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367A -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367A
KR20080099367A KR1020070044789A KR20070044789A KR20080099367A KR 20080099367 A KR20080099367 A KR 20080099367A KR 1020070044789 A KR1020070044789 A KR 1020070044789A KR 20070044789 A KR20070044789 A KR 20070044789A KR 20080099367 A KR20080099367 A KR 2008009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unit
markers
control comman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경
김영운
소인미
정성태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9367A/ko
Publication of KR2008009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와; 미리 준비된 마커영상 및 비마커영상을 기준으로 마커와 비마커의 분류방법을 학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마커와 비마커를 자동추출하여 학습하는 마커학습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학습부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기기 및 그 기기의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검출부와; 상기 마커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마커를 표시하는 시스루(see-through)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기준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는 경우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안전도 센서부와; 상기 안전도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마커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마커로부터 마커의 종류를 인식하는 마커인식부와; 상기 마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마커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와;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기기, 특히 병실에 있는 기기들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족사용 불능 환 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다양한 기기들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족불능, 마커검출, 안구전도

Description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EOG RECOGNITION US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A PATIENT WHO HAS A PROBLEM IN USING HANDS AND FEE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마커 검출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마커, 10; 카메라부,
30; 마커검출부, 33; 마커학습부,
35; 마커/비마커학습영상, 50; 시스루 디스플레이부,
70; 안전도 센서부, 90; 마커인식부,
93; 인공신경망 학습부, 95; 마커 종류별 학습영상,
100; 제어명령 전송부, 130; 제어부.
본 발명은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기기, 특히 병실에 있는 기기들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다양한 기기들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가 주변의 기계 및 전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환자가 주변의 기계 및 전자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가 주변의 기계 및 전자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의 뇌속에 회로를 삽입하여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 전극이 붙은 모자를 써서 두개골의 외측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 및 뉴런에 직접 전극을 잇지 않고 작은 나사를 두개골의 안쪽 2밀리까지 묻어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된 뇌파에 따라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가 주변의 기계 및 전자 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측정된 뇌파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기계 및 전자 장치의 범위가 제한적이거나 뇌파 측정시 수족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자의 신체에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72494호(눈동자 움직임을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기기 및 무선원격장치)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95079호(안구 운동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등과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72494호(눈동자 움직임을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기기 및 무선원격장치)는 빛이나 레이저 등의 광원을 일반 사용자 및 신체장애자의 안구에 발산하고 이에 반사된 신호를 받아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그 눈동자의 움직임을 전자기기의 원격 조정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0-0072494호(눈동자 움직임을 광원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기기 및 무선원격장치)는 빛이나 레이저 등의 광원을 일반 사용자 및 신체장애자의 안구에 발산할 때 발산되는 빛이나 레이저 등에 의해 일반 사용자 및 신체장애자의 안구가 손상될 우려가 다분한 폐단이 있음과 동시에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전자기기 또한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95079호(안구 운동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는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해당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여 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해당영상표시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는 없으나, 사용자가 눈동자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TV등의 영상표시기기만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TV 등의 영상표시기기이외의 다른 기기들을 눈동자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구동시킬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기기, 특히 병실에 있는 기기들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다양한 기기들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와; 미리 준비된 마커영상 및 비마커영상을 기준으로 마커와 비마커의 분류방법을 학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마커와 비마커를 자동추출하여 학습하는 마커학습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학습부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기기 및 그 기기의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검출부와; 상기 마커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마커를 표시하 는 시스루(see-through)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기준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는 경우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안전도 센서부와; 상기 안전도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마커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마커로부터 마커의 종류를 인식하는 마커인식부와; 상기 마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마커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와;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커검출부는 설정된 기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이진 영상으로부터 연결된 픽셀을 탐색하여 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윤곽선 중 직선인 부분을 검출하여 선분으로 근사화한 후, 상기 검출된 윤곽선을 이루는 선분의 수, 윤곽선 내부면적을 포함한 기하학적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윤곽선이 사각형인지 여부를 판별한 다음 표준마커 크기로 변환한 후 마커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 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마커(5) 검출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10)와; 미리 준비된 마커영상 및 비마커영상을 기준으로 마커와 비마커의 분류방법을 학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마커와 비마커를 자동추출하여 학습하는 마커학습부(33)와; 상기 카메라부(10)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학습부(33)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기기 및 그 기기의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검출부(30)와; 상기 마커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마커를 표시하는 시스루(see-through) 디스플레이부(50)와; 사용자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기준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는 경우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안전도 센서부(70)와; 상기 안전도 센서부(70)에 의해 검출된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마커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마커로부터 마커의 종류를 인식하는 마커인식부(90)와; 상기 마커인식부(90)에 의해 인식된 마커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100)와;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부(10)는 수족불능환자의 안구 주위에 위치하여 외부영상을 입력받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커학습부(33)는 미리 준비된 마커/비마커학습영상(35)을 기준으로 각각 마커 및 비마커영상으로 분류하거나 병실 등의 내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마커를 마커 및 비마커영상로 자동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커검출부(30)는 상기 카메라부(10)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으로부터 마커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마커학습부(33)가 구축한 마커 및 비마커에 관한 정보를 기준으로 제어가 가능한 기기 및 그 기기의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마커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상기 마커는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상기 카메라부(10)가 입력받는 외부영상과 중첩되어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는 상기 마커검출부(30)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마커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마커학습부(33)에 의해 마커영상으로 분류된 복수의 상기 마커(5)를 사용자, 즉 수족사용 불능환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되는 복수의 상기 마커(5)는 특히 병실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들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라디오나 TV켜기, 끄기, 볼륨 크게하기, 볼륨 작게 하기, 채널 높이기, 채널 낯추기, 간호사 호출, 실내온도 높이기, 실내 온도 낮추기, 전등 켜기, 전등 끄기, 침대머리 부분 낮추기, 침대 다리부분 높이기, 침대 다리 부분 낮추기 동작 등을 포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전도 센서부(70)는 사용자, 즉 수족사용 불능환자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복수의 상기 마커(5)를 기준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는 경우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복수의 상기 마커(5) 중 라디오 켜기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마커(5)로 눈동자를 움직이게 될 경우 라디오 켜기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마커(5)로 움직인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커인식부(90)는 상기 안전도 센서부(70)에 의해 검출된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마커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상기 마커(5)로부터 마커(5)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공신경망 학습부(93)를 기준으로 상기 마커검출부(30)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상기 마커(5)로부터 마커(5)의 종류를 인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신경망 학습부(93)는 마커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분류기를 주어진 학습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학습영상 즉, 마커 종류별 학습영상(95)은 상기 인공신경망 학습부(93)가 보다 높은 효율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10)와 복수의 상기 마커(5)가 놓여 있는 평면 사이의 각도가 90°인경우, 75°인경우, 60°인경우, 45°인경우, 30°인경우, 15°인 경우 등으로 촬영한 수십장 씩의 마커 사진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는 상기 마커인식부(90)에 의해 인식된 마커(5)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복수의 상기 마커(5) 중 라디오 켜기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마커(5a)로 눈동자를 움직이게 될 경우 상기 마커인식부(90)에 의해 라디오 켜기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마커(5a)가 인식되고, 이때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가 상기 마커인식부(90)에 의해 인식된 상기 마커(5a)에 해당되는 동작을 라디오가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는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선택한 마커(5)에 대한 동작을 해당기기가 실제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족사용 불능환자가 라디오켜기 동작을 나타내는 상기 마커(5a)를 선택하였을 시 라디오가 켜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눈동자를 움직여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5)를 선택할 경우 상기 마커인식부(90)가 선택된 상기 마커(5)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100)가 상기 마커인식부(90)가 인식한 상기 마커(5)에 해당되는 동작을 해당기기가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0)로 제어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기기, 특히 병실에 있는 기기들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뇌파나 빛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해당기기를 구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5)를 기준으로 종래에 비해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다양한 기기들을 구동시킬 수 있어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커검출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마커(5) 검출의 반복적인 수행을 위해 기준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값이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약 상기 기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이진 영상으로부터 연결된 픽셀을 탐색하여 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윤곽선 중 직선인 부분을 검출하여 선분으로 근사화한 후, 상기 검출된 윤곽선을 이루는 선분의 수, 윤곽선 내부면적을 포함한 기하학적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윤곽선이 사각형인지 여부를 판별한 다음 표준마커 크기로 변환한 후 마커(5)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준마커 크기로 변환된 상기 마커 영상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특징 벡터의 크기 100개로 축소한다.
그리고, 특징 벡터에 상기 마커학습부(33)를 적용하여 표준 마커 크기로 변환된 상기 마커(5)를 각각 마커영상 및 비마커영상으로 분류하게 된다.
이로써, 자연 영상에 존재하는 사각형 형태의 물체이면서 상기 마커(5)가 아닌 영상, 즉 비마커영상을 걸러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마커영상으로 분류된 복수의 상기 마커의 해당영역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된다.
한편, 상기 마커검출부(3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지정된 임계값까지 수행하여 조명 등의 변화에도 견고한 사각형 마커(5)를 검출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 이후, 다시 처음부터 반복적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눈동자를 움직여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선택할 경우 상기 마커인식부가 선택된 상기 마커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가 상기 마커인식부가 인식한 상기 마커에 해당되는 동작을 해당기기가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로 제어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기기, 특히 병실에 있는 기기들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뇌파나 빛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해당기기를 구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신체에 손상이 초래될 우려가 없고, 아울러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기준으로 종래에 비해 수족사용 불능 환자가 다양한 기기들을 구동시킬 수 있어 수족사용 불능 환자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마커검출부는 설정된 기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카 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이진 영상으로부터 연결된 픽셀을 탐색하여 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윤곽선 중 직선인 부분을 검출하여 선분으로 근사화한 후, 상기 검출된 윤곽선을 이루는 선분의 수, 윤곽선 내부면적으로 포함한 기하학적 특징으로 검출하고, 상기 기하학적 특징으로 이용하여 상기 윤곽선이 사격형인지 여부를 판별한 다음 표준마커 크기로 변환한 후 마커를 검출함으로써, 자연 영상에 존재하는 사각형 형태의 물체이면서 상기 마커가 아닌 영상을 걸러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외부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와;
    미리 준비된 마커영상 및 비마커영상을 기준으로 마커와 비마커의 분류방법을 학습하고,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마커와 비마커를 자동추출하여 학습하는 마커학습부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입력되는 외부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학습부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기기 및 그 기기의 제어동작을 포함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검출부와;
    상기 마커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마커를 표시하는 시스루(see-through)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가 상기 시스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의 마커를 기준으로 눈동자를 움직이는 경우 눈동자의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안전도 센서부와;
    상기 안전도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마커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복수의 마커로부터 마커의 종류를 인식하는 마커인식부와;
    상기 마커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마커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명령 전송부와;
    상기 제어명령 전송부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검출부는 설정된 기준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영상을 이진 영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이진 영상으로부터 연결된 픽셀을 탐색하여 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윤곽선 중 직선인 부분을 검출하여 선분으로 근사화한 후, 상기 검출된 윤곽선을 이루는 선분의 수, 윤곽선 내부면적을 포함한 기하학적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기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상기 윤곽선이 사각형인지 여부를 판별한 다음 표준마커 크기로 변환한 후 마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 기기제어시스템.
KR1020070044789A 2007-05-09 2007-05-09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KR20080099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89A KR20080099367A (ko) 2007-05-09 2007-05-09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89A KR20080099367A (ko) 2007-05-09 2007-05-09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367A true KR20080099367A (ko) 2008-11-13

Family

ID=4028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789A KR20080099367A (ko) 2007-05-09 2007-05-09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3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908A2 (ko) 2008-10-09 2010-04-15 (주)뉴트리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908A2 (ko) 2008-10-09 2010-04-15 (주)뉴트리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ital sign information
JP3673834B2 (ja) 眼球運動を用いた視線入力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EP3721320B1 (en)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20150310629A1 (en) Mo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50320343A1 (en) Mo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177446A1 (en) Image interpretatio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20180130834A (ko) 운동 치료를 위한 동작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667366B2 (en) Lighting devices with automatic lighting adjustment
US10987008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vital signs
US11026762B2 (en) Medical observation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CN107773225A (zh) 脉搏波计测装置、脉搏波计测方法、程序以及记录介质
KR20120060978A (ko) 시선 위치 추적 기반의 3차원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장치 및 방법
CN109558004B (zh) 一种人体辅助机器人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169309A (zh) 基于头戴式检测设备的视野检测方法、系统及检测装置
CN106214163B (zh) 一种下肢畸形矫正术后康复的人工心理辅导装置
KR102267162B1 (ko) 인지 장애인을 위한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US2021016930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6162517B2 (ja) 体位決定支援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CN106681509A (zh) 界面操作的方法和系统
US10993608B2 (en) Endoscope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80099367A (ko) 수족사용 불능환자를 위한 안구전도를 이용한기기제어시스템
EP3709209A1 (en)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stimating pose of a subject
US11523729B2 (en) Surgical control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urgical system
WO2015170720A1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画像認識方法
JP6846626B2 (ja) 脈波計測装置および脈波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