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221A -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221A
KR20080098221A KR1020070043633A KR20070043633A KR20080098221A KR 20080098221 A KR20080098221 A KR 20080098221A KR 1020070043633 A KR1020070043633 A KR 1020070043633A KR 20070043633 A KR20070043633 A KR 20070043633A KR 20080098221 A KR20080098221 A KR 20080098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data
character
symbol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900B1 (ko
Inventor
남기선
양중근
최근환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9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8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 면에 접촉되는 방향을 인식하는 접촉 센서와; 상기 접촉 센서로부터 인입되는 방향 데이터 및 상기 방향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에서 인식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 접촉 센서, 가속 센서, 문자 데이터, 기호 데이터, 필기

Description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MOBILE TERMINAL CAPABLE OF WRITING AND METHOD OF RECOGNIZING WRITING BY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20 : 화면
140 : 접촉 센서
160 : 가속 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펜 및 종이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를 펜처럼 들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바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들은 유선 단말기, 예컨대 컴퓨터와는 달리 단말기 자체 내에 일체형으로 소형의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들의 입력 장치가 소형이기 때문에 컴퓨터의 입력 장치인 키보드와는 달리 버튼의 크기가 작아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버튼이 어려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입력의 효율이 낮고, 버튼들이 좁은 공간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컴퓨터 및 PDA에 사용되는 디지타이저의 경우 별도의 입력 판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활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고가의 제품이라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게다가, 이미지를 디지털 카메라로 인식하는 펜의 경우에도 역시 고가이며, 기록된 이미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접 이미지를 기록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펜 및 종이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를 펜처럼 들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바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타 이동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접촉 센서를 구비하여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하여 움직이는 방향 데이터 및 움직인 방향으로의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로 필기한 문자/기호를 인식하도록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에 가속 센서를 구비하여 가속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여 그 방향 데이터 및 움직인 방향으로의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 단말기로 필기한 문자/기호를 인식하도록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 면에 접촉되는 방향을 인식하는 접촉 센서;
상기 접촉 센서로부터 인입되는 방향 데이터 및 상기 방향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인식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은,
a)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접촉 센서가 상기 소정 면에 접촉된 경우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여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접촉 센서(140), 가속 센서(160), 상기 접촉 센서(140) 또는 상기 가속 센서(160)에 의해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120), 및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 센서(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 면에 접촉되는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방향 데이터를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송한다. 상기 접촉 센서(140)의 일 예로는 광 마우스 또는 볼 마우스 등이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접촉 센서(140)로부터 인입되는 방향 데이터 및 상기 방향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 센서(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속 센서(160)로부터 인입되는 속도 데이터 및 상기 속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한다.
상기 화면(120)은 상기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부언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상기 접촉 센서(140) 만을 구비하거나, 상기 가속 센서(160) 만을 구비하여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일 응용 예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센서(140) 및 가속 센서(160)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 여, 상기 접촉 센서가 상기 소정 면에 접촉된 경우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어 모듈로 감지된 방향 데이터를 제공한다(S210, S220).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방향 데이터 및 상기 방향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텍스트 또는 그림을 인식하며, 상기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230).
상기 단계 S210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상기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가속 센서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가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속도 데이터 및 상기 속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한다(S240).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50, S260).
일 응용 예에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됨 없이 바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에 의하면, 펜 및 종이가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를 펜처럼 들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면 바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타 이동 단말기로 전송 가능한 필기 인식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의 작은 키 패드를 이용하여 문자/기호를 입력하는데 드는 노력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소정 면에 접촉되는 방향을 인식하는 접촉 센서;
    상기 접촉 센서로부터 인입되는 방향 데이터 및 상기 방향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서 인식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는,
    광 마우스 또는 볼 마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가속 센서로부터 인입되는 속도 데이터 및 상기 속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5.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움직임의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 센서;
    상기 가속 센서로부터 인입되는 속도 데이터 및 상기 속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인식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어 모듈에서 인식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7. a)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접촉 센서가 상기 소정 면에 접촉된 경우 움직이는 방향을 감지하여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로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식된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d) 상기 접촉 센서가 소정 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가속 센서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서로부터 측정된 속도 데이터 및 상기 속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문자 또는 기호 데이터를 소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필기 인식 방법.
KR1020070043633A 2007-05-04 2007-05-04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KR10088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33A KR100884900B1 (ko) 2007-05-04 2007-05-04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633A KR100884900B1 (ko) 2007-05-04 2007-05-04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221A true KR20080098221A (ko) 2008-11-07
KR100884900B1 KR100884900B1 (ko) 2009-02-19

Family

ID=4028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633A KR100884900B1 (ko) 2007-05-04 2007-05-04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9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11B1 (ko) * 2009-02-04 2011-08-01 허성민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WO2014143393A1 (en) * 2013-03-11 2014-09-18 Google Inc. Electronic book inscription system
KR101485679B1 (ko) * 2013-06-26 2015-01-28 길재수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38652A1 (en) * 2010-08-12 2012-02-16 Palm, Inc. Accepting motion-based character input on mobile compu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076A (ko) 2001-10-09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펜-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830145B1 (ko) * 2006-09-21 2008-05-20 크루셜텍 (주) 문자입력과 포인팅이 가능한 광포인팅 장치가 구비된 개인 휴대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11B1 (ko) * 2009-02-04 2011-08-01 허성민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WO2014143393A1 (en) * 2013-03-11 2014-09-18 Google Inc. Electronic book inscription system
US8898587B2 (en) 2013-03-11 2014-11-25 Google Inc. Electronic book inscription system
KR101485679B1 (ko) * 2013-06-26 2015-01-28 길재수 모션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900B1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3386A1 (en) Identification of candidate characters for text input
US8908973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nterface
KR100518824B1 (ko) 필기 모션 획 구분 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US20090021494A1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US8194926B1 (en) Motion estimation for mobile device user interaction
US10241670B2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8884930B2 (en) Graphical display with optical pen input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100884900B1 (ko) 필기 인식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필기 인식 방법
US8405642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890816B2 (en) Input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JP544092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8958511B (zh) 交互显示设备、书写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6484105A (zh) 一种实现手势识别的方法及装置
JP2014186530A (ja) 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WO2007046604A1 (en) Device for inputting digital information
US20140198082A1 (en) Method for correcting real and digital ink
KR20070042858A (ko) 펜 형태의 디지털 입력 장치
KR20110019815A (ko) 리더기의 이동 궤적 측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리더기
US2016010355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23615B1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1154664A (ja) 筆跡インク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06649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필기 문자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사용자 단말 장치
KR20050043541A (ko)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손가락용 터치스크린 및문자입력방법
JP2012208576A (ja) 描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