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578A -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578A
KR20080099578A KR1020070045298A KR20070045298A KR20080099578A KR 20080099578 A KR20080099578 A KR 20080099578A KR 1020070045298 A KR1020070045298 A KR 1020070045298A KR 20070045298 A KR20070045298 A KR 20070045298A KR 20080099578 A KR20080099578 A KR 20080099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input
func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102007004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578A/ko
Publication of KR2008009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MPC, PDA, 휴대용 컴퓨터 및 컴퓨터용 마우스 기능을 갖는 휴대용 키보드 및 자판 배열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USB로 디지털기기에 연결 되고, 혹은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핸드폰의 문자입력 형태를 이용하여 이의 문자 배열 및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문자 입력의 직관성을 높이며, 한손으로 컴퓨터의 마우스 기능 및 문자 입력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성 및 문자입력 키보드 및 자판 배열에 대한 방식으로, 이를 위해 본 기기는 먼저 전면 상측부에 인체 공학적인 각도로 마우스 볼을 장착하여 엄지손가락으로 볼의 회전을 할 수 있게 하였고, 그 아래로 평면적으로 "X"자 형태로 기능키를 배치하고, 기능키 "X"자 배열 가운데에 모음을 입력을 전담하는 키를 "十"자 형태로 배치하고, 직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독립된 키 형태로 자음 ㄱ∼ㅎ까지 5행 3열의 형태로 배치하여 한 손으로 파지하면서 완벽히 문자 입력이 가능한 진정한 모바일성 휴대용 키보드로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손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12007504203926-PAT00001
휴대용, 휴대폰, 자판, 키보드, 모음, 배열, 모음, 자음

Description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A combined use mouse-portable keyboard of handphone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직관성을 향상시킨 자판 배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음의 입력 구조를 나타내는 모음키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각종 휴대용 및 모바일 컴퓨터에 문자 입력을 손쉽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마우스의 동작 및 제어, 키보드를 통한 문자의 입력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각종 휴대용 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화면 접촉식(LCD TOUCH), 화면 쓰기식(타블렛 방식), 실리콘 재질의 말이 접이식 키보드, 레이저를 이용한 광주사 방식 키보드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키보드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궁극적으로 진정한 모바일성 휴대용 키보드의 대안이 될 수 없었다. 화면 접촉식은 일반적으로 UMPC나 PDA의 화면내의 테 스크 탑 키보드 형태와 똑같은 자판 배열의 문자를 축소하여 나타내는데 화면 접촉식의 사용상 불편함은 사용자의 시선과 접촉(터치)펜과의 시각적 편차에 의해 오접촉이 많으며, 정확한 포인트를 접촉해야 하며 문자 입력시 순차적 터치 방식으로 시간적 기능적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하였다. 화면쓰기식 방식은 화면내에 접촉펜을 이용하여 문자를 써서 입력을 하는 방법으로 몇글자를 쓰고 나면 UMPC나 PDA상에서 문자를 인식한 다음에 다음 문자를 써서 입력 하는 연속적인 입력에 있어서는 시간적 기능적으로 불편함이 많았다, 실리콘 재질의 말이 접이식 키보드와, 레이저 주사방식(가상키보드)의 키보드는 휴대성만을 강조하였고 사용상에 있어서는 키보드를 전개 할 수 있는 평탄한 장소를 확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역시 진정한 휴대용 키보드이기에는 불편함이 많았고. 두 방식 모두 비용 대 효과 면에서 고가인 관계로 불만족스러운 제품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조 및 배열을 직관적으로 형성하였고, UMPC, PDA, PMP, 휴대용 컴퓨터등 문자 입력 장치가 필요한 디지털기기에 핸드폰의 문자 입력 방식 사용으로 익숙해진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진정한 모바일용 휴대용 문자 입력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휴대용 키보드는 도1 내지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마우스의 사용방법은 한손으 로 키보드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마우스 볼의 회전으로 화면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선택아이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한 상태에서 기능키의 "Enter" 입력하여 명령을 실행하게 한다, 자판키에 있어서 먼저 배열 및 기능을 살펴보면 맨 상단에는 "X"자 형태로 좌측에 "FUNC"키가 있고 기능은 한글모드, 영문모드, 숫자입력 등으로 전환을 시키는 키이다. 그 우측면에 "ENTER"키가 있고 기능은 선택된 명령에 대하여 입력 또 는 실행의 기능을 담당한다. 그 아래쪽 좌측에는 "SPACE"키가 있고 기능은 공백띄우기 역할로서 1회 입력에 1회 공백띄우기를 실행한다. 다시 그 우측면에는 "←"(취소키)가 배치되어 있고 기능은 종전 실행명령에 대한 취소 역할을 담당하는 키이다. 모음키의 구조 및 사용방법은 "X"자 배열 기능키 가운데 내에 모음키의 단면구조가 도시된 도3과 같이 계단식 단으로 턱걸이 방식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十"형태로 배열된 모음키 중 가운데는 "ㅡ"(아래아)키가 배치되고 상하측면에는 "ㅡ"(으)키가 좌우측면에는 "l"(이)키가 배치되어 있고, 가운데 키와 상하좌우 키는 각각 맞닫는 부분에 모음의 형상이 양각되어 있으며, "ㅡ"(으)와 "l"(이) 상하 좌우키는 가운데 "ㅡ"(아래아)키 밑으로 계단식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가운데 "ㅡ"(아래아)키가 이를 역계단 형상으로 덮고 있어 맞물려진 상태에서 직관력을 높이는 동시에 원하는 모음을 입력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 키보드를 정면에서 마주본 상태에서, 한글의 쓰는 방법 및 한글 구조 그대로 " ㅣ "(이), "ㅡ"(으)라는 모음에 "ㅡ"(아래아)가 붙는 방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으로, 먼저 모음"ㅏ"는 좌측 "l"(이)키와 가운데 "ㅡ"(아래아)키의 양각 부분을 눌러서 동시에 입력되어 지고, 모음 "ㅓ"는 가운데 "ㅡ"(아래아)키와 우측면 "l"(이) 키의 양각 부분을 누르면 동시에 입력되어 진다. 모음 "ㅜ"는 상측면 "ㅡ"(으)키와 가운데 "ㅡ"(아래아)키의 양각 부분을 눌러서 동시에 입력되어 지고, 모음 "ㅗ"는 가운데 "ㅡ"(아래아)키와 하측면 "ㅡ"(으)키의 맞닫는 양각 부분을 눌러서 동시에 입력되어 진다, 또 한 "ㅡ"(아래아)가 필요 없는 모음 "l"(이)는 양각 부분이 아닌 우측면 "l"(이)키를 눌러 독립적으로 입력되어 지며, 모음 "ㅡ" (으)는 하측면 "ㅡ"(으)키를 눌러 독립적으로 입력 한다. 이 때 좌측(←) 키 및 상측(→) 키는 단독 입력 했을시 커서(Cursor) 위치 이동키로서 독립적 역할을 수행 한다. 아래에 표 1은 기능키에 대한 설명이며, 표2는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2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3
자음키 배열 및 영문, 숫자 키 배열에 있어서는 기능키와 구별되어 지게 이격을 두고 직관성을 고려하여 순차적인 형태로 배열을 하였고, 이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4
위와 같은 형태로 배치하였고, "FUNC"기능키를 순차적으로 눌러서 한글모드(평시모드), 영문모드, 숫자모드, 전환하여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중 영문모드(평시모드 대문자)에서는 모음키중 상측(→)키를 누르면 소문자로 전환되고, 다시 모음키 좌측(←)키를 누르면 대문자로 전환 된다. 기타 이외의 문자 입력 방법은 아래의 표3 이중모음/복합모음 입력방법, 표3-1은 자음 및 영문 숫자 입력 방법 , 3-2의 복합자음 입력 방법의 예와 같다.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5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6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7
다음 예시 표3는 본 발명의 효과인 문자 입력 및 편리성, 진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핸드폰의 문자 입력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비교대상이 일반 데스크탑 키보드가 아닌 메이커별 핸드폰 문자 입력방식과 비교 하였다. 또 한 연령 및 사용하는 기기의 숙련도에 따라서 문자의 입력되는 속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한 비교의 효과가 낮아서 문자 입력 횟수로 비교를 예시 하였다.
Figure 112007504203926-PAT0001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키보드는 휴대성이 용이하면서도, 한손으로도 문자 입력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모음의 입력 방법 및 구조의 개선, 모음 및 자음의 분리 배열 및 자음의 순차 배열 구조로서, 문자 입력의 직관성을 향상시켜 입력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한글 문자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어디서든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휴대용키보드이다.

Claims (3)

  1. 컴퓨터 및 모바일 컴퓨터, PDA, 디지털기기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형태의 휴대용 키보드로서 상단부에 인체공학적인 각도로 마우스 볼이 위치하여 엄지손가락으로 마우스 볼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가 되며, 자판이 휴대폰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모음과 자음이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한손으로 각종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형태의 휴대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모음 및 자음의 배열 구조 및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모음키의 구조가 상하에 "ㅡ"(으)키가 있고, 좌우에 "ㅣ"(이)키가 있어 각각의 키가 가운데 방향으로 계단식으로 돌출되어져 가운데 "ㅡ"(아래아)키 밑으로 삽입되고 "ㅡ"(아래아)키는 이를 역계단 구조의 형상으로 덮여 맞물려 있는 구조로 한번의 누름으로 두키가 동시에 눌려져 사용자가 원하는 모음이 입력되는 구조 및 방법
KR1020070045298A 2007-05-10 2007-05-10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KR20080099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98A KR20080099578A (ko) 2007-05-10 2007-05-10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298A KR20080099578A (ko) 2007-05-10 2007-05-10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578A true KR20080099578A (ko) 2008-11-13

Family

ID=4028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298A KR20080099578A (ko) 2007-05-10 2007-05-10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99B1 (ko) * 2010-09-07 2013-02-07 김기태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용 외장형 복합 신호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799B1 (ko) * 2010-09-07 2013-02-07 김기태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용 외장형 복합 신호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40253440A1 (en) Dorsal Touch Input
WO2014023118A1 (zh) 手机键盘与鼠标
JP2013527539A5 (ko)
WO2006080858A1 (en) Computer mouse peripheral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CN102411428A (zh) 单手移动和弦小键盘、标记、结构及其应用
US20110199307A1 (en) Keyboard and touchpad arrangement for electronic handheld devices
Goguey et al. Leveraging finger identification to integrate multi-touch command selection and parameter manipulation
US20020000922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llowing inputting operation with one hand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03327U (ko) 한 손 자판
KR200207298Y1 (ko) 문자 입력 키보드
KR20080099578A (ko) 핸드폰 형태의 마우스를 겸용한 휴대용 키보드
US20100207887A1 (en)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US20220397964A1 (en) Keyboard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KR201000869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247081B1 (ko) 한 손 키보드
JP3144189U (ja)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TWI297448B (ko)
KR100907611B1 (ko) 소형 디지털 장비를 위한 문자 입력 및 편집 장치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101263013B1 (ko) 문자 입력 방법
Lee et al. Complete as you go: A constructive Korean text entry method for smartwa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