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014A -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 Google Patents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014A
KR20080097014A KR1020070042074A KR20070042074A KR20080097014A KR 20080097014 A KR20080097014 A KR 20080097014A KR 1020070042074 A KR1020070042074 A KR 1020070042074A KR 20070042074 A KR20070042074 A KR 20070042074A KR 20080097014 A KR20080097014 A KR 2008009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occer
support
ankle suppor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티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티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티엠시스
Priority to KR102007004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014A/ko
Publication of KR2008009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로서, 하단 근처에 배치되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부착수단과, 부착수단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지지수단은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착용자가 발목관절을 움직일 경우 접힘이 자유로운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접힘부가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힘으로, 축구공을 킥이나 드리블할 때에 컨트롤이 용이하면서도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함에 따라 발목지지대와 축구화의 내측면 사이에 자잘한 이물질이 설령 끼인다 하더라고 그 깊이가 깊지 않기 때문에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더욱이, 발목지지대를 탈부착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발목지지대를 탈착 후 이물질을 제거하면 됨으로 편리하다.

Description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Ankle Support And Soccer Shoe Equipped With It}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구화의 뒤축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목지지대 110 : 부착수단
120 : 지지수단 121 : 삽입구
122 : 절개부 123 : 신축부재
124 : 접힘부 125 : 보호 패드부
200 : 축구화 210 : 바닥부분
220 : 등부분 230 : 뒤축부분
이 발명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신을 수 있는 발목지지대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하게는 축구화 내측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예방하거나 끼인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킥이나 드리블 시에 컨트롤이 용이한 상태에서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하는 발목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발목보호를 위한 신발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8231호에는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신발"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은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에 부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발목을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발목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발목지지대를 신발의 안쪽에서 신발바닥, 예를 들어 중창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신발의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발목지지대와 신발의 내측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그러한 틈새에 모래를 비롯한 자잘한 이물질 등이 끼이는 문제점과, 이렇게 끼인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모래 운동장이나 인조구장에서 격한 운동을 하는데 이용되는 축구화의 경우에는 더욱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축구공을 드리블하거나 킥을 함에 있어 자유로운 컨트롤을 위해서는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라 하더라도 발목지지대가 없는 일반 축구화보다는 못하겠지만 발목이 자유로운 것이 좋다. 그런데, 종래의 발목지지대는 착용자의 발 뒤꿈치의 아킬레스건, 내측 복사뼈 및 외측 복사뼈 상에 보강스트립을 배치하되, 이러한 보강스트립이 축구화의 안쪽에 부착된 하부로부터 축구화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부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이러한 보강스트립은 장력에 강한, 특히 길이방향으로의 신장이 거의 없으면서 꺾임이 부자연스러운 소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축구공을 드리블하거나 킥을 함에 있어 보강스트립에 의해 발목이 구속되어 축구공의 자유로운 컨트롤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구화 내측면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예방하거나 끼인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킥이나 드리블 시에 컨트롤이 용이한 상태에서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 윗부분까지 다리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는 발목지지대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위 발목지지대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축구화를 제안하기도 한다.
이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위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하기 위 해 위 발목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부착수단과 맞물리거나 협력할 수 있는 상호작용수단(interaction means)을 구비한 축구화를 제안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한다고 함은 발목지지대의 하단 전부 또는 일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재봉질이나 접착제 등으로 완전 고정하거나, 밸크로 파스너 등의 부착부재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축구화의 내측면이라 함은 축구화를 구성하는 뱀프 및 뒤축부분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발목지지대와 축구화의 내측면 사이에 끼이는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발목지지대의 하부를 가능한 한 축구화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어떤 사정으로든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상단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인 임의의 내측면에 부착한다고 할지라도 이는 단지 이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형태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물론이고 특허청구의 범위를 기재함에 있어서도, 특별히 한정함이 없이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한다는 것은 상기와 같은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는 하단 근처에 배치되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부착수단과, 부착수단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지지수단은 그 하단에 부착수단이 결합되며,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착용자가 발목관절을 움직일 경우 접힘이 자유로운 접힘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수단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는 겉피(outer skin, 도시안됨)와 안감(lining, 도시안됨) 및 충진재(stuffing material, 도시안됨)를 포함하는 3층 이상의 소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발명이 그러한 3층 이상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목지지대가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서 착용자의 발목의 운동 및 활동을 방해하지만 않고 발목을 감쌀 수만 있다면 그 적층구조에 제한됨이 없이 단층 또는 2층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소재를 선택함에 있어서 통기성, 투습성, 건조성, 촉감, 착용감 등을 감안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고, 겉피는 내구성, 내마모성, 발수성, 통기성 등을 특히 고려해야 할 것이며, 안감은 촉감, 흡습성, 건조성,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소재는 축구화의 특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발명은 특정한 소재의 성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구화의 뒤축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100)는 통상적인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축구화의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착용자의 발목관절의 윗부분까지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발목지지대(100)의 하부는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110)을 갖는다. 이러한 부착수단(110)은 재봉질을 비롯하여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고정될 수만 있다면 어떻게 구성하든 무방하며, 양호하게는 밸크로 파스너 등과 같은 부착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수단(110)으로 밸크로 파스너를 이용할 경우에는 밸크로 파스너의 수컷을 발목지지대(100)의 하부의 외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탈부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군데군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밸크로 파스너의 수컷이 발목지지대(100)의 하단에서 군데군데 노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부착수단(110)으로 밸크로 파스너를 갖는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200)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발목지지대(100)와 축구화의 내측면 사이에 자잘한 이물질이 설령 끼인다 하더라고 발목지지대(100)를 탈착하여 쉽게 제거할 수가 있다. 만약, 밸크로 파스너를 군데군데 갖는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에는 자잘한 이물질이 밸크로 파스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발목지지대(100)와 축구화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해 축구화의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일반 축구화처럼 털어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발목지지대(100)는 부착수단(110)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20)을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수단(120)은 착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삽입구(121)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이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방에 절개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122)는 발목지지대(100)의 측면, 즉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아웃사이드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축구공이 상대적으로 적게 접촉하는 축구화의 아웃사이드에 발목지지대(100)의 조임수단 등을 형성함으로써, 축구공이 상대적으로 많이 접촉하는 축구화의 전방이나 인사이드의 표면을 매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120)은 그 하단에 부착수단(110)이 결합되며,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착용자가 발목관절을 움직일 경우 접힘이 자유로운 접힘부(124)를 갖는다. 즉, 접힘부(124)는 축구공을 킥이나 드리블할 때에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접히는 것으로서, 접힘이 자유로운 소재인 가죽, 메시 등을 비롯한 여타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접힘부(124)는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인사이드나 아웃사이드는 축구화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4 ~ 10mm 정도 노출되며, 바람직하기로는 7mm 정도 노출된다. 그리고 축구화의 뒤축부분은 킥을 할 때 아킬레스건 부분이 많이 접히기 때문에, 중앙부위가 자유롭게 접히도록 높게 노출되고 양측으로 갈수록 그 노출 높이가 낮아지는 곡면 형태를 갖는다. 즉, 중앙부위는 대략 6 ~ 20mm 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5mm 정도 노출되 고, 중앙부위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인사이드나 아웃사이드에 대응하는 노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발목지지대(100)는 지지수단(120)의 절개부(122)의 양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겨 착용자의 발목에 밀착시키도록 조임수단으로 조일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조임수단으로는 지지수단(120)의 양 측 외면에 각각 결합되는 밸크로 파스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임수단을 지지수단(120)의 양 단을 따라 각각 재봉 결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수단(120)은 착용상태에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개부(122)의 하부 일부분 또는 전체를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착용자의 발이 편리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부재(123)로 막아 발목지지대(100)를 폐쇄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지지수단(120)의 일측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절개부(122)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설편(도시안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지지수단(120)의 설편은 그 하부가 통상적인 축구화에 형성된 설편과 어느 정도 중첩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수단(120)의 설편에는 통상적인 축구화의 설편과 부착 결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한편, 지지수단(120)을 외부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착용자의 발목 사이즈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지지수단(120)을 통상적인 축구화에 채용하여 사용할 경우, 착용자의 발목을 감싼 지지수단(120)이 서로 겹쳐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수단(120)은 외부 태클시에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부(125)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호 패드부(125)는 라텍스 금형으로 성형 제작하여 지지수단(120)을 구성하는 소재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하거나 소재의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 혹은 보호 패드부(125)를 갖는 형태로 지지수단(120)을 라텍스 금형으로 일체로 성형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수단(1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착용자의 내측 복사뼈가 위치하는 부분은 인사이드킥을 비롯하여 축구공을 컨트롤할 때 자주 접촉되므로, 착용자가 민감하게 느낄 수 있도록 얇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자의 외측 복사뼈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축구공의 컨트롤이 적은 반면에 외부 태클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내측 복사뼈가 위치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두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수단(120)은 축구화를 신고 거동(운동 포함)함에 따라 그 내부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100)는 그 하부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축구화로부터 분리되지 않지만, 축구화에 대해 자연스러운 접힘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100)를 채용한 축구화는 착용자의 발목관절이 축구화에 구속되지 않고 발목지지대(100)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발목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동작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100)를 채용한 축구화는 발목지지대(100)의 하부가 축구화의 내측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격 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축구화와 발목지지대(100)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발목지지대를 부착한 축구화를 이용할 경우에는 정강이 보호대의 하단이 발목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에 정강이 보호대의 착용이 편리하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개념을 갖는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에 따른 발목지지대가 부착된 축구화(200)는 바닥부분(210 ; sole section), 등부분(220 ; upper section), 뒤축부분(230 ; heel section), 및 하부가 축구화의 안쪽에서 뱀프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으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100 ; ankle support)를 포함한다.
바닥부분(210)은 다수 개의 미끄럼 방지 돌기(211)가 형성된 밑창 및 밑창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중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등부분(220)은 착용자의 발끝을 덮게 구성된 토우탑(221 ; toe top)과, 안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1 뱀프(222 ; first vamp)와, 바깥쪽 발등을 덮게 구성된 제2 뱀프(223 ; second vamp), 및 토우탑(221)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발등을 덮게 구성된 설편(224 ; tongu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등부분(220)은 제1 뱀프(222)의 측단과 제2 뱀프(223)의 측단을 서로 접근하게 끌어당기는 뱀프조임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뱀프조임수단은 제1, 제2 뱀프(222, 223)의 측단의 스트립(226)을 따라 각각 형성된 다수의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끈(225)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뱀프조임수단이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발목지지대(100)의 조임수단과 같이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제2 뱀프(222, 223) 및 뒤축부분(230)의 내측면에는 발목지지대(100)의 하단에 형성된 부착수단(110)과 맞물리거나 협력할 수 있는 상호작용수단(interaction means)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발목지지대(100)의 부착수단(110)을 밸크로 파스너의 수컷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밸크로 파스너의 암컷으로 상호작용수단을 구성하면 된다.
발목지지대(10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개념으로 구성된다. 즉, 발목지지대(100)는 그 부착수단(110)이 축구화(200)의 제1, 제2 뱀프(222, 223) 및 뒤축부분(230)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230)의 상단너머로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서 착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발목지지대(100)를 축구화(200)의 제1, 제2 뱀프(222, 223) 및 뒤축부분(230)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접힘부(124)가 상기와 같은 치수로 축구화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착용자가 발목관절을 움직일 경우 접힘이 자유로운 상태를 갖도록 한다. 즉, 축구공을 킥이나 드리블할 때에 접힘부(124)가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접힐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의 축구화(200)는 발목지지대(100)의 하부가 축구화의 내측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격한 움직임에 따른 무리한 충격이 발목에 가해지더라도 축구화(200)와 발목지지대(100)가 동시에 지지하기 때문에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는 접힘부가 발목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접힘으로, 축구공을 킥이나 드리블할 때에 컨트롤이 용이하면서도 발목의 과도한 비틀림과 꺾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함에 따라 발목지지대와 축구화의 내측면 사이에 자잘한 이물질이 설령 끼인다 하더라고 그 깊이가 깊지 않기 때문에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더욱이, 발목지지대를 탈부착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발목지지대를 탈착 후 제거하면 됨으로 편리하다.
또한, 이 발명은 축구공이 많이 접촉하는 부분은 그 표면이 매끈하면서도 착용자가 민감하게 느끼도록 구성하고, 축구공이 상대적으로 적게 접촉하면서 외부 태클에 노출되는 부분은 두툼하게 보강하는 등 축구의 특성을 고려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하도록 구성된 발목지지대(ankle support)로서,
    상기 발목지지대의 하단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부착수단과,
    상기 부착수단이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뒤축부분의 상단너머로 돌출되게 연장하여 착용자의 발목관절을 포함한 발의 일부와 다리의 일부를 감싸게 착용함으로써 발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그 하단에 상기 부착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발목지지대를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할 경우 축구화의 상단으로 일정 높이 노출되어 착용자가 발목관절을 움직일 경우 접힘이 자유로운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착용자의 발뒤꿈치의 아킬레스건 부위를 보호하는 보호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목지지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목지지대가 축구화의 내측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구화.
KR1020070042074A 2007-04-30 2007-04-30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KR20080097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74A KR20080097014A (ko) 2007-04-30 2007-04-30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74A KR20080097014A (ko) 2007-04-30 2007-04-30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014A true KR20080097014A (ko) 2008-11-04

Family

ID=4028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074A KR20080097014A (ko) 2007-04-30 2007-04-30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0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6811B2 (ja) 運動靴
JP4918571B2 (ja) アッパーのフィット性を改良した運動靴
US6148544A (en) Gaiter for running shoe
JP2018057836A (ja) 靴用アッパー
US10076152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athletic and recreational activities with bootie
JP6910079B2 (ja)
US20060137226A1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8001706B2 (en) Cover for embellishing footwear
US20070256332A1 (en) Slip on athleisure shoe
US20150320139A1 (en) Barefoot shoe
US8156664B2 (en) Padded shoe
US20130133228A1 (en) Universal, readily interchangeable, and non-gaiter cover for wraping around and decorating only the shaft of an any sized and mundane boot and not the foot of the any sized and mundane boot
US20150096196A1 (en) Footwear
US20080110058A1 (en) Padded Shoe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JP2020505156A (ja) ソール構造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JP4351199B2 (ja) アッパーのフィット性を改良した運動靴
KR200396954Y1 (ko) 검도용 실내 덧신
JP2005329270A6 (ja) アッパーのフィット性を改良した運動靴
KR20080097014A (ko)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를 구비한 축구화
KR200440891Y1 (ko) 덧버선
WO1999017628A1 (en) Improved tongue for footwear
JP2871482B2 (ja) 走り高跳び用靴
JP2003088266A (ja) 犬用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