉트 링크, 무선국, 엑세스 포인트

Description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Method for managing a direct link between stations}
도 1은 DLS 타임아웃값 필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알림 프레임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알림 프레임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국(Station, STA)과 다른 STA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은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라고 불리는 영역 안에서 이루어진다. BSS 영역은 무선 매체의 전파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계가 다소 불명확하다. 이러한 BSS는 기본적으로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와 인프라스트락쳐 BSS(Infrastructured BSS)의 두 가지 구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자는 자기 자신이 포함된(self??contained)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BSS를 말하고, 후자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와 분산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무선국간의 통신을 포함한 모든 통신 과정에서 엑세스 포인트가 이용되는 BSS를 말한다.
종래의 WLAN 표준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인프라스트락쳐 BSS에서는 무선국 사이에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반드시 AP를 경유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IEEE 802.11e 표준에서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갖춘 무선국(QSTA) 사이의 직접 통신을 위한 다이렉트 링크 설정(Direct Link Setup, DLS) 절차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QSTA는 QoS를 갖춘 AP(QAP)를 통하여 DLS 요청(Request) 프레임 및 이에 대한 DLS 응답(Response) 프레임을 주고 받음으로써, 다른 QSTA와의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다. 그리고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면, 송신지 QSTA 또는 수신지 QSTA는 QAP를 경유하지 않고도 DLS 경로를 이용하여 상대방 QSTA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가 있다.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먼저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무선국인 제1 QSTA이 상대방 무선국인 제2 QSTA와 다이렉트 링크 셋업(Direct Link Setup, DLS)을 요청하는 메시지, 즉 DLS 리퀘스트(Request) 프레임을 QAP로 전송한 다. 상기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수신한 QAP는 채널 환경 등에 기초하여 이를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다. 만일, QAP가 DLS 리퀘스트를 수락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2 QSTA와 통신하여 DLS 응답(Response)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DLS 응답 프레임을 제1 QSTA로 전송하면 제1 QSTA와 제2 QSTA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가 확립된다. 그리고 확립된 다이렉트 링크는 QAP가 DLS 해제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1 또는 제2 QSTA로 전송하거나 채널 환경에 기초하여 해제(Termination)되거나 또는 DLS 타임아웃(Timeout)에 의하여 다이렉트 링크가 비활성(Inactive) 상태로 될 수도 있다.
DLS 타임아웃은 설정된 소정 시간 즉, DLS 타임아웃값(Timeout Value) 동안 QSTA 피어(peer)들 사이에서 다이렉트 링크를 통한 프레임의 교환이 없는 경우에, 확립된 다이렉트 링크를 해제시키는 것을 말한다. DLS 타임아웃값은 상기 DLS 리퀘스트 프레임의 DLS 타임아웃값 필드(Field)에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DLS 타임아웃값 필드에는 초 단위의 시간이 포함되는데, 상기 시간 동안에 QSTA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프레임의 교환이 없으면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DLS 타임아웃값 필드에 0이 포함되면, 다이렉트 링크가 타임아웃에 기초해서는 결코 해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이러한 DLS 타임아웃값 필드를 두는 이유는 한정된 채널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즉, 다이렉트 링크를 셋업한 QSTA 사이에 일정한 시간 동안 프레임 교환이 없는 경우에는, 더 이상 교환될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다이렉트 링크를 해제함으로써, 무선 자원을 다른 QSTA도 이 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 802.11e 표준의 규정에 의하면, DLS 타임아웃값 필드를 두는 이러한 취지와는 달리, QSTA가 설정된 시간 동안에 불가피하게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DLS 비활성 타이머(Inactive Timer)의 만료로 인하여 다이렉트 링크가 비활성 상태로 되어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를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임아웃에 의하여 QSTA 피어 실패(Peer Failure)로 오인되는 경우인데, 예컨대 QSTA의 상황이 변하여 타임아웃 시간을 더 길게 설정해야 하거나 또는 다른 절차와의 관계에 의하여 특정된 타임아웃 시간 동안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프레임을 교환할 수 없는 불가피한 사정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하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는 계속 유지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DLS 비활성 타이머(Inactive Timer)의 만료로 인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전송하지 않고서도 QSTA 사이에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의 DLS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QSTA 사이에 설정된 다이렉 트 링크의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효율적으로 중지시킴으로써,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의하여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 내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한 프레임의 교환이 없더라도 상기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 방법은 다이렉트 링크 셋업(Direct Link Setup, DLS) 비활성 타이머(Inactive Timer)를 갖는 다이렉트 링크를 제1 무선국(Station)과 제2 무선국 사이에 설정하고, 상기 제1 무선국이 일시중지 상태로 진입하거나 또는 프레임 전송 경로를 전환하려는 의도를 알려주는 알림 프레임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상기 알림 프레임은 상기 제1 타임아웃값의 시간 동안에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국과 상기 제2 무선국 사이에 프레임의 전송이 없더라도 상기 다이렉트 링크의 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알림 프레임은 상기 DLS 비활성 타이머의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타임아웃값 필드(Timeout Valu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알림 프레임을 수신한 제2 무선국은 상기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알림 프레임은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 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알림 프레임은 일방향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현재의 802.11e 표준은 QSTA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하여 DLS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상기 DLS 기능은 서비스 기능(QoS)을 지원하는 AP, 즉 QAP와 연결된 QSTA 간에만 지원된다. 하지만, QSTA 간의 직접 통신은 비록 QAP가 아닌 레거시(Legacy) AP인 경우에도 필요하기 때문에, 같은 AP에 연결된 QSTA 사이에는 상기 AP가 QoS 기능을 지원하는지에 상관없이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새로운 DLS에 의하면, 레거시 AP에 연결된 QSTA도 상호 간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은 동일한 QAP에 연결된 QSTA 사이뿐만 아니라 동일한 레거시 AP에 연결된 QSTA 사이에 설정된 새로운 다이렉트 링크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여기서, QSTA 또는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DLS를 지원하는 장치이다. QSTA 또는 STA은 각각 무선국 외에 무선 송수신 유닛(Wi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그리고 QAP 또는 레거시 AP는 무선국 기능을 가지며 또한 결합된 무선국(Associated Station)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분산 서비스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상기 QAP 또는 AP는 무선국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지원하는데, 엑세스 포인트(30)라는 명치 외에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그런데, 다른 QSTA와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 QSTA는 내외적인 요인에 의하여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계속 설정한 상태에서 링크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링크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킨다는 것은 QSTA가 전원 절약을 위하여 파워 세이브 모드(Power Save Mode)로 들어가거나 또는 QSTA가 이용될 수 없는 모드(mode where the QSTA is unavailable)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QSTA가 파워 세이브 모드 등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기설정된 타임아웃값 내에 직접 경로를 통한 프레임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QSTA는 비록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였다고 하더라도 DLS 경로가 아닌 AP 경로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교환할 수도 있다. 즉, QSTA는 측정하거나 및/또는 획득한 링크 품질(Link Quality)에 기초하여, DLS 경로와 AP 경로 중에서 링크 품질이 더 좋은 링크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링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AP 경로가 링크 상태가 더 좋은 것으로 판단되어, 다이렉트 링크가 아닌 AP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타임아웃값 내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한 프레임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을 수 도 있다.
종래의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이러한 두 가지 경우는 모두 기설정된 타임아웃값 내에 다이렉트 링크를 통한 프레임의 교환이 없어서, QSTA 피어 탈락(Peer Failure)으로 오인될 수 있는 경우이다. 피어 STA의 탈락으로 오인되어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두 가지 경우가 발생되기 이전에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여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추가로 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 QSTA들 중 어느 하나의 QSTA가 파워 세이브 모드 등으로 들어가서 링크를 일시 중지시거나 또는 QSTA가 최선 경로 스위칭을 통하여 AP 링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하게 되면, 해당 QSTA는 다른 QSTA에게 이러한 상황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QSTA는 알림 프레임(Notification Frame) 등을 이용하여 파워 세이브 모드 등의 진입 여부나 프레임 전송 경로가 예컨대, DLS 경로에서 AP 경로로 스위치되었다는 사실을 다른 QSTA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QSTA에게 특수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상대방 QSTA에게 알리기 위하여 반드시 전송되어야 하는 알림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추가로 전송하지 않고서도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가 QSTA의 의사에 반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DLS 타임아웃값 필드가 추가된 알림 프레임(Notification Frame) 등을 이용하여 DLS 비활성 타이머의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다. DLS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프레임이 없어서 피어 STA의 탈락으로 오인될 수 있는 경우는, 예컨대 QSTA가 전원 절약 모드 등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서 다른 링크로 경로 스위치를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의 동작을 위하여 반드시 전송되어야 하는 프레임, 예컨대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Link Suspension Notification Frame)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Best Path Switch Notification Frame) 등에 DLS 타임아웃값 필드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기설정된 DLS 비활성 타이머보다 큰 값으로 타이머를 설정하여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로 인한 다이렉트 링크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DLS 비활성 타이머는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머이거나 또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새롭게 설정된 타이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DLS 타임아웃값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로써,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의 포맷의 일례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이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이거나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인 경우 각각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은 QSTA가 파워 세이브 모드로 들어가거나 또는 QSTA를 이용할 수 없는 다른 모드로 들어가고자 할 경우에, 그러한 의도를 상대방 QSTA에게 알려주기 위한 프레임의 일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과 기능적 동일성이나 유사성이 있는 다른 종류의 프레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은 예컨대 일방향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Unidirectional Link Suspension Notification Frame)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일방향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은 DLS 관리와 관련된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필드(예컨대, Action, BSSUID(Basic Service Set Unique Identifier), Destination MAC Address, 및/또는 Source MAC Address)와 링크 일시중지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Notification Type 필드에 추가하여, DLS Timeout Value 필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Notification Type 필드에는 상대방 QSTA 및 AP 등에게 알리고자 하는 링크 일시중지와 관련된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Notification Type 필드에는 링크 일시중지 모드로 들어가기를 원한다는 정보, 링크 일시중지 모드로부터 나오기를 원한다는 정보, 승인 수락을 뜻하는 정보(이 경우에는 Dialog Token도 포함됨), 승인 거절을 뜻하는 정보(이 경우에는 Dialog Token도 포함됨), 및 링크 일시중지 모드로부터 나왔다는 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LS Timeout Value 필드에는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DLS 타임아웃값을, 예컨대 초 단위로 표시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LS Timeout Value 필드는 2옥테트(Octet) 길이일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DLS Timeout Value 필드가 포함된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을 수신하면, QSTA는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에 대한 DLS 타임아웃값을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값으로 업데이트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이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은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로를 DLS 경로에서 AP 경로로 전환하거나 또는 AP 경로에서 DLS 경로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기존의 경로가 아닌 새로운 경로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그러한 의도를 상대방 QSTA에게 알려주기 위한 프레임의 일례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과 기능적 유사성이나 동일성이 있는 다른 종류의 프레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은 현재 활성 상태인 경로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도 DLS 관리와 관련된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필드(예컨대, Action, BSSUID(Basic Service Set Unique Identifier), Destination MAC Address, 및/또는 Source MAC Address)와 선택된 최선 경로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Notification Type 필드에 추가하여, DLS Timeout Value 필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Notification Type 필드에는 상대방 QSTA에게 알리고자 하는 선택된 최선 경로 스위치와 관련된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DLS Timeout Value 필드에는 업데이트하고자 하는 DLS 타임아웃값을, 예컨대 초 단위로 표시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LS Timeout Value 필드는 2옥테트(Octet) 길이일 수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DLS Timeout Value 필드가 포함된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을 수신하면, QSTA는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에 대한 DLS 타임아웃값을 수신된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값으로 업데이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DLS 비활성 타이머의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시킴으로써, QSTA가 원하는 시간만큼 상기 타이머의 작동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포함되는 기존의 DLS 타임아웃값 필드와 관련된 규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Inactive Timer Stop) 필드가 포함된 알림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DLS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법이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LS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프레임이 없어서 피어 STA의 탈락으로 오인될 수 있는 경우는, 예컨대 QSTA가 PS 모드 등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통신 경로를 전환 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이나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 등에 DLS 타이머 중지 필드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기설정된 DLS 비활성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DLS 비활성 타이머는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머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DLS 타이머 중지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보여주는 블록도로써, 일방향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의 포맷의 일례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된 포맷의 DLS 타임아웃값 필드가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필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간략히 설명한다.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는 타이머의 중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이거나 또는 타이머의 동작을 변경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전자의 경우에는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동작 중인 DLS 비활성 타이머를 중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DLS 비활성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동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의 온/오프가 바뀌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는 제1 실시예의 DLS 타임아웃값에 비하여 데이터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예컨대 1 옥테트의 크기로도 충분할 수가 있지만,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를 이용하여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DLS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로 인하여 기설정된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정보를 이용하여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중지된 DLS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가 포함된 알림 프레임이 아니라 원래의 알림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하여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방법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LS 경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프레임이 없어서 피어 STA의 탈락으로 오인될 수 있는 경우는, 예컨대 QSTA가 PS 모드 등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통신 경로를 전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이나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Best Path Switch Notification Frame)를 수신할 경우에, 비록 수신된 프레임에는 제2 실시예의 DLS 비활성 타이머의 중지 필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QSTA는 상기 알림 프레임 자체를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DLS 비활성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여기서 기설정된 DLS 비활성 타이 머는 DLS 리퀘스트 프레임에 의하여 설정된 타이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일방향 링크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QSTA는 자신의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QSTA가 일시중지 상태로부터 깨어난 경우에는,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다시 재개할 수 있다. 그리고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QSTA는 자신의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원래의 알림 프레임에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DLS 타이머의 완료로 인하여 기설정된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DLS 타이머의 작동을 조절할 수가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프레임을 이용하여 중지된 DLS 타이머를 다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의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렉트 링크의 관리 방법에 의하면, QSTA가 전원 절약 모드나 STA를 이용할 수 없는 모드로 들어가거나 또는 프레임의 전송 경로를 AP 경로로 전환함으로써 기설정된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프레임이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DLS 비활성 타이머의 만료로 인하여 다이렉트 링크가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예에 의하면, DLS 리퀘스트 프레임을 다시 전송하지 않고서도, QSTA 사이에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의 DLS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DSL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다이렉트 링크가 부적절하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다이렉트 링크 셋업(Direct Link Setup, DLS) 비활성 타이머(Inactive Timer)를 갖는 다이렉트 링크를 제1 무선국(Station)과 제2 무선국 사이에 설정하고,
    상기 제1 무선국이 일시중지 상태로 진입하거나 또는 프레임 전송 경로를 전환하려는 의도를 알려주는 알림 프레임을 상기 제2 무선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알림 프레임은 상기 제1 타임아웃값의 시간 동안에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제1 무선국과 상기 제2 무선국 사이에 프레임의 전송이 없더라도 상기 다이렉트 링크의 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레임은 상기 DLS 비활성 타이머의 타임아웃값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타임아웃값 필드(Timeout Valu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레임을 수신한 제2 무선국은 상기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레임은 DLS 비활성 타이머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DLS 비활성 타이머 중지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프레임은 일방향 일시중지 알림 프레임 또는 최선 경로 스위치 알림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070045355A 2007-05-10 2007-05-10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20080099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355A KR20080099601A (ko) 2007-05-10 2007-05-10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355A KR20080099601A (ko) 2007-05-10 2007-05-10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01A true KR20080099601A (ko) 2008-11-13

Family

ID=40286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355A KR20080099601A (ko) 2007-05-10 2007-05-10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6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550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inactiv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190364503A1 (en) Power-save mode for wireless device
KR100854047B1 (ko) 이동성 관리를 사용하는 향상된 이중 전송 모드 방법 및시스템
JP5527814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200187120A1 (en) Controlling connectivity for dozing of wireless device
KR20110050186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공통 상향 베어러 구성 방법 및 장치
US20210022203A1 (en) Method for deactivating user plane connection and network entity for controlling user plane connection deactivation in network
KR2007006041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지연의 최소화를 위한 호설정 방법 및 장치
JP60287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240080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WO2015063887A1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CN108029152B (zh) 用于混合承载服务的方法、设备和系统
US11683851B2 (en) Multi-USIM suspension and optimized resumption
US20220394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for early data transmission
KR20090048159A (ko)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20080099601A (ko) 무선국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를 관리하는 방법
KR102023421B1 (ko) 이동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한 ptt 서비스 방법
KR20200036705A (ko) 저전력 모드를 사용하는 IoT 단말의 연결성 관리 방법
WO2023013751A1 (ja) 通信装置、基地局及び通信方法
WO2023276829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2220219A1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3067690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WO2022234795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2249975A1 (ja) ユーザ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0542948B1 (ko)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통신 접속 제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